KR101723076B1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3076B1 KR101723076B1 KR1020140125733A KR20140125733A KR101723076B1 KR 101723076 B1 KR101723076 B1 KR 101723076B1 KR 1020140125733 A KR1020140125733 A KR 1020140125733A KR 20140125733 A KR20140125733 A KR 20140125733A KR 101723076 B1 KR101723076 B1 KR 101723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device
- user
- thumb
- index finger
- emg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7635 classification algorith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706 support-vector machin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0 cross-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87 my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장치 중 부착 수단을 여러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장치와 스마트 기기와의 인터페이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장치로 핀치 투 줌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손가락 사이 거리에 따른 근전도 신호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다중(multi-class) 인식 분류 알고리즘에서 훈련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다중(multi-class) 인식 분류 알고리즘에서 테스트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인터페이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3)
-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 화면을 비접촉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장치로서,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거리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근전도 전극;
상기 근전도 신호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근전도 전극과 전송부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시키는 부착 수단;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된 근전도 신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도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변위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대해 핀치 투 줌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근전도 신호에 대해 서포트 벡터 머신을 사용한 다중 인식 분류 알고리즘의 분류기를 구성하고, 상기 서포트 벡터 머신은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다수개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One-versus-One 방식의 분류기를 구성하며,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에 대한 분류기를 선택하여 최종적인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전극은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거리에 따른 근전도 신호를 발생하는 근육인 First dorsal interosseous에 해당하는 영역에 부착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근전도 전극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의 거리에 해당하는 변위값을 설정하여, 상기 변위값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의 화면 또는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핀치 투 줌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의 입력값은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 사이의 거리에 따른 근전도 신호의 파워가 파워 스펙트럼 상에서 중첩되지 않으며, 각각의 변위값을 구분할 수 있는 구간에 해당되는 80~120㎐, 180~200㎐ 영역의 주파수 값으로 설정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에 끼워지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와 연결되며 전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전송부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송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상기 전송부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USB 포트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전원 표시를 위한 상태 표시등 및 스마트 기기와의 블루투스 인식을 식별하는 페어링 버튼이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장치. -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 화면을 비접촉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근육에서 발생되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다중 인식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근전도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변위값에 따라 스마트 기기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핀치 투 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다중 인식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근전도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는 근전도 신호에 대해 서포트 벡터 머신을 사용한 분류기를 통해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다수개로 분류하는 단계 및 이에 대한 One-versus-One 방식의 분류기를 구성하고,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에 대한 분류기를 선택하여 최종적인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근전도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을 도출하는 단계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거리를 복수개의 모델들로 분류하여, 상기 모델들 간의 조합에 따른 분류기를 구성하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에 따른 근전도 신호가 매칭되도록 분류기를 훈련하는 단계와,
임의의 근전도 신호를 훈련된 분류기의 입력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분류기 중에서 다수개로 선택된 결과값을 최종적인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신호는 실시간으로 스마트 기기로 전송되고, 전송된 근전도 신호는 실시간으로 분류되어 엄지와 검지 손가락 사이의 변위값이 설정되어, 상기 변위값에 따라 상기 스마트 기기 화면에 대한 핀치 투 줌 동작이 실시간으로 수행되는 스마트 기기의 인터페이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5733A KR101723076B1 (ko) | 2014-09-22 | 2014-09-22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5733A KR101723076B1 (ko) | 2014-09-22 | 2014-09-22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7755A Division KR101771927B1 (ko) | 2016-11-07 | 2016-11-07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4598A KR20160034598A (ko) | 2016-03-30 |
KR101723076B1 true KR101723076B1 (ko) | 2017-04-06 |
Family
ID=5566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5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3076B1 (ko) | 2014-09-22 | 2014-09-22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30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33270B (zh) * | 2019-04-15 | 2024-06-14 | 华南理工大学 | 一种基于手指开关的人机交互系统及其交互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4111B1 (ko) * | 2009-10-13 | 2013-0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4408B1 (ko) * | 2008-11-19 | 2010-11-16 | 한국과학기술원 | 손가락 힘 추정 방법 및 추정 장치, 손가락 힘 추정을 위한근육 판별 방법 및 근육 판별 장치 |
KR101302138B1 (ko) * | 2009-12-18 | 2013-08-3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착용형 컴퓨팅 환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
-
2014
- 2014-09-22 KR KR1020140125733A patent/KR10172307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4111B1 (ko) * | 2009-10-13 | 2013-0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4598A (ko) | 2016-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341779B (zh) | 用于基于神经肌肉控制执行输入的系统、方法和界面 | |
US11422623B2 (en) | Wrist worn computing devic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 |
Truong et al. | Capband: Battery-free successive capacitance sensing wristband for hand gesture recognition | |
US9367139B2 (en)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 |
US9389694B2 (en)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 |
JP2021072136A (ja) | ジェスチャに基づいて制御するための筋活動センサ信号と慣性センサ信号とを結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9483123B2 (en)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 |
CN109690455A (zh) | 具有传感器和触觉部件的指戴式装置 | |
US9427158B2 (en) | Wear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biological signal with the same | |
US20170215768A1 (en) | Wearable controller for wrist | |
JP6344032B2 (ja) | ジェスチャ入力装置、ジェスチャ入力方法、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プログラム | |
EP2839774B1 (en) | Biosignal interfac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biosignal interface apparatus | |
US11921471B2 (en)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devices having secondary power sources in links of a band for providing secondary power in addition to a primary power source | |
US10120444B2 (en) | Wearable device | |
CN105022471A (zh) | 基于压力传感器阵列进行手势识别的装置与方法 | |
EP269195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cial changes | |
US20230073303A1 (en) | Wearable devices for sensing neuromuscular signals using a small number of sensor pai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wearable devices | |
US1205628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recognition | |
CN103631368B (zh) | 检测装置、检测方法以及电子设备 | |
CN105511750A (zh) | 一种切换方法及电子设备 | |
US10884504B2 (en) | Wearable wrist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 physical change in the epidermis and wirelessly inputting sensor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20190098806A (ko) | 동작 인식을 위한 지능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705748B2 (en) | Wearable gesture recognition device for medical screening and associated operation method and system | |
KR101771927B1 (ko)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
KR101723076B1 (ko) | 사용자와 스마트 기기간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비접촉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2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