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684B1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2684B1 KR101722684B1 KR1020160129042A KR20160129042A KR101722684B1 KR 101722684 B1 KR101722684 B1 KR 101722684B1 KR 1020160129042 A KR1020160129042 A KR 1020160129042A KR 20160129042 A KR20160129042 A KR 20160129042A KR 101722684 B1 KR101722684 B1 KR 101722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thpiece
- support plate
- vibration
- lead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10D9/023—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10D9/035—Ree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숨을 불어넣어 관 안쪽의 공기 기둥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드의 지지판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파고들어간 터널식 홈으로 인해 큰 공명이 생겨 리드의 진동판과 같은 방향인 상하로 크게 생긴 진폭 진동이 마우스피스 내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되어 울림이 크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제공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숨을 불어넣어 관 안쪽의 공기 기둥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드의 지지판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파고들어간 터널식 홈으로 인해 큰 공명이 생겨 리드의 진동판과 같은 방향인 상하로 크게 생긴 진폭 진동이 마우스피스 내로 유동되는 공기로 전달되어 울림이 크고 깊은 소리를 낼 수 있게 제공하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일반 색소폰 악기의 리드 구조물의 사시분해도다. 상기 일반 색소폰의 리드 구조물은 일체로 성형된 튜브 모양의 마우스피스(10)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외벽으로 배리어 벽(11)을 형성하고 타측의 편평한 결합면(12)과 끝단에서 교차하여 대체적으로 원호모양을 이루는 상단 궤도(13)를 형성한다. 결합면은 상단 궤도 내측의 바깥 구간에서 내부의 공기실(14)에 연결되는 마우스피스(141)(도 2 참조)를 형성하고 결합면이 제공한 리드(16)가 리가추어(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도 2는 일반 리드 구조물의 작용 단면도다. 상기 일반 마우스피스(10) 구조는 공기가 상단 궤도(13)와 리드(16)의 틈새를 통해 공기실(14)에 진입한 후 외벽의 배리어 벽(11)과 리드(16) 사이에서 서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resiliently pushing each other) 작용에 의해 진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진동 주파수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여 공기실(14) 내부 공간에서 진동하게 되어 악기가 음악 소리를 낼 수 있게 한다.
리드(16)는 크게 진동판과 지지판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판은 일면이 테이퍼진 판이고, 지지판은 일면이 볼록한 원호형상인 판이다. 진동판 및 지지판의 타면은 평탄면이고, 이 평탄면 중 진동판의 타면이 마우스피스(1)에 접하는 형태이다.
상기 지지판이 마우스피스(141)의 일면(12)에 접촉한 상태에서 바인더(3)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고정되지 않은 진동판은 관악기를 불 때 상하로 진동하면서 마우스피스(1) 내로 들어가는 공기에 그 진동을 전달하게 되어 소리가 나게 한다.
그러나, 단순히 진동판이 상하로 떨리는 진동만이 마우스피스(1) 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소리의 울림이 크지 않아 폐활량이 큰 사람만이 소리를 잘 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가 특허문헌 1(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6255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는 색소폰과 같은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막대형상의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에 일체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면이 구비된 진동판(20)를 포함한다.
지지판(10) 상부면에는 결합턱(110)이 구비된 에코부(100)와, 상기 에코부(100)의 결합턱(110)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에코부(100)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0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의 진동에 따른 소리가 밀폐된 공간인 에코부(100)의 내에서 공명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리드의 재질에 상관없이 악기의 소리를 길고 풍부하게 하여 효과적인 연주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보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원하는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에코부(100)는 지지판(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진동판(20)의 상하 떨림에 의해 생긴 진동이 지지판(10)로 전달되어도 에코부(100)가 마치 벽과 같이 세워진 자세로 인해 전달되는 진동이 한쪽에만 닿아 에코부(100) 내에서 일어나는 공명이 세지 않게 된다.
또한, 에코부(100)의 내부에서 공진이 생겨 지지판(10)가 진동되더라도 상하보다 전후로 진동되어 마우스피스 내로의 진동 효율을 매우 약하다.
또한, 에코부(100) 내의 공명은 실질적으로 그 파인 홈 바닥(커버와 대응되는 면)에 대해서만 마우스피스로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그 전달되는 진동 접촉 면적이 매우 작다.
한편, 다른 종래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가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151231호)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100)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01)의 만곡면(170)에는 오목홈(18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홈(180)은 전후 및 하면이 막히지 않는 공간으로서, 이러한 공간은 공명을 일으켜 큰 진폭을 생기게 할 수 없는 형상이다.
즉, 진동판의 진동이 지지판(101)에 전달되어도 그 진동으로 인한 지지판(101)의 오목홈(180)이 공명을 일으킬 수 없어 마우스피스 내로 유동하는 공기에 전달시키기 못한다.
또한, 오목홈(18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마치 노치와 같이, 취급할 때 그 부분을 중심으로 쪼개어지거나 변형될 우려도 크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명현상이 잘 일어나면서도 공명현상에 의해 생긴 진동 진폭이 마우스피스에 잘 전달되는 방향성을 갖춘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는, 진동판과 지지판을 갖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끝단면에서 상기 진동판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끝단면인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막힌 터널식 홈이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지판의 끝단면에서 파고들어간 터널식 홈이 형성됨으로써, 진동판로부터 오는 진동을 받아 터널식 홈을 경계로 지지판이 공명에 의해 상하로 떨어 마우스피스 내를 유동하는 공기에 그 진동을 전달하여 울림이 강하고 깊은 소리를 내게 한다.
특히, 터널식 홈이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터널식 홈의 깊이가 마우스피스에 모두 닿게 되어 터널식 홈의 진동을 최대한 마우스피스 내의 유동 공기에 세게 전달시킨다.
또한, 터널식 홈이 마치 공명이 매우 크게 형성시키는 종의 빈 내부와 같은 역할을 하여, 지지판에 전달된 진동이 터널식 홈의 공간에서 생기는 큰 공명의 울림이 주변 지지판로 전달되고, 따라서 주변 지지판의 상하 진동도 그에 따라 매우 커서 그 떨림이 그대로 마우스피스에 때리는 형태로 전달되어 유동하는 공기도 크게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 색소폰 악기의 리드 구조물의 사시 분해도.
도 2는 일반 색소폰 악기의 리드 구조물의 작용 단면도.
도 3은 종래 에코부가 구비된 악기용 리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다른 종래의 색소폰용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리드가 마우스피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7의 정면도.
도 11은 터널식 홈이 복수개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 색소폰 악기의 리드 구조물의 작용 단면도.
도 3은 종래 에코부가 구비된 악기용 리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다른 종래의 색소폰용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리드가 마우스피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7의 정면도.
도 11은 터널식 홈이 복수개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인은 관악기를 불 때 매우 힘들게 공기를 불어넣어야 함은 물론 소리의 울림이 강하지 않고 깊은 소리가 나지 않아 그 이유를 살펴 본바, 마우스피스에 지지된 리드의 지지판에서 공명에 의해 떨림이 매우 약하기 때문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공명현상을 크게 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지지판의 원호면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홈을 두어서 불어보았지만 진동판의 상하 떨림의 진동이 수직한 홈에 전달되었을 때 거의 상쇄되면서 공명이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매우 약한 공명에 따른 진동도 방향성이 상하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생겨 마우스피스 내에 전달되는 진동이 거의 전달되지 않았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원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U자 형상의 홈을 두어서 불어봤지만, 전후 및 상면이 열려있어 공명이 거의 생기지 않았다.
이러한 길이방향에 수직한 홈(특허문헌 1)과 전후 및 상면이 열린 홈(특허문헌 2)은 공명현상이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진동의 방향성에도 문제가 있음을 알고, 본 출원인은 공명이 잘 일어나면서도 그 공명에 의한 진동이 마우스피스에 잘 전달되는 형상으로 종의 모양을 생각하게 되었다.
종은 하면이 열린 공간을 갖는 것으로, 종소리는 그 내부 공간에서 공명이 매우 우수하고 그 여운이 매우 아름다움을 알 수 있기에, 이러한 종과 같은 형상을 지지판의 끝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터널식 홈을 파서 불어보니, 그 터널식 홈에서 공명이 잘 일어나고, 공명에 의한 진동이 바로 마우스피스에 잘 전달되는 방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리드가 마우스피스에 진동을 전달하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터널식 홈이 복수개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1)는 진동판(3)과 지지판(5)을 포함한다.
진동판(3)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궤도(13)와 짝을 이루어 그 사이의 틈새로 연주자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들어와 공기실(14)에 진입한 후 배리어 벽(11)과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판(3) 간의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진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이러한 진동 주파수를 통해 소리를 생성하여 공기실(14) 내부 공간에서 진동하게 되어 악기가 소리를 낼 수 있게 된다.
진동판(3)은 일면은 평탄면이고, 타면은 지지판(5)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5)의 일면도 진동판(3)과 같은 선상으로서 평탄면이고, 타면은 두께가 일정하되, 위로 볼록한 원호 형성이다.
또한, 지지판(5)의 일면이 도 9와 같이 결합면(12)에 닿은 채 조임새(미도시)로 조여 지지하게 된다.
특히, 지지판(5)에는 터널식 홈(7)이 형성되어 있다.
터널식 홈(7)은 지지판(5)의 끝단면(5a)에서 진동판(3)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터널식 홈(7)은 한쪽이 막힌 깊은 홈의 형성이고, 수평방향으로 놓이는 구성이다.
한쪽이 막힌 깊은 홈은 마치 종의 형상과 유사하여 울림이 깊고 여운이 좋은 공명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놓인 터널식 홈(7)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진동판(3)의 상하 진동에 의한 떨림이 지지판(5)에 전달되어 그 홈(7) 내에서 공명현상이 생기고, 이 공명은 지지판(5)에 직접 전달되어 상하로 떨리게 함으로써, 그 상하 떨림 대부분이 그대로 결합면(12)를 통해 공기실(14)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공기실(14) 내부로 전달된 지지판(5)의 진동은 연주자가 내는 유동 공기에 진동(떨림)을 더해주어 진동 주파수를 더욱 높여주기 때문에 울림이 강하고 깊고 소리를 내게 된다.
또한, 유동하는 공기에 진동(떨림)을 더해주기 때문에, 연주자가 불 때 같은 소리에 대해서 덜 세게 불어도 되어 호흡 조절이 매우 쉽다.
또한, 터널식 홈(7)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급적 큰 홈을 낼 수 있는 끝단면(5a)의 중심에 배치되며, 상하 벽 두께(d1)(d1)가 좌우 벽 두께(w1)(w2)보다 매우 얇은 형태로서 타원의 홈(7)으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즉, 상하 벽 두께(d1)(d2)는 실질적으로 같은 얇은 박판 형태로서 그 내벽이 원호면과 같은 형상이고, 좌우 벽 두께(w1)(w2)도 실질적으로 같지만 상하 벽 두께(d1)(d2)보다 매우 두꺼운 후판 형태로서, 그 바닥이 평면과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타원 홈(7)은 최대한 내부 홈의 공간에 비해 그 외벽 두께를 얇게 하여 가급적 종의 형태(내부의 빈 공간에 비해 그 두께가 매우 얇은 형태)와 최대한 유사하게 되어, 공명이 잘 일어나 최대한의 진동 주파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1과 같이 터널식 홈(7)의 좌우에 터널식 홈(7a)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터널식 홈(7)(7a)의 개수는 관악기의 종류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터널식 홈(7)과 터널식 홈(7a) 사이의 벽 형태는 오목 렌즈 형태로서, 복수일 때 종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터널식 홈(7)의 횡단면은 그 악기의 종류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1)는 갈대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인은 지지판(5)의 떨림을 어떻게 하면 공기실(14) 내로 잘 전달할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터널식 홈(7)을 두어 지지판(5) 자체가 종의 형상을 하면서도, 공기실(14)의 공기 유동과 같은 방향인 수평으로 배치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터널식 홈(7)의 공명에 따른 지지판(5)의 진동(떨림)이 마우스피스(10)의 공기실(14) 벽에 그대로 전달시켜 유동 공기의 진동 주파수를 배가시킬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리드 3 : 진동판
5 : 지지판 7,7a : 터널식 홈
10 : 마우스피스 14 : 공기실
5 : 지지판 7,7a : 터널식 홈
10 : 마우스피스 14 : 공기실
Claims (1)
- 진동판(3)과 지지판(5)을 갖는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에는 상기 지지판(5)의 끝단면(5a)에서 상기 진동판(3)을 향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터널식 홈(7)이 형성되되,
상기 터널식 홈(7)은 상기 끝단면(5a)인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깊은 홈이고 수평방향으로 놓인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042A KR101722684B1 (ko) | 2016-10-06 | 2016-10-06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CN201720996982.3U CN207264769U (zh) | 2016-10-06 | 2017-08-10 | 用于管乐器的吹嘴簧片 |
US15/681,925 US10013959B2 (en) | 2016-10-06 | 2017-08-21 | Reed for mouthpiece of wind instrument |
EP17187399.5A EP3306605B1 (en) | 2016-10-06 | 2017-08-23 | Reed for mouthpiece of wind instrument |
JP2017003975U JP3213451U (ja) | 2016-10-06 | 2017-08-29 | 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リー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042A KR101722684B1 (ko) | 2016-10-06 | 2016-10-06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2684B1 true KR101722684B1 (ko) | 2017-04-05 |
Family
ID=5858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042A KR101722684B1 (ko) | 2016-10-06 | 2016-10-06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013959B2 (ko) |
EP (1) | EP3306605B1 (ko) |
JP (1) | JP3213451U (ko) |
KR (1) | KR101722684B1 (ko) |
CN (1) | CN207264769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0916B1 (ko) | 2020-10-23 | 2021-12-17 | 정서우 |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2684B1 (ko) * | 2016-10-06 | 2017-04-05 | 김두한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JP2019040081A (ja) * | 2017-08-25 | 2019-03-14 |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 管楽器用リード |
JP2021032948A (ja) * | 2019-08-20 | 2021-03-01 |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 木管楽器用マウスピース |
USD926869S1 (en) * | 2019-12-20 | 2021-08-03 | Mien-Huei TZENG | Saxophone mouthpiece |
DE102022000664A1 (de) * | 2022-02-24 | 2023-08-24 | Neo-Plastic Dr. Doetsch Diespeck Gmbh | Tonerzeugendes Blatt für Blasinstrumen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7198B1 (en) * | 2000-07-10 | 2004-06-08 | George V. Sullivan | Reed and mouthpiece assembly |
KR20040056255A (ko) | 2002-12-23 | 2004-06-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헤어젤 조성물 |
KR101151231B1 (ko) | 2011-03-10 | 2012-06-14 | 구경환 | 색소폰용 리드 |
KR200473389Y1 (ko) * | 2013-06-11 | 2014-07-02 | 권석순 | 에코 밸리가 형성되도록 한 색소폰의 리드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506364A (en) * | 1923-04-11 | 1924-08-26 | Chiron Hippolyte Marius | Reed for saxophone or clarinet mouthpieces |
US1667836A (en) * | 1927-03-15 | 1928-05-01 | Jr Frederick Brockman | Ree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
US2342836A (en) * | 1942-06-15 | 1944-02-29 | Arnold Brilhart Ltd | Reed for musical instruments |
US2669897A (en) * | 1950-12-20 | 1954-02-23 | Topor Jacob | Reed for musical instruments |
US2775273A (en) * | 1951-11-09 | 1956-12-25 | Louis G Sokol | Means for softening musical instrument reeds |
US3420132A (en) * | 1966-01-18 | 1969-01-07 | John G Backus | Reeds for woodwind instruments |
US5479842A (en) * | 1993-12-30 | 1996-01-02 | Ostermeyer; Walter H. | Flavored musical instrument reeds |
EP1324310A1 (fr) * | 2001-12-31 | 2003-07-02 | Pierre-André Taillard | Embouchoir pour instrument de musique à anche battante |
US20050061137A1 (en) * | 2003-09-22 | 2005-03-24 | Rovner Philip L. | Reed for single-reed woodwind instruments |
KR200456255Y1 (ko) | 2010-03-18 | 2011-10-20 | 장세창 | 에코 활성부가 구비된 악기용 리드 |
KR101722684B1 (ko) * | 2016-10-06 | 2017-04-05 | 김두한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
2016
- 2016-10-06 KR KR1020160129042A patent/KR1017226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8-10 CN CN201720996982.3U patent/CN207264769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08-21 US US15/681,925 patent/US10013959B2/en active Active
- 2017-08-23 EP EP17187399.5A patent/EP330660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7-08-29 JP JP2017003975U patent/JP3213451U/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7198B1 (en) * | 2000-07-10 | 2004-06-08 | George V. Sullivan | Reed and mouthpiece assembly |
KR20040056255A (ko) | 2002-12-23 | 2004-06-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헤어젤 조성물 |
KR101151231B1 (ko) | 2011-03-10 | 2012-06-14 | 구경환 | 색소폰용 리드 |
KR200473389Y1 (ko) * | 2013-06-11 | 2014-07-02 | 권석순 | 에코 밸리가 형성되도록 한 색소폰의 리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0916B1 (ko) | 2020-10-23 | 2021-12-17 | 정서우 | 카톤팩을 이용한 리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06605B1 (en) | 2019-06-12 |
US20180102114A1 (en) | 2018-04-12 |
JP3213451U (ja) | 2017-11-09 |
EP3306605A1 (en) | 2018-04-11 |
US10013959B2 (en) | 2018-07-03 |
CN207264769U (zh) | 2018-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2684B1 (ko)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리드 | |
US20110033066A1 (en) | Circular speaker | |
US8766072B2 (en) | Reed for a saxophone | |
KR20110104128A (ko) | 음향 라디에이터 | |
JPH0136635B2 (ko) | ||
JP6628356B2 (ja) | 電子ピアノの響板スピーカ | |
KR102100507B1 (ko) | 목관악기용 리가춰 | |
JP2005084257A (ja) | 弦楽器 | |
KR101006588B1 (ko) | 에코 밸리를 구비한 리드 구조물 | |
JPH10274977A (ja) | 楽器の弦の支持のための駒 | |
KR101999648B1 (ko) | 관악기용 마우스피스 | |
JP6690330B2 (ja) | マウスピース及びアタッチメント | |
KR200473389Y1 (ko) | 에코 밸리가 형성되도록 한 색소폰의 리드 | |
JP3175350U (ja) | 音響空洞付きスライド式クロマチックハーモニカ | |
JP3140147U (ja) | エコーチャンバーを有するマウスピース構造 | |
US20160071501A1 (en) | Assembly for generating sounds, the use thereof, and corresponding methods | |
JP2020013093A (ja) | 音響特性を改善した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のボディ構造 | |
US20170094413A1 (en) | Soundboard speaker of digital piano | |
US437906A (en) | Ernest pries | |
CN214675563U (zh) | 一种音头支架及音头组件 | |
RU2504023C2 (ru) | Акустическая гитара с внутренним и внешним корпусами | |
US567480A (en) | Sound-intensify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 |
JP2004518170A (ja) | 楽器並びに楽器を製造する方法 | |
US1653159A (en) | Badiorepbodtjcer | |
WO2019087768A1 (ja) | 楽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