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091B1 -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 Google Patents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3091B1 KR101713091B1 KR1020140068483A KR20140068483A KR101713091B1 KR 101713091 B1 KR101713091 B1 KR 101713091B1 KR 1020140068483 A KR1020140068483 A KR 1020140068483A KR 20140068483 A KR20140068483 A KR 20140068483A KR 101713091 B1 KR101713091 B1 KR 101713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pipe
- concrete
- plate
- circumferential
- retaining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 시 설치되는 배수파이프의 일단부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제조 시에 옹벽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옹벽 후반 지반 사이에 배치되며, 배수파이프의 일측 개방부와 연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배수파이프의 외주 둘레를 따라서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둘레플레이트 및 상기 배수파이프의 일측 외관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관통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둘레플레이트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캡을 포함하며, 상기 둘레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부를 따라서 상기 둘레캡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단 절곡된 간섭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섭부와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충진되도록 하며, 상기 둘레플레이트와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둘레캡은 외부 둘레를 따라서 나선부가 더 구비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one end of a drain pipe installe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concrete retaining wall from being clogg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retaining wall between a formwork and a rear half of a retaining wall, And a circumferential cap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tial plate along the perimeter of the perforate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outer pipe of the drain pipe, And a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plate and the mold to allow the concrete to be filled between the interference portion and the mold, and the circumferential cap is provided with a spiral por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 pipe opening maintenance modul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처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트리트 주입 방식에 의한 옹벽 등이 구축 시 내부 배수로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배수파이프의 일단부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tructure of concrete structures such as a concrete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inage pip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preventing a closure of one end of a drainage pipe, .
일반적으로, 지하철 공사나 도로 신설 및 확장 공사를 시행함에 있어서, 교량 박스, 옹벽 등이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Generally, bridge boxes, retaining walls, etc. are often constructed when subway construction, road construction or expansion work is carried out.
그리고, 그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는 통상적으로 배수홀(weep hole)이 마련되며, 이를 위해 구조물 구축 시 미리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파이프가 설치된다.In such a concrete structure, a weep hole is usually provided. To this end,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water before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is installed.
이와 같은 배수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파이프(10) 내부에 종이, 나무 등(12)을 삽입하고, 배수파이프 (10)를 고정못(13)과 결속선(14)에 의해 거푸집(15) 및 철근에 각각 고정 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when paper, wood, or the like 12 is inserted into the
그런데,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15)의 유동 등으로 인하여 상기 거푸집(15)과 배수파이프(10)의 양단부 간의 밀착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 배수파이프(10) 내부로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게 되며, 그에 따라 배수파이프(10) 내부가 콘크리트로 채워짐으로써 최종 구조물이 완성 시 배수파이프가 보이지 않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서 배수홀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When concrete is loosened between the
그리고, 그와 같이 배수파이프(10) 내부에 채워진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타설 후 드릴이나 정, 기타 장비로 파쇄하여 제거하지만 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Also, as such, the concrete filled in the
심지어, 종래의 방식에 의한 배수파이프의 설치방식은 시공 후 배수파이프 내부에 토사 등이 유입되어 배수홀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Even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stalling the drain pipe, the gravel or the like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ain pipe after the construction to prevent the drain hole from functioning properly.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도 제시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technique as shown in FIG. 2 has also been proposed.
상기 종래 기술은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거푸집(15)에 미리 배수파이프(10)의 일단 개구부와 둘레부를 감싸는 형태로 폐쇄플레이트(31)와 둘레덮개부(32)가 구비된 폐쇄모듈(30)이 못(13) 등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15)의 분리 시 폐쇄모듈(30)이 함께 제거됨으로써 배수파이프(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둘레덮개부(32) 외부를 덮어 감싸며 굳혀진 콘크리트로 인하여 폐쇄모듈(30)이 거푸집(15)의 분리 시 쉽게 제거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작업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배수파이프를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 등을 구축 시 배수파이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keep the drain pipe open when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installing concrete after installing the drain pipe.
둘째, 본 발명은 거푸집의 제거 시 콘크리트 옹벽 등에 내설된 상태에서 배수파이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도록 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that maintains an open state of a drain pipe in a state where it is inserted into a concrete retaining wall or the like when the form is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convenience in oper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제조 시에 옹벽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옹벽 후반 지반 사이에 배치되며, 배수파이프의 일측 개방부와 연통되는 관통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배수파이프의 외주 둘레를 따라서 거푸집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둘레플레이트 및 상기 배수파이프의 일측 외관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관통부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둘레플레이트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캡을 포함하며, 상기 둘레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부를 따라서 상기 둘레캡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단 절곡된 간섭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섭부와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충진되도록 하며, 상기 둘레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어 둘레플레이트 내측으로 콘크리트의 침투를 방지하며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둘레캡은 외부 둘레를 따라서 나선부가 더 구비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a mol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is disposed between the mold and the rear half of the retaining wall, and has a penetr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one opening portion of the drain pipe, And a circumferential plat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tial plate along the perimeter of the perforate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outer pipe of the drain pipe, The interfering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eripheral cap is formed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between the interfering portion and the formwork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perimeter plate and the formwork to prevent penetration of concrete into the perimeter plate, A sealing member And further provided, the peripheral cap is thus provided a further helical portion drain pipe opening holding module that has an outer circumference.
여기서, 상기 둘레캡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ircumferential cap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둘레플레이트 및 둘레캡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eripheral plate and the peripheral cap may be integrally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시 배수파이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ld and a drain pipe are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e drain pipe is kept open when the concrete is laid.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에 의하면, 차단플레이트부가 배수파이프에 둘러 쌓여져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에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추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utoff plate is enclosed in the drain pipe and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additional maintenan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다른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차단플레이트부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패쇄플레이트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를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에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를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 후 데코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에 데코플레이트를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가 설치된 옹벽 외부에 데코플레이트가 설치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다른 형태의 데코플레이트가 설치 적용된 옹벽 외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8의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를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에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에 데코플레이트를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old and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mold and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shielding plate portion in FIG. 3;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nement plate portion in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elding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installed in a formwork and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ield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fter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after the decorating plate is installed;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coupling plate is installed in a shielding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on plat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retaining wall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outside of a retaining wall to which another type of deco plate is installed;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module of FIG. 8;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ielding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installed in a formwork and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decoupling plate is installed in a shielding plat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First, a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100)의 주요 구성요소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차단플레이트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3에서 패쇄플레이트부의 측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of the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100)은 차단플레이트부(110)와 데코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여기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부(110)는 배수파이프 외부로 충진되는 콘크리트가 배수파이프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둘레플레이트(120)와 둘레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cking
상기 둘레플레이트(120)는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제조 시에 옹벽 형성을 위한 거푸집(15: 도 6 참조)과 옹벽 후반 지반 사이에 배치되며, 배수파이프(10: 도 6 참조)의 일측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부(14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외주 둘레로 거푸집(15)에 대면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둘레플레이트(120)가 중앙 관통부가 구비된 원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둘레플레이트(120)는 사각판상 또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FIGS. 3 and 4, the
그리고, 상기 둘레캡(130)은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일측 외관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관통부(14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둘레플레이트(120)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둘레캡(130)은 배수파이프의 외관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둘레캡(130)은 배수파이프(10)가 상기 둘레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 시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설치 각도에 따라서 소정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조의 편의상 휘어짐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데코플레이트(150)는 배수파이프(1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둘레플레이트(120)의 전면에 대면된 상태로 소정의 접착제 또는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상기 데코플레이트(150)는 상기 둘레플레이트(120)에 대면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부(140)에 대응되는 보조관통부(160)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데코플레이트(150)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철질재질 외에도 시각적으로 좋은 합성수지재질이나 토사 등으로 된 재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구축되는 옹벽의 외부와 조화를 이루는 재질 및 색상이 적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100)의 설치방법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the drain pipe open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옹벽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 시 설치되는 배수파이프에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ain pipe opening and keep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structure such as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등의 형성을 위하여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거푸집(15)이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a
이때, 미리 상기 거푸집(15)과 지반 사이로는 배수파이프(10)가 설치 적용되는데,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11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a
즉, 상기 둘레캡(130) 내측으로 배수파이프(10)가 삽입된 형태를 이루도록 차단플레이트부(110)를 설치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후반이 지반으로 구성되는 경우 지반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로 상기 배수파이프를 통하여 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수파이프(10)가 지반으로부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둘레캡(130) 또한 둘레플레이트(12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휘어진 채로 설치 적용될 것이다.That is, the blocking
그리고, 상기 거푸집(15)에 상기 둘레플레이트(110)의 둘레부를 테이프나 도시된 것처럼, 못(13) 등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가고정시킨다.Then, the periphery of the
다음으로, 콘크리트 등을 주입하여 옹벽 등 구조물의 구축이 완료된 후에는 거푸집(15)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단플레이트부(110)는 굳혀진 콘크리트에 둘러쌓여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배수파이프(10)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Next, concrete or the like is injected and the
다음으로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관통부와 대응되어 보조관통부가 위치되도록 하면서 데코플레이트(150)를 둘레플레이트(120) 노출된 일측으로 결합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상기 데코플레이트(150)와 둘레플레이트(120)의 결합은 소정의 접착부재 또는 별도의 억지끼움 구성을 양 부재에 적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합이 완료된 모습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한편, 심미감을 위하여 상기 데코플레이트(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시 배수파이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ormwork and drain pipe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to keep the drain pipe open when the concrete is installed do.
또한, 차단플레이트부가 배수파이프에 둘러 쌓여져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에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물의 하자 발생 요인을 제거하여 추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barrier plate is enclosed in the drain pipe to b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cause of defects in the structure can be removed,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100)의 주요 구성요소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도 8의 종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of the drain pipe opening a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200)도 또한 둘레플레이트(220)와 배수파이프(10) 외부를 둘러 감싸는 둘레캡(230)을 포함하는 차단플레이트부(210)가 구비된다.
The drain pipe open an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assembly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ain pipe open and hold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100) 또한 차단플레이트부(210)와 데코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rain pipe open and
여기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부(110)는 배수파이프 외부로 충진되는 콘크리트가 배수파이프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둘레플레이트(220)와 둘레캡(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locking
그리고, 상기 둘레캡(230)은 상기 배수파이프(10)의 일측 외관을 둘러 감싸도록 상기 관통부(240)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둘레플레이트(220)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둘레캡(230)은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
한편, 상기 둘레플레이트(220)의 외부 둘레부를 따라서는 상기 둘레캡(230)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단 절곡된 간섭부(225)가 구비된다.Meanwhile, an
이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간섭부(225)와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충진되도어 굳혀진 콘크리트에 간섭부(225)가 간섭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interfacing
한편, 상기 데코플레이트(250)는 배수파이프(1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둘레플레이트(220)의 전면에 대면된 상태로 소정의 접착제 또는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상기 데코플레이트(250)는 상기 둘레플레이트(120)에 대면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부(240)에 대응되는 보조관통부(260)가 구비된다.For this,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200)의 설치방법을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installing the drain pipe opening /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을 콘크리트 옹벽 시공 시 설치되는 거푸집 및 배수파이프에 설치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drain pipe open / hold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nd installed in a formwork and a drain pipe installed when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둘레플레이트(220)를 못(13) 등 체결부재에 의하여 거푸집(15)에 가고정시킨 후, 배수파이프(10)의 일단을 폐쇄시키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200)을 설치한다. 13, the
그리고,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소정이 시간이 지난 옹벽이 구축되면, 상기 간섭부(225)와 거푸집(15) 사이에 굳혀진 콘크리트 구간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서, 거푸집(15)을 제거 시 차단플레이트부(210)는 간섭부(225) 주위 콘크리트 부위에 간섭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거푸집(15)만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When a retaining wa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is filled with the concrete, a concrete section hardened between the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옹벽 외측으로 보조관통부(240)가 구비된 데코플레이트(250)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배수구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As shown in FIG. 14, by installing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예를 들어, 상기 둘레캡(130, 230)은 나선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주입된 후 굳혀진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 내측에 보다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제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concrete is injected after the concrete is injected, the
나아가, 상기 둘레플레이트(120, 230)와 거푸집 사이로 별도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씰링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배수파이프 일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a sealing member made of a separate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100, 200: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 110, 210: 차단플레이트부
120, 220: 둘레플레이트 225: 간섭부
130, 230: 둘레캡 150, 250: 데코플레이트100, 200: drain pipe
120, 220: Peripheral plate 225:
130, 230:
Claims (7)
상기 둘레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부를 따라서 상기 둘레캡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단 절곡된 간섭부가 구비되어 상기 간섭부와 거푸집 사이로 콘크리트가 충진되도록 하며,
상기 둘레플레이트와 상기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어 둘레플레이트 내측으로 콘크리트의 침투를 방지함과 동시에 거푸집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씰링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둘레캡은 외부 둘레를 따라서 나선부가 더 구비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A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and a drainage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the drainage pipe having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pip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ircumferential cap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plate along the perimeter of the perforate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outer pipe of the drain pipe,
And an interference part bent in two directio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eripheral cap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plate is provided so that concrete is filled between the interference part and the formwork,
A seal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perimeter plate and the mold to prevent penetration of the concrete into the perimeter plate and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mold,
Wherein the circumferential cap further comprises a spiral por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Drain pipe open maintenance module.
상기 둘레캡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pheral cap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둘레플레이트 및 둘레캡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pheral plate and the peripheral cap are integrally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8483A KR101713091B1 (en) | 2014-06-05 | 2014-06-05 |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8483A KR101713091B1 (en) | 2014-06-05 | 2014-06-05 |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0124A KR20150140124A (en) | 2015-12-15 |
KR101713091B1 true KR101713091B1 (en) | 2017-03-07 |
Family
ID=5502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8483A Active KR101713091B1 (en) | 2014-06-05 | 2014-06-05 |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309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60726B2 (en) * | 2019-09-20 | 2023-01-24 | Tommaso Conti | Method and device for pre-casting conduit holes in building foundations |
KR102542233B1 (en) * | 2021-12-06 | 2023-06-13 | 이병노 | Ecology retaining wall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4995A (en) * | 2011-03-31 | 2012-11-08 | Cci Corp | Penetration structure forming tool and method of forming penetr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20009B2 (en) * | 1991-10-08 | 1999-07-19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Makeup lid for retaining wall drain |
KR100476843B1 (en) * | 2003-01-07 | 2005-03-17 | (주)신성엔지니어링 | Draining apparatus of concrete structures |
KR101031038B1 (en) * | 2008-11-11 | 2011-04-25 |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 sleeve |
-
2014
- 2014-06-05 KR KR1020140068483A patent/KR1017130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4995A (en) * | 2011-03-31 | 2012-11-08 | Cci Corp | Penetration structure forming tool and method of forming penetr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0124A (en) | 2015-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3218B1 (en) | translate online | |
CN206205164U (en) | A kind of device and the external wall structure of screw hole closure for the closure of outer wall screw hole | |
KR101713091B1 (en) | Module for opening of drain pipe | |
KR102022064B1 (en) | Distribution Panel for Easy Wall Distance Adjustment | |
KR200469370Y1 (en) | The pipe sleeve | |
KR20190020234A (en) | Construction Method of Distribution Panel for Easy Wall Distance Adjustment | |
KR101217932B1 (en) | Locking apparatus of manhole | |
JP3738197B2 (en) | Sleeve formwor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pening for equipment piping using the same | |
KR101475633B1 (en) | Base Block For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and Base Construction Method using Block Based | |
JP3140216U (en) | Crack-induced waterproof structure | |
ITMI20121994A1 (en) | PLATE FOR DISCHARGE CASSETTE OF HYGIENIC SERVICES. | |
JP5705038B2 (en) | Reconfirmation method of rebar insertion depth in rebar joints | |
EP3370316B1 (en) | Installation box with magnetic holder | |
KR100476843B1 (en) | Draining apparatus of concrete structures | |
KR200300844Y1 (en) | Sleeve cover Institution for drain pipe | |
KR200152734Y1 (en) | Fire door with assembled core | |
KR200369209Y1 (en) | Improvement structure of drain-pipe fixation sleeve | |
US10661475B2 (en) | Panel insert for concrete foundation walls | |
KR102064969B1 (en) | Water Proof Seal Structure between PC House and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3107930U (en) | Structure of underground burial box | |
KR200264152Y1 (en) | Draining apparatus of concrete structures | |
KR200265425Y1 (en) | Device coupling of cover frame for manhole | |
KR200358288Y1 (en) | Terminal box | |
JP3377497B2 (en) | Tunnel box removal construction method and box removal box | |
KR200254797Y1 (en) | a break net to lea of concre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