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762B1 -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8762B1 KR101718762B1 KR1020160148954A KR20160148954A KR101718762B1 KR 101718762 B1 KR101718762 B1 KR 101718762B1 KR 1020160148954 A KR1020160148954 A KR 1020160148954A KR 20160148954 A KR20160148954 A KR 20160148954A KR 101718762 B1 KR101718762 B1 KR 101718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cracks
- ble
- facility
- dist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H04W4/00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오프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격거리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거리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거리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0 : BLE 브리지 40 : 안전관리서버
100 :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8)
- 하나 이상의 관리대상 시설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BLE센서(10)와;
상기 BLE센서(1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여 상기 BLE센서(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대상 시설물의 이상 유무 또는 현재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BLE센서(10)는 해당 관리대상 시설물의 개폐유무, 동작 유무 또는 이용자 출입유무를 포함하여 온/오프 데이터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11)와, 시설물 내 크랙 또는 균열의 이격거리, 시설물 간 이격거리 또는 시설물과 이용자 간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격거리센서(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거리센서(12)는 시설물 간 시설물의 균열 또는 크랙에 대한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균열센서(12a)로서, 상기 균열센서(12a)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12aa)와, 상기 슬라이더체(12aa)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12ab)와, 상기 각 PIO포트(12ab)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12ac)와, 상기 스프링부재(12ac)의 일단에 스프링부재(12ac)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12a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하나 이상의 관리대상 시설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BLE센서(10)와;
BLE 브리지(30)를 통해 상기 BLE센서(1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대상 시설물의 이상 유무 또는 현재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기설정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외부로 현재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안전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BLE센서(10)는 해당 관리대상 시설물의 개폐유무, 동작 유무 또는 이용자 출입유무를 포함하여 온/오프 데이터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11)와, 시설물 내 크랙 또는 균열의 이격거리, 시설물 간 이격거리 또는 시설물과 이용자 간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격거리센서(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거리센서(12)는 시설물 간 시설물의 균열 또는 크랙에 대한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균열센서(12a)로서, 상기 균열센서(12a)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12aa)와, 상기 슬라이더체(12aa)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12ab)와, 상기 각 PIO포트(12ab)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12ac)와, 상기 스프링부재(12ac)의 일단에 스프링부재(12ac)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12a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하나 이상의 관리대상 시설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BLE센서(10)와;
상기 BLE센서(1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여 상기 BLE센서(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대상 시설물의 이상 유무 또는 현재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20)와;
BLE 브리지(30)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BLE센서(1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대상 시설물의 이상 유무 또는 현재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기설정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수단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거나 외부로 현재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안전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BLE센서(10)는 해당 관리대상 시설물의 개폐유무, 동작 유무 또는 이용자 출입유무를 포함하여 온/오프 데이터를 판단하는 온오프센서(11)와, 시설물 내 크랙 또는 균열의 이격거리, 시설물 간 이격거리 또는 시설물과 이용자 간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이격거리센서(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격거리센서(12)는 시설물 간 시설물의 균열 또는 크랙에 대한 이격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균열센서(12a)로서, 상기 균열센서(12a)는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일측 지점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체(12aa)와, 상기 슬라이더체(12aa)에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되는 PIO포트(12ab)와, 상기 각 PIO포트(12ab)의 일측 단부에 체결되는 스프링부재(12ac)와, 상기 스프링부재(12ac)의 일단에 스프링부재(12ac)의 이동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되는 타측 지점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전원단자부(12a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센서(11)는 시설물에 설치된 대형 볼트 체결의 풀림을 감지할 수 있는 핀타입센서(11a)와, 시설물의 출입제한 지역 및 통제구역에 대한 출입을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타입센서(11b)와, 시설물에 설치된 대형 볼트 체결의 풀림을 감지하거나 시설의 위험물 및 폭발물에 대한 보안 봉인라벨로 부착되어 이의 탈착 또는 훼손을 감지하는 스티커타입센서(1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954A KR101718762B1 (ko) | 2016-11-09 | 2016-11-09 |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954A KR101718762B1 (ko) | 2016-11-09 | 2016-11-09 |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8762B1 true KR101718762B1 (ko) | 2017-03-23 |
Family
ID=5849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954A Active KR101718762B1 (ko) | 2016-11-09 | 2016-11-09 |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876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5144B1 (ko) * | 2018-06-04 | 2018-10-08 | 고창신 |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
KR20210065664A (ko) * | 2019-11-27 | 2021-06-04 | 주식회사 코아칩스 | 스마트 볼트 관리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243A (ko) | 2003-05-27 | 2004-12-04 | 허광희 | 스마트 무선계측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00048823A (ko) * | 2008-10-31 | 2010-05-11 | 이시우 | 터미널형 유/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
KR20100085707A (ko) * | 2009-01-21 | 2010-07-29 | 주식회사 이제이텍 | 너트 풀림 감지장치 |
KR20160032387A (ko) * | 2014-09-15 | 2016-03-2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21706A (ko) * | 2015-04-10 | 2016-10-20 | (주)다울 |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2016
- 2016-11-09 KR KR1020160148954A patent/KR1017187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243A (ko) | 2003-05-27 | 2004-12-04 | 허광희 | 스마트 무선계측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00048823A (ko) * | 2008-10-31 | 2010-05-11 | 이시우 | 터미널형 유/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
KR20100085707A (ko) * | 2009-01-21 | 2010-07-29 | 주식회사 이제이텍 | 너트 풀림 감지장치 |
KR20160032387A (ko) * | 2014-09-15 | 2016-03-2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160121706A (ko) * | 2015-04-10 | 2016-10-20 | (주)다울 |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5144B1 (ko) * | 2018-06-04 | 2018-10-08 | 고창신 |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
EP3579162A1 (en) * | 2018-06-04 | 2019-12-11 | Chang Sin Ko | Market-linked delivery system |
WO2019235702A1 (ko) * | 2018-06-04 | 2019-12-12 | Ko Chang Sin |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
KR20210065664A (ko) * | 2019-11-27 | 2021-06-04 | 주식회사 코아칩스 | 스마트 볼트 관리 시스템 |
KR102350293B1 (ko) * | 2019-11-27 | 2022-01-12 | 주식회사 코아칩스 | 스마트 볼트 관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3027717C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warning of seismic events | |
RU247222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м лиц | |
KR101575983B1 (ko) |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
US7868760B2 (en) | Method for accounting for people in emergencies in industrial settings | |
KR102468888B1 (ko) | IoT 기반 건물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1063174B (zh) | 一种基于分布式光纤传感的管道线路安全预警系统 | |
US7450006B1 (en) | Distributed perimeter security threat confirmation | |
KR102097039B1 (ko) | 공간정보 기반의 지능형 구조물 안전 모니터링 플랫폼 | |
US10877060B2 (en) | Omni-directional anemometer | |
KR101967585B1 (ko) | 결빙 감지용 표면멀티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결빙 감지 방법 | |
KR101385714B1 (ko) | 위치 및 환경 통합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US20140091931A1 (en) | Container Monitoring Device with Cable Lock and Remote Sensor Pods | |
KR101718762B1 (ko) | Ble기반 시설물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391895B1 (ko) | 기존 센서를 활용한 센서 통합 운영 IoT 플랫폼 시스템 | |
KR20190080258A (ko) | 비탈면의 복합위험 감지시스템 | |
KR101353387B1 (ko) | 변위센서를 이용한 통신 구조물 안전상태 감시 시스템 | |
KR100910347B1 (ko) | 환경 데이터 수집장치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 |
Zrelli et al. | Application of damage detection for bridge health monitoring | |
EP3513533B1 (en) | Rf antenna secto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
Vadhwani et al. | A novel approach for the ITS application to prevent acciden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IoT and VANET | |
KR100791913B1 (ko)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모듈용 테스터,노드모듈 테스트 방법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시스템의 원격감시장치 | |
KR20070088242A (ko) |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 |
CN107105411A (zh) | 一种基于智能开关面板的移动智能终端轨迹监测系统和方法 | |
KR20140108068A (ko) | 실시간 위치정보의 분석을 통한 지능형 항행안전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635806B1 (ko) | 대화 기능, 지능 기능 및 임무 기능의 다기능 계측모듈을 구비한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