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176B1 - Turret - Google Patents
Turr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6176B1 KR101716176B1 KR1020100054505A KR20100054505A KR101716176B1 KR 101716176 B1 KR101716176 B1 KR 101716176B1 KR 1020100054505 A KR1020100054505 A KR 1020100054505A KR 20100054505 A KR20100054505 A KR 20100054505A KR 101716176 B1 KR101716176 B1 KR 101716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uator
- coupled
- vehicle
- turret
- hinge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3/00—Gun mountings, e.g. on vehicles; Disposition of guns on vehicles
- F41A23/24—Turret gun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2—Control system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moving gun and the adjacent struc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06—Mechanical systems
- F41A27/18—Mechanical systems for gun turrets
- F41A27/20—Drives for turret mov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7/00—Gun mountings permitting traversing or elevating movement, e.g. gun carriages
- F41A27/26—Fluid-operated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탑은 차량에 장착되는 포탑으로서,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가 안착되는 포 안착부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1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2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urr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rret to be mounted on a vehicle. The turret includes a launching portion, a mount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launching portion is seated, and a turret which is engaged with the vehicle on one side, A second actuato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vehicle,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and which is independently expandable and retrac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And a third actuator coupled to the mount portion and being capable of being retractably drive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총기 또는 소방호스 등과 같은 발사부를 구비하는 포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장착되는 포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ret having a firearm such as a firearm or a fire h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rret mounted on a vehicle.
장갑차 또는 탱크와 같은 군용 차량에는 총포와 같은 발사부를 구비하는 포탑이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A military vehicle such as an armored car or tank is often equipped with a turret having a firing section such as a gun.
이러한 포탑의 발사부는 투사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차량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포탑에 설치된 발사부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enerally, the launching portion of the turre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vehicle so as to change the projection direction, and the launching portion provided on the turre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포탑은 발사부가 소정 각도로 회전만이 가능하므로 사각지대(死角地帶)가 많이 형성된다. 특히, 차량에 가까운 부분에 사각지대가 많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turret can onl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dead zone is much formed.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number of blind spots are formed near the vehicle.
또한 포탑은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차량에 장착될 경우 차량의 거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포탑이 경량의 차량에 장착될 경우, 포탑의 무게로 인해서 차량 주행의 안정성을 해치기 쉽다. 일례로 포탑이 장착된 경량의 차량이 급선회할 경우, 차량의 상부에 장착된 포탑의 원심력에 의해서 차량이 쉽게 전복될 수 있다. Also, since the turret weighs heavily, it affects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hen mounted on the vehicle. Especially, when the turret is mounted on a lightweight vehicle, it is easy to damage the stability of the running of the vehicle due to the weight of the turret. For example, when a lightweight vehicle equipped with a turret is sprung, the vehicle can easily be overturned by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turret mounted on the top of the vehicle.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탑은, 발사부의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차량의 안정적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rret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a blind spot of a launching part and enabling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even when mounted on a vehic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탑은 차량에 장착되는 포탑으로서,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가 안착되는 포 안착부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1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2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urr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rret mounted on a vehicle, comprising: a launching part; a catching part on which the catching part is seated; A second actuator capable of being retractably driv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actuato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vehicle,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and which is independently expandable and retrac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And a third actuator coupled to the vehicle,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and capable of independently expanding and contracting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본 발명에 따른 포탑에 의하면, 발사부의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탑재된 상태에서도 차량이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turr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blind spot of the launching portion. In addition, the vehicle can be stably driven even when the vehicle is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탑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탑의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탑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탑이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이 급정거시에 도 1에 도시된 포탑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차량이 선회시에 도 1에 도시된 포탑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탑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urr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part of the turret of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art of the turret of Fig. 1 separated.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turret shown in FIG. 1 is mounted and used.
Fig. 5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urret shown in Fig. 1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stopped.
6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urret shown in Fig. 1 when the vehicle turns.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urr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탑에 대해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turr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탑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포탑의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탑의 다른 일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탑이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차량이 급정거시에 도 1에 도시된 포탑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차량이 선회시에 도 1에 도시된 포탑의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urr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part of the turret of FIG.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art of the turret of Fig. 1 separated.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turret shown in FIG. 1 is mounted and used in a vehicle, and FIG. 5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urret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urret shown in Fig. 1 when the vehicle is turn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은 발사부(100), 포 안착부(200), 제1액추에이터(300), 제2액추에이터(400), 제3액추에이터(500), 제4액추에이터(600), 제1카메라(700), 제2카메라(800) 및 프레임(900)을 구비한다. 1 to 6, a
발사부(100)는 탄환 등을 발사하기 위한 총포이다. The launching
포 안착부(200)는 발사부(100)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부분으로써, 베이스부(220)과 회전부(21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220)에는 제5액추에이터(910)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액추에이터(910)는 회전축(912)을 구비하며, 회전축(912)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미도시) 및 감속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회전부(210)는 제5액추에이터(910)의 회전축(912)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부(210)는 제5액추에이터(910)가 작동함에 따라 회전축(912)의 회전중심축선(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한편, 발사부(100)는 회전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회전중심축선(A2)은 회전부(210)의 회전중심축선(A1)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사부(100)의 회전축은 제6액추에이터(920)에 결합되어 있어서, 제6액추에이터(920)가 작동함에 따라서 발사부(100)는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제6액추에이터(920)도 제5액추에이터(910)와 마찬가지로 모터(미도시) 및 감속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aunching
이와 같이 발사부(100)의 회전중심축선(A2)이 회전부(210)의 회전중심축선(A1)과 교차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발사부(100)의 투사방향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Since the rotation center axis A2 of the
제1액추에이터(300)는 그 길이 방향(D1)으로 신축 구동이 가능하며, 일측(302)이 차량(V)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304)이 포 안착부(200)의 베이스부(220)에 결합된다. 제1액추에이터(300)의 일측(302)은 차량(V)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V)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900)에 결합됨으로써 차량(V)에 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제1액추에이터(300)는 그 길이 방향(D1)으로 신축 구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10)와 피스톤(320)을 구비한다. 실린더(310)는 내부에 길이 방향(D1)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그 중공의 내부에 피스톤(320)의 일측이 삽입된다. 피스톤(320)은 실린더(310)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액추에이터(300)의 신축 구동을 위해서 피스톤(320)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3를 참조하면, 제1액추에이터(300)의 일측(302)은 제1조인트(350)에 의해서 프레임(9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조인트(350)는 제1액추에이터(300)와 프레임(900)이 이루는 각도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조인트(350)는 제1힌지요소(316)과 제2힌지요소(312)를 구비한다. 제1힌지요소(316)은 프레임(9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힌지요소(316)와 제2힌지요소(312) 사이에 샤프트(314)가 끼워짐으로써, 제2힌지요소(312)는 제1힌지요소(3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샤프트(314)는 제1힌지요소(316)의 회전중심축선(A3)과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제2힌지요소(312)는 제1힌지요소(316)의 회전중심축선(A3)과 엇갈리게 배치된 회전중심축선(A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one
제1액추에이터(300)의 타측(304)은 베이스부(220)에 결합되는데, 제1액추에이터(300)의 타측(304)은 제2조인트(370)에 의해서 베이스부(220)에 결합된다. The
제2조인트(370)는 제3힌지요소(326)과 제4힌지요소(322)를 구비한다. 제3힌지요소(326)은 베이스부(22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힌지요소(326)와 제4힌지요소(322) 사이에 샤프트(324)가 끼워짐으로써 제4힌지요소(322)가 제3힌지요소(3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샤프트(324)는 제3힌지요소(326)의 회전중심축선(A5)과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제4힌지요소(322)는 제3힌지요소(326)의 회전중심축선(A5)과 엇갈리게 배치된 회전중심축선(A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제1액추에이터(300)의 일측(302)은 제1조인트(350)로 프레임(900) 결합되고, 타측(304)은 제2조인트(370)로 포 안착부(200)에 결합되므로, 제1액추에이터(300)와 프레임(900) 사이 및 제1액추에이터(300)와 포 안착부(200) 사이의 각도는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액추에이터(300)가 신축 구동함에 따라서 프레임(900)과 포 안착부(200) 사이의 거리는 원활하게 변화될 수 있다. Since one
제2액추에이터(400)도 제1액추에이터(300)와 마찬가지로 일측(402)이 프레임(900)을 결합됨으로써 차량(V)에 결합되고, 타측(404)이 포 안착부(200)에 결합된다. 제2액추에이터(400)는 제1액추에이터(300)와는 독립적으로 신축 구동이 가능하다. 제2액추에이터(400)는 제1액추에이터(3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제1액추에이터(300)와 마찬가지로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에 의해서 프레임(900) 및 포 안착부(200)에 결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제3액추에이터(500)도 제1액추에이터(300)와 마찬가지로 일측(502)이 프레임(900)에 결합됨으로써 차량(V)에 결합되고, 타측(504)이 포 안착부(200)에 결합된다. 제3액추에이터(500)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300,400)와는 독립적으로 신축 구동이 가능하다. 제3액추에이터(500)도 제1액추에이터(3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에 의해서 프레임(900) 및 포 안착부(200)에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제4액추에이터(600)도 제1액추에이터(300)와 마찬가지로 일측이 프레임(900)에 결합됨으로써 차량(V)에 결합되고, 타측이 포 안착부(200)에 결합된다. 제4액추에이터(600)는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300,400,500)과는 독립적으로 신축 구동이 가능하다. 제4액추에이터(600)도 제1액추에이터(3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제1조인트 및 제2조인트에 의해서 프레임(900) 및 포 안착부(200)에 결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milarly to the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은 독립적으로 신축이 가능하므로,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의 신축 정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포 안착부(200)는 프레임(900)에 대해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 안착부(200)와 이에 결합된 발사부(10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은 그 무게 중심(G2)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발사부(100)는 포 안착부(2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발사부(100)는 차량(V)에 대해서 위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사부(100)의 가동범위가 더욱 확대될 수 있어서 사각지대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to
제1카메라(700)는 발사부(100)에 고정배치되며, 발사부(100)의 투사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카메라(700)는 발사부(100)의 전방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V)의 실내에 탑승한 사용자는 발사부(100)의 투사방향의 상황을 제1카메라(700)의 영상신호로부터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포탑(1)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The
제2카메라(800)는 베이스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포탑(1)의 주변의 영상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의 사용자는 차량(V)의 실내에서도 차량(V)의 주변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e
프레임(9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V)에 고정 결합되며, 제1 내지 제4 액추에이터(300,400,500,600)의 일측(302,402,502,602)이 결합된다. The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의 작동방법 및 효과를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method and an effect of the turr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포탑(1)은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을 적절히 신축 구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상의 좌측에 위치한 제2액추에이터(400) 및 제4액추에이터(600)를 단축시키고 우측에 위치한 제1액추에이터(300)와 제3액추에이터(500)를 신장시키는 형태로 제어하면, 포 안착부(200) 및 발사부(100)가 차량(V)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특히 장애물(O)에 차량(V)에 인접한 경우에 장애물(O)의 뒷편으로 사각지대가 생기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에 의하면 발사부(100)의 위치를 장애물(O)에 가깝게 이동시킴으로써 사각지대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은 포 안착부(20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그 중량(W2)의 중심점인 무게 중심(G2)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V)의 주행시에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면 종래의 포탑이 장착된 차량(V)은 급정거 시에 관성에 의해서 차량(V)의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가 많은데,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이 장착된 차량(V)의 경우,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를 적절히 제어하여 포탑(1)의 무게 중심(G2)을 차량(V)의 무게 중심(G1)보다 뒤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차량(V)의 후방이 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차량(V)이 커브를 선회할 때, 차량(V)는 원심력을 받아서 커브의 외측으로 쏠리게 되는데, 종래의 포탑의 경우는 포탑이 받는 원심력에 의해서 차량(V)을 더욱 커브의 외측으로 쏠리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쏠림이 심할 경우 차량(V)이 전복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이 장착된 차량(V)의 경우, 제1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를 적절히 작동시켜 포탑(1)의 무게 중심(G2)을 차량(V)의 무게 중심(G1)보다 커브의 내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차량(V)이 커브의 외측으로 쏠리는 것 및 차량의 전복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V turns the curve, the vehicle V receives the centrifugal force and deviates to the outside of the cur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urret,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turret causes the vehicle V to move further toward the outside of the curve There was a problem to attract. If such deviations are severe, the vehicle (V) may overturn. However, in the case of the vehicle V equipped with the turr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에 의하면, 포탑(1)의 무게 중심(G1)을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차량(V)의 안정적인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비교적 그 중량(W1)이 작은 차량의 경우, 장착된 포탑의 무게로 인해서 운행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은 군용 차량에 비해서 무게가 가벼운 일반 차량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포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turr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탑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urr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도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포탑(1)과 마찬가지로 발사부(102), 포 안착부(200), 제1액추에이터(300), 제2액추에이터(400), 제3액추에이터(500), 제4액추에이터(600) 및 프레임(90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의 포 안착부(200), 제1액추에이터(300), 제2액추에이터(400), 제3액추에이터(500), 제4액추에이터(미도시) 및 프레임(900)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포탑(1)의 그것과 동일하다. The turre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similar to the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의 발사부(102)는 총포가 아닌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의 발사부(102)는 호스(104)로부터 물 등의 액체를 공급받아 이를 살포하는 역할을 한다. However,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은 소방차(V)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시위 진압용 물대포 차량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포탑(2)이 시위 진압용 물대포 차량에 장착될 경우, 차량(V)의 주변에 사각지대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므로 차량(V)에 인접한 시위자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The turre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on a fire truck V. [ It may also be mounted on a water cannon for suppressing demonstration. Particularly, when the turre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water cannon for suppressing protest, the blind spot around the vehicle V can be effectively reduced, so that the demonstrator adjacent to the vehicle V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포탑(1,2)는 제4액추에이터(60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다른 포탑은 제4액추에이터(600)가 없이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300,400,500)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300,400,500) 만이 구비될 경우에도,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300,400,500)의 신축 정도를 적절히 함으로써, 포 안착부(200)와 발사부(100)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4액추에이터(600)는 한 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이와는 달리 제4액추에이터(6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4액추에이터(600)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는 제1 및 제2조인트(350,370)로 프레임(900) 및 포 안착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300,400,500,600)는 볼 조인트(ball joint)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로 프레임(900) 및 포 안착부(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to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5액추에이터(910) 및 제6액추에이터(920)은 모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5 및 제6액추에이터(910,920)은 피스톤 및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lthough the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2 ... 포탑 100 ... 발사부
200 ... 포 안착부 210 ... 베이스부
220 ... 회전부 300 ... 제1액추에이터
400 ... 제2액추에이터 500,600 ... 제3액추에이터
700 ... 제1카메라 800 ... 제2카메라
900 ... 프레임 V ... 차량1,2 ...
200 ... attaching
220 ...
400 ...
700 ...
900 ... frame V ... vehicle
Claims (11)
발사부와,
상기 발사부가 안착되는 포 안착부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1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2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3액추에이터와,
일측이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포 안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 상기 제2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는 독립적으로 신축구동이 가능한 제4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포탑. In a turret mounted on a vehicle,
A launching part,
A foam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firing portion is seated,
A first actuator which is coupled to the vehicle on one side and is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art on the other side,
A second actuator coupled to the vehicle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at the other end, the second actuator being independently extendable and retrac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A third actuator coupled to the vehicle on one side and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the third actuator being independently actuatable from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nd a fourth actuator capable of being retractably driven independently of the first actuator, the second actuator, and the third actuator, the turre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상기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의 상기 일측을 상기 차량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와,
상기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의 상기 타측을 상기 포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조인트를 구비하는 포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joint for rotatably coupling the one side of the first to fourth actuators to the vehicle,
And a second joint rotatably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o fourth actuators to the mount receiving portion.
상기 제1조인트는,
상기 차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요소와,
상기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요소의 회전중심축선과 엇갈리게 배치된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힌지요소에 결합되는 제2힌지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제2조인트는,
상기 포 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힌지요소와,
상기 제1 내지 제4액추에이터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3힌지요소의 회전중심축선과 엇갈리게 배치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3힌지요소에 결합되는 제4힌지요소를 구비하는 포탑.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joint comprises:
A first hinge element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And a second hinge element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actuators and coupled to the first hinge element such that the first hinge elemen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center axis offset from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first hinge element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comprises:
A third hinge element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 portion,
And a fourth hinge elemen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actuators and coupled to the third hinge element such that the third hinge elemen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center axis offset from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third hinge element Turre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4505A KR101716176B1 (en) | 2010-06-09 | 2010-06-09 | Turr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4505A KR101716176B1 (en) | 2010-06-09 | 2010-06-09 | Turr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753A KR20110134753A (en) | 2011-12-15 |
KR101716176B1 true KR101716176B1 (en) | 2017-03-14 |
Family
ID=455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4505A Active KR101716176B1 (en) | 2010-06-09 | 2010-06-09 | Turr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61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3108244A1 (en) * | 2023-03-30 | 2024-10-02 |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 ROLL OVER PROTECTION SYSTEM AND PROTECTED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23785B (en) * | 2021-03-12 | 2022-09-16 | 洛阳优付电子科技有限公司 | Multi-degree-of-freedom moving base for loading artillery |
US12292249B2 (en) * | 2023-07-18 | 2025-05-06 | Accu-Tac LLC | Adjustable bip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4954A1 (en) * | 2005-01-31 | 2008-02-14 | David Ehrlich Grober | Stabilizing mount for hands-on and remote operation of cameras, sensors, computer intelligent devices and weapons |
-
2010
- 2010-06-09 KR KR1020100054505A patent/KR1017161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34954A1 (en) * | 2005-01-31 | 2008-02-14 | David Ehrlich Grober | Stabilizing mount for hands-on and remote operation of cameras, sensors, computer intelligent devices and weapon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3108244A1 (en) * | 2023-03-30 | 2024-10-02 |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 ROLL OVER PROTECTION SYSTEM AND PROTECTED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753A (en) | 2011-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6176B1 (en) | Turret | |
US7963351B2 (en) | Robotic vehicle apparatus and method | |
US5576508A (en) | Extendable armor | |
RU2758534C2 (en) | Reclining device for mirror replacement system | |
KR101226261B1 (en) | Throw type copact reconnaissance having omnidirectional impact absorbing mechanism | |
CN102050167B (en) | Portable two-wheeled two-leg combined transformable robot | |
KR20190011709A (en) | Agricultural drone with pivoting links | |
US10932461B2 (en) | Agricultural sprayer boom assembly with multiple electronically dampened breakaway devices having increased permitted upward deflection | |
US9061415B2 (en) | Prismatic/revolute orienting apparatus | |
CN106102459A (en) | Spray boom vibration absorber and spray rod type sprayer | |
KR102245515B1 (en) | Scooter | |
US20130145925A1 (en) | Vehicle Comprising a Turrent Mount, An Auxiliary Mount, and a Viewing Device Arranged on the Auxiliary Mount | |
JP6475886B1 (en) | Widening mechanism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 |
US9587411B2 (en) | Telescopic mast | |
KR20120116672A (en) | Reconnaissance robot inspired by pill bugs | |
KR20140111162A (en) | Multi joint robot to drive rough terrain | |
JP6715139B2 (en) | Multiple rocket launcher | |
CN211364195U (en) | Self-balancing moving platform | |
US9937968B2 (en) | Stackable vehicle | |
WO2016020558A1 (en) | Base plate | |
US10088281B2 (en) | Automated target apparatus with controlled translation and rotation | |
US7349153B2 (en) | Toy weapon with a periscope suitable for allowing a user to view obstructed objects through the periscope | |
US12064869B2 (en) | Morphable inertial appemdag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 |
WO2005033611B1 (en) | Multiple weapon system for an armored vehicle | |
KR101473742B1 (en) | Transformable catapill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