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000B1 - 열풍 김구이기 - Google Patents
열풍 김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6000B1 KR101716000B1 KR1020140131430A KR20140131430A KR101716000B1 KR 101716000 B1 KR101716000 B1 KR 101716000B1 KR 1020140131430 A KR1020140131430 A KR 1020140131430A KR 20140131430 A KR20140131430 A KR 20140131430A KR 101716000 B1 KR101716000 B1 KR 101716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flow path
- pouring
- grill
- bu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 A45D4/08—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 A45D4/10—Separate devices designed for heating hair curlers or hair-wavers for flat curling, e.g. with means for decreasing the heat heated by steam or hot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L)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3); 상기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L)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5);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7); 및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가미되어 절단된 상태에서 굽지 않고 판매되는 김을 소비자가 열풍 김구이기에 의해 먹기 직전에 구워 신선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김의 품질이나 풍미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풍 김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과정에서 굽기 전 상태로 즉, 건조과정까지만 거친 상태로 판매된 김을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구워 신선한 상태로 먹을 수 있도록 한 열풍 김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채취된 상태 그대로 소비자가 구매를 하거나 취식을 하기 곤란한 제품으로 김제조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김제조 공장은 예컨대,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은 김제조 장치(등록특허 제10-0842870)를 통해 김을 생산하는 바, 이 김제조 장치(101)는 도시된 것처럼, 김 구이기(103), 구이 김 공급기(105), 포장용기 공급기(107), 절단기(109), 실링기(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김 구이기(103)에서는 양념이 가미된 원초를 이송시키는 동안 김구이기(103)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히터(미도시)에 의해 원초를 굽고, 구워진 김은 이송컨베이어(113)에 의해 이송되면서, 구이 김 공급기(105), 포장용기 공급기(107), 절단기(109), 실링기(111) 등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구이 김을 균등하게 절단하고, 이를 포장용기에 적절하게 수납하여 포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김제조 장치(101)에 의해 제조되는 김(110)은 김 구이기(103)에서 구워진 후, 포장, 판매되어 소비자가 먹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김(110)의 신선도가 크게 저하되고, 따라서 김(110)의 품질이나 풍미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원초를 굽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시킨 김을 소비자가 구입하여 이러한 상태의 김을 가정에서 양념을 가미한 후, 직접 직화에 의해 김을 구워 먹음으로서, 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는 있으나, 위와 같이 직화에 의해 김을 구울 경우 김이 잘 타기 때문에, 원하는 정도를 김을 굽기가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우며, 이로 인해 원하는 풍미를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김 구이 장치나 구이 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가미와 건조 과정까지만 거친 후 한 입 크기로 절단, 포장되어 판매되는 김을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소비자가 먹기 직전에 구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의 신선도를 크게 높이고, 따라서 김의 품질이나 풍미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 상기 김구이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 상기 열배관부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 및 상기 열배관부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풍 김구이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김은 원초를 가미하고 건조한 상태에서 한 입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한 김 또는 원초를 한 입 크기로 절단한 후, 가미하고 건조하여 포장한 김을 개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구이부는 다발로 된 상기 김을 상기 열풍의 유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구이부는 구운 후의 상기 김을 발출하기 위해, 일측에서 본체케이스를 관통하여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김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회수부는 상기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에 직접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김구이부를 통과하는 열풍의 유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 통기공이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회수부는 바닥판의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길이방향 일측벽을 형성하는 접이식 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이식 문은 상기 김회수부을 외측으로 빼낸 때 회전, 개방되어 상기 김이 측방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구이부에서 구운 김을 회수하도록 상기 김구이부 하방에 위치하는 김회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김회수부는, 상기 구운 김을 빼내기 위해 상기 김구이부의 바닥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발출용 문; 및 상기 김구이부에서 상기 발출용 문을 통해 낙하한 상기 구운 김을 외부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회수용 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구이부에서 구운 김을 회수하도록 상기 김구이부 하방에 위치하는 김회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김회수부는, 상기 구운 김을 빼내기 위해 상기 김구이부의 바닥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발출용 문; 상기 발출용 문을 향하도록 상기 김구이부 하방에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구이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구운 김을 임시로 수용하는 김받이틀; 및 상기 김받이틀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김받이틀과 함께 상기 본체케이스에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받이틀의 상기 구운 김을 외부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수용 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배관부는, 상기 강제순환부를 설치하도록, 격판에 의해 분할된 본체케이스 내부의 일측 공간에 형성되는 송풍실; 상기 발열부를 설치하도록, 상기 격판에 의해 분할된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의 타측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송풍실 및 상기 김구이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실에서 토출되는 열풍을 가열하여 상기 김구이부로 토출하는 가열실; 및 상기 김구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송풍실과 상기 가열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실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김을 구우면서 상기 김구이부를 통과한 열풍을 상기 송풍실로 되돌리는 구이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배관부는 상기 본체케이스를 덮는 뚜껑 내에 형성되는 연결덕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케이스 위에 덮은 때, 일단이 상기 구이실로, 타단이 상기 송풍실로 각각 개방되어, 상기 구이실과 상기 송풍실 사이에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풍 김구이기에 따르면, 양념에 의한 가미와 건조 과정을 마친 후, 굽지 않은 상태에서 한 입 크기로 절단되고, 다발로 포장하여 판매되는 김을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소비자가 먹기 직전에 개봉하여 구워 먹을 수 있도록 하므로, 김의 신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구이김의 품질이나 풍미를 높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에서 개봉한 김을 다발 상태로 김구이부에 투입하고, 뚜껑을 닫은 후 설정된 시간 동안 열풍 김구이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간단히 한 다발의 김을 균일하게 구울 수 있게 되므로, 구운 김의 품질 즉, 풍미를 탁월하면서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굽는 시간이나 온도를 달리하여 김의 풍미에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김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 김구이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열풍 김구이기를 뚜껑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의 본체케이스 정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의 그릴판 일부를 절결한 본체케이스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지지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구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접이식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구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김회수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10은 미닫이식 발출용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회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여닫이식 발출용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회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 김구이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열풍 김구이기를 뚜껑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의 본체케이스 정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의 그릴판 일부를 절결한 본체케이스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지지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구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접이식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구이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김회수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10은 미닫이식 발출용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회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여닫이식 발출용 문을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김회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 김구이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풍 김구이기는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가 먹기 편하게 한 입 크기로 절단된 김을 포장에서 개봉하자마자 즉시 구워 구운 김의 신선도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김구이부(3), 열배관부(5), 발열부(7), 및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입 크기로 절단된 김이라는 용어는 김 원초를 건조시킨 통상적인 김 한장을 다수매로 균등 절단, 바람직하게는6절 내지 8절로 절단하여 소비자가 먹기 좋도록 한 김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한 입 크기라는 의미는 통상적인 김 한장을 다수매로 절단한 상태의 김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김구이부(3)는 다발로 된 다수의 김(L)을 열풍에 의해 굽는 부분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의 일측 상단에 위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케이스(11) 내에 김구이부(3)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케이스(11) 내부를 격판(14)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분할하여, 한 쪽 공간 즉, 예컨대 도면 상 우측 공간에는 송풍실(13)을 형성하고, 나머지 다른 쪽 공간 즉, 좌측 공간에는 가열실(15)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열실(15)을 또 다시 그릴판(17)에 의해 두 개의 챔버로 분할하여 한 쪽 공간 즉, 도면 상 좌하측 공간은 가열실(15)로 하고, 나머지 한 쪽 공간 즉, 도면 상 좌상측 공간에 구이실(19)을 형성한다.
따라서, 김구이부(3)는 본체케이스(11)의 구이실(19) 내에 형성되는 바, 다발로 된 김(L)과 김(L) 사이의 틈새로 열풍이 쉽게 통과하는 즉, 이 틈새와 열풍의 유선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김(L) 다발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김구이부(3)는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릴판(17) 위에 수직하게 세워진 한 쌍의 판재(31)와 그릴판(17) 사이에 김(L)이 수용되는 구이공간(S)을 형성하는 바, 판재(31)의 간격은 1회 투입되는 즉, 한 번에 구워지는 김(L) 다발의 수량에 따라 결정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판재(31)의 간격을 가변시켜 한 번에 굽는 김(L)의 수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판재(31)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김(L)을 굽기 위해 김구이부(3)는 열풍의 유로 상에 위치하여야 하는 바, 열풍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 즉, 도면 상 하단은 가열실(15)로 개방되고, 유입된 열풍을 빼낼 수 있도록 그 반대쪽 타측 즉, 도면 상 상단은 직접 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후술하는 뚜껑(12)의 연결덕트(21)를 통해 송풍실(13)로 개방된다. 즉, 그릴판(17)은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S) 바닥에 해당하는 판재(31) 사이의 면에 다양한 형태의 그릴공(33)이 관통되고, 연결덕트(21)의 바닥판에도 뚜껑(12)을 덮은 때, 김구이부(3)와 대응되는 면에 다양한 형태의 덕트공(35)이 관통되어,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열풍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위와 같이 김구이부(3)를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1)는 김구이부(3)에 수용되는 김(L)에서 분리된 김부스러기 등 각종 오물을 수거하여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소함체(23)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청소함체(2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의 가열실(15) 바닥에 예컨대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그릴공(33)을 통해 김구이부(3)에서 낙하하는 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열풍 김구이기(1)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이 열풍 김구이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김(L)의 투입과 회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김구이기(1)는 외측에서 본체케이스(11)를 관통하여 구이실(19) 내의 구이공간(S)에 직접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하는 바, 김회수부(10)는 도시된 것처럼, 서랍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 구운 김(L)을 내부에서 회수하고자 할 때 구이공간(S)으로부터 빼내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울 김(L)을 내부에 투입하고자 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김회수부(10)는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열풍의 유로를 유지하도록 바닥판(28)에 복수의 통기공(27)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공(27)은 김회수부(10)가 김구이부(3) 내부로 삽입된 때 그릴공(33)과 연통됨으로써, 가열실(15)의 열풍이 구이실(19)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그릴판(17)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김회수부(10)의 바닥판(28)과 접하는 부분이 지지턱(32)를 남기고 모두 절결되어, 지지턱(32)에 의해 김회수부(10)를 지지함으로써, 통기공(27)을 통한 열풍의 통기성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김회수부(10)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벽에 구비된 접이식 문(29)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접이식 문(29)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28)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힌지(30)에 의해 접을 수 있게 결합됨으로써, 도시된 것처럼 김회수부(10)가 거의 끝까지 빼내어진 때, 자중에 의해 또는 반발 스프링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됨으로써 김회수부(10) 내에 긴밀하게 수용되어 있던 김(L)이 측방으로 넓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특히 다 구운 김(L)을 회수하는 회수동작이 크게 편리해진다. 다만, 접이식 문(29)은 이와 같이 측방으로 펼쳐지는 김(L)이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바닥판(28)과 나란하게 되는 각도 이상으로는 즉, 90도 이상으로는 회전이 불가하게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김회수부(10',1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구이부(3)에서 구운 김(10)을 회수하도록 김구이부(3)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김회수부(10')는 도시된 것처럼, 발출용 문(39,40), 김받이틀(25), 및 회수용 문(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발출용 문(39,40)은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S) 바닥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김구이부(3)를 개방하여 김구이부(3)에서 구운 김(L)을 직하방의 김받이틀(25)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도 채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발출용 문(39)은 여닫이문으로서, 구이공간(S) 개구의 일측 모서리에 힌지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축에 결합된 비틀림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구이공간(S) 개구에 밀착되며,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본체케이스(11)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 일단에 개폐손잡이(47)가 장착된다. 또, 도 10에 도시된 발출용 문(40)은 미닫이문으로서, 구이공간(S) 바닥과 나란히 설치되어 바닥의 개구를 여닫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스(11)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개폐손잡이(45)를 통해 개폐 조작된다.
또, 상기 김받이틀(25)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김구이부(3)에서 다 구운 김(L)을 임시로 수용하는 수단으로서, 발출용 문(39)을 향하도록 김구이부(3) 하방에 설치되어 발출용 문(39) 개방 시 김구이부(3)에서 낙하하는 구운 김(L)을 사용자가 빼낼 때까지 잠시 보관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김받이틀(25) 위에 알맞은 크기의 용기(R)를 올려놓을 수도 있는데, 김(L)의 회수를 쉽고 위생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용기(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용기(R)를 사용해 김(L)을 회수하는 경우, 위생에 큰 문제가 없으므로 김받이틀(25)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김받이틀(25)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김구이부(3)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통기공을 형성하지 않은 판체로 제작되어도, 가열실(15)에서 김구이부(3)로 이어지는 열풍의 유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김받이틀(25)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가 망체로 되어 다수의 통기공(27)이 발생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28)에 통기공(27)이 관통되면, 열풍의 흐름에 대한 방해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회수용 문(26)은 김받이틀(25) 위의 김(L)을 회수하기 위해 본체케이스(11)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김받이틀(25)과 인접한 본체케이스(11) 벽면에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용 문(26)은 김(L)을 굽는 동안에는 폐쇄되어 열풍의 외부 누설을 억제하나, 김(L)을 다 구운 후에는 개방되어 사용자가 김받이틀(25) 위에 임시로 수용된 구운 김(L)을 외부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1)는 김회수부(10")의 김받이틀(25)과 회수용 문(26)이 서랍의 형태로 일체화되는 바, 김회수부(10")는 위에서 언급한 발출용 문(39,40)은 물론, 도시된 것처럼 용기 형태로 되어 있는 김받이틀(25)과 본체케이스(11) 외측으로 노출되는 김받이틀(25)의 일측단에 부착되는 회수용 문(2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김회수부(10")는 김구이부(3)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본체케이스(11)를 관통하여 내부에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김회수부(10")는 김구이부(3)에서 미닫이식 발출용 문(40)을 통해 낙하하는 김(L)을 임시로 수용하며, 사용자는 회수용 문(26)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서랍식으로 김회수부(10")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임시로 수용된 김(L)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김회수부(10")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닫이식 발출용 문(39)을 통해 낙하하는 김(L)을 임시로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서랍식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된 김(L)을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배관부(5)는 위와 같이 열풍 김구이기(1) 내에서 순환하는 열풍이 김구이부(3)를 통과하도록 열풍의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수단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김구이부(3)와 연결된 송풍실(13), 가열실(15), 및 연결덕트(21) 등을 통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송풍실(13)은 후술하는 강제순환부(9)가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강제순환부(9)에 의해 본체케이스(11) 내에서 열풍이 될 고속의 기류를 발생시키거나 연결덕트(21)를 통해 되돌아온 열풍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송풍실(1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4)에 의해 분할된 본체케이스(11) 내부의 일측 즉, 도면 상 우측 공간에 형성된다. 이때, 송풍실(13)도 열풍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도시된 것처럼, 뚜껑(12)의 바닥에 관통된 덕트공(37)을 통해 연결덕트(21)와 연결되고, 또 강제순환부(9)의 송풍팬(41)을 통해 가열실(15)과 연결된다. 다만, 뚜껑(12)에 연결덕트(21)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미도시)의 경우에는 송풍실(13)과 김구이부(3)가 별도의 구멍이나 도관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실(15)은 후술하는 발열부(7)가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송풍실(13)에서 토출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열풍을 발열부(7)에 의해 가열하여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 김구이부(3)로 토출시킨다. 이를 위해, 가열실(15)은 송풍실(13)과 김구이부(3) 사이에 배치되는 바, 이들과 함께 연결됨으로써 열배관부(5)에 의한 열풍의 유로를 형성한다. 즉, 가열실(15)은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케이스(11) 내부에서 격판(14)에 의해 송풍실(13)과 좌우로 분할되고, 그릴판(17)에 의해서 구이실(19)과 상하로 분할되며, 관형 히터와 같은 발열부(7)를 통해서 송풍실(13)과 통하고, 그릴공(33)을 통해서 구이실(19)과 통함으로써 내부에서 가열한 열풍에 의해 김구이부(3)의 김을 굽게 된다. 다만, 열풍의 유로 상에서 가열실(15)과 송풍실(13)의 배치 순서는 서로 뒤바뀌어도 무관한데, 예컨대 가열실(15)의 발열부(7)를 송풍실(13)로 옮기고, 송풍실(13)의 송풍팬(41)을 가열실(15)로 옮겨, 연결덕트(21)에서 토출되는 저온의 열풍을 먼저 가열하여 온도를 높인 뒤 송풍팬(41)에 의해 구이실(19)로 취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이실(19)은 위와 같이 김구이부(3)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가열실(15)에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격판(14)에 의해 송풍실(13)과, 그릴판(17)에 의해 가열실(15)과 각각 분할된 상태로 송풍실(13)과 가열실(15)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구이실(19)은 가열실(15)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김구이부(3)로 통과시켜 김(L)을 구운 후 송풍실(13)로 되돌린다.
상기 연결덕트(21)는 구이실(19)과 송풍실(13)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구조가 없을 때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통기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1)를 덮는 뚜껑(12)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덕트(2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12)을 본체케이스(11) 위에 덮은 때, 일단의 덕트공(35)은 구이실(19)로, 타단의 덕트공(37)은 송풍실(13)로 각각 개방된다. 이에 따라, 연결덕트(21)는 구이실(19)에서 송풍실(13)로 이어지는 열풍의 유로를 형성하며, 따라서 구이실(19)에서 김(L) 굽기에 사용된 열풍을 송풍실(13)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열부(7)는 열풍에 필요한 열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배관부(5)의 가열실(15) 내에 설치되는 바, 열배관부(5)의 열풍 유로를 형성하면서, 강제순환부(9)에 의해 강제로 송풍되어 들어오는 열풍을 가열하여 열풍의 낮아진 온도를 높인다. 이를 위해, 발열부(7)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한 바, 예컨대 일반적인 코일 히터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열풍을 가열할 수 있는 위치라면, 가열실(15) 내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발열부(7)는 반드시 가열실(15)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열풍의 가열이 가능한 위치라면 예컨대 송풍실(13) 내에 특히 송풍팬(41)보다 상류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강제순환부(9)의 출구 측에 직접 연결된 관형 히터가 채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발열부(7)는 강제순환부(9)에 의해 송풍실(13)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가열실(15)까지 통과시키며, 통과시키는 도중에 열풍을 고열로 가열한다.
상기 강제순환부(9)는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수단으로서 마찬가지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실(13)을 통해 열배관부(5)의 열풍 유로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강제순환부(9)는 연결덕트(21)를 통해 송풍실(13)로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열풍을 가열실(15)로 취출시킨다. 이를 위해, 강제순환부(9)는 다양한 종류의 송풍팬으로 구성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시로코팬과 같은 송풍팬(41)이 채용된다. 이때, 송풍팬(41)은 도시된 것처럼 후방에 직결된 구동모터(43)에 의해 구동되며, 송풍실(13)의 저온 열풍을 빨아들여 발열부(7)를 통해 가열실(15)로 토출시킨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풍 김구이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풍 김구이기(1)에 의해 김을 굽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12)을 열어 본체케이스(11) 내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나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입 크기로 절단한 다수의 김(L)을 다발로 김구이부(3)에 투입하여 구이공간(S)에 수용한다. 이때, 사용자는 김구이부(3)가 도 3과 같이 세로로 배열된 때, 김(L) 다발을 김(L)과 김(L) 사이 틈새가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투입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김구이부(3)에 김(L)을 투입한 뒤, 사용자는 본체케이스(11) 위로 뚜껑(12)을 덮어 김(L) 구울 준비를 마친다. 다만, 구이에 사용되는 김(L)은 굽기 전 상태로 판매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김을 제조하기 위해 생산자는 일반 김과 달리 가미, 건조된 상태에서 한 입 크기로 절단한 김을 굽지 않은 상태로 또는 먼저 한 입 크기로 절단한 김을 가미, 건조하고, 굽지는 않은 상태로 포장하여 판매하여야 한다.
한편, 김구이부(3)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김회수부(10)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뚜껑(12)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김회수부(10)를 통해 간단히 김구이부(3) 내부의 구이공간(S)에 김(L)을 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본체케이스(11)로부터 서랍식으로 김회수부(10)를 잡아당겨 김회수부(10) 내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며, 노출된 김회수부(10) 내부에 김(L)을 투입한 뒤, 김회수부(10)를 원위치로 밀어 넣는 것으로 간단히 김(L) 투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이 김회수부(10)가 서랍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 뚜겅(12)을 열지 않고도 김회수부(10)를 통해 김(L)의 투입 및 회수가 가능하므로, 뚜껑(12)을 없애고 본체케이스(11)의 천장을 형성하여 뚜껑(12)을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김구이부(3)에 도 9에 도시된 김회수부(10')가 적용된 경우에는 뚜껑(12)을 열고, 발출용 문(39)이 닫혀 있는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S)에 김(L)을 투입하면, 김(L) 구울 준비가 완료된다.
그러나, 김구이부(3)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김회수부(10")가 구비된 경우에 사용자는 뚜껑(12)을 열고, 발출용 문(39,40)을 닫은 상태에서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S)에 김(L)을 투입하는데, 이때, 김회수부(10")는 김구이부(3) 밑에 삽입되어 김(L)의 발출을 대기한다.
이렇게 해서, 김(L) 구울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강제순환부(9)의 구동모터(43)와 발열부(7)를 작동시켜, 송풍실(13)의 공기를 가열실(15)로 취출시키는 동시에, 취출되는 공기를 발열부(7)에 의해 가열하여 열풍을 만든다.
그 다음, 가열실(15)에서 만들어진 열풍은 그릴공(33)을 통해 구이실(19)의 김구이부(3)로 토출되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동안 김구이부(3)에 수용된 김(L)을 천천히 굽게 된다.
이와 같이 김(L)을 구운 뒤 김구이부(3)를 통과해 나온 열풍은 뚜껑(12)의 덕트공(35)을 통해 연결덕트(21)로 유입되며, 연결덕트(21)를 지나 덕트공(37)을 통해 송풍실(13)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열풍은 자체의 온도가 약간 떨어지지만, 송풍실(13)에서 강제순환부(9)에 의해 가열실(15)로 보내져 발열부(7)에 의해 재가열됨으로써 더 높아진 온도로 김구이부(3)에 재취출된다.
이에 따라. 김구이부(3)의 김(L)은 더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좀 더 강하게 구워지며, 구이를 마친 열풍은 연결덕트(21)를 통해 송풍실(13)로 다시 복귀하여 김굽기가 종료될 때까지 위와 같은 순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적정 시간 경과 후 김굽기가 완료되면, 열풍 김구이기(1)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타이머에 의해 작동이 정지되며, 이에 따라 발열부(7)와 강제순환부(9)의 동작도 정지되면서, 열풍 김구이기(1)는 일련의 김굽기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김굽기가 종료되면,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8의 경우 사용자는 뚜껑(12)을 열거나 김회수부(10,10")를 잡아당겨 김구이부(3) 또는 김회수부(10,10")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여 구워진 김(L)을 회수하면 된다. 이때, 도 8의 김회수부(10)는 본체케이스(11)에서 거의 전부 빼내진 때 접이식 문(29)이 열리고, 접이식 문(29)에 의해 눌려 있던 김(L)이 측방으로 펼쳐지므로, 회수가 보다 용이해진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1)는 김굽기가 종료된 뒤, 도시된 것처럼 뚜껑(12)을 열지 않은 상태로 회수용 문(26)을 개방한 다음, 김회수부(10')의 김받이틀(25) 위에 용기(R)를 얹고, 개폐손잡이(47)를 돌려 발출용 문(39)을 개방함으로써 김구이부(3)의 구운 김(L)을 용기(R) 위로 낙하시켜 꺼내면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열풍 김구이기(1)도 김굽기가 종료된 뒤, 뚜껑(12)을 열지 않은 상태로 개폐손잡(45,47)를 조작하여 발출용 문(39,40)을 개방함으로써 김구이부(3)의 김(L)을 김회수부(10")로 낙하시킨 후, 김회수부(10")를 본체케이스(11)에서 서랍식으로 빼냄으로써 김회수부(10")로부터 쉽게 김(L)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1 : 열풍 김구이기 3 : 김구이부
5 : 배관부 7 : 발열부
9 : 강제순환부 10, 10', 10" : 김회수부
11 : 본체케이스 12 : 뚜껑
13 : 송풍실 14 : 격판
15 : 가열실 17 : 그릴판
19 : 구이실 21 : 연결덕트
23 : 청소함체 25 : 김받이틀
29 : 접이식 문 31 : 판재
33 : 그릴공 35, 37 : 덕트공
39, 40 : 발출용 문 41 : 송풍팬
43 : 구동모터 45, 47 : 개폐손잡이
L : 김 S : 구이공간
5 : 배관부 7 : 발열부
9 : 강제순환부 10, 10', 10" : 김회수부
11 : 본체케이스 12 : 뚜껑
13 : 송풍실 14 : 격판
15 : 가열실 17 : 그릴판
19 : 구이실 21 : 연결덕트
23 : 청소함체 25 : 김받이틀
29 : 접이식 문 31 : 판재
33 : 그릴공 35, 37 : 덕트공
39, 40 : 발출용 문 41 : 송풍팬
43 : 구동모터 45, 47 : 개폐손잡이
L : 김 S : 구이공간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L)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3);
상기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L)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5);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7); 및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김구이부(3)는 다발로 된 상기 김(L)을 상기 열풍의 유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김구이부(3)는 구운 후의 상기 김(L)을 발출하기 위해, 일측에서 본체케이스(11)를 관통하여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랍식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김회수부(10)는 상기 김구이부(3)의 구이공간(S)에 직접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열풍의 유로를 유지하도록 일측에 통기공(27)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김회수부(10)는 바닥판(28)의 모서리에 힌지(30) 결합되어 길이방향 일측벽을 형성하는 접이식 문(29)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이식 문(29)은 상기 김회수부(10)를 외측으로 빼낸 때 회전, 개방되어 상기 김(L)이 측방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김구이기. -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L)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3);
상기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L)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5);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7); 및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김구이부(3)에서 구운 김(L)을 회수하도록 상기 김구이부(3) 하방에 위치하는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김회수부(10')는,
상기 구운 김(L)을 빼내기 위해 상기 김구이부(3)의 바닥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발출용 문(39,40); 및
상기 김구이부(3)에서 상기 발출용 문(39,40)을 통해 낙하한 상기 구운 김(L)을 외부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1)를 관통하여 형성된 회수용 문(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김구이기. -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L)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3);
상기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L)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5);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7); 및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김구이부(3)에서 구운 김(L)을 회수하도록 상기 김구이부(3) 하방에 위치하는 김회수부(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김회수부(10")는,
상기 구운 김(L)을 빼내기 위해 상기 김구이부(3)의 바닥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발출용 문(39,40);
상기 발출용 문(39,40)을 향하도록 상기 김구이부(3) 하방에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구이부(3)에서 낙하하는 상기 구운 김(L)을 임시로 수용하는 김받이틀(25); 및
상기 김받이틀(25)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김받이틀(25)과 함께 본체케이스(11)에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김받이틀(25)의 상기 구운 김(L)을 외부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회수용 문(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김구이기. - 다발로 된 한 입 크기의 김(L)을 굽기 위해 수용하는 김구이부(3);
상기 김구이부(3)를 둘러싸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김(L)을 굽기 위한 열풍이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는 열배관부(5);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7); 및
상기 열배관부(5)의 상기 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7)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상기 열배관부(5)를 따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부(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김구이부(3)는 다발로 된 상기 김(L)을 상기 열풍의 유선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열배관부(5)는,
상기 강제순환부(9)를 설치하도록, 격판(14)에 의해 분할된 본체케이스(11) 내부의 일측 공간에 형성되는 송풍실(13);
상기 발열부(7)를 설치하도록, 상기 격판(14)에 의해 분할된 상기 본체케이스(11) 내부의 타측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유로 상에서 상기 송풍실(13) 및 상기 김구이부(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송풍실(13)에서 토출되는 열풍을 가열하여 상기 김구이부(3)로 토출하는 가열실(15); 및
상기 김구이부(3)를 형성하도록 상기 송풍실(13)과 상기 가열실(1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실(15)로부터 유입되어 상기 김(L)을 구우면서 상기 김구이부(3)를 통과한 열풍을 상기 송풍실(13)로 되돌리는 구이실(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김구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배관부(5)는 상기 본체케이스(11)를 덮는 뚜껑(12) 내에 형성되는 연결덕트(2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덕트(21)는 상기 뚜껑(12)을 상기 본체케이스(11) 위에 덮은 때, 일단이 상기 구이실(19)로, 타단이 상기 송풍실(13)로 각각 개방되어, 상기 구이실(19)과 상기 송풍실(13) 사이에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김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1430A KR101716000B1 (ko) | 2014-09-30 | 2014-09-30 | 열풍 김구이기 |
PCT/KR2015/010047 WO2016052920A1 (ko) | 2014-09-30 | 2015-09-24 | 열풍 김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1430A KR101716000B1 (ko) | 2014-09-30 | 2014-09-30 | 열풍 김구이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4456A Division KR101759629B1 (ko) | 2016-07-25 | 2016-07-25 | 열풍 김구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074A KR20160041074A (ko) | 2016-04-18 |
KR101716000B1 true KR101716000B1 (ko) | 2017-03-22 |
Family
ID=5563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1430A KR101716000B1 (ko) | 2014-09-30 | 2014-09-30 | 열풍 김구이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6000B1 (ko) |
WO (1) | WO20160529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0636B1 (ko) * | 2019-11-13 | 2020-12-14 | 강신탁 |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8200Y1 (ko) | 2001-12-22 | 2002-03-15 | 강신탁 | 해태 화입기 |
JP2002119256A (ja) * | 2000-07-14 | 2002-04-23 | Yamamoto Noriten:Kk | 海苔の加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9879A (ja) * | 1996-04-25 | 1997-11-11 | Bell Three Nishihatsu Kk | 乾燥装置及びこの乾燥装置を用いた海苔乾燥方法 |
JP2002209560A (ja) * | 2001-01-19 | 2002-07-30 | Chikanosuke Oki | 乾燥海苔フレーク製造装置 |
KR100876073B1 (ko) * | 2006-09-25 | 2008-12-26 | 임정미 | 해태 건조장치 |
KR100842870B1 (ko) | 2007-04-27 | 2008-07-03 | 최병화 | 구이 김 절단 및 수납장치 |
-
2014
- 2014-09-30 KR KR1020140131430A patent/KR1017160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9-24 WO PCT/KR2015/010047 patent/WO201605292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19256A (ja) * | 2000-07-14 | 2002-04-23 | Yamamoto Noriten:Kk | 海苔の加熱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
KR200268200Y1 (ko) | 2001-12-22 | 2002-03-15 | 강신탁 | 해태 화입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1074A (ko) | 2016-04-18 |
WO2016052920A1 (ko) | 2016-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6997B1 (ko) | 커피볶음기 | |
CN105431058B (zh) | 咖啡烘焙器 | |
KR101130547B1 (ko) |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 |
CN107080272B (zh) | 一种果干制作箱 | |
CN208463763U (zh) | 一种具有对流传热结构的空气炸烤箱 | |
US11382349B2 (en) | Coffee bean roaster | |
KR20140147632A (ko) | 직화 방식의 커피 로스터 | |
KR20170101461A (ko) | 열풍 김구이기 | |
ITMI20080063A1 (it) | Forno e metodo di cottura e deumidificazione di pane parzialmente precotto o di deumidificazione di pane cotto | |
TWM530043U (zh) | 烘豆機 | |
KR101716000B1 (ko) | 열풍 김구이기 | |
KR100679674B1 (ko) | 곡물볶음장치 | |
KR102130737B1 (ko) | 커피 로스터 | |
KR101759629B1 (ko) | 열풍 김구이기 | |
KR101306992B1 (ko) | 커피 로스터 및 그 운용방법 | |
KR101167254B1 (ko) | 곡물 볶음기 | |
KR101078528B1 (ko) |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 |
KR101760118B1 (ko) | 클로로겐산 보전을 위한 전도열 및 대류열 조절기능을 갖는 커피 로스터 | |
CN112089078A (zh) |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 |
CN213486835U (zh) | 一种小型的封闭式咖啡豆烘焙机 | |
KR101505728B1 (ko) | 커피 로스터의 생두, 원두 유출입 구조 | |
KR101851468B1 (ko) |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 |
KR101677459B1 (ko) | 탈착형 배기관이 구비된 커피 로스터기 | |
CN212697483U (zh) | 一种便于操作的糖熏炉 | |
CN104304356B (zh) | 一种旋转烤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