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48B1 - Vessel with a sponge wiper - Google Patents
Vessel with a sponge wi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4348B1 KR101714348B1 KR1020150088472A KR20150088472A KR101714348B1 KR 101714348 B1 KR101714348 B1 KR 101714348B1 KR 1020150088472 A KR1020150088472 A KR 1020150088472A KR 20150088472 A KR20150088472 A KR 20150088472A KR 101714348 B1 KR101714348 B1 KR 1017143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per
- contents
- container body
- eyedropp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이 와이퍼에 흡수되며,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체결시 마감캡 내측의 가압부재가 와이퍼를 가압하여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 구조를 통해 용기본체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eyedropper into the container body, contents contain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dropper are absorbed by the wiper. When the eyedropper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Since the member pressurizes the wiper to move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to the container body, even if the container body falls through the wiper structure that absorbs the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 from being poured, It can be character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이 와이퍼에 흡수되며,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체결시 마감캡 내측의 가압부재가 와이퍼를 가압하여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 구조를 통해 용기본체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sponge wip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sponge wiper, and more particularly, Since the pressing member on the inner side of the cap pushes the wiper to move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to the contain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 from being poured even if the container body falls through the wiper structure for absorbing the contents, To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that can prevent the wiping.
일반적으로 와이퍼는 마스카라 용기의 용기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로부터 마스카라부를 탈리시 브러쉬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쓸어 내려 일정량 털어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97604호(이하, 등록실용신안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In general, the wip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body of a mascara container to sweep away the contents of the brush when the mascara portion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body. The mascara container having such a wipe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76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gistration utility model).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일정량의 마스카라를 충전한 용기 및 뚜껑과, 이 뚜껑에 조립되는 솔대 및 솔과, 이 솔에 묻은 마스카라의 수분 증발의 차단과 인출에 따른 솔에 묻은 마스카라를 와이핑하는 제1, 제2의 와이퍼의 2단 구조로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에 있어서,The registered utility model includes a container and a lid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of mascara, a stem and a brush assembled to the lid, and a first and second wipes for wiping the mascara on the brush due to interruption of moisture evaporation of the mascara on the brush, And a second wiper, wherein the first wiper and the second wiper are arranged in a two-
상기 제1와이퍼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움 되는 제2와이퍼는 상기 용기의 입구 상단에 걸림 되는 플랜지의 상부 및 주연을 절곡단이 감싸 조립되고, 하단에서 하향방향의 중앙으로 일정각도 절곡된 다수의 방사상 칼날과 이들 방사상 칼날 사이의 길이방향에 일정 폭을 갖는 내용물 통과구멍 및 중앙에 솔대가 통과하는 중심구멍이 관통된 2단 와이퍼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And a second wiper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per downwardly is assembled with a flange having an upper end and a peripheral edge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radial And a two-stage wiper having a through hol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blade and the radial blades, and a center hole through which the stem passes is provided at the center.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솔에 사용하기 적합한 마스카라액이 묻어 나오도록 이중 와이퍼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2와이퍼를 통해 솔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와이핑하는 것은 가능하나, 솔대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와이핑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솔대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털어내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is formed of a double wiper structure so that a mascara solution suitable for use on the brush can be wiped. It is possible to wipe the contents of the brush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pers, The structure for wiping is not provid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hake out the content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한편, 최근에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스포이드 파이프를 통해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다양한 스포이드 용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등록특허 제10-1083262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syringe containers that can be used by withdrawing a certain amount of contents stored in a container body through a syringe pipe have been developed. Such a "syringe capable of being drawn out in a fixed quantity and a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83262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gistered patent).
상기 등록특허는 용기본체의 결합부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하단으로 가며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와이퍼를 통해 스포이드를 꺼내는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 외부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다시 용기로 회수함으로써,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스포이드 파이프 외부에 묻어 있는 내용물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eyedropper through a wiper having a shape narrowed so as to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eyedropper pipe to the lower en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joint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By returning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again,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contents is prevented, and pollution by contents contained in the outside of the pipe is prevented.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와이퍼 구조는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어느 정도 회수하는 것은 가능하나,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와이퍼의 내측에 내용물이 묻어 있는 상태로 고착되는 등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회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iper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can recover the content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dropper pipe to a certain extent, but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ereof, the contents are adhered to the inner side of the wip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over.
또한, 와이퍼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용기본체가 넘어지게 될 경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wiper structure,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are pour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이 와이퍼에 흡수되며,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체결시 마감캡 내측의 가압부재가 와이퍼를 가압하여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 구조를 통해 용기본체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yedropper which is capable of absorbing contents contain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eyedropper during insertion or withdrawal of a eyedropper into a container body, Since the pressing member inside the finishing cap pressurizes the wiper to move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to the contain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pouring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falls through the wiper structure that absorbs the contents, And to provide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또한, 탄성 재질의 와이퍼 중앙부에 스포이드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은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와이퍼가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포이드 파이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yedropper pip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per of the elastic material, the contents can be absorbed while the eye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piece pip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eyepiece pipe. And to provide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that can minimize contamin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그 상부에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인출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내용물 인출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를 지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스포이드부; 및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되,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having a spong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d a discharge unit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A contents captur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drawn ou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finishing cap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contents fetching member to support the contents fetching member An eyedropper portion; And a wiper for absorbing contents contain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ents take-out member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tents take-out member,
상기 용기본체에 상기 마감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가 가압되어 상기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회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iper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nishing cap to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are coll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마감캡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yedropp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finishing cap to press the wiper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nishing cap to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부에는 상기 와이퍼를 수용하며 와이퍼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와이퍼의 가압시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 body for receiving the wiper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wiper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so that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when the wip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And a content transfer hole is formed.
또한,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와이퍼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체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otrusion to prevent the wiper from moving upward and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body.
또한,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및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버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ents extraction member may include a syringe pipe for sucking and discharg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button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yedropper pipe to change a pressure inside the eyedropper pipe according to a user's pressurization.
또한,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는,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솔대; 및 상기 솔대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묻혀 사용 가능한 브러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ents extraction member may include a stem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nishing cap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nd a brush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tem and us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또한, 상기 와이퍼는 내용물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의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per is made of a spong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that the contents can be absorbed.
또한, 상기 와이퍼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의 지름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스포이드 파이프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p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yedropper pipe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yedropper pipe so that the eyepiece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piece pip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eyepiece pipe And is configured to absorb the content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이 와이퍼에 흡수되며, 스포이드부를 용기본체에 체결시 마감캡 내측의 가압부재가 와이퍼를 가압하여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 구조를 통해 용기본체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eyedropper into or from the container body, the content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dropper are absorbed by the wiper. When the eyedropper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 from being poured even when the container body falls through the wiper structure that absorbs the cont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contents have.
또한, 탄성 재질의 와이퍼 중앙부에 스포이드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은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와이퍼가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포이드 파이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ertion hol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yedropper pip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per of the elastic material, the contents can be absorbed while the eyepie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piece pip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eyepiece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tamina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용기본체 및 내용물 인출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body and a contents drawing member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 method of using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용기본체 및 내용물 인출부재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body and a contents withdrawing member of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tainer having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는 용기본체(100), 스포이드부(200), 와이퍼(300), 지지체(400)가 포함된다.1 to 3,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용기본체(100)는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저장된 내용물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상부에 배출부(110)가 구비되는데, 용기본체(100)의 상부에는 후술할 스포이드부(200)의 버튼부(212) 오작동을 방지하며, 버튼부(212)를 보호하도록 상기 버튼부(212)를 감싸는 오버캡(5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스포이드부(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용물 인출부재(210), 마감캡(220), 가압부재(230)를 포함한다.The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21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삽입,인출되며 상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관 형상의 스포이드 파이프(211)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며 스포이드 파이프(211)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내부로 내용물의 흡입,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고무재질의 버튼부(212) 및 마감캡(220)과 결합되어 내용물 인출부재(210)를 마감캡(220)에 고정시키도록 결합홈(214)이 형성된 결합부(213)로 구성된다.The contents taking out member 21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220)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솔대(215) 및 상기 솔대(215)의 끝단에 결합되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묻혀 사용 가능한 브러쉬(216)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contents extraction member 210 may include a
상기 마감캡(22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210)와 결합되어 내용물 인출부재(210)를 지지하는데, 그 중앙부에는 내용물 인출부재(210)의 스포이드 파이프(211) 및 버튼부(212)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버튼결합홀(221)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마감캡(20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부(213)의 결합홈(21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2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222)의 하부에는 가압부재(230)의 안착부(233)가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안착돌기(223)가 구비된다.
An inner side of the
상기 가압부재(230)는 상기 마감캡(220)의 내측에 위치하여 마감캡(220)을 용기본체(1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와이퍼(300)를 가압하는 것으로서, 마감캡(220)을 용기본체(100)에 결합시 지지체(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와이퍼(300)를 가압하는 가압부(232)와, 지지체(400)의 상단에 안착되며 마감캡(220)의 안착돌기(223)에 의해 지지되는 안착부(233)로 구성된다.The
상기 가압부재(230)에는 스포이드 파이프(211)가 관통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중공(231)이 형성된다.
A hollow 231 is formed in the
상기 와이퍼(300)는 지지체(400)에 수용되며,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210)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300)는 내용물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의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상기 와이퍼(3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211)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삽입홀(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홀(310)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지름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300)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상기 마감캡(22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재(230)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가압부재(230)의 가압에 의해 탄성 재질의 스폰지로 구성되는 와이퍼(300)가 압착됨에 따라 와이퍼(300)에 흡수된 내용물이 지지체(400)의 내용물 이동홀(42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로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상기 지지체(4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에 결합되되, 상기 와이퍼(300)를 수용하며 와이퍼(30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재(230)에 의한 와이퍼(300)의 가압시 와이퍼(300)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 및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이동홀(420)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지지체(400)의 내주면에는 와이퍼(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체(40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43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onge wi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마감캡(220)이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압부재(230)에 의해 와이퍼(300)가 가압되어 압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버튼부(212)를 가압하였다가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포이드 파이프(211)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내부로 흡입된다.First, when the
상기와 같이,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내부로 내용물의 흡입이 완료되면, 배출부(110)와 마감캡(220)의 나사결합을 해체하여 용기본체(110)로부터 스포이드부(200)를 탈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가압부재(230)를 통한 와이퍼(300)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와이퍼(300)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퍼(300)의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s ar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110)로부터 스포이드부(200)를 탈리시에는 와이퍼(300)가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흡수하게 되는데,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지름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삽입홀(310)을 통해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용기본체(110)로부터 스포이드부(200)를 탈리시킨 이후에는 버튼부(212) 가압을 통해 스포이드 파이프(211)로 흡입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마지막으로, 스포이드 파이프(211)로 흡입된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배출부(110)와 마감캡(220)의 나사결합을 통해 용기본체(110)에 스포이드부(20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배출부(110)와 마감캡(220)의 나사결합 과정에서 가압부재(230)가 지지체(400)에 안착된 와이퍼(300) 상단을 가압함에 따라 와이퍼(300)의 압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와이퍼(300)에 흡수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홀(420)을 통해 용기본체(100)로 이동하여 내용물의 회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Finally, when the contents sucked into the
즉, 본 발명은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300) 구조를 통해 용기본체(100)가 넘어져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와이퍼(300)가 스포이드 파이프(21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포이드 파이프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 from being poured even when the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200: 스포이드부 210: 내용물 인출부재
211: 스포이드 파이프 212: 버튼부
213: 결합부 214: 결합홈
215: 솔대 216: 브러쉬
220: 마감캡 221: 버튼결합홀
222: 결합돌기 223: 안착돌기
230: 가압부재 231: 중공
232: 가압부 233: 안착부
300: 와이퍼 310: 삽입홀
400: 지지체 410: 관통홀
420: 내용물 이동홀 430: 이탈방지돌기100: container body 110:
200: eyedropper 210:
211: eyedropper 212: button portion
213: engaging portion 214: engaging groove
215: Staple 216: Brush
220: finish cap 221: button engagement hole
222: engaging projection 223:
230: pressing member 231: hollow
232: pressing portion 233: seat portion
300: wiper 310: insertion hole
400: support body 410: through hole
420: contents moving hole 430: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Claims (8)
상기 용기본체에 삽입,인출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 가능한 내용물 인출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를 지지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스포이드부; 및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흡수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에 상기 마감캡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가 가압되어 상기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상기 용기본체로 회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d a discharge unit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A contents captur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and pulled out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drawn ou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finishing cap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which is coupled with the contents fetching member to support the contents fetching member An eyedropper portion; And
And a wiper for absorbing contents contain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ents take-out member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ontents take-out member,
Wherein the wiper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finishing cap to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are coll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마감캡을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퍼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yedropper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finishing cap to press the wiper during the coupling of the finishing cap to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부에는 상기 와이퍼를 수용하며 와이퍼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와이퍼의 가압시 와이퍼에 흡수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 이동하도록 다수의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wiper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ents movements such that the contents absorbed by the wiper are moved to the container body when the wiper is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And a hole is formed in the container.
상기 지지체의 내주면에는 와이퍼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체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er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otrusion so as to prevent the wiper from moving upward and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er.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및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버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A mouthpiece pipe for sucking and discharg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nd a button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yedropper pipe to change a pressure inside the eyedropper pip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presses the user.
상기 내용물 인출부재는,
상기 마감캡의 내측에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솔대; 및
상기 솔대의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내용물을 묻혀 사용 가능한 브러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A ster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nishing cap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nd
And a brush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tem and uses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상기 와이퍼는 내용물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재질의 스폰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per is made of a spong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that the contents can be absorbed.
상기 와이퍼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의 지름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스포이드 파이프의 삽입,인출 과정에서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을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The method of claim 5,
The wip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yedropper pipe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yedropper pipe. The insertion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dropper pipe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eyedropper pipe, Wherein the sponge wiper is configured to absorb the sponge wip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472A KR101714348B1 (en) | 2015-06-22 | 2015-06-22 | Vessel with a sponge wiper |
PCT/KR2016/004057 WO2016208859A1 (en) | 2015-06-22 | 2016-04-19 | Container provided with sponge wi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472A KR101714348B1 (en) | 2015-06-22 | 2015-06-22 | Vessel with a sponge wi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50454A KR20160150454A (en) | 2016-12-30 |
KR101714348B1 true KR101714348B1 (en) | 2017-03-09 |
Family
ID=5758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472A Active KR101714348B1 (en) | 2015-06-22 | 2015-06-22 | Vessel with a sponge wip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4348B1 (en) |
WO (1) | WO2016208859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4537A1 (en) * | 2017-09-15 | 2019-03-21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Mascara container |
KR20210000735U (en) | 2019-09-25 | 2021-04-02 | 아이로드 주식회사 | spuit type air freshener container with up down installing rubber he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7566B1 (en) * | 2016-07-01 | 2018-06-14 | (주)연우 | Cosmetic vessel having a dual exhaust means |
GB2559594B (en) * | 2017-02-10 | 2020-07-15 | Dexos Drinks Ltd | A liquid dispenser and method |
FR3066079B1 (en) * | 2017-05-10 | 2021-06-11 | Oreal | WRINKLE FOR COSMETIC CONTAINER |
KR20220050155A (en) * | 2019-10-21 | 2022-04-22 |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 cosmetic container |
KR102201545B1 (en) * | 2020-06-15 | 2021-01-11 | 김선태 | Cosmetic container having a wiper |
KR102761049B1 (en) | 2021-08-05 | 2025-01-3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Novel Methylocystis sp. strains and uses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81399B2 (en) | 1996-02-28 | 2005-08-10 | ロレアル | Storage application device and replacement container for the device |
KR200397604Y1 (en) | 2005-07-25 | 2005-10-05 | 변재삼 | Mascara bottle having two stage wip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49267A1 (en) * | 2009-10-19 | 2011-04-28 | (주)연우 | Liquid dropper allowing quantitative withdrawal, and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
KR101178596B1 (en) * | 2010-04-28 | 2012-08-3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Vessel having Spuit |
KR101340364B1 (en) * | 2012-07-13 | 2013-12-11 | 알엔디 그룹 엘엘씨 | Rotary wiper of cosmetic container |
-
2015
- 2015-06-22 KR KR1020150088472A patent/KR101714348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04-19 WO PCT/KR2016/004057 patent/WO201620885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81399B2 (en) | 1996-02-28 | 2005-08-10 | ロレアル | Storage application device and replacement container for the device |
KR200397604Y1 (en) | 2005-07-25 | 2005-10-05 | 변재삼 | Mascara bottle having two stage wip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4537A1 (en) * | 2017-09-15 | 2019-03-21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Mascara container |
KR20210000735U (en) | 2019-09-25 | 2021-04-02 | 아이로드 주식회사 | spuit type air freshener container with up down installing rubber he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208859A1 (en) | 2016-12-29 |
KR20160150454A (en) | 2016-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4348B1 (en) | Vessel with a sponge wiper | |
KR101083262B1 (en) | Eye dropper capable of quantitative withdrawal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same | |
KR101626539B1 (en) | Mascara case with a moving wiper | |
KR101152159B1 (en) |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 |
KR101785716B1 (en) | Spuit type cosmetic vessel | |
KR200452316Y1 (en) | Metering 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s | |
KR20170060397A (en) | Two way separated pumping container | |
US20180238035A1 (en) | Disposable toilet plunger sheath and toilet plunger including the same | |
US10010203B1 (en) | Mechanical beverage coaster with insert and a means to empty excess moisture | |
KR101730876B1 (en) | Cosmetic vessel capable of easily applying contents | |
KR101909115B1 (en) | Cosmetic having dropper with sponge | |
JP2013042850A (en) | Handy mop storage case | |
KR101911938B1 (en) | Cosmetic having dropper with sponge | |
JP3128782U (en) | coaster | |
KR101832086B1 (en) | Cup cleaning means | |
CN207125681U (en) | Hand cleanser box | |
KR102079821B1 (en) | liquid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afety cap | |
KR20120003343U (en) | Liquid container for remaining amount removal | |
KR101969857B1 (en) | Constant rate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 |
JP3115485U (en) | Funnel with removable holder | |
KR200427129Y1 (en) | Fluid storage containers | |
KR20150134159A (en) | Cosmetic container usable quantitative absorbing contents | |
KR101718245B1 (en) | cup | |
KR102499645B1 (en) | Container structure with lower position contens pumping function of pump container | |
JP2005231662A (en) | Waterdrop dischar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