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700801B1 -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 Google Patents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801B1
KR101700801B1 KR1020127009207A KR20127009207A KR101700801B1 KR 101700801 B1 KR101700801 B1 KR 101700801B1 KR 1020127009207 A KR1020127009207 A KR 1020127009207A KR 20127009207 A KR20127009207 A KR 20127009207A KR 101700801 B1 KR101700801 B1 KR 101700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ipper
vibrator
elongate element
thermocoup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583A (ko
Inventor
프레데릭 랑쥬
쟈끄 플로케
제라드 뮈하
Original Assignee
아레바 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바 엔피 filed Critical 아레바 엔피
Publication of KR2012007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8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12Measuring temperatur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21C19/10Lifting devices or pulling device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fuel elements or with control elements
    • G21C19/105Lifting devices or pulling device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fuel elements or with control elements with grasping or spreading coupling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21C19/207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react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40)를 포함하고, 이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ⅰ) 그리퍼(43)를 지니고 있는 시일링된 하우징(41, 42)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그리퍼(43)를 관에 조이기 위한 부재(45, 46); 하우징(41, 42) 및 그리퍼(43)를 진동시키기 위한 조절가능한 진동기; 및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기 위해 관에서 진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ⅱ) 그리퍼(43)와 진동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DEVICE FOR ASSISTING IN THE UNDERWATER EXTRACTION OR INSERTION OF AN ELONGATE ELEMENT DISPOSED IN A PIP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THE EXTRACTION OR INSERTION OF ONE SUCH ELEMENT}
본 발명은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 및 특히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가압수형 핵 반응기는 통 내부에서 연료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핵 반응기의 코어 및 이 코어의 위쪽에 있는 상측 내부 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어셈블리는 각기둥형이고 수직방향 축선을 가지며, 상기 상측 내부 장비는 특히 한 세트의 수직 안내 관을 포함하고, 이 안내 관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로드의 다발로 형성된 제어 로드를 안내하며, 상기 로드안에는 중성자 흡수재가 들어 있다.
코어의 반응도를 조절하여 반응기를 제어하기 위해, 반응기의 작동 중에 흡수 로드의 클러스터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따라서 그 흡수 로드는 코어의 어떤 연료 어셈블리 내부에서 더 크거나 더 작은 높이로 도입된다.
상기 상측 내부 장비는 일반적으로 상측 플레이트(지지 플레이트라고도 한다) 및 상측 내부 장비가 반응기의 코어 안에서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연료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핵 반응기의 코어의 상측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하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어 로드를 안내하는 상기 수직 안내 관은 지지 플레이트 및 하측 플레이트에 연결되는데, 각각의 안내 관은 지지 플레이트와 하측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체결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와 하측 플레이트 사이에서 안내 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 기둥은 이들 플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측 내부 장비의 강성을 보장해 줄 수 있다.
상측 내부 장비는 또한 원통형 열전대 기둥과 같은 기구 기둥을 포함한다. 각각의 열전대 기둥에는 한 세트의 열전대가 배치되는데, 이 열전대는 반응기의 코어의 연료 어셈블리의 미리 선택된 세트의 출구에서 냉각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 ∼ 4개의 열전대 기둥이 있다.
각각의 열전대 기둥은 상측 내부 장비의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열전대 기둥을 통과하는 스핀들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나, 각각의 열전대 기둥은 상측 시일링 수단으로만 반응기통의 덮개와 일체적으로 되며, 그 시일링 수단은 덮개의 개구에 고정된 어댑터의 관과 상기 기둥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여러 개의 열전대가 기둥 안에 배치되며, 이 기둥의 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변 개구를 통해 그 기둥에서 나가, 지지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블리드와 재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블리드에는 실질적으로 온도 측정 대상 영역의 위쪽에 있는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와 정렬하여 위치되는 안내관이 제공된다. 열전대는 상측 안내 관 안으로 삽입되며, 이 상측 안내 관은 열전대 기둥 및 대응 블리드의 관내에 배치되는 하측 안내 관에 의해 지지된다. 열전대의 민감한 측정 단부는 미리 정해진 측정 구역에 위치된다.
열전대의 일 부분은 연료 어셈블리의 상측 선단 근처에서 코어의 상측 플레이트의 아래에 있는 코어의 출구에서 반응기의 냉각제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관내로 도입되어 있는 열전대는 고온, 고압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그 결과 열전대 중의 일부는 반응기 통안에 어느 시간 동안 있은 후에 작동 결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응기 코어의 냉각제의 실제 온도에 대한 신뢰적이고 대표적인 이미지를 더 이상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핵 반응기의 계획된 유지 관리 작업 중에 이들 열전대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열전대 교체는 반응기를 가동 중단시켜 냉각하고 또한 덮개를 분리한 후에 행해진다.
덮개의 분리 전에, 열전대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대응 흡수 클러스터의 제어 로드를 분리한다.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를 분리하여 반응기의 풀내의 보관 영역에 둔다.
결함 있는 열전대를 인출하기 위해, 풀의 상측 수위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수중에서, 대응 기둥의 외부에 있는 열전대의 연장부와 결합되는 공구를 사용하여 그 열전대를 끝어 당긴다. 열전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열전대를 매우 강하게 당겨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열전대는 관의 어떤 부분내에 매우 작은 유격으로, 심지어는 이 유격이 사실상 없이 설치되기 때문에, 열전대의 제거 중에 마찰력이 매우 클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열전대가 관내에 봉쇄되어 있어 당겨서 제거하면 파손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이 경우, 측정 관이 분실되어 측점 지점을 잃게 된다.
여러 개의 곡부를 갖는 어떤 긴 관의 경우에는, 열전대의 제거 가능성은 상당히 낮게 될 것이며, 그리핑은 봉쇄 상황을 생기게 하기에 충분하다.
다른 경우, 성공적인 당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열전대를 관 내로 삽입하는 것이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전대를 단순히 당기면, 대응 관의 벽이 손상될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열전대의 삽입에 유해하다.
열전대의 단부(이 단부에 당김력이 축방향으로 가해짐)에서 그 열전대에 초음파를 전달하여 열전대의 제거를 쉽게 하는 것이 알려겨 있다.
그러나, 봉쇄부가 관의 하단부에, 즉 당김이 가해지고 또한 초음파가 전달되는 열전대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하는 열전대의 경우에는 이 공지된 방법은 효과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와 방법으로서, 사용이 쉬운 수단을 통해 상기 단점들을 해소하고 또한 기다란 요소의 빼냄과 삽입을 용이하게 해 줄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 및 특히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장치는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그리퍼를 지니고 있는 시일링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리퍼를 관에 조이기 위한 부재; 하우징 및 그리퍼를 진동시키기 위한 조절가능한 진동기; 및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기 위해 관에서 진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그리퍼와 진동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상기 그리퍼는 고정 죠오와 가동 죠오를 포함하고, 이 가동 죠오는 고정 죠오에 가까이 있는 위치와 그 고정 죠오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 사이에서 클램핑 부재에 의해 움직일 수 있고,
- 상기 클램핑 부재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진동기는 공압식 진동기이고,
- 상기 측정 부재는 가속도계로 형성되어 있으며,
- 상기 하우징은 멀리 있는 핸들링 폴의 단부에 체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에서 규정된 인출 장치를 사용하여,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 및 특히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를 수중에서 인출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핸들링 폴을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속으로 내려 보내는 단계;
- 그리퍼의 죠오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
- 그리퍼의 죠오를 기다란 요소의 관의 양측에 두는 단계;
- 클램핑 부재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죠오를 관의 클램핑 위치에 있게 하는 단계;
- 진동기에 명령을 주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관을 진동시키는 단계;
진동기에 의해 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
- 진동기를 최적의 진동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를 축방향으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앞에서 규정된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 및 특히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를 수중에서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핸들링 폴을 사용하여 하우징을 물속으로 내려 보내는 단계;
- 그리퍼의 죠오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
- 그리퍼의 죠오를 삽입할 기다란 요소의 관의 양측에 두는 단계;
- 클램핑 부재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그리퍼의 죠오를 관의 클램핑 위치에 있게 하는 단계;
- 진동기에 명령을 주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관을 진동시키는 단계;
진동기에 의해 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
- 진동기를 최적의 진동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를 축방향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고 예시적으로 주어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통의 수직 대칭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열전대를 교체하는 작업을 위해, 반응기의 풀내에 있는 작업 스탠드에 위치한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의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의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장치의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의 일 대안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안에 배치되는 열전대로 형성된 기다란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주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한다.
이 장치는 관내에 있는 어떤 다른 기다란 요소를 인출하거나 또는 그에 삽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은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통(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전통적으로, 원자로의 통(1) 안에는 연료 어셈블리(3)로 형성된 코어(2)가 배치되며, 이들 연료 어셈블리는 그의 길이방향 축선이 수직이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반응기의 코어(2)는 하측 내부 장비(4) 안에 배치되며, 이 내부 장비는 특히 코어의 격벽(5)을 포함한다.
상기 핵 반응기는 또한 상측 내부 장비(6)를 포함하는데, 이 장비는 상측 코어 플레이트(7)를 통해 코어의 어셈블리의 상측 플레이트상에 놓여 있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내부 장비(6)는 안내관의 지지 플레이트(8)(이하, 지지 플레이트(8)라고 한다)를 포함한다. 이 지지 플레이트(8)는 상측 내부 장비(6)의 하측 부분을 구성하는 상측 코어 플레이트(7)에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상측 내부 장비(6)를 통(1) 안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측 내부 장비(6)는 안내관(9)을 포함하며, 이들 안내관은 지지 플레이트(8)의 위쪽에 있는 원형 단면의 상측 부분(9a) 및 상측 내부 장비(6)의 지지 플레이트(8)와 상측 코어 플레이트(7)의 사이에 있는 하측 부분(9b)으로 구성되며, 이 하측 부분은 둥근 코너를 갖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부분(9a, 9b)은 상측 내부 장비(6)의 안내관(9)을 구성하여, 클러스터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현가/이동 로드에 연결된 핵 반응기의 코어내의 반응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로드의 수직 방향 이동은 통(1)의 덮개(1a)의 위쪽에 배치된 기구(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측 내부 장비(6)의 지지 플레이트(8)와 상측 코어 플레이트(7) 사이에는, 안내관(9)의 하측 부분(9b) 외에도 버팀 기둥(1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기둥은 지지 플레이트(8)에 대해 상측 코어 플레이트(7)를 유지 및 이격시켜 주는 것이다.
도 2 는 지지 플레이트(8)의 상측 표면을 개략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 플레이트는 안내관(9)의 상측 부분(9a) 및 이 도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있는 두개의 열전대 기둥(20)을 지지하며, 이 기둥은 지지 플레이트(8)의 위쪽에서 안내관(9)에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각각의 열전대(20) 안에는 열전대(22)의 한세트의 상측 안내관(21)이 배치되며, 따라서 핵 반응기의 코어의 미리 선택된 어셈블리 세트의 출구에서 냉각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상측 안내관(21)이 기둥(20)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열전대 기둥(20)의 발부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주변 개구를 통해 그 기둥에서 나와 각각 블리드(30)와 결합하게 된다. 이 블리드는 열전대(22)의 지지 플레이트(8)를 통과한다.
이 도면에서는 도면을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해 제한된 수의 상측 관(21)이 나타나 있다.
핵 반응기가 어떤 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이 반응기는 유지 관리 및 연료 어셈블리의 재장전을 위해 가동 중단되어 냉각된다.
핵 반응기의 통의 이 내부 장비에 대한 유지 관리 및 수리 작업을 하기 위해, 반응기의 냉각 후에 덮개를 제거하고, 상측 내부 장비(6)를 반응기에서 제거하여 반응기의 풀에 있는 보관 영역에 둘 수 있다. 코어어의 출구에서 냉각제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대(22)가 사용 중에 결함이 생긴 경우에는 그 열전대를 교체해야 한다. 이 열전대 교체 작업은 보관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상측 내부 장비에서 행해지며, 먼저 결함 있는 열전대(22)를 그 관(21)에서 빼낸 다음에 새로운 열전대(22)를 그 관(21)에 삽입하게 된다.
대응 관(21)에 있는 열전대(22)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라 보조 장치로 쉽게 되며, 이 보조 장치는 대응 관(21)의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 어셈블리는 도 2 ∼ 5 에서 참조 번호 "40"으로 나타나 있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출할 또는 삽입할 열전대(22)의 관(21)에 상기 클램핑 및 진동 발생 어셈블리를 배치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측 내부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풀에 있는 물의 상측 수위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브리지(35)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특히 도 3 ∼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40)는 시일링된 하우징(4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그의 일 표면에서 제거가능한 덮개(4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41)은 폴(54)의 단부에 설치되며, 그래서 작업자는 브리지(35)에서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인출할 또는 삽입할 열전대(22)의 관(21)에 가깝게 하우징(41)을 가져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일링된 하우징(41)은 두개의 죠오(43a, 43b)로 이루어진 그리퍼(43)를 지니고 있으며, 각각의 죠오는 클램핑 위체에서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있다. 이들 죠오(43a, 43b) 각각은 관(21)과 접촉될 표면에서 패드를 지니고 있으며, 이 패드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도 3 ∼ 5 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죠오(43a)는 움직이지 않고 죠오(43b)는 움직일 수 있다. 가동 죠오(43b)는 하우징(41)안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핑 부재(45)(도 4)에 의해, 고정 죠오(43a)에 가까워져 관(21)을 클램핑하는 위치와 그리퍼(43)가 관(21)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또는 그 그리퍼(43)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죠오(43a)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도 3 에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부재(45)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로 형성된다. 예컨대 공압식인 이 실린더(45)는 일반적으로 가동 죠오(43b)의 핸들링 요크(47)에 작용하는 피스톤(46)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요크(47)는 가동 죠오(43b)를 지지하는 횡축(48)에 연결되어 있다.
가동 죠오(43b)는 예컨대 스프링(미도시) 또는 다른 적절한 부재에 의해, 고정 죠오(4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어셈블리(40)의 하우징(41)은 예컨대 공압식인 공지된 유형의 조절가능한 진동기(49)를 내장하는데, 이 진동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41) 및 이 하우징(41)에 의해 지지되는 그리퍼(43)가 진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41)은 측정 부재(50)를 내장하며, 이 측정 부재는 관(21) 안에 있는 열전대(22)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그 관(21)에 대한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기 위해 관(21)에서 상기 진동기(49)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측정 부재(50)는 가속도계 또는 다른 적절한 요소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45), 진동기(49) 및 가속도계(50)는 탄성 및 공압식 연결 요소에 의해, 브리지(35)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및 모니터링 캐비넷(55)에 연결된다. 이들 전기 및 공압식 연결 요소는 핸들링 폴(54)의 내부를 지난다. 이 핸들링 폴(54)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시일링된 폴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요소로 형성된다.
결함 있는 열전대(22)를 인출하는 경우, 기둥(20)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상기 열전대(22)의 자유 단부(22a)는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전대(22)의 당김 수단(60)(예컨대, 호이스트로 이루어짐)에 연결된다.
새로운 열전대(22)를 대응 관(21)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기둥(20)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자유 단부(22a)를 상기 열전대(22)에 있는 추력 수단에 연결한다.
관(21)안에 끼워져 있는 열전대(22)를 인출하기 위해, 브리지(35)상에 있는 작업자는 다음과 같이 작업을 진행한다.
먼저,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인출하고자 하는 열전대(22)의 자유 단부(22a)를 호이스트(60)에 연결한다.
다음, 작업자는 핸들링 폴(54)을 사용하여 어셈블리(40)의 하우징(41)을 상기 풀내의 물 속으로 내려 보낸다.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그래서 작업자는 인출하고자 하는 열전대(22)의 관(21)을 상기 죠와(43 a) 와 죠오(43b) 사이에 둘 수 있다. 작업자는 예컨대 핸들링 폴의 바닥에 배치되는 수중 카메라와 같은 보기 수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어 캐비넷(55)을 사용하여, 작업자는 가동 죠오(43b)를 움직이게 하고 또한 실린더(45)의 피스톤(46)을 통해 그리퍼(43)를 클램핑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실린더(45)를 원격으로 제어하게 되며, 상기 피스톤은 가동 죠오(43b)가 횡축(48) 둘레로 선회하도록 요크(47)에 작용하게 된다. 인출하고자 하는 열전대(22)의 관(21)상에 그리퍼(43)를 클램핑시킨 후에, 작업자는 진동기(49)를 작동시켜, 하우징(41)과 그리퍼(43)를 통해 관(21)을 진동시킨다. 가속도계(50)는 관(21)에서 진동기(49)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값은 제어 하우징(55)에 나타나고, 그리 하여 관(21)에 발생되는 최적의 진동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진동기(49)를 최적으로 진동으로 조절한다.
동시에, 호이스트(60)는 열전대(22)가 그의 관(21)에서 빠지도록 그 열전대에 당김력을 축방향으로 가한다.
인출하고자 하는 열전대(22)에서 당김 과정 중에 이렇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열전대와 관 사이에 미세 박리가 발생될 수 있고 그 열전대와 관 사이의 마찰 계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관의 잠재적인 손상이 줄어들고 또한 열전대를 성공적으로 빼낼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일 대안예에 따르면, 여러 개의 어셈블리(40)가 동일 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진동은 열전대 자체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진동기(미도시)가 당김 수단, 즉 호이스트(60)와 직렬로 설치된다.
결함 있는 열전대를 빼낸 후에 새로운 열전대(22)를 관(21) 안으로 넣기 위해, 작업자는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데, 하지만 열전대를 당기는 대신에, 관 안으로 넣을 열전대에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한 적절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도 5 에 나타나 있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는 수평으로 배치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죠오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Claims (13)

  1. 관(21)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22)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로서,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4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그리퍼(43)를 지니고 있는 시일링된 하우징(41, 4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리퍼(43)를 관(21)에 조이기 위한 부재(45, 46); 하우징(41, 42) 및 그리퍼(43)를 진동시키기 위한 조절가능한 진동기(49); 및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기 위해 관(21)에서 진동기(49)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부재(50)를 내장하며,
    상기 클램핑/진동 발생 어셈블리는 그리퍼(43)와 진동기(49)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55)을 또한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43)는 고정 죠오(43a)와 가동 죠오(43b)를 포함하고, 이 가동 죠오는 고정 죠오(43a)에 가까이 있는 위치와 그 고정 죠오(43a)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 사이에서 클램핑 부재(45, 46)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재(45, 46)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있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49)는 공압식 진동기인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부재(50)는 가속도계로 형성되어 있는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1, 42)은 멀리 있는 핸들링 폴(54)의 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인출 장치를 사용하여, 관(21)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22)를 수중에서 인출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으로서,
    - 핸들링 폴(54)을 사용하여 하우징(41, 42)을 물속으로 내려 보내는 단계;
    -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
    -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를 기다란 요소(22)의 관(21)의 양측에 두는 단계;
    - 클램핑 부재(45, 46)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죠오(43a, 43b)를 관(21)의 클램핑 위치에 있게 하는 단계;
    - 진동기(49)에 명령을 주어, 그리퍼(43)를 사용하여 관(21)을 진동시키는 단계;
    진동기(49)에 의해 관(2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
    - 진동기(49)를 최적의 진동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22)를 축방향으로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관(21)을 진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22)를 진동시키고 또한 그 기다란 요소(22)에 당김력을 가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관(21)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22)를 수중에서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으로서,
    - 핸들링 폴(54)을 사용하여 하우징(41, 42)을 물속으로 내려 보내는 단계;
    -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를 서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
    -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를 삽입할 기다란 요소(22)의 관(21)의 양측에 두는 단계;
    - 클램핑 부재(45, 46)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그리퍼(43)의 죠오(43a, 43b)를 관(21)의 클램핑 위치에 있게 하는 단계;
    - 진동기(49)에 명령을 주어, 그리퍼(43)를 사용하여 관(21)을 진동시키는 단계;
    진동기(49)에 의해 관(2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최적의 진동을 결정하는 단계;
    - 진동기를 최적의 진동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22)를 축방향으로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관(21)을 진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다란 요소(22)를 진동시키고 또한 그 기다란 요소(22)에 미는 힘을 가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요소(22)는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인 것인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요소(22)는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인 것인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요소(22)는 가압수형 핵 반응기의 상측 내부 장비의 측정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열전대인 것인 방법.
KR1020127009207A 2009-09-16 2010-09-15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Active KR101700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6354A FR2949992B1 (fr) 2009-09-16 2009-09-16 Dispositif d'aide sous eau a l'extraction ou a l'insertion d'un element de forme allongee dispose dans un conduit et procede d'aide a l'extraction ou a l'insertion d'un tel element.
FR0956354 2009-09-16
PCT/FR2010/051913 WO2011033220A1 (fr) 2009-09-16 2010-09-15 Dispositif d'aide sous eau à l'extraction ou à l'insertion d'un élément de forme allongée disposé dans un conduit et procédé d'aide à l'extraction ou à l'insertion d'un tel élé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583A KR20120070583A (ko) 2012-06-29
KR101700801B1 true KR101700801B1 (ko) 2017-01-31

Family

ID=4218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207A Active KR101700801B1 (ko) 2009-09-16 2010-09-15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13320A1 (ko)
EP (1) EP2478524B1 (ko)
KR (1) KR101700801B1 (ko)
CN (1) CN102598151B (ko)
FR (1) FR2949992B1 (ko)
SI (1) SI2478524T1 (ko)
WO (1) WO2011033220A1 (ko)
ZA (1) ZA2012025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2947B (zh) * 2013-08-02 2016-05-18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热偶升降装置
KR200477105Y1 (ko) * 2013-10-30 2015-05-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시스 열전대 인출 장치
FR3053515B1 (fr) 2016-06-29 2018-08-17 Areva Np Reacteur nucleaire, procedes de montage et de remplacement de conduits de thermocouples, ensemble pour la mise en oeuvre des procedes
AU2018261777B2 (en) 2017-05-04 2023-05-11 3D at Dep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nderwater structures
AU2018300057B2 (en) 2017-07-10 2024-07-18 3D at Depth, Inc. Underwater optical metrology system
CA3196840A1 (en) 2020-09-25 2022-03-31 3D at Dep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aser inspection and measur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9962A1 (fr) 1990-08-03 1992-02-05 Framatome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 corps allongé introduit axialement dans un élément tubulaire
US20060226668A1 (en) * 2005-04-12 2006-10-12 Jarred Smith Apparatus for delivering a tool into a submerged bo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692A (en) * 1975-08-11 1978-01-17 General Atomic Company Fuel element loading system
US4701297A (en) * 1984-09-26 1987-10-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hermocouples from nuclear reactor vessel
US5068800A (en) * 1989-03-14 1991-11-26 Rem Technologies, Inc. Crack detection method for shaft at rest
FR2688618B1 (fr) * 1992-03-10 1994-07-01 Framatome Sa Procede d'extraction d'un element de forme allongee engage dans un conduit d'un composant d'un reacteur nucleaire et dispositif d'aide a l'extraction.
CN1106649C (zh) * 1994-09-02 2003-04-23 上海大学工学院 核电站反应堆测温热电偶插装机械手
US6009948A (en) * 1996-05-28 2000-01-04 Baker Hughes Incorporated Resonance tools for use in wellbores
FR2883096B1 (fr) * 2005-03-14 2007-06-01 Framatome Anp Sas Procede et ensemble de remplacement d'au moins une colonne de thermocouples des equipements internes superieurs d'un reacteur nucleaire
JP4588014B2 (ja) * 2006-12-08 2010-11-24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燃料交換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9962A1 (fr) 1990-08-03 1992-02-05 Framatome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 corps allongé introduit axialement dans un élément tubulaire
US20060226668A1 (en) * 2005-04-12 2006-10-12 Jarred Smith Apparatus for delivering a tool into a submerged b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8151B (zh) 2015-03-25
SI2478524T1 (sl) 2014-02-28
US20120213320A1 (en) 2012-08-23
WO2011033220A1 (fr) 2011-03-24
FR2949992A1 (fr) 2011-03-18
ZA201202522B (en) 2013-09-25
FR2949992B1 (fr) 2011-10-14
KR20120070583A (ko) 2012-06-29
EP2478524A1 (fr) 2012-07-25
CN102598151A (zh) 2012-07-18
EP2478524B1 (fr)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801B1 (ko)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EP2725583B1 (en) Radiation shiel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nuclear reactor vessel
KR100950241B1 (ko) 증기 발생기 튜브의 원격 검사 장치
KR910005730B1 (ko) 핵연료 조립체의 유지보수장치
KR101682846B1 (ko) 워터젯 피닝 장치 및 워터젯 피닝 시공 방법
KR101705476B1 (ko) 원자로 보수 장치의 설치 장치 및 방법
US200501355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tube guide of upper interval equipment of a nuclear reactor
CN108682464A (zh) 百万千瓦级核电厂乏燃料水池扩容方法
JPH05180980A (ja) 核燃料棒の超音波検査方法と装置
CN109478431B (zh) 核反应堆、组装和更换热电偶导管的方法、实现这些方法的组件
US6639959B1 (en) Guide tube camera inspection fixture and method of use
KR101622044B1 (ko) 원자로 용기의 시편 테스트 장치
JP2015068780A (ja) 長尺体挿抜装置
JP7198715B2 (ja) 燃料装荷作業支援システム
CN217444080U (zh) 一种燃料单棒检查装置
JP6510244B2 (ja) ガイドチューブ用移送ラック及びガイドチューブの組立試験方法
JP6081206B2 (ja) 原子炉補修監視装置及び原子炉補修方法
JP4754618B2 (ja) 燃料交換機
JP6446370B2 (ja) 原子力発電所の原子炉から1つまたは複数の放射性を帯びた部品を処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1069608A1 (fr) Procede de manipulation d'une cuve de reacteur
JP2656410B2 (ja) 中性子源の据付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中性子源ホルダラック
JP6767850B2 (ja) 原子炉水位検出装置及び原子炉
JPH0527086A (ja) 中性子計装管の取扱装置
KR20090100891A (ko)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CN117747153A (zh) 燃料组件的修复系统和修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