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90591B1 - 유화 연료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화 연료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591B1
KR101690591B1 KR1020150107066A KR20150107066A KR101690591B1 KR 101690591 B1 KR101690591 B1 KR 101690591B1 KR 1020150107066 A KR1020150107066 A KR 1020150107066A KR 20150107066 A KR20150107066 A KR 20150107066A KR 101690591 B1 KR101690591 B1 KR 10169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water
tank
mesh
supply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식
Original Assignee
권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식 filed Critical 권정식
Priority to KR102015010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5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811
    • B01F5/0057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B01F2215/008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와 물을 교반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비용으로도 연료와 물을 미립화된 상태로 교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동시에 유화연료의 유수 분리를 방지하여 양질의 유화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탱크,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상기 연료유와 첨가제를 물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유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유화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유는 상기 교반기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 라인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되,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도중에 제1 무화 처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의 물은 상기 혼합기와 연통되는 물 공급 라인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되, 상기 물 공급 라인 도중에 제2 무화 처리부가 배치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화 연료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EMULSIFIED FUEL}
본 발명은 연료와 물을 교반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비용으로도 연료와 물을 미립화된 상태로 교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동시에 유화연료의 유수 분리를 방지하여 양질의 유화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연료란, 산업용 연료인 중유 등에 일정비율의 물과 첨가제를 넣어 제조하는 석유 대체 연료로서 기존 중유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줄이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료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즉 유화연료는 중질 연료에 물과 첨가제 등을 교반하여 유화시킨 연료로서, 중질연료의 연소성을 개선함으로써,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는 먼지나, 질소산화물(NOx) 또는 입자성물질(PM) 등 기타 대기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는 연료이다.
상기와 같은 유화연료는 연료와 물을 강제 교반시킬 수 있는 유화연료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유화연료 제조장치는 소정의 교반 장치에 연료와 물을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교반 및 유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유화연료 제조장치는 믹싱 임펠러 등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단순히 연료와 물 및 첨가제를 적정 비율로 강제 교반하는 스크류식 교반장치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화연료에 진동을 가하여 교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화연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스크류식 교반장치의 경우에는 설비 규모가 클 뿐 아니라, 유화 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단순 진동을 사용하는 방법은 물 분자가 크기 때문에 고밀도 교반이 곤란한 것은 물론 단시간에 유수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10-2008-0093812(2008.10.22) 한국공개특허10-2014-0062244(2014.05.23)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비용으로도 연료와 물을 미립화된 상태로 교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동시에 유화연료의 유수 분리를 방지하여 양질의 유화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화 연료 제조 장치는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탱크,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상기 연료유와 첨가제를 물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유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유화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유는 상기 교반기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 라인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되,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도중에 제1 무화 처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의 물은 상기 교반기와 연통되는 물 공급 라인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되, 상기 물 공급 라인 도중에 제2 무화 처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화 처리부 및 제2 무화 처리부는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및 물 공급 라인의 직경이 일부 축소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화 처리부 및 제2 무화 처리부는 그 내부에 각각 제1 메쉬 및 제2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쉬 및 제2 메쉬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및 물 공급 라인의 내측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쉬의 메쉬 간격은 상기 제2 메쉬의 메쉬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쉬 및 제2 메쉬는 각각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화 연료 제조 장치는 저비용으로도 연료와 물을 미립화된 상태로 교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가절감과 동시에 유화연료의 유수 분리를 방지하여 양질의 유화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화 연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무화 처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무화 처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화 연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화 연료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무화 처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무화 처리부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화 연료 제조 장치는 연료유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100),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탱크(200), 물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300), 상기 연료 탱크(100)의 내부에 채워진 연료유와 상기 물 탱크(3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교반하는 교반기(400) 및 상기 교반기(400)에서 연료유와 물이 교반된 상태의 유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유화 연료 탱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질유 및 폐유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 탱크(100)는 일정 용량을 가지며 내부에 연료유가 충진될 수 있다.
연료 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는 연료유 개량 탱크(110)로 압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펌프(P1)에 의해 연료 탱크(100) 내부의 연료유가 일정 압력으로 연료유 개량 탱크(110)로 압송될 수 있다.
연료유 개량 탱크(110)는 연료 게이지(111), 연료 히터(112) 및 연료 임펠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게이지(111)는 연료유 개량 탱크(110)에 공급되는 연료유의 저장 허용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체크되는 저장 용량에 대한 파라미터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제1 전자 밸브(EV1)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연료유 개량 탱크(110) 내부의 허용 저장 용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연료 히터(112)는 연료유 개량 탱크(110)의 내부에 저장된 연료유를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유를 가열시켜 주게 되면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유동성이 확보되므로 교반기(400)로의 유입이 용이해지게 된다. 연료 히터(112)에 의해 가열되어 유지되는 온도는 연료유의 화학적 특성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료유 개량 탱크(110)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료 임펠러(113)가 구비됨으로써 연료유의 열분포를 신속하게 균일하게 하거나 연료유의 점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연료유 개량 탱크(110) 내부에서 가열이 완료된 연료유는 제2 펌프(P2)에 의해 제1 여과기(120)를 경유하여 교반기(400)로 압송된다. 이때, 제1 여과기(120)와 교반기(400) 사이에는 연료 공급 라인(OL)이 형성되고, 연료 공급 라인(OL)에는 제1 무화 처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화 처리부(130)는 연료 공급 라인(OL)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1 메쉬(140)가 배치된다.
제1 메쉬(14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메쉬(140)의 몸체는 소정 규격의 메쉬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메쉬(140)는 메쉬 구조를 갖는 몸체를 갖고 그 외주면은 제1 무화 처리부(130)의 내측벽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메쉬 구조는 예를 들면 가로세로 간격이 150mm 규격을 갖는 메쉬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제1 무화 처리부(130)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료유는 연료 공급 라인(OL)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보다 빠른 유속으로 진행하게 되며, 제1 메쉬(140)의 관통홀을 통하여 통과하는 연료유 및 제1 메쉬(140)의 외주면과 제1 무화 처리부(130)의 내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하여 지나게 된다. 이때 제1 메쉬(140)의 관통홀은 일단에 형성되는 개구가 유입구(141)이고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가 유출구(142)로 정의되면, 유입구(141)로부터 유입된 연료유는 유출구(142)를 향하여 유동하는 동안 제1 메쉬(140)의 관통홀 내부 및 제1 메쉬(140)의 외주면과 제1 무화 처리부(130) 틈새를 지그재그 등의 방향으로 제1 메쉬(140)의 메쉬 구조를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료유의 무화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펌프(P2)와 제1 여과기(120) 사이에는 별도의 제1 유량계(Q1)가 배치됨으로써 실시간으로 통과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여과기(120)는 연료유 개량 탱크(110)에서 공급된 연료유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제1 여과기(120)에서 걸러진 연료유는 교반기(400)로 공급된다.
첨가제 탱크(200)는 내부에 첨가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첨가제는 물과 연료유가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첨가제 탱크(200)의 내부에는 첨가제 히터(201) 및 첨가제 임펠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 히터(201)는 첨가제 탱크(200)의 내부에 저장된 연료유를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첨가제를 가열시켜 주게 되면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유동성이 확보되므로 교반기(400)로의 유입이 용이해지게 된다. 첨가제 히터(201)에 의해 가열되어 유지되는 온도는 첨가제의 화학적 특성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 탱크(200) 내부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첨가제 임펠러(202)가 구비됨으로써 첨가제의 열 분포를 신속하게 균일하게 하거나 첨가제의 점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첨가제 탱크(200) 내부에서 가열이 완료된 첨가제는 제3 펌프(P3)에 의해 첨가제 공급 라인(AL) 및 제1 여과기(120)를 경유하여 교반기(400)로 압송된다. 이때 제3 펌프(P3)와 제1 여과기(120) 사이에는 별도의 제2 유량계(Q2)가 배치됨으로써 실시간으로 통과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량계(Q2)의 유량에 따라 첨가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전자 밸브(EV2)가 첨가제 공급 라인(AL)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물 탱크(300)는 일정 용량을 가지며,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물 탱크(300)에 저장된 물은 제4 펌프(P4)에 의해 수분 개량 탱크(340)로 압송될 수 있다. 여기서 물 탱크(300)와 수분 개량 탱크(340) 사이에는 제2 여과기(31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여과기(310)는 물 탱크(300)로부터 수분 개량 탱크(340)로 압송되는 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제2 여과기(31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수분 개량 탱크(340)로 공급된다.
수분 개량 탱크(340)의 내부에는 수분 게이지(341) 및 수분 히터(342)가 포함될 수 있다.
수분 게이지(341)는 수분 개량 탱크(340) 내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제4 펌프(P4)와 제2 여과기(310) 사이에 별도의 제3 전자 밸브(EV3)가 포함될 수 있으며, 수분 게이지(341)에 의해 체크되는 물의 양에 따라 제3 전자 밸브(EV3)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수분 개량 탱크(340) 내에 공급되는 물의 허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수분 히터(342)는 수분 개량 탱크(340)의 내부에 있는 물을 대략 85℃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시켜 주게 된다. 상기 물은 85℃의 온도로 가열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수분 개량 탱크(340) 내에서 가열된 물은 제5 펌프(P5)에 의해 물 공급 라인(WL)을 경유하여 교반기(400)로 압송된다. 여기서 제5 펌프(P5)와 교반기(400) 사이에는 제2 유량계(Q2)가 배치됨으로써 실시간으로 통과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물 공급 라인(WL) 도중에는 제2 무화 처리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무화 처리부(320)는 물 공급 라인(WL)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무화 처리부(320)의 내부에는 제2 메쉬(330)가 배치된다.
제2 메쉬(33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메쉬(330)의 몸체는 소정 규격의 메쉬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메쉬(330)는 메쉬 구조를 갖는 몸체를 갖고 그 외주면은 제2 무화 처리부(320)의 내측벽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메쉬 구조는 예를 들면 가로세로 간격이 10mm 이하의 규격을 갖는 메쉬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제2 메쉬(330)의 가로세로 간격은 제1 메쉬(140)의 가로세로 간격에 비하여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쉬의 가로세로 간격은 연료유와 물의 점도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연료유와 물의 점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무화 처리부(3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은 물 공급 라인(WL)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보다 빠른 유속으로 진행하게 되며, 제2 메쉬(330)의 관통홀을 통하여 통과하는 물 및 제2 메쉬(330)의 외주면과 제2 소경부(320)의 내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하여 지나게 된다. 이때 제2 메쉬(330)의 관통홀은 일단에 형성되는 개구가 유입구(331)이고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가 유출구(332)로 정의되면, 유입구(331)로부터 유입된 물은 유출구(332)를 향하여 유동하는 동안 제2 메쉬(330)의 관통홀 내부 및 제2 메쉬(330)의 외주면과 제2 소경부(320) 틈새를 지그재그 등의 방향으로 제2 메쉬(330)의 메쉬 구조를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의 무화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연료유 개량 탱크(110)와 수분 개량 탱크(340)의 내부에는 온도게이지(미도시)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각각의 히터를 가동시키고,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히터를 차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온도는 예를 들면 85℃로 설정될 수 있으나, 연료 및 물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조정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반기(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유 개량 탱크(110), 첨가제 탱크(200) 및 수분 개량 탱크(340)로부터 압송되는 연료유, 첨가제 및 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교반하게 된다.
교반기(400)는 교반 호모믹스(401) 및 교반기 히터(402)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호모믹스 (401)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 베인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교반기(400) 내부에 공급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섞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혼합유의 유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 호모믹스(401)은 연료유, 첨가제 및 물을 약 10분 내지 30분 정도 교반하여, 제1 유화 연료 탱크(500)로 압송된다.
즉, 교반기(400)에서 생성된 혼합유는 제6 펌프(P6)에 의하여 일정 압력으로 배출 라인(EL)을 따라 제1 유화 연료 탱크(500)로 압송된다. 이때 제6 펌프(P6)와 제1 유화 연료 탱크(500) 사이에는 정제기(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정제기(410)는 혼합유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1 유화 연료 탱크(500)에 저장된 유화 연료는 냉각 장치(510)로 보내질 수 있다. 냉각 장치(510)는 필요 이상으로 고온화 된 유화 연료를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냉각 장치(510)에 의해 요구하는 온도까지 낮춰진 후 제2 유화 연료 탱크(520)로 저장됨으로써 유화 연료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연료 탱크
110: 연료유 개량 탱크
130: 제1 무화 처리부
200: 첨가제 탱크
300: 물 탱크
320: 제2 무화 처리부
340: 수분 개량 탱크
400: 교반기
500: 제1 유화 연료 탱크
520: 제2 유화 연료 탱크

Claims (6)

  1.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첨가제 탱크;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탱크;
    상기 연료유와 첨가제를 물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유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유화 연료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유는 상기 교반기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 라인을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되,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도중에 제1 무화 처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의 물은 상기 교반기와 연통되는 물 공급 라인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되, 상기 물 공급 라인 도중에 제2 무화 처리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무화 처리부 및 제2 무화 처리부는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및 물 공급 라인의 직경이 일부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무화 처리부 및 제2 무화 처리부는 그 내부에 각각 제1 메쉬 및 제2 메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쉬 및 제2 메쉬의 각각의 외주면은 상기 연료 공급 라인 및 물 공급 라인의 내측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의 메쉬 간격은 상기 제2 메쉬의 메쉬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쉬 및 제2 메쉬는 각각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화 연료 제조 장치.
KR1020150107066A 2015-07-29 2015-07-29 유화 연료 제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66A KR101690591B1 (ko) 2015-07-29 2015-07-29 유화 연료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66A KR101690591B1 (ko) 2015-07-29 2015-07-29 유화 연료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591B1 true KR101690591B1 (ko) 2016-12-28

Family

ID=5772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591B1 (ko) 2015-07-29 2015-07-29 유화 연료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9441A (zh) * 2018-05-23 2018-09-04 江苏泰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全自动供给的柴油乳化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391B1 (ko) * 1997-11-10 2001-04-02 김상대 연료 혼합 장치
US20080093812A1 (en) 2006-05-22 2008-04-24 Ronald Reed Rolling baggage whe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62244A1 (en) 2012-08-29 2014-03-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tor, rotary electric machine provided with this rotor, and rotor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62245A (ko) * 2012-11-14 2014-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분사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391B1 (ko) * 1997-11-10 2001-04-02 김상대 연료 혼합 장치
US20080093812A1 (en) 2006-05-22 2008-04-24 Ronald Reed Rolling baggage whe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62244A1 (en) 2012-08-29 2014-03-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otor, rotary electric machine provided with this rotor, and rotor manufacturing method
KR20140062245A (ko) * 2012-11-14 2014-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고압분사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9441A (zh) * 2018-05-23 2018-09-04 江苏泰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全自动供给的柴油乳化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702B2 (en) Agitation mixer
CA2584373C (en) Dry polymer hyd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1764830B1 (ko)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를 위한 프리믹싱장치
US20150133348A1 (en) Gel hydration unit
CN103726821B (zh) 酸化压裂液连续混配供送装置
KR101809526B1 (ko) 에멀션 연료 제조장치
JP6069707B2 (ja) 流体処理装置及び流体処理方法
KR101690591B1 (ko) 유화 연료 제조 장치
KR20150044251A (ko) 유화연료 제조장치
JP4801344B2 (ja) 混合燃料油の調製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50100394A (ko) 자체 혼합 탱크, 유체를 일정한 운동 상태로 유지하는시스템 및 혼합 시스템
CN109248623A (zh) 酸化用酸液连续混配工艺及其装置
JP2006016495A (ja) 乳化燃料の供給方法及び装置
CN216678018U (zh) 粘油水制备装置和柴油乳化燃料制备系统
KR20170127728A (ko) 유화 연료 제조 장치
RU66221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жидкостей
JP2010149089A (ja) エマルジョンオイルの連続生成方法およびエマルジョンオイルの連続生成装置
CN210584535U (zh) 乳化水和乳化柴油的制备装置
EP1108463A1 (en) Emulsifying method and device for realising the same
RU223009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опливной композиции
JP5030038B2 (ja) 乳化剤を含まないエマルジョン燃料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2318587B1 (ko) 유화연료 제조장치
CN207102501U (zh) 一种乳化沥青涂料生产系统
KR101332458B1 (ko)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의 연료 균질화 장치
KR101130932B1 (ko) 에어를 이용하는 에멀젼 제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