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98551B1 -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551B1
KR101698551B1 KR1020160107152A KR20160107152A KR101698551B1 KR 101698551 B1 KR101698551 B1 KR 101698551B1 KR 1020160107152 A KR1020160107152 A KR 1020160107152A KR 20160107152 A KR20160107152 A KR 20160107152A KR 101698551 B1 KR101698551 B1 KR 101698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owder
fermentation proc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계방산자연농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계방산자연농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계방산자연농원
Priority to KR102016010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5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12H1/165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by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로니아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색감, 향취, 미감 등에 있어 색다른 기호성이 부여되고 이화학적으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생리기능 강화, 혈액순환 촉진, 혈류증강, 면역력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Chokeberry containing rice wine production methods}
본 발명은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로니아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색감, 향취, 미감 등에 있어 색다른 기호성이 부여되고 이화학적으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생리기능 강화, 혈액순환 촉진, 혈류증강, 면역력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막걸리는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라고도 하며, 한국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막걸리는 각 지방의 관인(官認) 양조장에서만 생산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제조한 것을 농주라 하였고,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대표적인 막걸리로 이화주(梨花酒)가 있는데, 가장 좋은 막걸리용 누룩은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 하여 그렇게 불렀으며, 조선양조사에 의하면“ 처음으로 대동강(大同江) 일대에서 빚기 시작해서, 국토의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어 민족의 고유주(固有酒)가 되었다.”라고 씌어 있다.
제조방법은 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 녹말성분을 찐 다음 수분을 건조시켜(이것을 지에밥이라고 한다)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36∼38℃)에서 발효시킨 것을 청주를 떠내지 않고 그대로 걸러 짜내며, 옛날 일반 가정에서는 지에밥에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井’ 자 모양의 겅그레를 걸고 그 위에 올려놓고 체에 부어 거르면 뿌옇고 텁텁한 탁주(濁酒)인 막걸리가 되며, 이때 찹쌀을 원료로 한 것을 찹쌀 막걸리, 거르지 않고 그대로 밥풀이 담긴 채 뜬 것을 동동주라 하며,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있는 것으로서, 땀 흘리고 일한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어 농주로서 애용되어 왔다.
이러한 막걸리는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먹거리의 다변화, 경쟁력 확보 등을 기치로 다양한 형태의 막걸리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아로니아(Aronia)를 활용하여 아로니아가 가지고 있는 피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 효과, 여드름 방지 효과, 염증 완화 효과 등을 막걸리에 거부 반응없이 맛과 향을 갖도록 결합시켜 막걸리를 섭취하면서 자연스럽게 아로니아도 섭취되게 하여 건강도 증진시키도록 하려는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32998호(2000-06-15) '막걸리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73327호(2007-01-17)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막걸리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95658호(2013-08-06) '녹차 막걸리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286382호(2013-07-09) '아로니아 열매를 첨가한 병행복발효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아로니아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색감, 향취, 미감 등에 있어 색다른 기호성이 부여되고 이화학적으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생리기능 강화, 혈액순환 촉진, 혈류증강, 면역력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누룩 준비공정, 전분질 원료 준비공정, 입국공정(粒麴工程), 밑술(酒母)의 제조공정, 1차 발효공정, 2차 발효공정, 3차 발효공정, 제성공정(製成工程), 막걸리 제품화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통상의 막걸리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분질 원료 준비공정에서, 전분질 원료를 준비할 때 전분질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2-5중량부로 아로니아 분말을 더 첨가하여 준비하고; 상기 3차 발효공정을 거쳐 발효가 완료된 후 제성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3차 발효된 발효물에 기능성 첨가물이 더 첨가하되,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백화사설초 분말 3-5중량부,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고추분말 1-2중량부, 백향과 추출물 3-5중량부, 조개껍질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페그마타이트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산수유 추출액 2-4중량부, 보리지 추출액 3-5중량부, 황칠잎 추출액 1-3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1-2중량부, 월계수잎 추출물 0.5-1.5중량부, 그라비올라추출물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아로니아 분말은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시켜 파쇄하고, 아로니아 잎을 증숙하여 잎차를 추출한 다음, 아로니아 열매 분말과 잎차 추출물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이 괴상화될 때 까지 교반시켜 말린 후 이를 분쇄하여 최종 0.02-0.04mm의 입도를 갖는 미분상으로 농축시킨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첨가되기 전에 선처리하여 살균하되, 살균은 자외선살균 후 고압고주파 정전압처리에 의한 살균처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로니아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색감, 향취, 미감 등에 있어 색다른 기호성이 부여되고 이화학적으로도 독특한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세포재생을 촉진하며, 생리기능 강화, 혈액순환 촉진, 혈류증강, 면역력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아로니아는 분말 형태를 갖는다.
특히, 아로니아(Aronia)는 장미과(Rosaceae)의 낙엽관목으로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항산화력(ORAC:Oxygen Radical Absorbent Capacity 기준) 역시 매우 우수하며, 열매는 피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 여드름 방지효과 및 염증완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수함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아로니아는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 혹은 블랙 로원베리(Black Rowanberry)라고도 불리우며 장미과인 Rosaceases과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 열매로 학명은 Aronia mandschurica이다.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 지역의 영하 20도 추위와 5개월간의 강렬한 자외선 등 가혹한 환경에서 자생한다. 꽃은 산수유, 매실, 앵두와 같이 11~20일 정도 지속되고 9~11월 붉은 열매를 맺으며, 열매의 맛과 향이 좋아 과즙을 음료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식자재로서 가치가 높다.
아로니아(Aronia)는 보통 한 가지당 약 10~15kg 정도의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아로니아(Aronia)의 활성성분으로 각종 항산화 활성의 지표가 되는 안토시아닌과 탄닌, 클로로제닌산, 네오클로로제닌산 등이 함유되어 있음이 이미 학계에 발표되었다. 특히,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매우 높아 항산화력(ORAC 기준) 역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로니아 안토시아닌은 자연계에 현존하는 천연물 중가장 높은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포도의 80~180배, 바나나의 1,000~2,000배, 복분자, 크랜베리의 20~40배에 달하는 고함량과 활성력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로니아의 효능을 최대로 증대시키기 위해 농축시킨 분말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시켜 파쇄하고, 아로니아 잎을 증숙하여 잎차를 추출한 다음 아로니아 열매 분말과 잎차 추출물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이 괴상화될 때 까지 교반시켜 말린 후 이를 분쇄하여 최종 0.02-0.04mm의 입도를 갖는 아로니아 미분을 만든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기존에 폐기되던 아로니아 잎으로부터 잎차를 추출하여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아로니아 잎에도 우리 몸에 있는 활성산호(유해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폴리페놀, 특히 카테킨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아로니아 열매가 갖는 효능에 더하여 아로니아 잎에 함유된 인체 유용성분을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아로니아 분말이 준비되면, 통상의 막걸리 제조공정중 일부 공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분말 및 기능성 첨가물들을 투입하면서 최종적으로 막걸리를 제조하게 된다.
예컨대, 통상적인 막걸리 제조방법은 누룩 준비공정, 전분질 원료 준비공정, 입국공정(粒麴工程), 밑술(酒母)의 제조공정, 1차 발효공정, 2차 발효공정, 3차 발효공정, 제성공정(製成工程), 막걸리 제품화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누룩을 발효를 위한 것이고, 전분질 원료는 백미, 현미, 찹쌀, 보리쌀, 밀가루, 옥분, 고구마나 감자 전분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한 것을 말하며, 입국은 전분질 원료를 증자(蒸煮)하여 지에밥 등에 백국균을 종국(種麴)으로 사용하여 26∼30℃에서 종국을 번식시키는 것을 말하고, 밑술은 입국과 효모 및 누룩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것을 말하며, 숙성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1,2,3차에 걸쳐 순차 발효하고, 제성은 숙성된 술에서 지게미를 걸러낸 다음 여과하여 알코올 도수를 측정한 후 양조용수를 알코올 농도 범위로 주입하는 것을 말하며, 제품화는 제조된 막걸리를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막걸리 제조공정중 본 발명은 전분질 원료를 준비할 때 전분질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2-5중량부로 상술한 아로니아 분말을 더 첨가하여 준비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분말이 함유된 전분질 원료는 입국공정을 거치면서 아로니아의 특성이 함께 발현되게 된다.
여기에서, 아로니아 분말은 단순히 아로니아 열매를 분쇄하여 건조한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아로니아 잎차 추출물이 혼합 건조된 상태의 미분을 사용하는 것에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발효가 완료된 후 제성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3차 발효된 발효물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첨가물이 더 첨가된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첨가되기 전에 선처리되어 살균되는데, 이때 살균은 자외선살균 후 고압고주파 정전압처리에 의한 살균처리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막걸리 제조시 균체에 의한 부패를 막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백화사설초 분말 3-5중량부,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고추분말 1-2중량부, 백향과 추출물 3-5중량부, 조개껍질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페그마타이트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산수유 추출액 2-4중량부, 보리지 추출액 3-5중량부, 황칠잎 추출액 1-3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1-2중량부, 월계수잎 추출물 0.5-1.5중량부, 그라비올라추출물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백화사설초(Hedyotis diffusa Wilid)는 체내 독소를 해독하고, 염증을 치료하며, 면역기능 증진을 위해 첨가되는 천연물질로, 진초를 여름-가을에 채취하여 말린 후 분쇄하여 0.01-0.02mm의 입도를 갖도록 미분화시켜 첨가한다.
그리고, 고추는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채소로서,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질, 회분, 칼슘, 인, 철, 나트륨, 레티놀, 카로틴, 비타민, 나이아신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잎에는 베타인과 코린이 함유되어 있어 거담, 진통작용을 하며, 특히 항산화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 있으며 고추잎을 뜨거운 물에 데친 다음 말려 충분히 건조한 상태에서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며; 유채는 겨자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서, 노란꽃을 따 낸 다음 고추잎을 가공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데친 후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백향과 추출물은 백향과의 수엽이나 화뢰를 세정한 후 건조하고, 건조된 백향과를 증류장치에 넣은 후 투입한 백향과 중량의 50배에 해당하는 물을 넣고 90±1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며, 가열이 완료되면 냉각 후 압착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는다.
이러한 백향과 추출물은 비타민C가 석류보다 3배 이상 높게 함유되어 있으며, 니아신도 5배 이상 함유하고 있어 노화 방지에 유익하고, 무엇보다도 마그네슘과 철, 아연 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베타카로틴과 베타크립토크산틴까지 풍부해 면역력을 높이고 항산화효능을 제공하므로 과량 첨가되면 좋으나 다른 성분들과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조개껍질은 칼슘(Ca)이 다량 함유된 반면, 인(P)은 미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조개껍질을 식초에 녹이면 흡수율이 높은 고칼슘식초를 만들 수 있는 바, 선조들은 이를 식생활에 지혜롭게 활용해 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0.1-0.2mm 입도를 갖도록 분쇄된 분말을 하부에 스크린이 부착된 깔대기에 담고, 이 깔대기에 정제수를 부어 여과시킨 침출한 여과액을 사용한다.
이때, 효능 증대를 위해 상기 여과액은 최소한 5번 이상 여과된 여과액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조개껍질 분말에는 탄산칼슘:91.7%, 수분:2.23%, 유기물질:5.95% 등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물에 잘아 침출수 추출이 용이하며, 추출액은 피부에 발랐을 때 피부를 약 산성으로 유지시켜 피부의 면역력을 높여주며 피부노화를 막고 혈액순환을 활발히 하여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조개껍질 분말에는 각종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풍부한 천연 미네랄 덩어리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페그마타이트는 마그마의 분화 광상 생성물로서 거정질 화강암이라고도 불리며, 약리 작용을 할 수 있는 광석을 특히 거정석 페그마타이트라고 하는데 조 크러셔 혹은 임팩트 크러셔로 분쇄된 후 마쇄기(제트밀)로 마쇄하여 0.1-0.2mm 입도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개껍질 추출액과 동일한 방식으로 깔대기를 이용한 여과 침출방식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이러한 페그마타이트는 단일 20종의 성분 중 인체에 유리한 9종의 성분을 함유한 광물질인 바, 단독 방사체의 소재로서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체내 세포 활성화와, 혈액 순환 촉진으로 위해 혼합되는 주 성분으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산수유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을 비롯하여 비타민A와 다량의 당도 포함되어 있으며,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생리기능 강화와 정력증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산수유는 열매와 뿌리 및 잎을 90-100℃로 찐 다음, 건조하여 분쇄한 후 삼베 보자기로 감싼 상태에서 70-80℃의 정제수에서 우려내는 형태로 얻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과할 경우 특히, 코르닌의 영향으로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흥분을 유발하고, 신경을 교란하기 때문에 10중량부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상기 보리지 추출액은 보리지 잎과 씨를 가열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여 얻고, carotene, rosmarinic acid, tannin, essential fatty acids, silicic acid, potassium 등이 풍부하여 특히, 해열, 진정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황칠 추출액은 황칠 나무에 정제수를 붓고 100℃로 찐 다음 삼베보자기로 싼 후 걸러내어 얻고, 주로 간세포의 염증 개선에 효과가 있어 손상된 간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때문에, 혈액순환 개선 기능도 갖게 되어 혈압과 혈류의 정상화를 유지하는데 조력하는 기능이 있으며, 세사물이라는 면역증강 성분도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 기능도 수행한다.
덧붙여, 상기 알란토인(Allantoin)은 상수리나무 컴프리뿌리와 사탕무, 밀의 싹과 같은 곳에서 추출되어지는 천연물질로서, 진정작용, 소염작용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월계수잎은 주로 향신료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월계수잎에 함유된 Cineol을 추출하여 이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소화촉진, 이뇨촉진, 식용증진을 위해 소량 첨가되며, 상기 그라비올라추출물은 그라비올라에 함유된 아노나신과 파이토케이컬이 항균과 항바이러스 효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그라비올라 잎을 빻아 체질한 즙 형태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세균 침투에 대한 방어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Ν-아세칠글코사민산(N-acetylglucosamic acid)을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3-5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따라 막걸리 시료를 만들었다.
이때, 막걸리 제조공정중 전분질 원료를 준비할 때 전분질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로 아로니아 분말을 더 첨가하여 준비하되, 아로니아 분말은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시켜 파쇄하고, 아로니아 잎을 증숙하여 잎차를 추출한 다음 아로니아 열매 분말과 잎차 추출물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이 괴상화될 때 까지 교반시켜 말린 후 이를 분쇄하여 최종 0.02mm의 입도를 갖는 아로니아 미분상태로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발효가 완료된 후 제성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3차 발효된 발효물에 기능성 첨가물이 더 첨가하되,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mm의 입도를 갖는 백화사설초 분말 3중량부, 0.01mm의 입도를 갖는 고추분말 2중량부, 백향과 추출물 3중량부, 조개껍질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8중량부, 페그마타이트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8중량부, 산수유 추출액 4중량부, 보리지 추출액 4중량부, 황칠잎 추출액 2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2중량부, 월계수잎 추출물 1중량부, 그라비올라추출물 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막걸리 시료를 만들되, 상기 기능성 첨가물에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 대비 Ν-아세칠글코사민산(N-acetylglucosamic acid)을 3-5중량부 더 첨가하여 조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의 시료에 대해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평가는 등록특허 제10-1286382호(2013.07.09.)에서 수행한 바와 유사하게 진행하였다.
다만, 관능평가를 위해 강원도 평창군에 소재한 성인 남성 30대 10명과, 40대 10명과, 50대 10명을 선정하여 관능평가에 참여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의 관능평가는 시료를 섭취한 후 혈액순환 촉진에 의해 취기가 기존 쌀막걸리에 비해 어느 정도 빨리 오르는지를 평가자의 느낌을 백분율로 표시하도록 한 후 이를 평균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30대 남성은 평균적으로 기존 쌀막걸리에 비해 약 15% 정도 취기가 빨리 오르는 것으로 평가했으며, 40대 및 50대는 약 12% 정도라고 평가했다.
또한, 향과 맛이 평가에서도 평가자 대부분이 기존 쌀막걸리에 비해 약간 더 달고, 향도 풍미가 있어 깊은 향을 느낄 수 있다고 했으며, 거부감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답했다.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촉진 여부를 더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관능평가원 중 30대 4명, 40대 4명, 50대 4명을 따로 선발하여 실시예 1,2의 막걸리를 마시기 전 평균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실험은 앞선 관능평가를 마친 후 그 다음날 진행되었으며, 마시기전 심박수는 30대 평균 80회, 40대 평균 82회, 50대 평균 78회였다.
이어, 30,40,50대 중 2명은 실시예 1의 막걸리를 마시도록 하고, 나머지 각 2명씩은 실시예 2의 막걸리를 마시도록 하였으며, 막걸리를 마신 후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혈액순환측정기(모델명:SMART PLUSE, 제조사:메디코아)를 오른손 검지손가락에 걸고 심박수를 체크하였으며, 측정결과 실시예 1의 막걸리를 마신 6명의 평균 심박수는 94회, 실시예 2의 막거리를 마신 6명의 평균 심박수는 93회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가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쌀막걸리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의 시료를 공기에 노출시킨 상태로 상온에서 방치시켰다.
이후, 산패에 걸리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일반 쌀막걸리는 4일째 되는 날 산패되었으나, 실시예 1의 시료는 5일째 되는 날 산패되었으며, 실시예 2는 6일째 되는 날 산패되었다.
이는 실시예 2의 경우, 산패를 억제하는 성분이 첨가됨으로 인해 그 효능이 나타난 것으로 추론된다. 더욱이, 산패 억제제가 화학적 가공을 거친 화공약품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친환경성, 인체무해성, 유익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누룩 준비공정, 전분질 원료 준비공정, 입국공정(粒麴工程), 밑술(酒母)의 제조공정, 1차 발효공정, 2차 발효공정, 3차 발효공정, 제성공정(製成工程), 막걸리 제품화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통상의 막걸리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분질 원료 준비공정에서, 전분질 원료를 준비할 때 전분질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2-5중량부로 아로니아 분말을 더 첨가하여 준비하고;
    상기 3차 발효공정을 거쳐 발효가 완료된 후 제성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3차 발효된 발효물에 기능성 첨가물이 더 첨가하되,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기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백화사설초 분말 3-5중량부, 0.01-0.02mm의 입도를 갖는 고추분말 1-2중량부, 백향과 추출물 3-5중량부, 조개껍질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페그마타이트 분말에 정제수를 침출한 여과액 5-10중량부, 산수유 추출액 2-4중량부, 보리지 추출액 3-5중량부, 황칠잎 추출액 1-3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1-2중량부, 월계수잎 추출물 0.5-1.5중량부, 그라비올라추출물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분말은 아로니아 열매를 건조시켜 파쇄하고, 아로니아 잎을 증숙하여 잎차를 추출한 다음, 아로니아 열매 분말과 잎차 추출물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이 괴상화될 때 까지 교반시켜 말린 후 이를 분쇄하여 최종 0.02-0.04mm의 입도를 갖는 미분상으로 농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첨가되기 전에 선처리하여 살균하되, 살균은 자외선살균 후 고압고주파 정전압처리에 의한 살균처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KR1020160107152A 2016-08-23 2016-08-23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Active KR101698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52A KR101698551B1 (ko) 2016-08-23 2016-08-23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52A KR101698551B1 (ko) 2016-08-23 2016-08-23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551B1 true KR101698551B1 (ko) 2017-01-20

Family

ID=5798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152A Active KR101698551B1 (ko) 2016-08-23 2016-08-23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59B1 (ko) 2018-04-02 2019-09-27 모링가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모링가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3724A (ko) * 2020-07-27 2022-02-04 완도비파영농조합법인 비파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통밀 전통주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998A (ko) 1998-11-17 2000-06-15 유후자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0673327B1 (ko) 2005-12-24 2007-01-2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막걸리제조방법
KR101037048B1 (ko) * 2011-04-22 2011-05-26 (주)백록담 보리가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10125031A (ko) * 2010-05-12 2011-11-18 남종현 막걸리, 막걸리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286382B1 (ko) 2011-05-02 2013-07-15 장진기 아로니아 열매를 첨가한 병행복발효주 제조방법
KR101295658B1 (ko) 2012-03-24 2013-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녹차 막걸리 제조방법
KR20140131618A (ko) * 2013-05-06 2014-11-14 황길수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998A (ko) 1998-11-17 2000-06-15 유후자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0673327B1 (ko) 2005-12-24 2007-01-29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막걸리제조방법
KR20110125031A (ko) * 2010-05-12 2011-11-18 남종현 막걸리, 막걸리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048B1 (ko) * 2011-04-22 2011-05-26 (주)백록담 보리가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286382B1 (ko) 2011-05-02 2013-07-15 장진기 아로니아 열매를 첨가한 병행복발효주 제조방법
KR101295658B1 (ko) 2012-03-24 2013-08-2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녹차 막걸리 제조방법
KR20140131618A (ko) * 2013-05-06 2014-11-14 황길수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59B1 (ko) 2018-04-02 2019-09-27 모링가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모링가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3724A (ko) * 2020-07-27 2022-02-04 완도비파영농조합법인 비파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통밀 전통주 제조방법
KR102421000B1 (ko) 2020-07-27 2022-07-14 완도비파영농조합법인 비파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통밀 전통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94360B (zh) 用于调制玫瑰酒的玫瑰原液及其制作方法
KR101534550B1 (ko)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497723B (zh) 一种由核桃花、核桃叶、分心木和核桃壳混合酿制的果酒
KR101411944B1 (ko)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860B1 (ko) 멸치액젓 및 복분자를 포함한 양념 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JP3211710U (ja) ティーバッグ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698551B1 (ko)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CN110564575A (zh) 一种护肠胃养颜的铁皮石斛酒及其制作方法
KR100905604B1 (ko) 햅쌀과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홍주 제조 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1982129B1 (ko)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247375B1 (ko) 아사이베리와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068134A (ko) 아로니아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CN101002825A (zh) 富含α-亚麻酸、杜仲有效成分的杜仲软胶囊的制备方法
CN105154308B (zh) 火龙果醋的制备工艺
KR102355029B1 (ko)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20140056123A (ko) 어성초, 무화과, 유자를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98554B1 (ko) 아로니아 와인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62786B1 (ko) 인삼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11134254A (zh) 金银花红枣枸杞复合饮料及其制作方法
KR101630949B1 (ko)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1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101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