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028B1 -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9028B1 KR101689028B1 KR1020160008884A KR20160008884A KR101689028B1 KR 101689028 B1 KR101689028 B1 KR 101689028B1 KR 1020160008884 A KR1020160008884 A KR 1020160008884A KR 20160008884 A KR20160008884 A KR 20160008884A KR 101689028 B1 KR101689028 B1 KR 1016890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slide
- bridge
- lifting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에 구비된 전주의 위치를 옮기지 않고 교량의 상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상면에 상판(2)이 올려지는 슬라이드패널(40)이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가 설치된 교각(1)에 걸려있는 상판(2)을 교체하여, 상판(2)의 일단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된 전주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종래의 이송장치와 달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을 측방향으로 밀어 상판(2)이 전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전주를 옮길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상면에 상판(2)이 올려지는 슬라이드패널(40)이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가 설치된 교각(1)에 걸려있는 상판(2)을 교체하여, 상판(2)의 일단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된 전주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종래의 이송장치와 달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을 측방향으로 밀어 상판(2)이 전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전주를 옮길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각에 구비된 전주의 위치를 옮기지 않고 교량의 상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계곡, 도심구간 등에 설치된 교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교각과, 양단이 상기 교각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교량의 상판을 교체할 때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판을 들어올려 교체하여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크레인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판을 들어올리게 됨으로, 상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판이 유동하게 되어 상판을 교량의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교량의 상판을 이송한 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교량의 교각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개발되었다.(등록특허 10-1400302호)
상기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 대차는 다수개의 휠과 엔진이 구비되어,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자주식 차량을 이용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면에 상기 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과, 상기 승강패널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교각에 상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지지대에 상판을 올려놓고, 상기 이송장치를 교량의 교각에 근접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신장시켜 상기 승강패널과 승강패널에 올려진 상판이 상기 교각의 높이보다 높게 승상되도록 한 후, 상기 상판이 교각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이송장치를 다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판이 정확히 위치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을 축소시켜 상기 승강패널과 상판이 하강되도록 하여 상판이 상기 교각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크레인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상판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의 구조 및 작용은 등록특허 10-1400302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교량 중에서 전철이나 KTX가 통행하는 교량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1)의 상단 양측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주(3)가 설치된다.
상기 전주(3)는 상기 상판(2)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교각(1)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교각(1) 3개의 간격으로 1개씩 구비되는 등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전주(3)가 구비된 교각(1)에 걸려있는 상판(2)을 교체할 경우, 상판(2)의 일단이 상기 전주(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상판(2)을 교체하기 전에 상기 전주(3)를 임시로 다른 곳으로 옮겨 상판(2)을 교체한 후, 다시 상기 전주(3)를 원래의 위치로 옮겨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각에 구비된 전주의 위치를 옮기지 않고 교량의 상판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차(A)와, 상기 대차(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B)를 포함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과,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과,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드패널(40)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1)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측 둘레부에 대응되는 오목홈(62a)이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62b)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록(62)과, 상기 공간부(62b)에 연결되어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3)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수단(63)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간부(62b)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분사공(62c)을 통해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면과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61a,62d)가 가이드레일(6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돌기(61a,62d)가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드블록(6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차(A)와, 상기 대차(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B)를 포함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과,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과,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턴테이블(70)과, 상기 턴테이블(70)에 연결되어 턴테이블(7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패널(20)은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와,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과,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와,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26)은 상기 대차(A)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A)가 정차되면,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제어하여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상면에 상판(2)이 올려지는 슬라이드패널(40)이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가 설치된 교각(1)에 걸려있는 상판(2)을 교체하여, 상판(2)의 일단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된 전주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종래의 이송장치와 달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을 측방향으로 밀어 상판(2)이 전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전주를 옮길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회동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승강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승강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분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회동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승강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승강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분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가이드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대차(A)와, 상기 대차(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대차(A)는 양측에 무한궤도(11)와 상기 무한궤도(11)에 연결된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별도의 견인차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동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일반적인 작업차량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과,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과,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드패널(40)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패널(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와,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과,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와,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패널(2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패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구동수단(30)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면 중앙부 양측에는 하부브라켓(21a)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동대(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및 좌우로 연장된 힌지축(22a)을 갖는 십자가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좌우양단이 상기 하부브라켓(21a)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패널(23)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측면 중앙부 전후측에는 상기 회동대(22)의 전후측 힌지축(22a)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23a)이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기구(2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패널(21)과 상부패널(23)의 모퉁이 부분에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하 양단이 상기 하부패널(21)과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각각의 실린더기구(24)를 신축되도록 제어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23)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되어 상부패널(23)의 상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은 일반적인 기울기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패널(23)의 상면이 수평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이를 측정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유닛(26)은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기울어졌을 경우,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신축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이루도록 제어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30)은 상기 대차(A)의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대구경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단이 상기 하부패널(21)에 연결되어 신축시 상기 하부패널(21)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승강패널(20) 전체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수단(60)에 의해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수단(60)은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1)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62b)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록(6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62)에 연결된 급기수단(6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1)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a)가 상기 가이드레일(6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은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측 둘레부에 대응되는 오목홈(62a)이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의 내부에는 공간부(62b)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62a)의 둘레면에는 상기 공간부(62b)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사공(62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2d)가 상기 가이드레일(61)의 돌기(61a)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급기수단(63)은 급기관(63a)을 통해 상기 공간부(62b)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63)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62)에 형성된 돌기(62d)가 상기 가이드레일(61)에 형성된 돌기(62d)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과 슬라이드패널(40)이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급기수단(63)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62b)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분사공(62c)을 통해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 즉, 상기 가이드레일(61)의 둘레부로 분사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부상되면 상기 돌기(61a,62d)의 고정이 해제됨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을 측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단이 상기 상부패널(23)의 상면과 슬라이드패널(40)의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부재(23b,4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63)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62b)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신축시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판(2)을 교각(1)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상기 승강패널(2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승강패널(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상면에 교량의 상판(2)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대차(A)를 운전하여 상기 교각(1)의 근처로 이동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30)을 이용하여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을 상기 교각(1)의 상단에 비해 높은 위치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다시 상기 대차(A)를 전진시켜 상기 상판(2)이 교각(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 및 슬라이드패널(40)에 올려진 상판(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상판(2)이 상기 교각(1)에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각(1)에 전주가 설치되어, 상판(2)의 일측단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급기수단(63)과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을 일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전주와 상판(2)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A)를 전진시켜 상기 상판(2)이 교각(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급기수단(63)과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판(2)이 원래의 위치로 슬라이드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 및 슬라이드패널(40)에 올려진 상판(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상판(2)이 상기 교각(1)에 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상면에 상판(2)이 올려지는 슬라이드패널(40)이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가 설치된 교각(1)에 걸려있는 상판(2)을 교체하여, 상판(2)의 일단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된 전주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종래의 이송장치와 달리, 상기 슬라이드패널(40)과 상판(2)을 측방향으로 밀어 상판(2)이 전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전주를 옮길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6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1)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측 둘레부에 대응되는 오목홈(62a)이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62b)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록(62)과, 상기 공간부(62b)에 연결되어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3)으로 구성되어, 상기 급기수단(63)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간부(62b) 내부의 공기가 상기 분사공(62c)을 통해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62b)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블록(62)을 상측으로 부상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0)을 이용하여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 상기 슬라이드블록(62)과 슬라이드패널(40) 및 슬라이드패널(40)에 올려진 상판(2)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면과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61a,62d)가 가이드레일(6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돌기(61a,62d)가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드블록(6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A)를 움직여 상판(2)을 운송할 때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패널(20)은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와,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과,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와,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을 상측으로 부상시켜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할 때,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원활히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주행하는 길은 완전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함으로, 상기 상판(2)을 이송하는 도중에 길의 굴곡 등에 의해 이송장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패널(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은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에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61)과 밀착되지 않도록 부상됨으로,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경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50)으로 슬라이드블록(62)을 측방향으로 밀지 않아도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올려진 상판(2)의 무게에 의해 슬라이드블록(62)이 저절로 측방향으로 밀려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이송장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승강패널(20)에 구비된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부패널(23)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 승강패널(20)의 상면이 기울어져 슬라이드패널(40)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대차(A)는 무한궤도(11)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대차(A)는 여러개의 휠이 구비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26)은 상기 상부패널(23)이 기울어지면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이용하여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6)에 상기 대차(A)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수단(27)을 연결하여, 대차(A)가 정지되었을 때만 상기 제어유닛(26)이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제어하여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속도측정수단(27)은 상기 대차(A)에 구비된 속도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는 대차(A)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조절하지 않고, 상기 상판(2)을 승강시키거나, 상판(2)의 측방향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대차(A)가 정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 상기 실린더기구(24)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차(A)가 움직이는 도중에 상기 상부패널(23)이 움직여, 장치의 각 부분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A)가 정지되면, 작업자가 별도로 상기 제어유닛(26)에 작업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유닛(26)이 자동으로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제어하여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이루도록 제어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과,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과,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턴테이블(70)과, 상기 턴테이블(70)에 연결되어 턴테이블(7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8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패널(2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와,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과,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와,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70)은 하측에 구비된 베어링(71)에 의해 상기 상부패널(2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80)은 상기 상부패널(23)에 고정되며 턴테이블(70)에 연결된 유압모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장치는 상기 지지대(B)에 올려진 상판(2)이 상기 전주에 걸리게 될 경우, 상기 턴테이블(70)을 회전시켜 상판(2)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한 후, 상기 전주를 통과한 후, 상기 턴테이블(70)을 다시 회전시켜 상판(2)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2)을 교체할 때, 상기 상판(2)이 교각(1)에 구비된 전주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대차 B. 지지대
20. 승강패널 30. 승강구동수단
40. 슬라이드패널 50. 슬라이드구동수단
60. 가이드수단 70. 턴테이블
80. 회전구동수단
20. 승강패널 30. 승강구동수단
40. 슬라이드패널 50. 슬라이드구동수단
60. 가이드수단 70. 턴테이블
80. 회전구동수단
Claims (6)
- 대차(A)와, 상기 대차(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B)를 포함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드패널(40);
상기 슬라이드패널(4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50);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패널(20)과 슬라이드패널(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수단(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패널(20)은,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1);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측 둘레부에 대응되는 오목홈(62a)이 하측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부(62b)가 형성된 슬라이드블록(62);
상기 공간부(62b)에 연결되어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3);
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수단(63)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62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공간부(62b) 내부의 공기가 상기 오목홈(62a)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록(62)의 측면에 형성되는 분사공(62c)을 통해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상측으로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면과 상기 오목홈(62a)의 내부 상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다수개의 돌기(61a,62d)가 가이드레일(6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62)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돌기(61a,62d)가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드블록(6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대차(A)와, 상기 대차(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진 상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B)를 포함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B)는,
승강패널(20);
상기 승강패널(2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패널(20)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구동수단(30);
상기 승강패널(20)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상판(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턴테이블(70);
상기 턴테이블(70)에 연결되어 턴테이블(7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80);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패널(20)은,
하부패널(21)과, 상기 하부패널(2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대(22);
상기 회동대(22)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패널(23);
상기 상부패널(23)에 연결되어 상부패널(23)을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기구(24);
상기 상부패널(23)에 구비되어 상부패널(23)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25);
상기 기울기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4)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26)은 상기 대차(A)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측정수단(2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대차(A)가 정차되면, 상기 실린더기구(24)를 제어하여 상부패널(23)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884A KR101689028B1 (ko) | 2016-01-25 | 2016-01-25 |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884A KR101689028B1 (ko) | 2016-01-25 | 2016-01-25 |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9028B1 true KR101689028B1 (ko) | 2016-12-23 |
Family
ID=5773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8884A KR101689028B1 (ko) | 2016-01-25 | 2016-01-25 |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902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44338A (zh) * | 2019-08-13 | 2019-10-18 | 重庆恒庐钢结构工程有限公司 | 一种桥梁现场安装顶升移载设备 |
CN111321671A (zh) * | 2020-03-16 | 2020-06-23 |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 用于工程桥梁桩柱结构建造的施工方法 |
KR102161144B1 (ko) * | 2019-10-14 | 2020-09-29 | 황선영 |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KR102161168B1 (ko) * | 2019-10-14 | 2020-09-29 | 황윤태 |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KR20210119753A (ko) * | 2020-03-25 | 2021-10-06 | 양태선 | 주행형 pc 거더 운반용 대차 |
CN115323936A (zh) * | 2022-09-05 | 2022-11-11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用于支撑桥梁的支撑胎架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13239A (ja) * | 2005-10-19 | 2007-05-10 | Sankyu Inc |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JP2009114751A (ja) * | 2007-11-07 | 2009-05-28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送出し装置及び送出しシステム |
-
2016
- 2016-01-25 KR KR1020160008884A patent/KR1016890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13239A (ja) * | 2005-10-19 | 2007-05-10 | Sankyu Inc |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JP2009114751A (ja) * | 2007-11-07 | 2009-05-28 |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 送出し装置及び送出しシステム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44338A (zh) * | 2019-08-13 | 2019-10-18 | 重庆恒庐钢结构工程有限公司 | 一种桥梁现场安装顶升移载设备 |
KR102161144B1 (ko) * | 2019-10-14 | 2020-09-29 | 황선영 |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KR102161168B1 (ko) * | 2019-10-14 | 2020-09-29 | 황윤태 |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CN111321671A (zh) * | 2020-03-16 | 2020-06-23 |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 用于工程桥梁桩柱结构建造的施工方法 |
KR20210119753A (ko) * | 2020-03-25 | 2021-10-06 | 양태선 | 주행형 pc 거더 운반용 대차 |
KR102348001B1 (ko) * | 2020-03-25 | 2022-01-05 | 양태선 | 주행형 pc 거더 운반용 대차 |
CN115323936A (zh) * | 2022-09-05 | 2022-11-11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用于支撑桥梁的支撑胎架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9028B1 (ko) |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 |
KR101718376B1 (ko) | 스태커 크레인 및 그 운용 방법 | |
EP3309298A1 (en) | Travelling mechanism for bridge detection vehicle, and bridge detection vehicle | |
US9121140B2 (en) | Low profile material handling system | |
KR101659500B1 (ko) | 교량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 |
CN104481561A (zh) | 隧道拱架运输安装一体车 | |
JP5815432B2 (ja) | 資材運搬装置及び資材運搬方法 | |
JP2017218865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取替位置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の移動方法 | |
KR102019014B1 (ko) | 구조물 이송장치 | |
JP2009114751A (ja) | 送出し装置及び送出しシステム | |
JP4270401B2 (ja) | 鉄道用保守車両 | |
JP2011174253A (ja) | 船搬送装置 | |
JP2004115174A (ja) | 部材架設用移動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橋梁部材架設方法 | |
JP3904474B2 (ja) | 床版の架設工法および架設装置 | |
JPH06206613A (ja) | 搬送装置 | |
JP2007045287A (ja) | 搬送用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 |
KR101213377B1 (ko) | 교량 상판의 리프트-런칭 공법 및 이를 위한 리프트-런칭 장치 | |
JP2016204148A (ja) | 岸壁クレーンおよび物流ターミナル | |
GB2287928A (en) | Loading and unloading of aircraft | |
CN204689008U (zh) | 轴系部件的移动支撑装置 | |
KR101523530B1 (ko) | 철도의 콘크리트도상 타설용 믹서트럭 대차 | |
JP4191846B2 (ja) | 工事用車両昇降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
JP3980772B2 (ja) | 重量構造物の撤去及び据付方法 | |
KR101971235B1 (ko) | 터널의 풍도슬래브 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 |
JP2016190538A (ja) | 軌陸車の転車台操作規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