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88783B1 -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83B1
KR101688783B1 KR1020160129925A KR20160129925A KR101688783B1 KR 101688783 B1 KR101688783 B1 KR 101688783B1 KR 1020160129925 A KR1020160129925 A KR 1020160129925A KR 20160129925 A KR20160129925 A KR 20160129925A KR 101688783 B1 KR101688783 B1 KR 10168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piece
bending
roller
c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진
Original Assignee
케이디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유닛(100);에 의한 피가공물(10)의 수평 이동으로 해당 피가공물 선단을 본체유닛(200);에 진입시켜 클램프하고, 상기 본체유닛 상에는 연직 하방으로 왕복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본체유닛 전후방에 대한 무게 중심을 구축하여 안정감 있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유닛(300);과, 거치유닛에 결부되어 밴딩 실시할 피가공물의 자유 회전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유닛(400);과, 회전유닛으로부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구동이 병행되도록 회전유닛 전방에 장착되는 제1밴딩유닛(500);과, 제1밴딩유닛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가변을 위하여 채용되는 제2밴딩유닛(600);과, 제2밴딩유닛에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면서 피가공물의 선단을 취부하는 제3밴딩유닛(700);을 순차 결합시켜 제2밴딩유닛(600)에 의한 수평구동, 제3밴딩유닛(700)에 의한 수직구동, 회전유닛(400)을 통한 제1밴딩유닛(500)의 회전구동이 피가공물(10)에 부여되게 함으로써 주어진 밴딩 지름에 따른 전방위 위치의 가변으로 밴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밴딩유닛(700)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4면입체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812), 실린더(814) 및 피스톤(816)을 포함하는 구동부(810); 상기 구동부(810)의 피스톤(816)이 관통되어 구동력을 슬라이드부(830)로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20); 상기 가이드부(820)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4면에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830); 및 상기 가이드부(820)와 상기 슬라이드부(830)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의 외형을 이루도록 양측면과 상,하면을 폐쇄하는 하우징(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방평면롤러는 피가공물의 클램프와 대향되는 측방이 절단되어 평면을 이루고 있어 종전에 원형을 이루는 롤러보다 피가공물의 전단부측 밴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절감과 비용절감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둘째, 4면입체클램프는 피가공물 전단부를 4면에서 입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종전보다 고정의 정확도와 견고함을 높일 수 있어 피가공물이 느슨해지거나 빠짐으로써 발생하는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4면입체클램프는 4면에서 죠 방식으로 고정하는 타입이므로 피가공물의 형상,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종래 피가공물의 형상이나 두께에 따라 고정블럭을 교환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A BENDING DEVICE HAVING A 4-DIMENTIONAL CLAMP AND A ROLLER WITH LATERAL PLANE}
본 발명은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면에서 피가공물을 압박하여 위치 고정하게 하는 4면입체클램프와 측방이 절단되어 평면을 가지는 롤러를 구비하여 효율적인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는 물론 자동차의 행거아암, 설비, 건설 등의 작업현장에서 공압 또는 유압 방식에 의한 다양한 배관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배관 작업시 해당 파이프(pipe)를 필요로 하는 각도만큼 밴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파이프를 밴딩하는 밴딩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그 쓰임새가 널리 확대되고 있는바, 파이프의 직경이 작거나 강도가 약한 알루미늄, 동관 등의 파이프일 경우에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여 밴딩이 실시되고,반면 강도가 높은 철관 등을 소재로 한 파이프일 경우에는 일정 열을 가하여 밴딩하거나 또는 별도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밴딩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에서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주로 18m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의 밴딩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롤러 사이에 파이프를 삽입하고 이들 롤러를 지지점으로 하여 작업자의 인력으로써 파이프를 밴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파이프의 밴딩을 순전히 작업자의 인력에만 의존하는 것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밴딩 각도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작업자가 파이프의 밴딩 각도만큼 매번 움직이면서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동선에 따른 작업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나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한 파이프 밴딩 장치도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밴딩 장치에 관련하여서는 그 일례로 국내 특허등록 제8417호가 있다. 이는, 실린더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소형 금속파이프를 밴딩토록 하는 기술사상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피가공물을 밴딩하기 위한 밴딩기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종래의 대다수 밴딩기는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는 모형체가 고정된 구조로 제공되고 있으며, 해당 롤러가 모형체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밴딩하거나, 해당 롤러가 고정되고 모형체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밴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는 원형을 이루고 이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는 통상 2면 즉 상, 하의 고정블록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우고 이를 조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밴딩기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197호(공고일자: 2013년03월25일)는 공급유닛(100);에 의한 피가공물(10)의 수평 이동으로 해당 피가공물 선단을 본체유닛(200);에 진입시켜 클램프하고, 상기 본체유닛 상에는 연직 하방으로 왕복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본체유닛 전후방에 대한 무게 중심을 구축하여 안정감 있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유닛(300);과, 거치유닛에 결부되어 밴딩 실시할 피가공물의 자유 회전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유닛(400);과, 회전유닛으로부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구동이 병행되도록 회전유닛 전방에 장착되는 제1밴딩유닛(500);과, 제1밴딩유닛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가변을 위하여 채용되는 제2밴딩유닛(600);과, 제2밴딩유닛에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면서 피가공물의 선단을 취부하는 제3밴딩유닛(700);을 순차 결합시켜 제2밴딩유닛(600)에 의한 수평구동, 제3밴딩유닛(700)에 의한 수직구동, 회전유닛(400)을 통한 제1밴딩유닛(500)의 회전구동이 피가공물(10)에 부여되게 함으로써 주어진 밴딩 지름에 따른 전방위 위치의 가변으로 밴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에 대한 회전 전환으로 절곡 범위의 다양성을 갖는 밴딩머신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밴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롤러는 원형을 이루고 있어 그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피가공물의 전단부측을 가공할 수 없어 밴딩되지 못한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를 절단해 내야 하는 등 자재와 비용 측면에 비효율적이며, 절단작업을 따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시간, 노동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는 상,하에 위치하는 고정블록 사이에 피가공물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하 고정만으로는 피가공물이 빠지는 경우가 생길수 있어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클램프는 상,하에서 조여 고정하는 타입으로 피가공물의 형상 등에 따라 고정블록을 교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7197호(공고일자: 2013년03월25일)
본 발명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롤러는 원형을 이루고 있어 그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피가공물의 전단부측을 가공할 수 없어 밴딩되지 못한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를 절단해 내거나 하는 등으로 자재와 비용 측면에 비효율적이며, 절단작업을 따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시간, 노동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종래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는 상,하에 위치하는 고정블록 사이에 피가공물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하 고정만으로는 피가공물이 빠지거나 느슨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수 있어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상기 클램프는 상,하에서 조여 고정하는 타입으로 피가공물의 형상 등에 따라 고정블록을 교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는, 공급유닛;에 의한 피가공물의 수평 이동으로 해당 피가공물 선단을 본체유닛;에 진입시켜 클램프하고, 상기 본체유닛 상에는 연직 하방으로 왕복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본체유닛 전후방에 대한 무게 중심을 구축하여 안정감 있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유닛;과, 거치유닛에 결부되어 밴딩 실시할 피가공물의 자유 회전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유닛;과, 회전유닛으로부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구동이 병행되도록 회전유닛 전방에 장착되는 제1밴딩유닛;과, 제1밴딩유닛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가변을 위하여 채용되는 제2밴딩유닛;과, 제2밴딩유닛에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면서 피가공물의 선단을 취부하는 제3밴딩유닛;을 순차 결합시켜 제2밴딩유닛에 의한 수평구동, 제3밴딩유닛에 의한 수직구동, 회전유닛을 통한 제1밴딩유닛의 회전구동이 피가공물에 부여되게 함으로써 주어진 밴딩 지름에 따른 전방위 위치의 가변으로 밴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밴딩유닛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4면입체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피스톤이 관통되어 구동력을 슬라이드부로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4면에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스톤이 관통되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바디; 상기 가이드바디 양측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측방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바디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방가이드;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안착되고, 좌우측면과 상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바디; 상기 슬라이드바디의 상부 측면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측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외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드바디의 중앙부측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롯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하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 및 상면 각각의 중앙부와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100)은 측방평면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평면롤러는, 양측에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면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중앙부를 관통하는 외부롤러; 및 상기 외부롤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가 중앙부를 관통하여 회동하는 내부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롤러는 원형의 외부면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이 양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롤러의 평면은 상기 4면입체클램프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측방평면롤러는 피가공물의 클램프와 대향되는 측방이 절단되어 평면을 이루고 있어 종전에 원형을 이루는 롤러보다 피가공물의 전단부측 밴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절감과 비용절감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둘째, 4면입체클램프는 피가공물 전단부를 4면에서 입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종전보다 고정의 정확도와 견고함을 높일 수 있어 피가공물이 느슨해지거나 빠짐으로써 발생하는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4면입체클램프는 4면에서 죠 방식으로 고정하는 타입이므로 피가공물의 형상,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종래 피가공물의 형상이나 두께에 따라 고정블럭을 교환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밴딩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 구성요소의 결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의 작동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통해 벤딩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밴딩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 구성요소의 결합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의 작동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측방평면롤러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에 있어서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통해 벤딩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밴딩기는 롤러가 원형을 이루고 있어 그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피가공물의 전단부측을 가공할 수 없어 밴딩되지 못한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를 절단해 내야 하는 등 자재와 비용 측면에 비효율적이며, 절단작업을 따로 수행하여야 하는 등의 시간, 노동력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는 상,하에 위치하는 고정블록 사이에 피가공물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하 고정만으로는 피가공물이 빠지는 경우가 생길수 있어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클램프는 상,하에서 조여 고정하는 타입으로 피가공물의 형상 등에 따라 고정블록을 교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4면입체클램프와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토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800) 및 측방평면롤러(900)를 구비한 밴딩장치는 공급유닛(100);에 의한 피가공물(10)의 수평 이동으로 해당 피가공물 선단을 본체유닛(200);에 진입시켜 클램프하고, 상기 본체유닛 상에는 연직 하방으로 왕복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본체유닛 전후방에 대한 무게 중심을 구축하여 안정감 있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유닛(300);과, 거치유닛에 결부되어 밴딩 실시할 피가공물의 자유 회전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유닛(400);과, 회전유닛으로부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구동이 병행되도록 회전유닛 전방에 장착되는 제1밴딩유닛(500);과, 제1밴딩유닛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가변을 위하여 채용되는 제2밴딩유닛(600);과, 제2밴딩유닛에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면서 피가공물의 선단을 취부하는 제3밴딩유닛(700);을 순차 결합시켜 제2밴딩유닛(600)에 의한 수평구동, 제3밴딩유닛(700)에 의한 수직구동, 회전유닛(400)을 통한 제1밴딩유닛(500)의 회전구동이 피가공물(10)에 부여되게 함으로써 주어진 밴딩 지름에 따른 전방위 위치의 가변으로 밴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밴딩유닛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4면입체클램프(800)를 포함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812), 실린더(814) 및 피스톤(816)을 포함하는 구동부(810); 상기 구동부(810)의 피스톤(816)이 관통되어 구동력을 슬라이드부(830)로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20); 상기 가이드부(820)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4면에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830); 및 상기 가이드부(820)와 상기 슬라이드부(830)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의 외형을 이루도록 양측면과 상,하면을 폐쇄하는 하우징(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100)은 측방평면롤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배경기술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유닛(100)은 최초 밴딩 가공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피가공물(10)의 위치를 특정하고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 이동식 선반(110)에 결부된 멘드렐(120)을 수평 이동시켜 피가공물의 내측 공간으로 해당 멘드렐의 선단부가 진입되게 함으로써 밴딩 가공시 우려되는 함몰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812)(101)의 작동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는 스크류(102)와, 스크류 상에 개재되고 스크류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평 위치가 가변되는 이동부싱(103)과, 이동부싱의 상방에서 고정 장착되어 수평 방향에 대해 위치 이동되고 가이드레일(104)에 구속된 가이드부(820)재(105)를 저면 상에 일체형으로 구비한 선반(110)과, 선반의 상측을 통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피가공물(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출되는 멘드렐(120)을 포함하되, 상기 멘드렐의 단부에는 상하 공간으로 서로 이격 배치시킨 복수의 구동롤러(121)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멘드렐(120)이 진입된 피가공물(10)은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의 위치는 후술할 제3밴딩유닛(700)의 모형체(711)가 배치된 근접 지점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급유닛(100)에 롤러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롤러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밴딩이 되지 않는다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측방을 평면으로 절단해 내어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에 종래보다 가깝게 접근시킴으로써 밴딩되지 못하는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할 수 있어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또한 내부에 내부롤러(950)를 장착하여 상기 롤러의 기능 즉 안정적인 피가공물의 공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하에서 그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본다.
상기 측방평면롤러(900)는, 양측에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910); 상기 양측 지지면의 상부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샤프트(920); 상기 샤프트(92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원형의 외부면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이 형성되는 외부롤러(930); 상기 양측 지지면과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외부롤러(930)를 관통하며 고정 연결되어 상기 외부롤러(93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외부롤러고정부(940); 및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롤러(930)의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과 중심간의 거리보다 짧은 반지름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920)가 중앙부를 관통하여 회동하는 내부롤러(950);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910)는, 상기 측방평면롤러(900)의 하부와 양측면을 구성하며, 상기 외부롤러(930)와 상기 내부롤러(950)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체(910)는 양측에 지지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양측 지지면을 가로지르는 샤프트(920)에 상기 내부롤러(950) 및 상기 외부롤러(930)가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910)는 하우징(84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체(910)는 상기 공급유닛(100)의 일단부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하부는 상기 공급유닛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920)는, 상기 내부롤러(950)가 롤러의 기능을 다하도록 상기 내부롤러(950)를 회동할 수 있도록 지탱하는 축의 기능을 한다. 상기 샤프트(920)는 상기 지지면의 상부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내부롤러(950)와 상기 외부롤러(93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외부롤러(930)는, 피가공물(10)이 상기 외부롤러(930)의 사이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내부롤러(950)를 사이에 두고 있다. 즉 상기 외부롤러(930) 세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각 외부롤러(930) 사이에 상기 내부롤러(950)가 배치되며, 상기 내부롤러(950) 상부 즉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에 피가공물(10)이 삽입되어 상기 내부롤러(950)가 롤링되면서 피가공물(10)이 공급된다.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에 피가공물이 끼인채로 공급되므로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와 대응되는 반대편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피가공물을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장치없이 상기 외부롤러(930)만으로 피가공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외부롤러(930)의 측면을 절단하여 평면을 만들어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와의 거리를 짧게하여 밴딩되지 않는 부분을 짧게 하여 효과적인 밴딩을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외부롤러고정부(940)는, 상기 외부롤러(930)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롤러의 경우 외부롤러(930)와 내부롤러(950)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롤러만을 두고 있어 이러한 외부롤러고정부(940)가 필요치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내부롤러(950)를 회동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외부롤러(930)는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내부롤러(950)가 회동하여 피가공물(10)을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롤러(930)는 피가공물(10)을 안정되도록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롤러(930)는 별도로 회전할 필요 없으므로 상기 외부롤러고정부(940)를 통해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롤러(9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10)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내부롤러(950)는 상기 외부롤러(930)의 사이에 위치하여 피가공물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외부롤러(930)는 외측면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이 측면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외부롤러(930)의 평면은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롤러(930)의 평면은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에 대향하는 측뿐만 아니라 그 대응하는 반대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부롤러(930)는 평면과 중심간의 거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원의 반지름보다 작아 종래 밴딩이 되지 않는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짧게 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이다.
상기 제3밴딩유닛(700)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4면입체클램프(800)를 포함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812), 실린더(814) 및 피스톤(816)을 포함하는 구동부(810); 상기 구동부(810)의 피스톤(816)이 관통되어 구동력을 슬라이드부(830)로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20); 상기 가이드부(820)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4면에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830); 및 상기 가이드부(820)와 상기 슬라이드부(830)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의 외형을 이루도록 양측면과 상,하면을 폐쇄하는 하우징(840);을 포함한다.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종래 피가공물(10)의 상,하면만을 고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밴딩작업 중의 느슨함 등의 발생으로 생기는 문제점과 피가공물(10)의 형상 등에 따라 고정장치를 교환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밴딩을 위해 제안되었다.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상,하 뿐만 아니라 양 측면에서 압박하여 피가공물을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이하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810)는,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810)는, 모터(812), 실린더(814) 및 피스톤(8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812)는 통상의 모터(812)와 그 구조와 기능을 같이하는 바 관련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쉽게 구조와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바 별도의 설명은 제외한다. 상기 실린더(814)와 피스톤(816)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상기 피스톤(816)의 경우 두부가 피스톤(816)의 바디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피스톤(816)이 후방으로 유동할 때 상기 피스톤(816) 두부에 가이드바디(822)가 걸려 상기 가이드바디(822)가 같이 유동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가이드바디(822)에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측방슬라이더(834)와 상방슬라이더(836)가 측방 및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부(820)는, 상기 슬라이드부(830)를 측방 과 상방으로 밀어 피가공물을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820)는, 상기 피스톤(816)이 관통되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바디(822); 상기 가이드바디(822) 양측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측방가이드(824); 및 상기 가이드바디(822)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방가이드(826);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822)는, 상기 측방가이드(824)와 상기 상방가이드(826)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피스톤(816)의 후방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드부(8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디(822)는 상기 피스톤(816)이 관통되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816)의 두부는 상기 관통되는 홀보다 커서 상기 피스톤(816)의 바디만 관통되어 전진 후진을 할 수 있고, 상기 피스톤(816) 두부는 상기 가이드바디(822) 전방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바디(822) 후방에 모터(812) 및 실린더(814)가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816)의 바디가 상기 가이드바디(822)를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바디(822)의 전방에 상기 피스톤(816) 두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816)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816) 두부에 걸린 상기 가이드바디(822)도 피스톤(816)을 따라 후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방가이드(824)는,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를 내측으로 전진하게 하여 피가공물(10)을 조이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상기 측방가이드(824)는, 상기 가이드바디(822) 양측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 지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상기 가이드바디(822)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디(822)가 상기 피스톤(816)에 의해 후진하면, 상기 측방가이드(824)도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방가이드(824)는 말단부 내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측방슬라이더(834)에 형성된 경사와 슬라이딩 되게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측방가이드(824)가 후진하면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전후방의 움직임은 불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측방향의 움직이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를 타고 내부로 전진 즉 양측방에서 중심으로 전진하게 되면서 피가공물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방가이드(824)는 한 쌍인바, 본 발명은 한번에 두 개의 피가공물을 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의 상기 내부롤러(950)도 두 개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측방가이드(824)도 한 쌍으로 형성하여 상기 한쌍의 측방가이드(824) 중앙에 위치고정부재(838)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러한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일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가이드(824) 중 하나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타측면과 상기 한 쌍의 측방가이드(824) 중 나머지 사이에 피가공물이 삽입되어 상기 측방가이드(824)가 측방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방향으로 조여지면서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상방가이드(826)는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를 상방으로 전진하게 하여 피가공물(10)을 압박 고정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방가이드(826)는, 상기 가이드바디(822)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 지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상술한 상기 측방가이드(824)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바디(822)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바디(822)가 상기 피스톤(816)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하면, 상기 상방가이드(826)도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방가이드(826)의 경사면과 슬라이딩 되도록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진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상방향의 움직임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상방가이드(826)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피가공물(10)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방가이드(826)도 한 쌍으로 형성되어 피가공물 두 개를 한 번에 밴딩 작업할 수 있게 제공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상방가이드(826) 중 하나의 일측면과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일측면 사이에 피가공물(10)이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상방가이드(826) 중 나머지 일측면과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타측면 사이에 피가공물(10)이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방향으로 상기 상방가이드(826)가 상승하여 상기 피가공물(10)을 조이게 됨으로써 위치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가이드부(820)의 가이드에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피가공물(10)을 조여 위치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하우징(840)의 저면에 안착되고, 좌우측면과 상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바디(832);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상부 측면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측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외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중앙부측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하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836); 및 상기 하우징(840) 상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피스톤(816) 진행의 전후 방향으로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840) 하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836)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8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디(832)는,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840)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840)과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바디(832)는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820)가 후방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측방슬라이더(834)와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를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측방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피가공물을 압박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상부 측면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측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외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상기 측방슬라이더(834)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유동할 수 있는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로트를 관통하는 볼트로 상기 측방슬라이더(834)와 상기 슬라이드바디(832)를 연결한다. 이로써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와 연결되면서도 상기 슬로트의 길이만큼 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슬라이드바디(832)가 상기 하우징(8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도 전후방의 움직임은 없고, 측방향의 움직임만이 허용된다. 또한 타단부는 경사를 형성하되 외측에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방가이드(824)의 경사와 대응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작동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816)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820)가 후진하면 상기 측방가이드(824)도 후진하게 되고, 상기 측방슬라이드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와 연결되어 측방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측방가이드(824)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되는 상기 측방슬라이더(834) 경사면이 슬라딩되면서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양측방에서 내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피가공물(10)을 조이게 된다. 또한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는 한 쌍으로 이루어 짐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와의 사이에서 두 개의 피가공물을 한 번에 밴딩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상기 상방가이드(826)와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피가공물을 압박하면서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중앙부측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하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중앙부에 한 쌍이 연결되되, 연결되는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슬로트를 통해 볼트가 관통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와 상기 상방슬라이더(836)가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에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를 연결하면서도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슬로트의 길이만큼 유격을 가짐으로서 상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방슬라이더(836)의 타단부는 하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방가이드(826)의 경사면과 대응되게 된다. 즉 상기 상방가이드(826)의 경사면과 상기 상방슬라이더(836)의 경사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방가이드(826)가 상기 피스톤(816)에 의해 후진하는 경우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는 전후진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상기 상방가이드(826)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상방슬라이더(836) 상면과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하면 사이에 피가공물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방슬라이더(836)가 상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상기 위치고정부재(838)는 상기 하우징(84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피가공물이 압박되면서 위치고정을 이루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838)는, 상기 측방슬라이더(834)와 상기 상방슬라이더(836) 사이에 피가공물을 위치고정시키도록 상기 하우징(840)에 고정된 부재이다. 상기 위치고정부재(838)는, 상기 하우징(840) 상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피스톤(816) 진행의 전후 방향으로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840) 하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836)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고정부재(838)는 상기 하우징(840)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측방슬라이더(834)와 상기 상방슬라이더(836)가 각각 측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을 조일 수 있도록 대향되는 측에서 고정된 벽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피가공물은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위치고정부재(838) 수직플레이트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또다른 피가공물은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중 나머지와 상기 위치고정부재(838) 수직플레이트의 타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한쌍의 상방슬라이더(836)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수평플레이트 사이에 피가공물을 위치하게 하고, 나머지 상기 상방슬라이더(836)와 상기 위치고정부재(838)의 수평플레이트 사이에 피가공물을 위치하게 하여, 상기 측방슬라이더(834)를 양측방에서 내부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상방슬라이더(836)를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하게 되면 상기 피가공물이 4면에서 입체적으로 압박되면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에 상하방에서만 압박하여 위치고정하는 것에 비해 정확하고 단단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는, 측방평면롤러는 피가공물의 클램프와 대향되는 측방이 절단되어 평면을 이루고 있어 종전에 원형을 이루는 롤러보다 피가공물의 전단부측 밴딩되지 못하는 부분을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절감과 비용절감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4면입체클램프는 피가공물 전단부를 4면에서 입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종전보다 고정의 정확도와 견고함을 높일 수 있어 피가공물이 느슨해지거나 빠짐으로써 발생하는 밴딩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4면입체클램프는 4면에서 죠 방식으로 고정하는 타입이므로 피가공물의 형상,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종래 피가공물의 형상이나 두께에 따라 고정블럭을 교환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 4면입체클램프 810: 구동부
820: 가이드부 822: 가이드바디
824: 측방가이드 826: 상방가이드
830: 슬라이드부 832: 슬라이드바디
834: 측방슬라이더 836: 상방슬라이더
838: 위치고정부재 840: 하우징
900: 측방평면롤러 910: 지지체
920: 샤프트 930: 외부롤러
940: 외부롤러고정부 950: 내부롤러

Claims (5)

  1. 공급유닛(100);에 의한 피가공물(10)의 수평 이동으로 해당 피가공물 선단을 본체유닛(200);에 진입시켜 클램프하고, 상기 본체유닛 상에는 연직 하방으로 왕복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본체유닛 전후방에 대한 무게 중심을 구축하여 안정감 있는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거치유닛(300);과, 거치유닛에 결부되어 밴딩 실시할 피가공물의 자유 회전을 실시하기 위한 회전유닛(400);과, 회전유닛으로부터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구동이 병행되도록 회전유닛 전방에 장착되는 제1밴딩유닛(500);과, 제1밴딩유닛의 전방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가변을 위하여 채용되는 제2밴딩유닛(600);과, 제2밴딩유닛에 장착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실시되면서 피가공물의 선단을 취부하는 제3밴딩유닛(700);을 순차 결합시켜 제2밴딩유닛(600)에 의한 수평구동, 제3밴딩유닛(700)에 의한 수직구동, 회전유닛(400)을 통한 제1밴딩유닛(500)의 회전구동이 피가공물(10)에 부여되게 함으로써 주어진 밴딩 지름에 따른 전방위 위치의 가변으로 밴딩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밴딩유닛(700)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4면입체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800)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모터(812), 실린더(814) 및 피스톤(816)을 포함하는 구동부(810);
    상기 구동부(810)의 피스톤(816)이 관통되어 구동력을 슬라이드부(830)로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부(83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20);
    상기 가이드부(820)에 대응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4면에서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슬라이드부(830); 및
    상기 가이드부(820)와 상기 슬라이드부(830)가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4면입체클램프의 외형을 이루도록 양측면과 상,하면을 폐쇄하는 하우징(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820)는,
    상기 피스톤(816)이 관통되는 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바디(822);
    상기 가이드바디(822) 양측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내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측방가이드(824); 및
    상기 가이드바디(822)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방가이드(8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830)는,
    상기 하우징(840)의 저면에 안착되고, 좌우측면과 상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바디(832);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상부 측면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측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외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상기 슬라이드바디(832)의 중앙부측에 일단부가 삽입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슬로트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하부측에 경사를 형성하여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836); 및
    상기 하우징(840) 상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상기 피스톤(816) 진행의 전후 방향으로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840) 하면 중앙부와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측방슬라이더(834) 사이 및 상기 한 쌍의 상방슬라이더(836)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일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838);를 포함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00)은 측방평면롤러(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방평면롤러(900)는,
    양측에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910);
    상기 양측 지지면의 상부에 각각 양단부가 연결되는 샤프트(920);
    상기 샤프트(920)가 중앙부를 관통하며, 원형의 외부면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이 형성되는 외부롤러(930);
    상기 양측 지지면과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외부롤러(930)를 관통하며 고정 연결되어 상기 외부롤러(93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외부롤러고정부(940); 및
    상기 외부롤러(9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롤러(930)의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평면과 중심간의 거리보다 짧은 반지름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920)가 중앙부를 관통하여 회동하는 내부롤러(9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롤러(930)의 평면은 상기 4면입체클램프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KR1020160129925A 2016-10-07 2016-10-07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Active KR10168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25A KR101688783B1 (ko) 2016-10-07 2016-10-07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925A KR101688783B1 (ko) 2016-10-07 2016-10-07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783B1 true KR101688783B1 (ko) 2016-12-21

Family

ID=5773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925A Active KR101688783B1 (ko) 2016-10-07 2016-10-07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1289A (zh) * 2018-07-02 2018-12-11 湖州普瑞管业有限公司 一种金属管件高精度折弯加工系统及其方法
KR102653611B1 (ko) 2023-10-23 2024-04-02 주식회사 엠케이코어텍 밴딩머신
KR20250058921A (ko) 2023-10-24 2025-05-02 박정현 밴딩머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30B1 (ko) * 2006-12-19 2007-07-20 (주)세화씨엔씨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방법
KR101247197B1 (ko) 2012-08-17 2013-03-25 류성진 2축에 대한 회전 전환으로 절곡 범위의 다양성을 갖는 범용 밴딩머신
KR20130118334A (ko) * 2010-12-02 2013-10-29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롤 스탠드의 실린더 및/또는 클러스터를 교환하기 위한 장비 및 방법, 록킹 및 클램핑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
KR101649609B1 (ko) * 2009-12-21 2016-08-19 서울디엔에스 주식회사 금속 스트립 벤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30B1 (ko) * 2006-12-19 2007-07-20 (주)세화씨엔씨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벤딩방법
KR101649609B1 (ko) * 2009-12-21 2016-08-19 서울디엔에스 주식회사 금속 스트립 벤딩장치
KR20130118334A (ko) * 2010-12-02 2013-10-29 지멘스 바이 메탈스 테크놀로지 에스에이에스 롤 스탠드의 실린더 및/또는 클러스터를 교환하기 위한 장비 및 방법, 록킹 및 클램핑 시스템, 그리고 그러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롤 스탠드
KR101247197B1 (ko) 2012-08-17 2013-03-25 류성진 2축에 대한 회전 전환으로 절곡 범위의 다양성을 갖는 범용 밴딩머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1289A (zh) * 2018-07-02 2018-12-11 湖州普瑞管业有限公司 一种金属管件高精度折弯加工系统及其方法
KR102653611B1 (ko) 2023-10-23 2024-04-02 주식회사 엠케이코어텍 밴딩머신
KR20250058921A (ko) 2023-10-24 2025-05-02 박정현 밴딩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00331B2 (en) Bending device for bending machine
KR101688783B1 (ko) 4면입체클램프 및 측방평면롤러를 구비한 밴딩장치
CN216369666U (zh) 一种自动弯管机
KR101441053B1 (ko) 선반(旋盤)용 동환봉가공장치
KR20120133939A (ko) 포터블 보링 머신
JP5389732B2 (ja) 棒材切断機
KR101606437B1 (ko) 금속판재의 브이홈 가공 자동절삭장치
US20170129094A1 (en) Adapters for chain pipe vises
CN107442963B (zh) 焊接设备
CN220196399U (zh) 一种手推车推杆端部开孔定位装置
CN105881059A (zh) 一种铣床夹具
KR101375533B1 (ko) 멀티 바이스
KR20120001182A (ko) 전동톱
KR101580832B1 (ko) 플랜지 타각 장치
CN106334812B (zh) 一种台式钻床
CN204339201U (zh) 蹄铁滚筒式自动焊接机
CN217493494U (zh) 开槽加工用工装
CN111790780A (zh) 一种薄铁皮异形件连续折弯机
CN217317054U (zh) 一种高压钢管定位工装
CN220498296U (zh) 一种钣金件焊接夹具
CN218080803U (zh) 一种齿轮线切割用夹具
CN222885932U (zh) 工件加工中心
CN221984426U (zh) 一种铁管用铣床
CN217044721U (zh) 一种自动送料夹紧装置
KR101932737B1 (ko) 슈퍼차저 하우징 검사용 고정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