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87749B1 - 거품형 샴푸 - Google Patents

거품형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749B1
KR101687749B1 KR1020150086525A KR20150086525A KR101687749B1 KR 101687749 B1 KR101687749 B1 KR 101687749B1 KR 1020150086525 A KR1020150086525 A KR 1020150086525A KR 20150086525 A KR20150086525 A KR 20150086525A KR 101687749 B1 KR101687749 B1 KR 10168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am
parts
component
shampo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강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린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린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린화장품
Priority to KR102015008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7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특정한 세정성분(계면활성제) 및 정발성분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거품이 풍부하게 형성되어, 적은 양의 샴푸를 사용할 수 있어 모발을 상하게 하거나, 피부에 트러블이 생기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탈모방지 및 양모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거품형 샴푸{Bubble-type shampoo}
본 발명은 거품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탈모 방지 및 양모 효과가 우수한 거품형 샴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는 액체로 되어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액체형 샴푸는 거품이 풍부하지 못하여 한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 문제뿐만 아니라, 두피에 많은 양의 샴푸가 접촉하게 되고 거품을 직접 내야 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직접 거품을 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샴푸 이외에 무스, 염색약, 손세정제, 바디워셔(목욕용), 클렌징 제품 등은 폼 형태의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무스 및 염색약은 가스를 사용하여 거품을 형성하고, 손세정제, 바디워셔(목욕용) 및 클렌징 제품은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거품형태의 제품을 사용하나, 상기 대다수 제품들은 약알칼리성이어서, 이와 같은 제품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중성 또는 약산성인 샴푸에 적용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9-0044230호는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모발 스타일링 중합체, 비극성 휘발성 용매 및 물을 포함함으로써, 개선된 세정, 거품형성 및 스타일링 잇점을 갖는 모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거품성 및 세정성은 제공하고 있으나, 특정 성분의 정발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가스 없이도 거품이 풍부하게 형성되는 점은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6998호는 탈모 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에 관한 것이나, 탈모 방지뿐만 아니라, 거품형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은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9-0044230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069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한 세정성분(계면활성제)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거품을 풍부하게 형성하는 거품형 샴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특정한 정발성분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하나, 거품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탈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양모 효과를 주는 거품형 샴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코카마이드엠이에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 및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성분; 및 피이지-12 디메치콘,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폴리쿼터늄-7 및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발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특정한 세정성분(계면활성제)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거품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샴푸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한 정발성분을 일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거품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탈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양모 효과를 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세정성분을 특정 함량비로 사용함으로써, 거품을 풍성하게 형성하고, 상기 풍성한 거품으로 인해 머리카락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샴푸의 양을 적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와의 접촉량이 작아지므로 모발을 상하게 하거나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거품형 샴푸의 거품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거품형 샴푸의 거품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서는 거품이 풍부하고, 탈모를 방지 및 양모 효과가 있는 거품형 샴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세정성분 및 정발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탈모방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성분은 계면활성제로,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샴푸용기를 사용하더라도 거품이 풍성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세정성분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코카마이드엠이에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마이드디이에이 및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풍부한 거품 형성을 위해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특히 유리하기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를 모두 포함할 경우에 거품 형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은 코코넛오일이나 이로부터 얻은 지방산에 디메칠아미노프로필아민(Dimethylaminopropylamine)으로 중화하여 얻은 것으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활용되는 성분이다.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각 물질의 계면에 흡착하여 잘 섞이도록 하는 활성물질 역할을 하며, 부드러운 거품을 형성하고 세정력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모발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매끈하고 건강한 모발 관리에 관여하며 모발의 정전기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은 유효성분 30% 기준으로 전체 세정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43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이 풍부하지 않을 수 있으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Triethanolamine Cocoyl Glutamate)는 계면활성제 또는 헤어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화장품의 산도를 조절하고 부드러운 거품을 형성한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는 유효성분 30% 기준으로 전체 세정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4 내지 18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이 잘 형성되지 않고 모발의 정전기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의 탄력이 저하되며, 피부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다.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Sodium C14-16 Olefin Sulfonate)는 주로 C14-16으로 된 α-올레핀을 무수황산으로 설폰화시킨 다음 같은 양의 수산화나트륨을 넣어 중화하여 얻은 것으로, 거품을 형성하며 세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는 유효성분 35% 기준으로 전체 세정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6 내지 43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세발 후 모발에 뻣뻣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만족하도록 각각의 유효성분 기준으로 50 내지 65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에는 가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일반 샴푸 용기에서 펌푸를 이용하여 거품을 풍부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세정성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거품이 풍부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형 샴푸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성분은 거품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피이지-12 디메치콘,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및 폴리쿼터늄-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거품형성 억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피이지-12 디메치콘,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및 폴리쿼터늄-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특히 유리하기로는 피이지-12 디메치콘,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및 폴리쿼터늄-7를 특정 비율로 모두 포함할 경우에 거품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피이지-12 디메치콘(PEG-12 Dimethicone)은 모발의 표피가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를 부여한다. 상기 피이지-12 디메치콘은 전체 정발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5 내지 4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피이지-12 디메치콘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의 윤기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 형성이 미미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은 C13- 15알콕시그룹 및 글라이시돌과 반응한 아민 그룹으로 말단이 치환된 아모디메치콘으로, 모발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상기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은 전체 정발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35 내지 4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 형성이 억제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쿼터늄-7은 염화디메칠디알릴암모늄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의 수용액은 대전방지제, 정전기 방지제, 모발 고정제, 정발제 및 피막 형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쿼터늄-7은 전체 정발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폴리쿼터늄-7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정발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폴리쿼터늄-7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 형성이 억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발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만족하도록 2 내지 5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에 모발 컨디셔닝 효과뿐만 아니라, 거품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정발성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정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정발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세정성분 및 정발성분 뿐만 아니라 탈모 방지 및 양모 효과가 있는 탈모방지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성분은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아마이드 및 아연피리티온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퍼펩타이드 및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탈모방지 및 양모 효과를 위해서는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아마이드 및 아연피리티온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특히 유리하기로는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아마이드 및 아연피리티온액을 모두 포함할 경우에 탈모방지 및 양모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다.
비오틴(Biotin)은 피부와 두발에 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비타민 H'로 지칭된다.
상기 비오틴은 전체 탈모방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비오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가 벗겨지고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비오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형 샴푸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은 비타민 B5의 전구체로 피부를 통과해서 모낭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덱스판테놀은 전체 탈모방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덱스판테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모낭활성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덱스판테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니코틴아마이드(nicotinamide, nicotamide, niacinamide)는 니코틴산(nicotinic acid)과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를 총칭하며, 피부와 두발에 좋은 영향을 주며, B군 비타민의 하나이다.
이러한 니코틴아마아이드는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수용성 비타민 B3, 비타민 PP로 알려져 있다. 니코틴아마아이드는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꾸는데 도움이 되는 원료로 피부를 보호하고 구성성분의 산화를 막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니코틴아마이드는 전체 탈모방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니코틴아마이드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탈모 방지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니코틴아마이드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첨가되는 양에 비례하여 효과가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아연피리티온액(Zinc Pyrithione Suspension)은 살균보존제, 헤어컨디셔닝제, 비듬 및 가려운 두피 상태에 대한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보다 자세하게는 비듬, 건선, 습진 등의 피부 질환 치료 및 두피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아연피리티온액은 전체 탈모방지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아연피리티온액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두피 질환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아연피리티온액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또는 두피 등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거품형 샴푸의 물성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코퍼펩타이드(copper-peptide)는 트로코민의 주성분으로 모발성장을 촉진시켜 주며,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은 포도씨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모발주기의 성장기를 연장시키고,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성분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만족하도록 1 내지 3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에는 탈모 방지 및 양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반면에, 탈모방지성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탈모 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거품형 샴푸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형 샴푸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아스코르빅애씨드, 고삼추출물, 도인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녹차추출물, 창포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헨나추출물, 히드로라이즈드케라틴, DL-판테놀, 디소듐이디티에이, 살리실릭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세라마이드3, 멘톨, 소듐라우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향료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아스코르빅애씨드는 비타민 C를 지칭하며, 항산화 물질로 신체를 활성산소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삼추출물, 도인추출물, 구기자추출물은 모낭을 보호하여 탈모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며, 알로에베라잎즙, 녹차추출물, 창포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은 손상된 모발의 끝을 가꾸어주어 모발의 탄력과 함께 매끄럽고 윤기있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때, 첨가제는 잔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거품형 샴푸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거품형 샴푸를 제조하였다.
(중량%)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정제수 정제수 23.47 27.95 28.5 28
탈모
방지
성분
비오틴 0.08 - 0.05 0.05
니코틴산아미드 0.4 0.4 0.5 0.3
덱스판테놀 0.7 0.7 - 0.4
코퍼펩타이드 - - 0.5 0.3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 - 0.5 0.1
아연피리티온액 0.3 0.3 - 0.5
세정
성분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0%) 30 27 23 5
소듐 C14-16올레핀설폰산나트륨(35%) 20 20 - 23
트리에탄올아민코코일글루타메이트
(30%)
10 - 13 13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30%) - - 8 4
코카마이드엠이에이 - - 1.5 1.2
코카마이드디이에이 - -   1.5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30%) - 9 10 5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95%) - - - 1
프로필렌글리콜 - - - -
정발
성분
폴리쿼터늄-7 0.6 0.4 0.5 0.9
피이지-12디메치콘 1.6 1.7 - 1.5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1.3 - 1.5 1.5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 - 0.5 0.5
첨가제 아스코르빅애씨드 0.2 0.3 0.2 0.3
고삼추출물 0.3 0.3 0.3 0.3
도인추출물 0.2 0.3 0.3 0.3
구기자출물 0.3 0.3 0.3 0.2
알로에베라잎즙 0.2 0.3 0.2 0.2
녹차추출물 0.2 0.2 0.2 0.2
창포추출물 0.3 0.3 0.3 0.3
로즈마리추출물 0.2 0.2 0.2 0.2
헨나추출물 0.3 0.5 0.3 0.5
히드로라이즈드케라틴 0.3 0.3 0.3 0.3
DL-판테놀 0.5 0.5 0.5 0.5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살리실릭애씨드 0.1 0.1 0.1 0.1
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세라마이드3 0.5 0.5 0.4 0.5
멘톨 0.8 1 1.2 1
소듐라우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0.4 0.3 0.3 0.5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0.4 0.8 0.5 0.5
향료 1.0 1.0 1.0 1.0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0.3 0.3 0.3 0.3
(중량%) 성분명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정제수 정제수 13.25 25.45 18.25
탈모
방지
성분
비오틴 0.2 0.1 0.1
니코틴산아미드 0.3 0.5 -
덱스판테놀 0.8 - -
코퍼펩타이드 - 0.5 -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 0.1 0.6
아연피리티온액 0.3 0.1 0.5
세정
성분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30%) 40 10 27
소듐 C14-16올레핀설폰산나트륨(35%) 14 20  
트리에탄올아민코코일글루타메이트
(30%)
17 20 27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30%) - - 5
코카마이드엠이에이 - - -
코카마이드디이에이 - - 1.5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30%) - - 4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95%) - 7 3
프로필렌글리콜 - 2 0.1
정발
성분
폴리쿼터늄-7 0.2 0.5 0.5
피이지-12디메치콘 1.3 - 1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1.2 1.5 -
메칠폴리실록산에멀젼 - 0.5 0.1
첨가제 아스코르빅애씨드 0.3 0.2 0.3
고삼추출물 0.2 0.3 0.2
도인추출물 0.3 0.3 0.3
구기자출물 0.3 0.3 0.3
알로에베라잎즙 0.2 0.2 0.2
녹차추출물 0.2 0.2 0.2
창포추출물 0.3 0.3 0.3
로즈마리추출물 0.3 0.2 0.2
헨나추출물 0.5 0.5 0.5
히드로라이즈드케라틴 0.3 0.3 0.3
DL-판테놀 0.3 0.5 -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살리실릭애씨드 0.1 0.1 0.1
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세라마이드3 0.5 0.5 0.5
멘톨 0.3 0.3 0.5
소듐라우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0.9 0.9 0.6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0.3 0.3 0.3
향료 0.8 1 1.2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0.3 0.3 0.3
표 3은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건으로 거품형 샴푸를 제조하여,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거품형 샴푸를 사용한 후, 거품의 양, 탈모 방지 정도, 손상모발 개선 정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1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평균을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표 2에 기재된 수치는 피시험자들의 총점을 요원수로 나눈 후,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거품의 양 9 9 9 8 8
탈모 방지 정도 9 8 9 8 8
손상모발 개선 정도 9 8 8 9 9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거품의 양 5 6 4
탈모 방지 정도 5 5 6
손상모발 개선 정도 4 5 5
표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거품형 샴푸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의 양도 풍부하며, 탈모 방지와 손상모발 개선 정도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코코일글루타메이트, 소듐 C14-16올레핀설포네이트를 모두 포함하고, 폴리쿼터늄-7, 피이지-12디메치콘 및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을 모두 포함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고품의 양도 풍부하고, 탈모방지, 손상모발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첨가량을 벗어나거나, 추가로 다른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의 양도 많지 않으며, 탈모 방지와 손상모발 개선 정도가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및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세정성분; 및
    폴리쿼터늄-7, 피이지-12 디메치콘 및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정발성분;을 포함하고,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세정성분 50 내지 65중량% 및 정발성분 2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형 샴푸는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아마이드, 코퍼펩타이드, 올리고머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아연피리티온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형 샴푸는
    정제수 또는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아스코르빅애씨드, 고삼추출물, 도인추출물, 구기자추출물, 알로에베라잎즙, 녹차추출물, 창포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헨나추출물, 히드로라이즈드케라틴, DL-판테놀, 디소듐이디티에이, 살리실릭애씨드, 프로필렌글라이콜, 세라마이드3, 멘톨, 소듐라우로일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향료 및 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형 샴푸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탈모방지성분 1 내지 3중량% 및 추가로 정제수 20 내지 30중량% 및 첨가제 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성분은 전체 세정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효성분 30%의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40 내지 43중량부, 유효성분 30%의 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14 내지 18중량부 및 유효성분 35%의 소듐 C14-16 올레핀설포네이트 36 내지 4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발성분은 전체 정발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지-12 디메치콘 35 내지 40중량부, 비스(C13-15 알콕시)피지-아모디메치콘 35 내지 40중량부 및 폴리쿼터늄-7 20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형 샴푸.
KR1020150086525A 2015-06-18 2015-06-18 거품형 샴푸 Active KR10168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25A KR101687749B1 (ko) 2015-06-18 2015-06-18 거품형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25A KR101687749B1 (ko) 2015-06-18 2015-06-18 거품형 샴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749B1 true KR101687749B1 (ko) 2016-12-19

Family

ID=5773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25A Active KR101687749B1 (ko) 2015-06-18 2015-06-18 거품형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548B1 (ko) * 2018-07-12 2018-12-1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탈모완화용 샴푸
US20210267866A1 (en) * 2018-06-28 2021-09-02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and amphoteric surfactants, and cationic or amphoteric polymers
CN114848516A (zh) * 2022-05-13 2022-08-05 媞颂日化用品(广州)有限公司 一种含生物素三肽-1的宠物用防脱护毛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2527380B1 (ko) * 2022-12-28 2023-05-02 주식회사 키오스킨 우수한 염색력을 발휘하는 버블 타입의 샴푸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230A (ko) 1995-08-29 1999-06-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거품 발생량이 많은 스타일링 샴푸
KR20090055760A (ko) * 2007-11-29 2009-06-03 (주)센텔라 탈모방지용 마데카솔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0726A (ko) * 2008-05-20 2009-11-25 최상돈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8722A (ko) * 2008-09-05 2010-03-15 주식회사 에스이얼라이언스 태반 추출물 및 아미노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손상 개선 또는 모발보습용 조성물
KR20120051199A (ko) * 2010-11-12 2012-05-22 애경산업(주) 탈모방지 및 양모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11-30 최한섭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230A (ko) 1995-08-29 1999-06-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거품 발생량이 많은 스타일링 샴푸
KR20090055760A (ko) * 2007-11-29 2009-06-03 (주)센텔라 탈모방지용 마데카솔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20726A (ko) * 2008-05-20 2009-11-25 최상돈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28722A (ko) * 2008-09-05 2010-03-15 주식회사 에스이얼라이언스 태반 추출물 및 아미노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모발손상 개선 또는 모발보습용 조성물
KR20120051199A (ko) * 2010-11-12 2012-05-22 애경산업(주) 탈모방지 및 양모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11-30 최한섭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67866A1 (en) * 2018-06-28 2021-09-02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and amphoteric surfactants, and cationic or amphoteric polymers
KR101928548B1 (ko) * 2018-07-12 2018-12-1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탈모완화용 샴푸
CN114848516A (zh) * 2022-05-13 2022-08-05 媞颂日化用品(广州)有限公司 一种含生物素三肽-1的宠物用防脱护毛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2527380B1 (ko) * 2022-12-28 2023-05-02 주식회사 키오스킨 우수한 염색력을 발휘하는 버블 타입의 샴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0790B (zh) 包含马来酸作为有效成分的毛发用化妆品组合物
EP2756838B1 (en) Shampoo composition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20170035622A (ko) 모발용 투명 제형 조성물
CN106333901A (zh) 一种温和保湿滋养的洁面组合物
EP334422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t least two particular nonionic surfactants, at least one amphoteric surfactant and at least one particular cationic polymer
KR101687749B1 (ko) 거품형 샴푸
CN104940071A (zh) 一种温和去屑洗发露及其制备方法
EP345801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cationic polymers and liquid fatty substances chosen from fatty alco-hols and fatty esters, and cosmetic treatment process
KR101753558B1 (ko) 투인 원 헤어 샴푸 조성물
KR101626919B1 (ko) 실리콘프리 샴푸 조성물
JP2025072567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FR2714289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un mélange de polymères conditionneurs.
CN111818905A (zh) 局部组合物
US1067523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t least one nonionic surfactant, at least one amphoteric surfactant, at least one cationic polymer and at least one amphoteric polymer
KR102809026B1 (ko) 비듬 완화 두피 세정용 조성물
KR20150113672A (ko) 모발 세정용 조성물
KR20090085845A (ko) 샴푸조성물
WO2012149617A1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four surfactants, a cationic polymer and a silicone, and use thereof
KR20150146012A (ko)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KR102319233B1 (ko) 모발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102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JP4469451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983207B1 (ko) 화장품 조성물
CN109789071B (zh) 毛发护理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