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84567B1 - 광원 모듈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모듈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567B1
KR101684567B1 KR1020160060832A KR20160060832A KR101684567B1 KR 101684567 B1 KR101684567 B1 KR 101684567B1 KR 1020160060832 A KR1020160060832 A KR 1020160060832A KR 20160060832 A KR20160060832 A KR 20160060832A KR 101684567 B1 KR101684567 B1 KR 10168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ght source
source module
groov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준
Original Assignee
전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6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567B1/ko
Application filed by 전병준 filed Critical 전병준
Priority to CN201680001411.XA priority patent/CN107076371B/zh
Priority to PCT/KR2016/006793 priority patent/WO2016209038A1/ko
Priority to US15/311,383 priority patent/US10139092B2/en
Priority to JP2017563126A priority patent/JP2018518809A/ja
Priority to AU2016281399A priority patent/AU2016281399B2/en
Priority to RU2017131449A priority patent/RU2678894C1/ru
Priority to BR112017019122A priority patent/BR112017019122A2/pt
Priority to EP16814751.0A priority patent/EP3315858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567B1/ko
Priority to PH12017501619A priority patent/PH12017501619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OELD와 같은 면상발광을 하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모듈을 등기구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광원 모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접촉단자부; 일측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되며,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광원모듈부; 및 상기 등기구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와 대향해서 형성되며, 상기 광원모듈부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원 모듈 체결 장치{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본 발명은 광원 모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OELD와 같은 면상발광을 하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모듈을 탄성을 이용하여 등기구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광원 모듈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공간의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으로는, 일반적으로 광램프, 백열전구, 및 할로겐램프와 같은 실내 조명등이 실내의 천정 혹은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조명등은, 소모되는 소비전력이 크고, 발열 특성이 있으며, 수명이 약 6개월 정도로 짧아서 자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형광램프나 백열전구의 경우에는 파손의 우려가 있어 수거에 어려움이 많으며, 회수 중에 파손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도 있다.
한편,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다이오드로서, 소비전력이 적고, 발열 특성이 없는 고효율의 광원으로서, 수명 또한 약 100,000 시간으로 매우 길어서 차세대 조명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40호(2012.10.18.)는 조명등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되어 있는 원터치 버튼스위치를 눌러주는 동작으로 복수의 LED를 점등시켜서 상기 조명등 케이스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공을 통해 진열대 또는 판매대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을 조명할 수 있는 이동설치 및 휴대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일단에는 원터치 버튼스위치가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수나사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정간격으로 수납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LED와, 상기 복수의 LED 사이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수납일 각각에 하나씩 삽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복수의 배터리와, 상기 복수의 LED와 배터리 및 원터치 버튼스위치가 폐회로 상태로 납땜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있는 LED 조명본체, 상기 LED 조명본체를 분리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공부와, 상기 LED 조명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LED 각각에서 발광하는 불빛이 외부로 조명되게 하는 복수의 조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명등 케이스, 상기 조명등 케이스의 타단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LED 조명본체의 타단에 돌출된 수나사에 나사 조립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조명등 케이스의 타단을 복개하는 마감캡 및 상기 조명등 케이스에 삽입 설치된 LED 조명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LED에서 발광하는 불빛으로 진열대에 진열되어 있는 각종 상품들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등 케이스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진열대의 벽면이나 바닥에 선택적으로 고정 부착시킬 수 있는 조명등 설치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명 장치는, 가정에서 어린이나 주부 등과 같은 비숙련 자가 등기구에 전구나 LED 조명과 같은 발광 수단을 탈부착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명 장치는, 발광 수단인 LED 칩 일부가 고장 났을 시, 해당 발광 수단 일부를 교체할 수 없어 발광 수단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였으므로, 이의 교체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4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ED, OLED와 같은 면상발광을 하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모듈을 탄성을 이용하여 등기구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광원 모듈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접촉단자부; 일측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되며,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광원모듈부; 및 상기 등기구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와 대향해서 형성되며, 상기 광원모듈부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는, 상기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두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광원모듈부를 상기 삽입홈에 체결할 시에 상기 광원모듈부에 탄성을 제공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광원모듈부로 전달하는 두 개의 제1접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접촉수단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제1전원전달부재; 상기 삽입홈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모듈부와 접촉하여 전원을 상기 광원모듈부로 전달하는 접촉커버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접촉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부를 상기 삽입홈에 체결할 시에 상기 접촉커버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접촉커버부재로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접촉수단은,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접촉커버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커버부재가 상기 삽입홈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주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접촉커버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커버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원모듈부는, 두 개의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며,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해 전달해 주는 전원전달수단; 상기 슬라이드홈에 각각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될 시에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탄성을 제공하며,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제2접촉수단; 및 상기 전원전달수단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발광하기 위한 발광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접촉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전달하는 제2전원전달부재; 내부에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제2전원전달부재로 전달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재가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될 시에 상기 단자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접촉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에서 상기 단자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원모듈부는,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손가락으로 걸어서 내려 주거나 올려 주기 위한 손잡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ED, OELD와 같은 면상발광을 하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모듈을 등기구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쉽게 등기구에 발광 수단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수단인 평판형 광원모듈의 교체시 조명 전체 등기구의 탈부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 하며, 비 전문가인 일반 개인 소비자가 쉽게 탈부착 하여 사고 위험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기구 내에서 발광 수단의 좌우 위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위치 조정으로 광원의 위치 및 모듈의 소비 전력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광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수단인 LED 칩이 고장 났을 시, 해당 고장 난 LED 모듈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발광 수단을 교체함으로써 발생되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모듈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접촉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접촉단자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의 손잡이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모듈 체결 장치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모듈 체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모듈 체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 모듈 체결 장치(10)는 전원접촉단자부(100), 광원모듈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전원접촉단자부(100)는, 등기구(1)의 일측에 지지부(300)와 일정한 간격(즉, 광원모듈부(200)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고 평행하게 형성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광원모듈부(200)로 전달한다.
광원모듈부(200)는, 일측이 전원접촉단자부(100)에 체결되고, 다른 일측이 지지부(300)에 체결되며,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전원으로 발광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광원모듈부(200)는,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이 교류 전원인 경우를 대비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DC 컨버터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300)는, 등기구(1)의 다른 일측에 전원접촉단자부(100)와 일정한 간격(즉, 광원모듈부(200)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고 평행하게 형성되며,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LED, OELD와 같은 면상발광을 하는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광원모듈부(200)를 등기구(1)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에서 어린이나 주부와 같은 비숙련 자가 보다 쉽게 등기구(1)에 발광 수단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10)는, 발광 수단인 LED 칩이 고장 났을 시, 해당 고장 난 광원모듈부(200)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발광 수단을 교체함으로써 발생되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10)는, 광원모듈부(200) 내에 자체적으로 DC 컨버터 회로를 구비 할 경우, 외부 DC 컨버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접촉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접촉단자부(100)는 전원공급수단(110) 및 제1접촉수단(120)을 포함한다.
전원공급수단(110)은 등기구(1)의 일측에 결합 형성되어 광원모듈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광원모듈부(2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두 개의 삽입홈(111)을 구비한다. 삽입홈(111)을 통해 광원모듈부(200)가 삽입되면, 전원공급수단(110)은 광원모듈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받은 외부의 전원을 삽입홈(111)을 통해 광원모듈부(200)로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수단(110)은, 삽입홈(111)의 입구 상부 또는 하부가 기 설정된 기울기(예를 들어, 10° 내지 30° 등)로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광원모듈부(200)의 단자부재(222)가 경사면을 따라 삽입홈(111)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111)은,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즉, 두 개의 단자부재(222)의 형태에 대응하여, 두 개의 단자부재(222)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렬로 형성될 시 하나의 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단자부재(222)가 위 아래로 형성될 시 이에 대응하여 두 개의 열(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촉수단(120)은 전원공급수단(110)에 형성된 두 개의 삽입홈(111) 내부에 각각 수용 형성되며, 삽입홈(111)을 통해 전원공급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광원모듈부(200)로 전달한다. 특히, 광원모듈부(200)를 삽입홈(111)에 체결할 시에 발생하는 가압력에 대응하여 광원모듈부(200)에 탄성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접촉수단(120)은 제1전원전달부재(121), 접촉커버부재(122) 및 제1탄성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전달부재(121)는 두 개의 삽입홈(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삽입홈(111)을 통해 전원공급수단(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광원모듈부(200)에 전달한다. 즉, 두 개의 제1전원전달부재(121) 중 하나는 외부 전원로부터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받으며, 다른 하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공급받아 광원모듈부(200)에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전원전달부재(121)는, 직류 전원 공급 장치(예를 들어, 외부 전원 또는 내부 배터리 등)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있고, 교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전원전달부재(121)는, 제1탄성부재(123)와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제1탄성부재(123)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도 3의 121-1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돌기(도 3의 121-1 참조)와 제1탄성부재(123)의 일측은 열접착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접촉커버부재(122)는 삽입홈(111) 내에 형성되며 일측이 삽입홈(111)의 개구부를 막고 있다가, 광원모듈부(20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일측이 광원모듈부(200)에 접촉하는 동시에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제1전원전달부재(121)로부터 전달된 전원을 광원모듈부(200)로 전달한다. 접촉커버부재(122)는 전원을 광원모듈부(200)로 전달하기 위해, 전기를 전달하는 재질(예를 들어, 철, 구리 등)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접촉커버부재(122)는, 제1탄성부재(123)의 다른 일측을 삽입 고정하기 위하여 접촉커버부재(122)의 다른 일측에는 제1탄성부재(123)와 결합되는 결합홈(도 3의 122-1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23)는 탄성을 가지면서 전기를 전달하는 재질(예를 들어, 철, 구리 등)의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1전원전달부재(121)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접촉커버부재(122)에 고정 설치된다. 즉, 제1탄성부재(123)는 제1전원전달부재(121)와 접촉커버부재(1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며, 이를 통해, 제1전원전달부재(121)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접촉커버부재(122)로 전달한다. 또한, 제1탄성부재(123)는 광원모듈부(200)를 삽입홈(111)에 체결할 시에 접촉커버부재(122)에 탄성을 제공하여,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접촉커버부재(1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접촉수단(120)은, 제1이탈방지부재(도 3의 12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재(도 3의 124 참조)는 광원모듈부(200)의 단자부재(222)가 삽입홈(1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1탄성부재(123)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은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이탈방지부재(도 3의 124 참조)는, 제1걸림턱(도 3의 124-1 참조) 및 제1걸림돌기(도 3의 124-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턱(도 3의 124-1 참조)은 삽입홈(11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준다. 제1걸림턱(도 3의 124-1 참조)은 삽입홈(111)의 둘레를 따라 연속된 하나의 고리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제1걸림턱(124-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삽입홈(111)의 내측면에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돌기(도 3의 124-2 참조)는 접촉커버부재(12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삽입홈(111)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도 3의 124-1 참조)에 걸림으로써,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접촉단자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커버부재(122)는 광원모듈부(200)의 단자부재 삽입 전에는 삽입홈(111)을 폐쇄하여 이물질이 삽입홈(1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도 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이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접촉커버부재(122)가 삽입홈(111)을 따라 뒤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광원모듈부(200)의 반대 일측을 지지부(3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광원모듈부(200)의 반대 일측이 지지부(300)에 결합되면, 접촉커버부재(122)는 삽입홈을 따라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300)와 함께 광원모듈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모듈부(200)는 전원전달수단(210), 두 개의 제2접촉수단(220) 및 발광수단(230)을 포함한다.
전원전달수단(210)은 전원접촉단자부(100)와 결합되는 일측에 두 개의 슬라이드홈(211)을 구비하며,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슬라이드홈(211)을 통해 발광수단(230)으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전달 수단(210)은 발광수단(2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발광수단(230)과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수단(220)은 두 개의 슬라이드홈(211)에 각각 수용 형성되며, 일측이 전원접촉단자부(100)에 체결될 시에 발생하는 가압력에 대응하여 전원접촉단자부(100)에 탄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2접촉수단(220)은 전원접촉단자부(100)와의 결합을 통해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슬라이드홈(211)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접촉수단(220)은 제2전원전달부재(221), 단자부재(222) 및 제2탄성부재(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원전달부재(221)는 슬라이드홈(2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원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도체(예를 들어, 철, 구리 등) 재질로 형성되어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슬라이드홈(211)으로 전달한다. 제2전원전달부재(221)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단자부재(222)와 접촉됨으로써, 단자부재(222)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게 된다. 또한, 제2전원전달부재(221)의 일 단부는 제2탄성부재(223)의 일측과 결합됨으로써 단자부재(222)의 슬라이드 왕복 이동 시에도 제2탄성부재(2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단자부재(222)는 내부에 제2탄성부재(223)를 수용하는 수용홈(222-1)을 구비하며,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일측이 전원접촉단자부(100)와 체결되어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제2전원전달부재(221)로 전달한다. 단자부재(222)는 전원접촉단자부(100)의 삽입홈(111)에 삽입되면서 일측이 전원접촉단자부(100)에 체결되는 동시에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제2전원전달부재(221)로 전달한다. 또한, 단자부재(222)는 전원접촉단자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광원모듈부(200)로 전달하기 위해, 전기를 전달하는 재질(예를 들어, 철, 구리 등)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부재(222)는 적어도 일 영역이 전원접촉단자부(100)와의 결합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홈(2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자부재(222)는, 삽입홈(111)(도 2를 참조)의 형태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위아래 방향으로 형성(미도시)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223)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용수철 등)로 형성되며, 단자부재(222)의 수용홈(222-1)에 삽입 설치되어, 단자부재(222)가 전원접촉단자부(100)에 체결될 시에 단자부재(222)에 탄성을 제공한다. 즉, 제2탄성부재(223)는 광원모듈부(200)를 삽입홈(111)에 체결할 시에 단자부재(222)에 탄성을 제공하여,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접촉수단(220)은 제2이탈방지부재(도 5의 22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이탈방지부재(도 5의 224 참조)는 광원모듈부(200)의 단자부재(222)가 삽입홈(1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2탄성부재(223)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은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이탈방지부재(도 5의 224 참조)는, 제2걸림턱(도 5의 224-1 참조) 및 제2걸림돌기(도 5의 224-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걸림턱(도 5의 224-1 참조)은 슬라이드홈(21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준다. 제2걸림턱(도 5의 224-1 참조)은 슬라이드홈(211)의 둘레를 따라 연속된 하나의 고리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제2걸림턱(224-1)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슬라이드홈(211)의 내측면에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돌기(도 5의 224-2 참조)는 단자부재(222)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드홈(211)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광수단(230)은 일측이 전원전달수단(210)에 연결 형성되며, 슬라이드홈(211)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발광한다. 발광수단(230)은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 수단(예를 들어, LED 전구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광원모듈부(200)는 탄성바(2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바(240)는 발광수단(23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용수철 또는 고무 재질 등)로 형성되거나 탄성을 가지는 수단(예를 들어, 용수철 또는 고무 재질 등)을 포함하여 지지부(300)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자부재(222)는 전원접촉단자부(100)의 삽입홈(111)에 삽입 전에는 슬라이드홈(211)으로부터 적어도 일 영역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반대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자부재(222)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제1전원전달부재(121)와 접촉하게 되면, 단자부재(222)가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뒤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원접촉단자부(100)와 결합된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을 살짝 밀어넣은 후, 광원모듈부(200)의 반대 일측을 지지부(3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광원모듈부(200)의 반대 일측이 지지부(300)에 결합되면, 단자부재(222)는 슬라이드홈(211)을 따라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300)와 함께 광원모듈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모듈부의 손잡이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광원모듈부(200)는 손잡이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수단(250)은, 광원모듈부(200)의 일측 하부 또는 일측의 양옆 부분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손가락으로 걸어서 전원접촉단자부(100) 또는 지지부(300)에 체결된 광원모듈부(200)를 내려 주거나 올려 줌으로써, 전원접촉단자부(100) 또는 지지부(300)로부터 광원모듈부(200)가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수단(250)은 전원전달수단(210) 및 탄성바(2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모듈부(200)는 전원전달수단(210)에 형성된 손잡이수단(250)을 통해 광원모듈부(200)를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바(240)에 형성된 손잡이수단(250)를 통해 광원모듈부(200)를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등기구(1)에서 광원모듈부(200)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수단(250)은 광원모듈부(200) 내부에서 전원전달수단(210) 및/또는 탄성바(240)와 탄성소재(예: 용수철, 실리콘)로 결합되어, 손잡이수단(250)을 내려 주거나 올려 주는 경우, 광원모듈부(200) 내부로 전원전달수단(210) 및/또는 탄성바(240)의 일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300)는 체결홈부재(310) 및 가이드부재(320)를 포함한다.
체결홈부재(310)는,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좀 더 자세하게는, 탄성바(240)를 삽입 체결하여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홈부재(310)는,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실시 예에 따라서 체결홈부재(310)는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홈부재(310)는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이 지지부(300)에 삽입되는 경우, 내측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광원모듈부(200)를 끼워 넣은 후,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이 전원접촉단자부(10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광원모듈부(200)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홈부재(310)는 광원모듈부(200)의 마모를 방지하는 동시에, 광원모듈부(200)의 용이한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20)는, 체결홈부재(310)의 입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며, 기 설정된 기울기(예를 들어, 10° 내지 30° 등)를 가지고 형성되어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의 삽입 체결을 가이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부(300)는 광원모듈부(200)의 삽입 체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모듈 체결 장치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을 전원접촉단자부(100)에 결합시킨 후,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을 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따라 상향으로 올린다.
다음으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접촉수단(120)의 탄력을 이용하여 광원모듈부(200)의 일측을 삽입홈(111)의 내부를 따라 충분히 밀어넣는다. 이를 통해, 전원접촉단자부(100)와 지지부(300) 사이에 광원모듈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을 가이드부재(320)의 경사각을 이용하여 지지부(300)에 용이하게 밀어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도 9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홈(111)의 입구가 경사각을 가지는 동시에, 가이드부재(320)도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전원접촉단자부(100)와 지지부(300)가 서로 대향하여 "V"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광원모듈부(200)의 다른 일측이 지지부(300)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c)를 참조하면, 결합된 광원모듈부(200)는 제1접촉수단(120)의 탄성력과 지지부(300)에 삽입된 탄성바(240)의 탄성력을 통해 등기구(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등기구
10 : 광원 모듈 체결 장치
100 : 전원접촉단자부
110 : 전원공급수단
111 : 삽입홈
120 : 제1접촉수단
121 : 제1전원전달부재
122 : 접촉커버부재
123 : 제1탄성부재
124 : 제1이탈방지부재
200 : 광원모듈부
210 : 전원전달수단
211 : 슬라이드홈
220 : 제2접촉수단
221 : 제2전원전달부재(221)
222 : 단자부재
223 : 제2탄성부재
224 : 제2이탈방지부재
230 : 발광수단
240 : 탄성바
250 : 손잡이수단
300 : 지지부
310 : 체결홈부재
320 : 가이드부재

Claims (11)

  1.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접촉단자부;
    일측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되며,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발광하기 위한 광원모듈부; 및
    상기 등기구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와 대향해서 형성되며, 상기 광원모듈부의 다른 일측을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모듈부는, 두 개의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며,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해 전달해 주는 전원전달수단; 상기 슬라이드홈에 각각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될 시에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탄성을 제공하며,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전달하기 위한 두 개의 제2접촉수단; 상기 전원전달수단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발광하기 위한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기 위한 탄성바; 및 상기 발광수단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수단은, 상기 발광수단 내부에서 상기 탄성바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수단을 손가락으로 걸어서 내려주거나 올려 주는 경우, 상기 탄성바의 일부를 상기 발광수단 내부로 수용시키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모듈부의 다른 일측을 삽입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부재; 및 상기 체결홈부재의 입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며,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광원모듈부의 다른 일측의 삽입 체결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는,
    상기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두 개의 삽입홈을 구비하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삽입홈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광원모듈부를 상기 삽입홈에 체결할 시에 상기 광원모듈부에 탄성을 제공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광원모듈부로 전달하는 두 개의 제1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수단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제1전원전달부재;
    상기 삽입홈 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광원모듈부와 접촉하여 전원을 상기 광원모듈부로 전달하는 접촉커버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접촉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부를 상기 삽입홈에 체결할 시에 상기 접촉커버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면서,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접촉커버부재로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수단은,
    상기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접촉커버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접촉커버부재가 상기 삽입홈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어주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접촉커버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전달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커버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다른 일측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슬라이드홈으로 전달하는 제2전원전달부재;
    내부에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와 접촉하여 상기 전원접촉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제2전원전달부재로 전달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재가 상기 전원접촉단자부에 체결될 시에 상기 단자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수단은,
    상기 슬라이드홈에서 상기 단자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모듈 체결 장치.
  11. 삭제
KR1020160060832A 2015-06-26 2016-05-18 광원 모듈 체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8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32A KR101684567B1 (ko) 2016-05-18 2016-05-18 광원 모듈 체결 장치
PCT/KR2016/006793 WO2016209038A1 (ko) 2015-06-26 2016-06-24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
US15/311,383 US10139092B2 (en) 2015-06-26 2016-06-24 Lighting assembly
JP2017563126A JP2018518809A (ja) 2015-06-26 2016-06-24 灯器具用光源モジュール締結装置
CN201680001411.XA CN107076371B (zh) 2015-06-26 2016-06-24 灯具用光源模块连接装置
AU2016281399A AU2016281399B2 (en) 2015-06-26 2016-06-24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RU2017131449A RU2678894C1 (ru) 2015-06-26 2016-06-24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модуля для лампы
BR112017019122A BR112017019122A2 (pt) 2015-06-26 2016-06-24 ?dispositivo de aperto?
EP16814751.0A EP3315858A4 (en) 2015-06-26 2016-06-24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PH12017501619A PH12017501619A1 (en) 2015-06-26 2017-09-07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32A KR101684567B1 (ko) 2016-05-18 2016-05-18 광원 모듈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567B1 true KR101684567B1 (ko) 2016-12-13

Family

ID=5757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4567B1 (ko) 2015-06-26 2016-05-18 광원 모듈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7657A1 (zh) * 2018-09-20 2020-03-26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灯具的安装座、照明组件及灯具
KR102181146B1 (ko) * 2020-02-26 2020-11-20 최광현 탈부착 가능한 컨버터가 구비된 조명기구
KR102612574B1 (ko) * 2023-06-28 2023-12-11 주식회사 신흥라이팅 엘이디 조명등의 엘이디램프 장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87U (ko) * 2008-10-27 2010-05-07 상 택 임 형광등 소켓
KR20110097212A (ko) * 2010-02-25 2011-08-31 성도영 Led 모듈 및 조립케이스로 구성된 led 램프
KR200463240Y1 (ko) 2011-05-17 2012-10-24 주식회사 심플라인 이동설치 및 휴대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KR101595955B1 (ko) * 2015-06-26 2016-02-24 전병준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87U (ko) * 2008-10-27 2010-05-07 상 택 임 형광등 소켓
KR20110097212A (ko) * 2010-02-25 2011-08-31 성도영 Led 모듈 및 조립케이스로 구성된 led 램프
KR200463240Y1 (ko) 2011-05-17 2012-10-24 주식회사 심플라인 이동설치 및 휴대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KR101595955B1 (ko) * 2015-06-26 2016-02-24 전병준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7657A1 (zh) * 2018-09-20 2020-03-26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灯具的安装座、照明组件及灯具
US11391444B2 (en) 2018-09-20 2022-07-19 Opple Lighting Co., Ltd. Mounting base of lamp, lighting assembly and lamp
KR102181146B1 (ko) * 2020-02-26 2020-11-20 최광현 탈부착 가능한 컨버터가 구비된 조명기구
KR102612574B1 (ko) * 2023-06-28 2023-12-11 주식회사 신흥라이팅 엘이디 조명등의 엘이디램프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106B2 (en) LED conversion module for incandescent work light
KR101026794B1 (ko) 직관형 엘이디 조명램프
KR101684567B1 (ko) 광원 모듈 체결 장치
TWI512229B (zh) 照明裝置
KR20120040635A (ko) 조명 장치
KR101595955B1 (ko)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
WO2011145018A1 (en) Push-pull ssl module and socket
US10139092B2 (en) Lighting assembly
WO2013100164A1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KR20180092059A (ko) Led 조명장치
US8596810B2 (en) Lighting device with emergency illumination function
KR101453938B1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조명장치
KR101684569B1 (ko) 광원 모듈 체결 장치
CN110925614A (zh) 便捷替换式led灯具
KR101813960B1 (ko) 광원 모듈 장치
KR101045457B1 (ko) 컨버터 내장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660511B1 (ko) 평판형 광원 모듈 경사각 체결 장치
KR20190060568A (ko) 탈부착형 천장등
TWI458913B (zh) 光源模組及其發光二極體燈具
JP6730670B2 (ja) 照明装置
JP6624549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6695052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726876B2 (ja) 照明器具
KR102321702B1 (ko) 엘이디 조명등장치
TWI572813B (zh) Light source device and its snap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