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84353B1 - Nonpowered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Nonpowered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353B1
KR101684353B1 KR1020150088319A KR20150088319A KR101684353B1 KR 101684353 B1 KR101684353 B1 KR 101684353B1 KR 1020150088319 A KR1020150088319 A KR 1020150088319A KR 20150088319 A KR20150088319 A KR 20150088319A KR 101684353 B1 KR101684353 B1 KR 10168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ust collector
dust collect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귀남
우상희
김종범
육세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53B1/en
Priority to CN201610313463.2A priority patent/CN106256451B/en
Priority to JP2016099425A priority patent/JP63177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9Means for ventila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wered dust collector which is attached to a running vehicle to remove wear particles in a subway rail or scattering dust in a road without power. To achieve this,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body which ha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dust collecting part which stirs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to collect the dust unable to follow the flow of the air; and a suction part which allows the air to be sucked to the air inlet when the vehicle is moved.

Description

무동력 집진장치{NONPOWERED DUST COLLECTOR}[0001] NONPOWERED DUST COLLECTOR [0002]

본 발명은 무동력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달리는 차량에 부착하여 차량 운행 시 먼지를 무동력으로 포집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free power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at attaches to a running vehicle and collects dust with no forc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해마다 공기 오염에 대한 심각성 및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발암 위험이 높은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오염 문제는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도 예외일 수는 없다.Each year the severity and risk of air pollution is emphasize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awareness of fine dust particles, which are highly susceptible to cancer. This air pollution problem can not be an exception both inside and outside.

도심 내에서 먼지를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으로는 각종 운송수단을 들 수 있다. 차량 운행 시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뿐만 아니라, 이미 지면에 있던 먼지들이 재비산하기도 한다. 특히, 지하철의 경우, 전동차의 차륜과 레일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먼지가 상당하며, 한번 발생한 먼지가 쉽게 빠져나갈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공기 오염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The main factors that generate dust in the city center are various transportation means. In addition to the dust generated by friction with the ground during vehicle operation, the dust that has already been on the ground may be scattered agai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ubways, the dust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 of the train is significant, and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is more serious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 that the once generated dust can not easily escape.

지하철은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지하로 운행하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객차 내의 공기 순환을 위해 내기 80%, 외기 20%의 비율로 공조장치를 가동하고 있다. 비록 필터 등을 통해 외기를 객차 내로 흡입하지만, 모든 입자가 걸러지는 것은 아니다. 더군다나 최근 승강장 안전과 공기질 향상을 위해 각 역마다 PSD(Platform Screen Door)가 대량으로 설치되면서 지하 터널 내의 미세먼지 농도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지하 터널 내 미세먼지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객차 내 공기질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the subway is often underground, an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at a rate of 80% for outdoor air and 20% for outdoor air circulation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Although the air is suck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a filter or the like, not all the particles are filtered. Furthermore, recently, a large number of PSD (Platform Screen Door) is installed in each station to improve platform safety and air quality,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underground tunnels is rather increasing. Therefore,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underground tunnel can be a fundamental solution for improving the air quality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터널 내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 주기적으로 지하 터널을 물로 청소하고 있다. 그러나 수세식 청소법은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 가라앉힐 뿐이어서 물이 말라버리면 다시 미세먼지가 비산한다. 따라서, 지하 터널 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지하 터널 내 미세먼지를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집진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광대한 도시철도 지하 터널을 운행하면서 실시간으로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할 필요가 있다. 지하철 운행 터널 내 미세먼지 중에서 밀도가 7.874 g/cm3로 큰 철 성분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므로, 미세먼지의 관성력을 이용하는 집진장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Currently, underground tunnels are being cleaned periodically with water to remove fine dust in the tunnel. However, the flush cleaning method does not collect fine dust, but it only sinks for a while, so when the water dries, the fine dust splashes agai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underground tunnel, a dust collector capable of directly removing fine dust in the underground tunnel is needed. Such a dust collecting device is required to suck and collect fine dust in real time while traveling in an underground tunnel of a vast urban railway. As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in the subway operation tunnel is 7.874 g / cm 3 , the largest iron component occupies the most, so that the dust collector using the inertial force of the fine dust can be effectively used.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94512호 (2009.9.8)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4512 (September 9, 2009)

본 발명은 관성력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미세먼지를 제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부착되어 차량 운행에 의해 유도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집진할 수 있는 무동력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powered dust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minute dust in real time by using traveling wind which is attached to a vehicle and is driven by a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quickly remove fine dust using an inertial force. .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는, 차량에 부착되는 무동력 집진장치로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교란하여 공기의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 입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가속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powered dust collecting apparatus attached to a vehicle, comprising: a hollow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dust that can not follow the flow of air by disturbing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And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nd accelerating air to the air inlet as the vehicle mo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부는 제1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기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낙하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or,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forms a flow path for moving air in a zigzag shape, and flows along the flow while air flows through the flow path It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plate for collecting dust that falls without fal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집진기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격벽과, 상기 두 개의 격벽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는 상기 차단벽과 마주하여 개방된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격벽 중 하나의 격벽이 다른 서브 필터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차단벽에 충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ust col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subfilters including two barrier ribs facing each other and a barrier wall connecting one end of the two barrier ribs, The filter is disposed such that the openings facing the blocking walls face each other and one of the two partitions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other subfilter to form the flow path,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격벽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가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격벽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격벽이 상기 집진판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artition walls extend horizontally, the plurality of subfilter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sitioned below one of the two partition walls forms the dust collect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격벽이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가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집진판이 상기 두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artition walls may extend vertically, the plurality of subfilters may b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one or mor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may be horizontally arranged to connect the two partition wall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개의 격벽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상기 흡입부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artition walls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suction portion than the low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판에는 상기 개구부 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비산방지벽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scatter preventing wall formed by bending the end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on the opening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판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be coated with an adhesive or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진부는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1집진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집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진기는, 공기의 유입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흡입부 쪽으로 일부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충돌한 먼지가 공기 흐름을 따라 유입되는 집진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ust collecto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wherein the second dust collector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ir flowing direction And a dust collecting box which is partially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ion and into which the dust that has collided with the blade flows along the air f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집진기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집진통 방향으로 차례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에서 보았을 때, 공기가 충돌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충돌면이 직전에 배치된 블레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ust col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that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suction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tube, and when viewed from the suction portion, May not be covered by the blade disposed immediately bef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집진기는 복수의 분리벽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 모듈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집진 모듈에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집진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ust col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module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each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s may include the blad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집진 모듈 각각으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vanes that div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nd introduce the air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modu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집진기와 상기 제2집진기 사이에는, 상기 제2집진기에서 교란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는 유동 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ow buffer for stabilizing the flow of disturbed air in the second dust collec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역주행하는 경우 상기 공기 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차량이 역주행함에 따라 상기 공기 출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가속시키는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n a reverse direction,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air outlet, flows out through the air inlet, and sucked and accelerated by the air outlet as the vehicle reverse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의 제1집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의 제1집진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의 제1집진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의 서브 필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의 제2집진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에 의해 포집된 먼지의 크기에 따른 집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dust collector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ub filter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dust collector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ust collected by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Where the terms "comprises", "having", "don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ortion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cluding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top', 'under', and 'next to' Or " direct " is not used, one or more other portion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ortion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 other elements or layers,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ssoci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100)는 몸체(110)와, 흡입부(120)와, 집진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non-powered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suction unit 120, and a dust collecting unit 130.

몸체(110)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그 내부를 통과하고 다시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110)에는 차량(미도시)이 순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입구(111)와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출구(112)가 형성된다. 한편, 차량이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공기 출구(112)로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 입구(111)로 공기가 유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The body 110 is hollow,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flows out to the outside. The body 110 has an air inlet 111 through which air flows and an air outlet 112 through which air flows when a vehicle (not shown) travels in a for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the vehicle travels in the reverse direction, air may flow into the air outlet 112 and air may flow out into the air inlet 111.

몸체(110)는 차량의 외부에 고정된다. 이때, 차량의 이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자연적으로 몸체(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110)는 공기 입구(111)와 공기 출구(112)가 개방되는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몸체(110)가 차량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집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 body 11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body 110 is arrang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nlet 111 and the air outlet 112 are opened is parallel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outside air can naturall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lot of dust is gene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body 1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공기 입구(111)를 통하여 몸체(11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부(120)를 통과한다. 흡입부(120)는 공기 입구(111)로부터 집진부(130)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로써, 몸체(110) 내부의 유동 저항으로 인하여, 자유 흐름의 경우에 비해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through the air inlet 111 passes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The suction portion 120 is formed so as to have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air inlet 111 to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30,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the air to be intro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decrease in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ody 110 due to the flow resistance inside the body 110, compared to the case of the free flow.

이러한 흡입부(120)는 공기 출입 방향에 대한 내부 공간의 수직 단면적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몸체(110)가 차량 하부에 부착되는 경우, 공기 입구(111) 및 공기 출구(112)측 몸체(110) 하부가 하방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공기의 유동을 모아서 흡입하고 가속시킬 수 있다. 즉, 흡입부(120)는 몸체(1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증가시켜 집진 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공기 입구(111)의 크기가 클수록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고 유속도 증가하나, 집진 장치(100)가 차량의 하부에 부착되는 경우 공간이 제한되므로, 흡입부(120)는 이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port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with respect to the air inlet / outlet dir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body 11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inlet 111 and the air outlet 112 side body 11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Thereby, the flow of the outside air can be collected and sucked and accelerated. That is, the suction unit 120 increase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110, thereby improving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as the size of the air inlet 111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creases and the flow rate increases. However, since the space is limited when the dust collector 10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

한편, 흡입부(120)는 집진부(1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부(120)는 공기 입구(111)뿐만 아니라 공기 출구(112) 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이 역주행하는 경우, 공기 출구(112)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가속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c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30. That is, the suction portion 120 may be disposed not only on the air inlet 111 but also on the air outlet 112 side. Thereby,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n reverse, air can be sucked into the air outlet 112 and the sucked air can be accelerated.

흡입부(120)를 통과한 공기는 집진부(130)로 이동한다. 집진부(130)는 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교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공기의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먼지를 포집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unit 120 moves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30. The dust collect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disturb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body 110. This allows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to trap the dust by preventing it from following the flow of the air.

도 2를 참조하면, 집진부(130)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유로(F)를 형성하는 제1집진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ust collecting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dust collector 131 that forms a flow path F so that air moves in a zigzag fashion.

제1집진기(131)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격벽(133)과, 두 개의 격벽(133)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벽(134)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필터(132)를 포함한다. 복수의 서브 필터(132)는 차단벽(134)과 마주하여 개방된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격벽(133) 중 하나의 격벽(133)이 다른 서브 필터(132)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유로(F)를 형성한다.The first dust collector 131 includes a plurality of subfilters 132 including two barrier ribs 133 facing each other and a barrier wall 134 connecting one end of the two barrier ribs 133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b-filters 132 are arranged so that openings facing the blocking wall 134 face each other. One of the two partition walls 13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another sub filter 132 to form a flow path F. [

제1집진기(131)로 유입된 공기는 흐르던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마주보는 차단벽(134)에 의해 가로막힌다.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차단벽(134)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 공기는 그 유동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고, 마주보고 있는 두 서브 필터(132)의 격벽(133) 사이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나서, 공기는 흡입부(120) 측 서브 필터(132)의 차단벽(134)에 의해 다시 한번 가로막히게 된다. 또한,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차단벽(134)과 충돌하게 된다. 결국, 공기는 초기 유입 방향과 동일하게 그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제1집진기(131) 밖으로 유출된다.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can not proceed in the flow direction but is obstructed by the blocking wall 134 facing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ollides with the blocking wall 134. At this tim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reversely reversed and flow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33 of the two facing sub-filters 132. Then, the air is once again obstructed by the blocking wall 134 of the sub-filter 132 on the suction portion 120 side. Further,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ollides with the blocking wall 134. As a result, the air flows ou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itial inflow direction.

이와 같이, 공기가 제1집진기(131)를 통과하는 동안 유동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수차례 전환되고, 그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관성력이 큰 먼지가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차단벽(134)과 충돌함으로써 제1집진기(131)에 포집된다. 따라서, 공기가 유로(F)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차단벽(134)에 충돌한 먼지는 서로 뭉치고 크기가 커져서 차단벽(134)에서 떨어져나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In this way,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the flow direction is reversed several times, and in the process, the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inertia force can not follow the flow and collides with the blocking wall 134, 1 dust collector 13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ust that has collided against the blocking wall 134 while the air is moving through the flow path F is gathered and enlarged to fall off the blocking wall 134, and fall by gravity.

이러한, 제1집진기(131)는 복수의 서브 필터(132)들이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치됨으로써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기(131)는 낙하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판(1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집진판(135)은 서브 필터(132)의 연장 방향 및 배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양태로 포함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The first dust collector 131 may be modified by a plurality of sub-filters 132 extending and extending in various directions. In addition,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llecting plate 135 for collecting the falling dust. Such a dust collecting plate 135 is included in a different manner depending o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b filter 132.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기(131)는 각각의 서브 필터(132)를 이루는 두 개의 격벽(133)이 수평하게 연장되고, 복수의 서브 필터(132)들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2,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partition walls 133 constituting each sub filter 132 extend horizontally and a plurality of sub filters 132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 RTI >

이때, 두 개의 격벽(133)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격벽(133)이 집진판(135)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에 포함되어 이동하다 관성 때문에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차단벽(134)에 충돌하여 낙하하는 먼지들이 집진판(135) 상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집진판(135)에는 개구부 측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비산방지벽(136)이 형성됨으로써, 포집된 먼지가 공기 유동에 휩쓸리지 않게 막아줄 수 있다. 비산방지벽(136)은 포집된 먼지가 재비산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막기 위하여 내측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상 또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133 positioned below the two partition walls 133 may form the dust collecting plate 135. [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not follow the flow because of inertia and collides against the blocking wall 134, so that the falling dust accumulates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35. The scattering plate 135 is formed with the scattering-preventing wall 136 formed by bending the opening-side end portion upward, thereby preventing the collected dust from being influenced by the air flow. The scattering-preventing wall 136 may be formed as an inwardly bent claw shape or a U-shaped shap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collected dust from scattering again.

도 3은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100)의 제1집진기(131)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의 (a)는 제1집진기(131')의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A-Α선에 따른 제1집진기(131')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의 (c)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일 서브 필터(132')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100 of FIG. 3 (a) is a side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 and FIG. 3 (b)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along the line A-A in FIG. 3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ngle sub filter 132 'separa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 3을 참조하면, 제1집진기(131')는 각각의 서브 필터(132')를 이루는 두 개의 격벽(133')이 수직하게 연장되고, 복수의 서브 필터(132')들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is formed by vertically extending two partition walls 133' constituting each sub filter 132 ', and a plurality of sub filters 132' As shown in FIG.

이때, 제1집진기(131')는 두 개의 격벽(133') 사이를 연결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집진판(13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에 포함되어 이동하다 관성이 감소된 먼지들을 포집할 수 있다. 집진판(135')은 최하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나, 낙하 거리가 길 경우 낙하 중의 먼지가 포집 전에 공기 흐름에 다시 휩쓸릴 수도 있으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판(135’)이 배치되는 위치나 개수는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plate 135' which is connected horizontally by connecting the two partition walls 133 '. Thereby, it is possible to trap dusts which are included in the air and moved and whose inertia is reduced. Although the dust collecting plate 135 'may be disposed only on the lowermost sid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usts falling in a falling direction may be swept back into the air flow before the dust collecting is performe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135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conditions.

도 4를 참조하면, 도 4와 같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서브 필터(132'')들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흡입부(미도시)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1집진기(131'') 내에서 하측으로의 공기 흐름이 형성됨으로써 먼지가 재비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vertically extending subfilters 132 '' as shown in FIG. 4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located closer to the suction portion (not shown) than the lower portion. As a result, an air flow downward in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 is formed, thereby reducing the scattering of dust.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집진판(135, 135')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자석이 구비됨으로써 포집된 먼지가 재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판(135, 135', 135'')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고 재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ough not show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35 and 135 'are coated with an adhesive or a magnet, so that the collected du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again.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s 135, 135 ', and 135' 'are removably formed, so that collected dusts can be removed and reused.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필터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필터의 단면 형상으로는, 도 5의 (a)와 같이 U자형이거나, 도 5의 (b)와 같이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와 같이 좌우에 배치되는 각각의 서브 필터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5의 (d)와 같이 서브 필터 자체가 비대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ubfilter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bfilter may be U-shaped as shown in FIG. 5A or polygonal as shown in FIG. 5B. 5 (c), the subfilter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have different shapes, or the subfilter itself may be asymmetric as shown in FIG. 5 (d).

한편, 집진부(130)는 흡입부(120)와 제1집진기(1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집진기(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ust collector 141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unit 120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도 6을 참조하면, 제2집진기(141)는 흡입부(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42)와, 흡입부(120) 쪽으로 일부 개방되고 블레이드(142)와 충돌한 먼지가 공기 흐름을 따라 유입되는 집진통(143)을 포함한다.6,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14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120,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143 through which the dust that has been opened and collided with the blade 142 flows along with the air flow.

블레이드(142)는 공기 유입 방향에 대하여 그 상면이 마주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된다. 블레이드(142)는 흡입부(120)로부터 집진통(143) 방향으로 차례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블레이드(142)는 흡입부(120)에서 보았을 때, 공기가 충돌하는 블레이드(142)의 상면이 직전에 배치된 블레이드(142)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블레이드(142)는 직렬로 나열되고 앞에 위치한 블레이드(142)의 상단이 뒤에 위치한 블레이드(142)의 하단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2)는 제2집진기(141)가 배치되는 몸체(110)의 상측 내벽에 닿기 전까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42)와 충돌없이 블레이드(142) 사이로 공기가 흘러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2집진기(141)의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blade 142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its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air inflow direction. The blades 142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suction portion 120 toward the dust collection chamber 143. The blades 142 can also be arrang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ir-impinging blades 142 when viewed from the suction portion 120 is not covered by the blade 142 disposed immediately before. That is, each of the blades 142 may be arranged in series an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lade 142 located at the back of the blade 142 positioned at the front. The blade 142 is disposed until it reaches the upper inner wall of the body 110 where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is disposed. In this manner,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blades 142 without collision with the blade 142, so tha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can be increased.

제2집진기(141)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중 일부(점선으로 도시됨)는 도 6과 같이 공기의 유동(화살표로 도시됨)을 따라가지 못하고 블레이드(142)에 충돌한다. 블레이드(142)의 각도가 유동 방향으로 예각을 가지고 기울어져 있으므로, 앞 블레이드(142)에 부딪힌 입자는 뒤 블레이드(142)를 향해 이동하고 다시 충돌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서 최종적으로 먼지는 집진통(14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A part of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shown by a dotted line) does not follow the flow of air (as indicated by an arrow) and collides with the blade 142 as shown in FIG. Since the angle of the blade 142 is inclined at an acute angle to the flow direction, the particles striking the front blade 142 move toward the rear blade 142 and collide again. 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dust finally enters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43.

집진통(143)은 마지막 블레이드(142)의 후방에 공기 유입 방향으로 입구가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공기가 집진통(143) 내부로 유입되면,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관성력을 잃고 내벽에 쌓이게 된다. 포집된 먼지가 재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진통(14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st collecting box 143 is disposed behind the last blade 142 to position the inlet in the air inflow direction.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43,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loses its inertial force and is accumulated on the inner wall. In order to prevent the collected dust from being scattered aga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43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its cross section has a hook shape as shown in FIG.

한편, 제2집진기(141)는 복수의 분리벽(144)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 모듈(141a 내지 141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집진 모듈(141a 내지 141d)에는 블레이드(142)와 집진통(143)이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하나의 집진 모듈로써 집진하는 것보다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modules 141a to 141d that are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eparation walls 144. In addition, each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s 141a to 141d is provided with a blade 142 and a dust collecting container 143 separately. Thereby,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dust collection module is used.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흡입부(120)는 공기 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분기하여 복수의 집진 모듈(141a 내지 141d) 각각으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집진 모듈(141a 내지 141d)로 공기가 고르게 유입됨으로써 집진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1, the sucti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vanes 121 for branch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11 and introducing the air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modules 141a to 141d . Through this, air can be uniformly introduced into each of the dust collecting modules 141a to 141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한편, 복수의 가이드 베인(121)에 의해 구획되는 흡입부(120) 내의 각 공간은, 공기 출입 방향에 대한 내부 공간의 수직 단면적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space in the suction unit 120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guide vanes 1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with respect to the air inlet / outlet direction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inner side.

한편, 제1집진기(131)와 제2집진기(141) 사이에는 유동 완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완충부(151)는 제2집진기(141)에서 교란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킨다. 이러한, 유동 완충부(151)는 제2집진기(141)의 출구 유동과 제1집진기(131)의 입구 유동의 유선이 와류 영역 없이 이어지도록 제2집진기(141)의 길이의 1/3 이상인 것이 좋다.Meanwhile, a flow buffer 15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The flow buffer 151 stabilizes the flow of disturbed air in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The flow buffering portion 151 is disposed at a distance equal to or more than 1/3 of the length of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so that the outlet flow of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and the flow path of the inlet flow of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are connected without the vortex region good.

또한, 제2집진기(141)가 복수의 집진 모듈(141a 내지 141d)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집진기(141)에서 갈라졌던 유동이 유동 완충부(151)에서 다시 하나로 합쳐지면서, 제1집진기(131)와 제2집진기(141) 사이에서 급격한 유동 와류나 유동 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is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modules 141a to 141d, the flow split at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is merged again at the flow buffering part 151,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can be eliminated.

상술한, 흡입부(120), 제1집진기(131), 제2집진기(141) 및 유동 완충부(151)는 본 발명의 사용 환경,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suction unit 120,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and the flow buffering unit 151 may be arranged in various orders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purpose,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100)는 흡입부(120), 제2집진기(141), 유동 완충부(151), 제1집진기(131), 유동 완충부(151), 제2집진기(141), 흡입부(120) 순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운행 차량이 순방향으로 운행되거나 역방향으로 운행되더라도 양방향으로 많은 양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gain,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ction unit 120, a second dust collector 141, a flow buffer 151, a first dust collector 131, 151,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and the suction unit 120 in this order. Thereby, even if the vehicle is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in the reverse direction, a large amount of dust can be collected in both directions.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200)는 흡입부(220), 제2집진기(241), 유동 완충부(251), 제2집진기(241), 흡입부(220) 순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집진기를 제거한 형태의 무동력 집진장치(200)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압력강하가 낮아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적게 감소하며, 5 μm 이상의 거대입자 제거에 유효하다. Referring to FIG. 7,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220, a second dust collector 241, a flow buffering unit 251, a second dust collector 241, (220). According to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200 of the first dust collector removed, the flow rate of the introduced air is relatively low due to a relatively low pressure drop, and is effective for removing large particles of 5 μm or mor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300)는 흡입부(320), 제1집진기(331), 흡입부(320) 순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집진기를 제거한 형태의 무동력 집진장치(300)에 의하면, 제1집진기(331)만을 사용하여 2.5 μm 이상의 조대입자 및 거대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in the order of a suction unit 320, a first dust collector 331, and a suction unit 320. According to the non-powered particulate dust collector 300 having the second dust collector removed, it is possible to remove coarse particles and large particles of 2.5 μm or more using only the first dust collector 331.

참고로, 각각의 실시예에서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은 배치 순서만 상이할뿐, 각 구성요소의 특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은 차량이 양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운행하더라도 계속적으로 집진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For re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mponents arranged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are different only in the order of arrangement, and the features of each component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the components are arranged symmetrically so that even if the vehicle travels in both directions, even if the vehicle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the dust can be continuously collected.

예를 들어 도 1의 무동력 집진장치(100)의 경우, 차량이 순방향으로 주행 시 공기는 공기 입구(111)측으로 유입되고 흡입부(120), 제2집진기(141), 유동 완충부(151), 및 제1집진기(131)를 차례로 통과하며 집진이 이루어진다. 그 후로 공기는 공기 출구(112)까지 집진과 무관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of FIG. 1, when the vehicle travels in the forward direction, air flows into the air inlet 111 side and flows into the suction portion 120,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in order. Thereafter, the air flows out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dust collecting up to the air outlet 112.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100, 200, 300)에서, 자유 흐름 속도 9 m/s에서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의 공기역학 직경(aerodynamic diameter)에 대한 집진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ies for the aerodynamic diameter of the dust contained in the air at a free flow velocity of 9 m / s in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s 100,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도 9를 참조하면, 제1집진기만을 포함하는 무동력 집진장치(300)의 경우(일점쇄선으로 도시함), 대체로 직경이 2.5 μm 이상인 입자부터 집진 효율이 좋아지며, 입자 직경이 커질수록 집진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집진기만을 포함하는 무동력 집진장치(200)의 경우(실선으로 도시함), 대체로 직경이 7 μm인 입자의 집진 효율이 가장 높다. 또한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를 모두 포함하는 무동력 집진장치(100)의 경우(점선으로 도시함), 직경 7 μm 이상인 입자를 대부분 집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집진장치(100)에서는 제1집진기(131)와 함께 제2집진기(141)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the case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300 including only the first dust collector (shown by dashed lines),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improved from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5 μm or more in general. As shown in FIG. Further, in the case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200 including only the second dust collector (shown by a solid line),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7 μm is the highest. Further, in the case of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100 including both the first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shown by a dotted line), most of th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7 m or more can be collec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non-powered dust collect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ust collector 141 is continuously disposed together with the first dust collector 131, thereby efficiently collecting dust of various siz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몸체
111 : 공기 입구
112 : 공기 출구
120, 220, 320 : 흡입부
121 : 가이드 베인
130 : 집진부
131, 131', 131'', 331 : 제1집진기
132, 132', 132'' : 서브 필터
133, 133' : 격벽
134 : 차단벽
135, 135' : 집진판
136 : 비산방지벽
141, 141a, 141b, 141c, 141d, 241 : 제2집진기
142 : 블레이드
143 : 집진통
144 : 분리벽
151, 251 : 유동 완충부
100, 200, 300 : 무동력 집진장치
10 : 차량
110: Body
111: air inlet
112: air outlet
120, 220, 320:
121: Guide vane
130: Dust collector
131, 131 ', 131 ", 331: a first dust collector
132, 132 ', 132'':
133, 133 ': partition wall
134: blocking wall
135, 135 ': Collecting plate
136: Shatterproof wall
141, 141a, 141b, 141c, 141d, and 241:
142: blade
143: House paints
144: separating wall
151, 251:
100, 200, 300: Non-powered dust collector
10: Vehicle

Claims (14)

차량에 부착되는 무동력 집진장치로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교란하여 공기의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 입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가속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제1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기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격벽과, 상기 두 개의 격벽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차단벽을 포함하여,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서브 필터와,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낙하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는 상기 차단벽과 마주하여 개방된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격벽 중 하나의 격벽이 다른 서브 필터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차단벽에 충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1.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ttached to a vehicle,
A hollow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dust that can not follow the flow of air by disturbing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And
And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nd accelerating air to the air inlet as the vehicle moves,
Wherein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or,
The first dust col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subfilters including two partition walls facing each other and a blocking wall connecting one end of the two partition walls to each other to form a flow path for moving the air in a zigzag pattern, And a dust collecting plate for collecting the falling dust that can not follow the flow while moving through the flow path,
Wherein the plurality of subfilters are arranged such that openings facing the blocking wall face each other and one of the two partition walls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other subfilter to form the flow path, Is configured to collide against the blocking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격벽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가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격벽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격벽이 상기 집진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o partition walls extend horizontally, the plurality of subfilter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rtition wall positioned below the two partition walls forms the dust collec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격벽이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가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집진판이 상기 두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o partition walls extend vertically, the plurality of subfilters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dust-collecting plate is horizontally disposed to connect the two partition wal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격벽은 상부가 하부에 비해 상기 흡입부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wo partition walls are inclined so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closer to the suction portion than a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에는 상기 개구부 측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비산방지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scattering preventing wall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opening toward the dust collec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coated with an adhesive or a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1집진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집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집진기는,
공기의 유입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흡입부 쪽으로 일부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충돌한 먼지가 공기 흐름을 따라 유입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o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unit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The second dust collector includes:
A blade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air flow direction;
And a dust collecting box partially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ion and through which dust that has collided with the blade flows along the air flow.
차량에 부착되는 무동력 집진장치로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교란하여 공기의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 입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가속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는 제1집진기 및,상기 흡입부와 상기 제1집진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집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기는,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공기가 상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유동을 따라가지 못하고 낙하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기는, 각각이 공기의 유입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공기의 유입 방향으로 차례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흡입부 쪽으로 일부 개방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충돌한 먼지가 공기 흐름을 따라 유입되는 집진통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에서 보았을 때, 공기가 충돌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충돌면이 직전에 배치된 블레이드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1. A non-powered dust collector attached to a vehicle,
A hollow body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 dust collecting part for dust collecting dust that can not follow the flow of air by disturbing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And
And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nd accelerating air to the air inlet as the vehicle moves,
Wherei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or and a second dust collector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ion and the first dust collector,
The first dust collector includes a dust collecting plate which forms a flow path for allowing air to move in a zigzag shape and collects dust falling while the air can not flow along the flow path,
The second dust coll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each of which is arranged at an angle to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at an angle and is disposed in turn in the inflow direction of the air, a dust portion that is partially opened toward the suction portion, And a collecting box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d the impact surface of the blade in which air collides when viewed from the suction portion is not covered by the blade disposed immediately befo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기는 복수의 분리벽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집진 모듈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집진 모듈에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집진통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dust collector compris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modules divided by a plurality of separation walls,
Wherein the dust collecting module is provided with the blade and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집진 모듈 각각으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vanes for branch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nd introducing the air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modul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기와 상기 제2집진기 사이에는,
상기 제2집진기에서 교란된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는 유동 완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or and the second dust collector,
And a flow buffer for stabilizing the flow of disturbed air in the second dust collecto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역주행하는 경우 상기 공기 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차량이 역주행함에 따라 상기 공기 출구로 공기를 흡입하고 가속시키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ir flows through the air inlet and flows out through the air inle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n a reverse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sucking and accelerating air to the air outlet as the vehicle reverses.
KR1020150088319A 2015-06-22 2015-06-22 Nonpowered dust collector KR101684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19A KR101684353B1 (en) 2015-06-22 2015-06-22 Nonpowered dust collector
CN201610313463.2A CN106256451B (en) 2015-06-22 2016-05-12 Unpowered dust collect plant
JP2016099425A JP6317782B2 (en) 2015-06-22 2016-05-18 Non-powered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319A KR101684353B1 (en) 2015-06-22 2015-06-22 Nonpowered dust coll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353B1 true KR101684353B1 (en) 2016-12-08

Family

ID=5757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319A KR101684353B1 (en) 2015-06-22 2015-06-22 Nonpowered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17782B2 (en)
KR (1) KR101684353B1 (en)
CN (1) CN106256451B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177A (en) * 2017-12-11 2019-06-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ertial filter device
KR20190085696A (en) * 2018-01-11 2019-07-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on-exhaust fine-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KR102132950B1 (en) * 2019-04-12 2020-07-10 주식회사 제이에스시솔루션 Power substation with inertial filter unit
KR102135843B1 (en) * 2019-03-29 2020-07-21 정현수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178371B1 (en) * 2019-05-22 2020-11-13 정현수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10061895A (en)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애니텍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KR20210101005A (en) 2020-02-07 2021-08-18 이재규 Bi-directional Nonpowered Dus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2606B (en) * 2017-07-18 2020-09-25 联想(北京)有限公司 Door panel and server comprising same
IT201800003381A1 (en) * 2018-03-08 2019-09-08 Hsd Holding Smart Device S R L AN ASSEMBLY OF VENTILATION
CN114272687B (en) * 2018-05-14 2023-05-09 深圳海途乐科技有限公司 Graded dust-proof device adopting step-by-step filtration
JP7141717B2 (en) * 2019-09-26 2022-09-26 義郎 中松 Subway environment improvement equipment
CN112169506B (en) * 2020-09-03 2021-07-20 同济大学 Subway tunnel is with on-vehicle bag collector
CN113232686B (en) * 2021-06-08 2024-10-22 天津中鑫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Dust collector with flow equaliz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585A (en) * 1999-04-23 2000-11-02 Hitachi Ltd Flow measurement device
KR20020033697A (en) * 2002-03-28 2002-05-07 이남구 Apparatus Of Gathering Particulates For The Car's Muffler
KR100725996B1 (en) * 2006-05-04 2007-06-08 주식회사 에어화인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KR20090022066A (en) * 2007-08-29 2009-03-04 박기봉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trains
KR20090094512A (en) 2008-03-03 2009-09-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Zero-power centrifugal de-dusting apparatus for subway tun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1343A (en) * 1994-09-05 1996-03-19 Keiji Obinata Air cleaning apparatus
JP4036639B2 (en) * 2001-12-11 2008-01-23 積水樹脂株式会社 Airborne particulate matter collector
JP3150077U (en) * 2009-01-29 2009-04-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ir compressor for railway vehicles
JP5073840B2 (en) * 2010-06-11 2012-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Suction collector
JP5866194B2 (en) * 2011-12-12 2016-02-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nd railway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585A (en) * 1999-04-23 2000-11-02 Hitachi Ltd Flow measurement device
KR20020033697A (en) * 2002-03-28 2002-05-07 이남구 Apparatus Of Gathering Particulates For The Car's Muffler
KR100725996B1 (en) * 2006-05-04 2007-06-08 주식회사 에어화인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KR20090022066A (en) * 2007-08-29 2009-03-04 박기봉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trains
KR20090094512A (en) 2008-03-03 2009-09-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Zero-power centrifugal de-dusting apparatus for subway tunnel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177A (en) * 2017-12-11 2019-06-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ertial filter device
KR102071773B1 (en) 2017-12-11 2020-04-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nertial filter device
KR20190085696A (en) * 2018-01-11 2019-07-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on-exhaust fine-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KR102012919B1 (en) 2018-01-11 2019-08-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Non-exhaust fine-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frictional electricity
US11504722B2 (en) 2018-01-11 2022-11-22 POSTECH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Foundation Non-exhaust fine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triboelectricity
KR102135843B1 (en) * 2019-03-29 2020-07-21 정현수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WO2020204514A1 (en) * 2019-03-29 2020-10-08 정현수 Vehicle dust removal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102132950B1 (en) * 2019-04-12 2020-07-10 주식회사 제이에스시솔루션 Power substation with inertial filter unit
KR102178371B1 (en) * 2019-05-22 2020-11-13 정현수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20210061895A (en) * 2019-11-20 2021-05-28 주식회사 애니텍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KR102292732B1 (en) 2019-11-20 2021-08-23 주식회사 애니텍 Dust controller linkable to HVAC
KR20210101005A (en) 2020-02-07 2021-08-18 이재규 Bi-directional Nonpowered Dust Collection System For Railwa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17782B2 (en) 2018-04-25
CN106256451A (en) 2016-12-28
CN106256451B (en) 2018-12-04
JP2017006907A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53B1 (en) Nonpowered dust collector
KR101801748B1 (en) Complex type dust collector
KR101975035B1 (en) Street cleaning vehicle of multistep dust process type
CN101028788A (en) A dust collector for vehicles
US6007593A (en) Device for agglomerating and precipitating particles in a gas stream
JP2013031820A (en) Cyclone dust collector
CN101362037A (en) Pulse blade demister
CN105423414B (en) Air purifier and the air conditioner for possessing air-cleaning function
CN104289043B (en) A kind of anti-dust storm mechanical type filter used for rail vehicle
CN109260858A (en) Modularization air intake guide device and modularization duster system
CN108750464A (en) Dustbin component and road cleaning vehicle
JP6050101B2 (en) Dust collector
KR102014016B1 (en) Train for removing dust
KR102311583B1 (en) Device having module for making air-curtain around filter bag
KR101898010B1 (en) Nonpowered dust collector
KR20090022066A (en)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trains
KR101117355B1 (en) Dust collector
KR102000020B1 (en) Resuspended Dust Collecting Device
WO2020226164A1 (en) Separator for removal of fine particles
CN201687616U (en) High-level air inlet pipe
CN210385440U (en) Desulfurizing and dust-removing device
KR100460600B1 (en) Adhesion plate structure for impingement eliminator
CN208448826U (en) High flow rate deflector type liquid drop separator
KR102289066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RU2299818C1 (en) Inertial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