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250B1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3250B1 KR101673250B1 KR1020140179748A KR20140179748A KR101673250B1 KR 101673250 B1 KR101673250 B1 KR 101673250B1 KR 1020140179748 A KR1020140179748 A KR 1020140179748A KR 20140179748 A KR20140179748 A KR 20140179748A KR 101673250 B1 KR101673250 B1 KR 101673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voltage
- unit
- battery
- leakage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의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0 : 배터리부 30 : 모니터링부
Claims (18)
-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제1 충전 전압을 측정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제2 충전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상기 제1 충전 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인지 추가적으로 확인하되,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을 중단하고,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충전 전압을 상기 기 설정된 전압까지 충전 후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압을 측정하라는 명령을 수신 받으면 상기 제1 충전 전압을 측정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제2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충전 전압과 비교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충전 전압과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충전부 화면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점검 결과 정상 충전된 것을 알려주는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 모니터링부와 충전부에서 각각 배터리부의 제1 충전 전압과 제2 충전 전압을 동시에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충전부에서 상기 제1 충전 전압과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 단계; 및
상기 전압 비교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를 통해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배터리부에 누설 전류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누설 전류 판단 단계;
상기 누설 전류 판단 단계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인지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을 중단하는 중단하는 충전 중단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충전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충전 전압을 상기 기 설정된 전압까지 충전 후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을 중단하는 임계 충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 단계 이전에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배터리부의 전압을 측정하라는 명령을 수신받는 측정 명령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비교 단계는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충전 전압과 비교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판단 단계는 상기 제1 충전 전압과 상기 제2 충전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판단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충전부 화면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경고등 점등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판단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한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누설 전류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판단 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부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점검 결과 정상 충전된 것을 알려주는 점검 결과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상태 진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748A KR101673250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9748A KR101673250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936A KR20160071936A (ko) | 2016-06-22 |
KR101673250B1 true KR101673250B1 (ko) | 2016-11-07 |
Family
ID=5636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9748A Active KR101673250B1 (ko) | 2014-12-12 | 2014-12-12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325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02A1 (ko) * | 2016-12-09 | 2018-06-14 |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 전원 평가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60843A (zh) * | 2019-11-25 | 2020-04-24 | 江西恒动新能源有限公司 | 一种电池管理系统从板漏电流检测装置及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5007A1 (ja) | 2011-12-09 | 2013-06-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の充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724B1 (ko) * | 2007-09-04 | 2013-07-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
WO2010024654A2 (ko) * | 2008-09-01 | 2010-03-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장치 및 배터리 팩 |
KR20130047502A (ko) * | 2011-10-31 | 2013-05-08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셀센싱 회로 고장진단 기법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9748A patent/KR10167325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5007A1 (ja) | 2011-12-09 | 2013-06-1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動車両の充電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05902A1 (ko) * | 2016-12-09 | 2018-06-14 |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 전원 평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936A (ko) | 2016-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42814B2 (ja) | 車両の電源装置 | |
KR101735739B1 (ko) | 누설 전류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10921B1 (ko) |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KR101619328B1 (ko) |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887442B1 (ko) | 절연 저항 측정 회로 진단 장치 | |
US1015180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battery cells | |
KR20180070889A (ko) |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80055264A (ko) | 과충전 방지 장치 및 방법 | |
KR101610927B1 (ko) |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 |
KR20130065351A (ko) | 데이지 체인 방식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 |
JP2016530863A (ja) |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バランス調整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20160068522A (ko) |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10908B1 (ko) | 배터리 전압 측정회로의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725498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누설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25496B1 (ko)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601717B1 (ko) | 밸런싱 소요시간을 이용한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 |
KR101856068B1 (ko) |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 |
KR101826645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 |
KR20180045694A (ko) |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101673250B1 (ko) |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35734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단선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44713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방법 | |
KR101628858B1 (ko)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744710B1 (ko) |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 |
KR101735738B1 (ko) | 과충전 방지 장치 및 이의 고장 진단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