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70171B1 - 역류 방지 방화 댐퍼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방화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171B1
KR101670171B1 KR1020150057655A KR20150057655A KR101670171B1 KR 101670171 B1 KR101670171 B1 KR 101670171B1 KR 1020150057655 A KR1020150057655 A KR 1020150057655A KR 20150057655 A KR20150057655 A KR 20150057655A KR 101670171 B1 KR101670171 B1 KR 10167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rim
flame retardant
damper
sid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이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빈 filed Critical 이수빈
Priority to KR102015005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 시에는 배기 샤프트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기능과 화재 시에는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기능을 동시에 가진 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통기부(110)와, 상기 통기부(110)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120)로 이루어져 고온의 환경에서 발포 팽창하여 고형화되는 팽창형 난연재(100)와;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일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입구(210)가 개구되어 있는 입구측 하우징(200)과;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상기 입구측 하우징(200)이 마련된 반대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출구(310)가 개구되며,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32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310)를 폐쇄시키는 출구측 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주거 환경을 향상시키는 한편, 화재에 대한 안전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방화 댐퍼{Damper for preventing fire and back flow}
본 발명은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 시에는 배기 샤프트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기능과 화재 시에는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기능을 동시에 가진 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써,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주거 환경을 향상시키는 한편, 화재에 대한 안전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 분야에 있어서 댐퍼(damper)란 덕트 내에 설치되어 송풍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판으로, 덕트가 방화벽 또는 방화구획을 통과할 때 그 부분에 방화 댐퍼를 설치하게 된다.
방화 댐퍼란 화재 시 화염이 덕트를 통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 방법에 따라 크게 전동식과 기계식으로 구분된다.
전동식 방화 댐퍼는 온도 검출 센서 및 구동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온도 검출 센서에서 검출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통해 전동으로 댐퍼를 폐쇄시키는 것이다.
또한, 기계식 방화 댐퍼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11-76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와 고온의 영향에 따라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하는 퓨즈를 구비한 것으로, 고온의 영향으로 퓨즈가 녹아 내리면 이러한 퓨즈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댐퍼가 탄성체에 의해 탄력적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화 댐퍼는, 전동식의 경우 항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고 모터나 온도 검출 센서 등에 의해 생산 원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계식의 경우 설치 후 장기간이 흐르면 탄성 변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복원력이 저하됨으로써 댐퍼를 기밀성 높게 폐쇄시키지 못하여 방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이러한 방화 댐퍼는 기본적으로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배기 샤프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빠져나가야 할 담배 연기나 조리 시 발생하는 등의 오염된 공기가 오히려 다른 세대로 역류하여 주거 환경을 크게 저해하고 있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764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기 샤프트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담배 연기나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등으로부터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주거 환경을 향상시키는 한편, 방화 기능을 통해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재에 대한 안전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져 고온의 환경에서 발포 팽창하여 고형화되는 팽창형 난연재와; 상기 팽창형 난연재의 테두리부를 일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입구가 개구되어 있는 입구측 하우징과; 상기 팽창형 난연재의 테두리부를 상기 입구측 하우징이 마련된 반대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출구가 개구되며,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시키는 출구측 하우징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출구측 하우징에 형성되는 출구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상기 출구측 하우징에 마련되는 커버는 평면의 테두리를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출구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오목하게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입구측 하우징과 상기 출구측 하우징의 외주면은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건물에 있어 실내와 수직한 배기 샤프트 내의 배기덕트 사이의 배기관로 내에 마련되되; 상기 배기관로의 입구에는 팬의 회전을 통하여 내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강제배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관로의 출구에는 상기 배기관로의 내경에 삽입되는 림과; 상기 림의 중앙을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 중 일직선상에 배열된 두 개의 리브 전면에 고정된 탄력커버로 이루어진 보조 역류방지수단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기 샤프트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담배 연기나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 등으로부터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주거 환경을 향상시키는 한편, 방화 기능을 통해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화재에 대한 안전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다른 예의 커버가 마련된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마련되는 보조 역류방지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마련되는 보조 역류방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다른 예의 커버가 마련된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때, 도 5의 (a)는 커버(32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커버(32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한,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마련되는 보조 역류방지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마련되는 보조 역류방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7의 (a)는 보조 역류방지수단(60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의 (b)는 보조 역류방지수단(60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자중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320)에 의해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격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팽창형 난연재(100)를 통해 화재 시 발포 팽창하여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통기부(110)와, 상기 통기부(110)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120)로 이루어져 고온의 환경에서 발포 팽창하여 고형화되는 팽창형 난연재(100)와;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일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입구(210)가 개구되어 있는 입구측 하우징(200)과;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상기 입구측 하우징(200)이 마련된 반대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출구(310)가 개구되며,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32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310)를 폐쇄시키는 출구측 하우징(30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팽창형 난연재(100)와, 이 팽창형 난연재(100)의 앞뒤를 감싸는 두 개의 하우징(200)(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는 고분자 화합물로써, 고온의 열원에 노출되었을 때 초기 체적의 수십 배로 발포 팽창하여 탄화 발포층을 형성한 후 고형화 됨으로써, 단열 작용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팽창형 난연재(100)는 환경문제 등을 고려하여 할로겐계 보다는 비할로겐계가 바람직할 것이며, 비교적 유연하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는 도 2와 같이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는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통기부(110)와, 상기 통기부(110)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팽창형 난연재(100)를 이용하여 상기 통기부(110)를 제작할 때,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는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팽창형 난연재(100)를 재단한 후, 재단한 팽창형 난연재(100)를 도 8과 같이 얇은 합성수지(111)로 감싸는 것으로 강성을 부여하여, 강성을 가지고 격자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통기부(110)의 형상은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 가능한 격자 형태로써, 그 형상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통기부(110)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형 난연재(100)에 강성을 부여할 필요 없이 직접 상기 통기부(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테두리부(120)는 도 5와 같이, 이후에 설명할 하우징(200)(30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별도로 강성을 부여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상기 테두리부(120)는 보다 많은 양의 팽창형 난연재(100)를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는 통기부(110)를 통해 공기가 유통 가능하며, 테두리부(120)가 이러한 통기부(110)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입구측 하우징(200)은 도 5와 같이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대략 'ㄱ'자형 단면을 가지고 직각으로 감싸 고정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입구(210)가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입구측 하우징(200)은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제작되어도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타측에 마련되는 출구측 하우징(300) 또한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테두리부(120)를 대략 'ㄱ'자형 단면을 가지고 직각으로 감싸 고정되는 것으로, 이 또한 그 중앙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출구(310)가 개구되어 있다.
즉,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의 일측에 입구측 하우징(200)이 마련된다면, 그 반대측에 출구측 하우징(300)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은 상술한 입구측 하우징(200)과는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며, 특히 커버(320)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출구측 하우징(300)에 마련되는 커버(320)는 상부가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커버(3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출구(31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320)의 안쪽에 정압이 작용하거나 혹은 상기 커버(320)의 바깥쪽에 부압이 작용할 경우, 상기 커버(320)가 스스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에 있어서 출구(310)를 수직하게 형성하여도 좋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에 형성되는 출구(310)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출구(310)가 수직하게 형성될 경우, 이 출구(310)를 폐쇄하는 커버(320)와 미세한 유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상기 출구(310)를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커버(320)가 자중에 의해 출구(310)를 보다 확실히 폐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커버(320)의 형상을 단순히 평판으로 구현하여도 좋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에 마련되는 커버(320)는 평면의 테두리를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출구(310)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오목하게 만곡부(32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만곡부(322)를 형성할 경우, 커버(320)가 닫혔을 때 상기 만곡부(322)가 상기 출구(310)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기밀성을 높이고 특히 커버(320)가 출구측 하우징(300) 상에서 유동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만곡부(322)가 부드럽게 안내하는 가이드베인 역할 또한 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입구측 하우징(200)과 출구측 하우징(300)은 상기 팽창형 난연재(100)를 감싸 적절한 치수를 통해 탄력적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보다는 상기 입구측 하우징(200)과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의 외주면은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입구측 하우징(200)과 상기 출구측 하우징(300)의 외주면을 감싸 접착되는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10)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건물에 있어 실내와 수직한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 사이의 배기관로(30)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물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배기 샤프트(20) 내에 상기 배기덕트(21)가 상하로 배관되며, 이러한 배기덕트(21) 내에 상기 배기관로(30)의 말단이 상방향을 향하여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에 추가적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배기관로(30)의 입구에는 팬의 회전을 통하여 내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강제배기구(500)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관로(30)의 출구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배기관로(30)의 내경에 삽입되는 림(610)과; 상기 림(610)의 중앙을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620)와; 상기 리브(620) 중 일직선상에 배열된 두 개의 리브(620) 전면에 고정된 탄력커버(630)로 이루어진 보조 역류방지수단(600)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강제배기구(500)는 욕실이나 주방과 같이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공간의 벽면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을 통해 팬을 회전시켜 오염된 내기를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로 강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역류방지수단(600)은 탄력커버(630)가 도면상 여섯 개의 리브 가운데 일직선상의 두 리브(620)에 지지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로 배출시킬 때에는 도 7의 (b)와 같이 상기 탄력커버(630)가 탄력적으로 열리게 되지만, 배기 샤프트(20)의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여 실내로 들어오려고 할 때에는 도 7의 (a)와 같이 상기 탄력커버(630)가 리브(620) 및 림(610)에 의하여 지지되어 폐쇄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실내와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를 연결하는 배기관로(30) 중간에 마련된다.
이때, 역류 방지 방화 댐퍼에 실내 측으로부터 정압이 작용하거나 또는 배기 샤프트(20) 측으로부터 부압이 작용할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출구(310)를 폐쇄하고 있던 커버(320)가 도 5의 (b)와 같이 개방되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로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커버(320)에 별도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도는 상기 배기 샤프트(20) 측으로부터 정압이 작용할 경우에는, 도 5의 (a)와 같이 출구측 하우징(300)에 마련된 커버(320)가 출구(310)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배기 샤프트(20) 내의 배기덕트(21)를 통해 배출되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320)에 만곡부(322)를 형성한다면 커버(3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베인의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배기관로(30)의 입구에 강제배기구(500)를 마련한다면, 상기 강제배기구(500)의 팬 회전에 따라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의 실내 측에 강제로 정압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로(30)의 출구에 보조 역류방지수단(600)을 마련한다면, 기본적으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와 함께 배기 샤프트(20)로부터 실내로 오염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의 뜨거운 공기가 팽창형 난연재(100)에 고온의 영향을 미칠 경우에는, 통기부(110) 및 테두리부(120)로 이루어진 팽창형 난연재(100)가 수십 배의 체적으로 발포 팽창한 후 고형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가 설치된 관로, 예를 들어, 도 4의 배기관로(30) 내부를 차단함으로써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 또한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방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방화 댐퍼는 간단한 구조로 역류 방지 기능과 방화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 배기 샤프트(20)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화재 시에는 실내의 화염이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 또한 예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팽창형 난연재 110 : 통기부
120 : 테두리부 200 : 입구측 하우징
210 : 입구 300 : 출구측 하우징
310 : 출구 320 : 커버
322 : 만곡부 500 : 강제배기구
600 : 보조 역류방지수단 610 : 림
620 : 리브 630 : 탄력커버
10 : 역류 방지 방화 댐퍼 20 : 배기 샤프트
21 : 배기덕트 30 : 배기관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공기가 유통 가능하게 격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의 외주를 감싸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져 고온의 환경에서 발포 팽창하여 고형화되는 팽창형 난연재와;
    상기 팽창형 난연재의 테두리부를 일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입구가 개구되어 있는 입구측 하우징과;
    상기 팽창형 난연재의 테두리부를 상기 입구측 하우징이 마련된 반대측에서 감싸 고정되되 중앙에 출구가 개구되며,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커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시키는 출구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출구측 하우징에 형성되는 출구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출구측 하우징에 마련되는 커버는 평면의 테두리를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출구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오목하게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방화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하우징과 상기 출구측 하우징의 외주면은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방화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건물에 있어 실내와 수직한 배기 샤프트 내의 배기덕트 사이의 배기관로 내에 상기 댐퍼가 마련되되;
    상기 배기관로의 입구에는 팬의 회전을 통하여 내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강제배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관로의 출구에는 상기 배기관로의 내경에 삽입되는 림과; 상기 림의 중앙을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 중 일직선상에 배열된 두 개의 리브 전면에 고정된 탄력커버로 이루어진 보조 역류방지수단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방화 댐퍼.
KR1020150057655A 2015-04-24 2015-04-24 역류 방지 방화 댐퍼 KR101670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5A KR101670171B1 (ko) 2015-04-24 2015-04-24 역류 방지 방화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55A KR101670171B1 (ko) 2015-04-24 2015-04-24 역류 방지 방화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171B1 true KR101670171B1 (ko) 2016-10-27

Family

ID=5724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55A KR101670171B1 (ko) 2015-04-24 2015-04-24 역류 방지 방화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9B1 (ko) * 2019-04-24 2019-11-21 양세연 공기순환기용 댐퍼구조체
WO2022265462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내화채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617A (ja) * 2005-07-29 2007-03-08 Sekisui Chem Co Ltd 防火ダンパー装置
KR200440947Y1 (ko) * 2007-11-22 2008-07-10 주식회사 제일테크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20110007646A (ko) 2009-07-17 2011-01-25 오정석 일괄 잠금 구조를 갖는 자전거 보관대
KR20110007646U (ko) * 2010-01-26 2011-08-03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KR200459346Y1 (ko) * 2009-12-11 2012-03-23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개선된 밀폐성과 체결성을 갖는 급,배기덕트부재용 백 드래프트 댐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617A (ja) * 2005-07-29 2007-03-08 Sekisui Chem Co Ltd 防火ダンパー装置
KR200440947Y1 (ko) * 2007-11-22 2008-07-10 주식회사 제일테크 배기덕트의 분기배기관용 연결관
KR20110007646A (ko) 2009-07-17 2011-01-25 오정석 일괄 잠금 구조를 갖는 자전거 보관대
KR200459346Y1 (ko) * 2009-12-11 2012-03-23 주식회사 삼원이.엔.지 개선된 밀폐성과 체결성을 갖는 급,배기덕트부재용 백 드래프트 댐퍼
KR20110007646U (ko) * 2010-01-26 2011-08-03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9B1 (ko) * 2019-04-24 2019-11-21 양세연 공기순환기용 댐퍼구조체
WO2022265462A1 (ko) * 2021-06-18 2022-12-22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내화채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704Y1 (ko)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EP2821716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mprising a wind-visor for air discharge opening
US7497774B2 (en) Whole house fan system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101512409B1 (ko) 결로방지용 후드캡
US20150038070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756588B1 (ko) 방화용 환풍기
KR20100074363A (ko) 방화 댐퍼가 구비된 환기구
KR101670171B1 (ko) 역류 방지 방화 댐퍼
PT2051020E (pt) Dispositivo de ventilação
JP664160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4245495A (ja) 簡易空調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風装置
KR20080039603A (ko) 환기덕트용 댐퍼
KR101058417B1 (ko) 자동환기 가능한 창문틀
KR102186910B1 (ko) 결로 문제를 개선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후드 캡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JP5209956B2 (ja) 換気装置
KR100855716B1 (ko) 방화 댐퍼
US20040072538A1 (en) Ventilation apparatus with integral intumescent fire and smoke s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3005462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수 역류방지장치
JP5477061B2 (ja) 換気扇及びその換気システム
JP3219649B2 (ja) 住宅用ダクトホース
JP2520132B2 (ja) 屋内換気装置
KR101662288B1 (ko) 덕트 환기장치
KR200477238Y1 (ko) 디퓨져
KR20180078765A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