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77424B1 - 컨테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24B1
KR101677424B1 KR1020160015551A KR20160015551A KR101677424B1 KR 101677424 B1 KR101677424 B1 KR 101677424B1 KR 1020160015551 A KR1020160015551 A KR 1020160015551A KR 20160015551 A KR20160015551 A KR 20160015551A KR 101677424 B1 KR101677424 B1 KR 10167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ing
container
bracket
piv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888A (ko
Inventor
박봉기
장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102016001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킹아암에 의한 주변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이나 소음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는 도어개구를 가진 컨테이너본체와; 상기 도어개구의 일측 수직연부를 따라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컨테이너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부에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킹로드와; 일단에 회동부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아암본체와, 상기 회동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를 갖는 로킹아암과; 상기 로킹로드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본체를 파지하거나 해제하는 로킹홀더와; 상기 로킹로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한 브래킷플레이트부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아암의 회동부를 회동지지하는 회동축핀과, 상기 회동축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멈춤돌기와 맞물려 상기 아암본체가 소정의 상향 한계 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아암브래킷과;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의 대향한 내측면 사이에 상기 회동부의 회동공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탄성소재로 된 한 쌍의 부싱플레이트부를 갖는 브래킷부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장치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여 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혹은 탑차의 컨테이너본체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도어개구를 가지며, 이 도어개구는 도어개구 수직연부를 따라 힌지 결합된 컨테이너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컨테이너도어 외부에는 컨테이너본체의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로킹로드와 로킹로드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로킹아암이 배치된다. 로킹로드와 로킹아암은 아암브래킷을 통해 결합되며, 아암브래킷은 로킹아암이 로킹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회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로킹아암을 회동시켜 컨테이너도어 외벽면에 부착된 로킹홀더로부터 로킹아암을 파지 및 해제시키고, 로킹아암을 조작하여 로킹로드를 회동시킨다. 로킹로드는 회동을 통해 컨테이너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잠금부에 탈착되며, 컨테이너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켜 컨테이너도어를 개폐한다.
그런데 종래의 컨테어너 장치는 로킹아암의 상방 혹은 하방 회동 시, 아암브래킷, 로킹로드 혹은 도어 등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킹아암에 의한 주변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이나 소음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는 도어개구를 가진 컨테이너본체와; 상기 도어개구의 일측 수직연부를 따라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컨테이너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부에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킹로드와; 일단에 회동부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아암본체와, 상기 회동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를 갖는 로킹아암과; 상기 로킹로드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본체를 파지하거나 해제하는 로킹홀더와; 상기 로킹로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한 브래킷플레이트부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아암의 회동부를 회동지지하는 회동축핀과, 상기 회동축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멈춤돌기와 맞물려 상기 아암본체가 소정의 상향 한계 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아암브래킷과;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의 대향한 내측면 사이에 상기 회동부의 회동공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탄성소재로 된 한 쌍의 부싱플레이트부를 갖는 브래킷부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암본체는 하향회동 시 상기 스토퍼에 접촉하여 하향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하향멈춤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부시는 상기 회동축핀의 상부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로킹아암이 소정의 상향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멈춤부와 상기 로킹아암이 소정의 하향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와 상기 부싱플레이트부는 상호 요철결합되는 일측의 물림돌기와 타측의 물림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브래킷부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아암에 의한 주변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이나 소음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아암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아암브래킷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시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부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의 정면도이다. 컨테이너본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통 형상으로 일측면에 도어개구를 가지며, 도어개구는 컨테이너본체(100)의 수직방향을 따라 힌지(120) 결합된 컨테이너 도어(110)에 의해 개폐된다. 컨테이너도어(110)의 외표면에는 외표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 가능한 로킹로드(200)가 설치된다. 로킹로드(200)는 컨테이너도어(110) 외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로킹로드브래킷(22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와 하부에 컨테이너본체(100)에 설치된 잠금부(130)와 탈착 가능한 결합부(210)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로킹로드(200)는 회동하여 잠금부(130)로부터 탈착되어 컨테이너도어(110)를 잠금 및 해제시킨다.
로킹로드(200)의 회동은 로킹로드(200)의 일측면에 연결된 로킹아암(300)을 통해 조작된다. 로킹아암(300)은 일단에 회동부(320)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아암본체(310)와, 회동부(320)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330)를 갖는다. 사용자는 아암본체(310)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컨테이너도어(110) 외벽면에 설치된 로킹홀더(230)로부터 파지 및 해제시키고, 해제된 아암본체(310)를 조작하여 로킹로드(200)를 회동시킨다. 로킹홀더(230)의 파지 및 해제는 로킹아암(300)를 고정시킬 뿐 아니라, 로킹아암(300)에 연결된 로킹로드(200)를 함께 고정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로킹로드(200)의 회동을 방지한다.
로킹로드(200)와 로킹아암(300)는 도1,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브래킷(400)을 통해 결합된다. 아암브래킷(400)은 도2에서처럼 로킹로드(2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한 브래킷플레이트부(410)를 가지며, 이들 브래킷플레이트부(410)는 상부턱(42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플레이트부(410)의 내부에는 회동축핀(430)이 결합되어 로킹아암(300)의 회동부(320)를 지지한다. 그리고 브래킷플레이트부(41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핀(430)의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게 설치된 스토퍼(440)를 갖는다. 다만 도면상에 나타난 스토퍼(440)는 브래킷플레이트부(410)으로부터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형태이지만, 상황에 따라 브래킷플레이트부(410)를 연결하는 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0)는 멈춤돌기(330)와 하향멈춤부(340)에 맞물려 아암본체(310)가 소정의 한계 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는 로킹홀더(230)로부터 파지되어 있는 아암본체(310)를 해제하기 위해 아암본체(31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며, 이때 멈춤돌기(330)는 회동부(320)을 중심으로 아암본체(310)에 반대방향에서 하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아암본체(310)의 회동을 따라 멈춤돌기(330)가 하방으로 소정각도로 회동하여 브래킷플레이트부(410) 하부에서 스토퍼(440)에 의해 저지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스토퍼(440)는 아암본체(310)가 상방으로 소정의 한계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아암본체(310)가 로킹홀더(230)로부터 해제되면 사용자는 아암본체(310)를 손잡이로 사용하여 로킹로드(200)를 회동시켜 컨테이너도어(110)를 잠금 해제한다. 그리고 컨테이너도어(110)의 잠금이 해제되면, 아암본체(310)를 하방으로 회동시킨 후 화물을 적재 및 하차한다. 이 때 스토퍼(440)는 아암본체(310)에 배치된 하향멈춤부(340)와 접촉하여, 아암본체(310)의 한계 하향회동 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도면상에 나타난 하향멈춤부(340)는 설명의 편의상 스토퍼(440)에 맞물리는 홈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돌기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충격감소를 위해 탄성소재 등의 충격완화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스토퍼(440)는 아암본체(310)가 상하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로킹아암(300)이 아암브래킷(400), 로킹로드(200) 및 컨테이너도어(110) 등 주변 장치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으로 인한 파손, 변형 및 충격소음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장치는 도4에 도시된 브래킷부시(500)를 갖는다. 아암브래킷(400)내부에 결합되는 브래킷부시(500)는 도4와 도5에 도시된바와 같이, 브래킷플레이트부(410)의 내측면에 회동공간을 두고 대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부싱플레이트부(510)를 갖는다. 한 쌍의 부싱플레이트부(510)는 상부에 상부멈춤부(520)를 가지며, 상부멈춤부(520)는 아암본체(310)가 상향한계 회동각도를 초과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부싱플레이트부(510) 하부에는 하부멈춤부(530)가 배치되며, 하부멈춤부(530)는 아암본체(310)가 하향한계 회동각도를 초과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브래킷부시(500)는 로킹아암(300)과 아암브래킷(400)의 이격을 최소화시켜, 로킹로드(200)를 회동시키기 위해 로킹아암(300)을 조작시 로킹아암(300)에서 브래킷플레이트부(410)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브래킷부시(500)는 충격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로 탄성소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브래킷부시(500)는 아암브래킷(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마찰로 인한 변형, 파손 및 소음을 줄이며, 스토퍼(440)의 로킹아암(300) 과회동방지 기능을 보완한다.
아암브래킷(400)과 브래킷부시(500)의 결합은, 브래킷플레이트부(410)와 부싱플레이트부(510)에 상호 요철결합되는 일측의 물림돌기(540)와 타측의 물림홈(450)을 통해 이루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충격으로 인한 브래킷부시(500)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다. 다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브래킷플레이트부(410)에 물림홈(450)이, 부싱플레이트부(510)에 물림돌기(540)가 배치되었지만, 상황에 따라 상호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장치는, 컨테이너도어(110)를 잠금 및 해제하는 로킹로드(200)와, 로킹로드(200)에 결합하여 로킹로드(200)를 조작하는 로킹아암(300)을 포함한다. 로킹아암(300)과 로킹로드(200)는 아암브래킷(400)을 통해 연결되며, 아암브래킷(400) 내부에는 스토퍼(4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컨테이너도어(110)를 개폐하기 위해 로킹아암(300)을 조작 시, 로킹아암(300)의 과회동을 방지하여 로킹아암(300)에 의한 주변 부품의 파손 및 변형이나 소음발생 등을 방지한다.
100: 컨테이너본체
110: 컨테이너도어 120: 힌지
130: 잠금부 200: 로킹로드
210: 결합부 220: 로킹로드브래킷
230: 로킹홀더 300: 로킹아암
310: 아암본체 320: 회동부
330: 멈춤돌기 340: 하향멈춤부
400: 아암브래킷 410: 브래킷플레이트부
420: 상부턱 430: 회동축핀
440: 스토퍼 450: 물림홈
500: 브래킷부시 510: 부싱플레이트부
520: 상부멈춤부 530: 하부멈춤부
540: 물림돌기 550: 회동축공
560: 스토퍼연결공

Claims (4)

  1. 컨테이너 장치에 있어서,
    도어개구를 가진 컨테이너본체와;
    상기 도어개구의 일측 수직연부를 따라 힌지결합되어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컨테이너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부에 상기 컨테이너 본체의 수직축선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킹로드와;
    일단에 회동부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아암본체와, 상기 회동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멈춤돌기를 갖는 로킹아암과;
    상기 로킹로드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본체를 파지하거나 해제하는 로킹홀더와;
    상기 로킹로드에 결합되는 한 쌍의 평행한 브래킷플레이트부와,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로킹아암의 회동부를 회동지지하는 회동축핀과, 상기 회동축핀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멈춤돌기와 맞물려 상기 아암본체가 소정의 상향 한계 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갖는 아암브래킷과;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의 대향한 내측면 사이에 상기 회동부의 회동공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탄성소재로 된 한 쌍의 부싱플레이트부를 갖는 브래킷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시는 상기 회동축핀의 상부에 이격배치되어 상기 로킹아암이 소정의 상향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상부멈춤부와 상기 로킹아암이 소정의 하향회동각도를 초과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하부멈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플레이트부와 상기 부싱플레이트부는 상호 요철결합되는 일측의 물림돌기와 타측의 물림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장치.
KR1020160015551A 2016-02-11 2016-02-11 컨테이너 장치 Active KR10167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51A KR101677424B1 (ko) 2016-02-11 2016-02-11 컨테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551A KR101677424B1 (ko) 2016-02-11 2016-02-11 컨테이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043A Division KR101598893B1 (ko) 2015-03-10 2015-03-10 컨테이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88A KR20160110888A (ko) 2016-09-22
KR101677424B1 true KR101677424B1 (ko) 2016-11-18

Family

ID=5710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551A Active KR101677424B1 (ko) 2016-02-11 2016-02-11 컨테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419A (ja) 2003-01-24 2004-08-12 Hanako Ueda トラック荷箱ドア用係合部材
KR200418815Y1 (ko) 2006-03-09 2006-06-14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컨테이너의 도어 잠금장치
KR101133529B1 (ko) 2011-09-06 2012-04-04 모터웍스 주식회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618B2 (ja) * 1991-08-30 2000-07-04 日野車体工業株式会社 扉の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419A (ja) 2003-01-24 2004-08-12 Hanako Ueda トラック荷箱ドア用係合部材
KR200418815Y1 (ko) 2006-03-09 2006-06-14 주식회사 A.N.D 오토모빌 컨테이너의 도어 잠금장치
KR101133529B1 (ko) 2011-09-06 2012-04-04 모터웍스 주식회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88A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7150A1 (zh) 锁具及具有其的托盘箱
JP2006009560A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KR101709094B1 (ko) 소선회식 건설기계의 후드 개폐장치
CN107878947B (zh) 锁紧装置、集装箱门结构和集装箱
KR101598893B1 (ko) 컨테이너 장치
JP4552758B2 (ja) 収納容器
KR101677424B1 (ko) 컨테이너 장치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JP6614804B2 (ja) 塵芥収集車の後部扉のロック装置および塵芥収集車
US20210301566A1 (en) Lid lock unit attachment structure
JP6956954B2 (ja) 船倉扉
JP3911831B2 (ja) 機構板のロック構造
JP4761604B2 (ja) 天井点検口
JP362963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3714067B2 (ja) 上開き扉付きケースの扉開閉装置
KR20130000693U (ko) 도어 개폐용 록 핸들
JP4014051B2 (ja) 二軸型ヒンジ
JP2514129Y2 (ja) 観音開扉の開閉装置
JPS6348946Y2 (ko)
KR20100112844A (ko) 러기지 박스용 도어의 잠금장치
TWM556274U (zh) 鉸鍊裝置
KR19980037072U (ko) 콘테이너 도어레버장치
JP4248789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80096103A (ko) 도어록킹 장치
JP4465101B2 (ja) 戸当りのストッパ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3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3304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