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126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2126B1 KR101662126B1 KR1020140053378A KR20140053378A KR101662126B1 KR 101662126 B1 KR101662126 B1 KR 101662126B1 KR 1020140053378 A KR1020140053378 A KR 1020140053378A KR 20140053378 A KR20140053378 A KR 20140053378A KR 101662126 B1 KR101662126 B1 KR 101662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zoelectric element
- electrode
- vibration
- main
- space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451 lead zirconate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FGPZNIAWCZYJU-UHFFFAOYSA-N lead zirconate titanate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i+4].[Zr+4].[Pb+2] HFGPZNIAWCZY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Landscapes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편심을 이용한 기존의 진동발생장치와 비교하여 빠른 응답 속도 및 다양한 주파수에서 구동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에는 적층형 타입의 압전소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낙하 충격 시 또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전소자의 특성 상 쉽게 크랙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소자부 영역이 크게 줄어 들어 진동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즉,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압전소자가 파손되더라도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압전소자의 파손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진동량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동부재와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진동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동부재와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진동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112)와, 상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브라켓(11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회로기판(120)의 일단이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회로기판(120)은 하우징(110)의 일단으로 인출되는 주회로기판(122)과, 하우징(110)의 타단으로 인출되는 예비회로기판(124)을 구비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하우징(110), 회로기판(120), 진동부재(130) 및 압전소자(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 케이스(112)와 브라켓(114)으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112)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진다. 즉, 상부 케이스(112)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한편, 브라켓(114)은 상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조립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112)에는 회로기판(120)의 일단부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홈(112a)이 형성된다. 즉, 회로기판(120)의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112)와 브라켓(114)이 조립되더라도 인출홈(112a)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브라켓(114)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는 진동부재(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4a)가 형성된다. 지지부(114a)는 브라켓(114)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한편, 브라켓(114)은 상부 케이스(112)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외부로 인출된 회로기판(120)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12)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다시 말해, 브라켓(114)에는 회로기판(12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14b)가 구비된다.
회로기판(120)은 압전소자(140)에 연결되며, 주회로기판(122)과 예비회로기판(124)을 구비한다. 주회로기판(122)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일단부로 인출되고, 예비회로기판(124)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타단부로 인출된다.
한편, 주회로기판(122)과 예비회로기판(124)은 설치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므로, 이하에서는 주회로기판(122)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예비회로기판(12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114)의 안착부(114a)에 고정 설치되는 주회로기판(122)의 일단부에는 전극 연결부(122a)가 구비되며, 주회로기판(122)의 타단에는 압전소자(14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전극(122b)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극 연결부(122a)에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전극(122c)이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124a, 124b, 124c는 각각 예비회로기판(124)에 구비되는 전극 연결부, 연결전극 및 외부연결전극을 지시한다.
진동부재(130)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즉, 진동부재(130)는 양단부가 브라켓(114)의 지지부(114a)에 접합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재(130)가 브라켓(114)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부재(130)는 상부 케이스(1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진동부재(13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압전소자(140)의 변형 시 중앙부가 상,하로 진동된다. 다시 말해, 진동부재(130)는 두께 방향으로 진동된다.
진동부재(130)에는 압전소자(140)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압전소자(130)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A, 도 4 참조)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 방향은 도 1 및 도 2의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Y 방향을 의미하며, 두께 방향은 도 1 및 도 2의 Z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측면과 단부면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진동부재(130) 및 압전소자(140)는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진동부재(130) 및 압전소자(140)는 총 여섯개의 면을 가진다. 즉, 상면과, 저면 및 상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네 면을 가진다. 이 네 면 중 면적이 넓은 두 면을 측면이라 하고, 측면보다 면적인 좁은 두 면을 단부면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이 용어를 사용하여 진동부재(130) 및 압전소자(140)의 외부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공간형성부(160)는 진동부재(130)의 양측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공간형성부(160)는 진동부재(13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130)에 설치되는 경우 공간형성부(160)는 압전소자(140)와 함께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공간형성부(160)의 높이와 압전소자(140)의 두께의 비는 1/2 ~ 1 : 1일 수 있다. 즉, 공간형성부(160)의 높이가 압전소자(140)의 두께의 1/2 보다 작은 경우 충분한 충진제(A)가 충진되지 못하며, 공간형성부(160)의 높이가 압전소자(140)의 두께보다 큰 경우 과다한 충진제(A)가 충진되어 압전소자(140)의 상면에 충진제가 도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공간형성부(160)의 높이는 압전소자(140)의 두께의 1/2보다 크고, 압전소자(14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압전소자(140)는 진동부재(130)에 설치된다. 즉, 압전소자(140)는 진동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한편,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130)에 설치되는 경우 압전소자(140)는 양측면이 진동부재(130)의 공간형성부(160) 내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압전소자(140)는 상기한 충진제(A)에 의해 진동부재(130)에 고정 설치되며, 충진제(A)는 일예로서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진동부재(130)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130)의 상면에 안착되면 접착제는 공간형성부(160)와 압전소자(140)의 양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충진제(A)가 압전소자(140)의 저면과 양 측면에서 진동부재(130)와 압전소자(140)를 접합시킨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압전소자(140)는 전극 쌍으로 구성되는 주전극(141)과, 전극 쌍으로 구성되며 주전극(141)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142)을 구비한다.
그리고, 압전소자(140)는 상기한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 중 어느 하나만이 외부 전원이 연결되더라도 변형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중량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150)는 압전소자(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진동부재(130)와 연동하여 진동된다. 중량체(150)는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부재(130)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비중이 큰 재질, 예를 들어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중량체(150)는 접착부재(152)를 통해 압전소자(14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량체(150)는 진동부재(13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설치부재를 통해 진동부재(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복수개의 댐퍼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재(170)는 진동부재(130)와 중량체(150)의 진동 시 진동부재(130), 중량체(150) 및 하우징(110)의 상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진동부재(130), 중량체(150) 및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에 의한 파손 및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부재(170)는 탄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140)가 공간형성부(160) 내에 배치되도록 진동부재(130)에 설치됨으로써,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충진제(A)가 압전소자(140)의 양측면과 공간형성부(160)의 내부면이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에 파손(즉,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파손이 확장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소자(14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전극(14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142)을 구비한다.
또한, 압전소자(140)는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이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전극층(143)과,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 사이에 개재되는 소자부층(144)을 구비한다.
그리고, 압전소자(140)는 양의 전극층(143a)의 일단을 연결하는 주양극접속부재(145)와, 양의 전극층(143a)의 타단을 연결하는 예비양극접속부재(146)와, 음의 전극층(143b)의 일단을 연결하는 주음극접속부재(147) 및 음의 전극층(143b)의 타단을 연결하는 예비음극접속부재(148)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한 주전극(141)에는 주양극접속부재(145)와 주음극접속부재(147)가 연결되며, 예비전극(142)에는 예비양극접속부재(146)와 예비음극접속부재(148)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한 주양극접속부재(145), 예비양극접속부재(146), 주음극접속부재(147), 예비음극접속부재(148)는 비아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양의 전극층(143a), 음의 전극층(143b), 주양극접속부재(145), 예비양극접속부재(146), 주음극접속부재(147) 및 예비음극접속부재(148)는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금속 물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전성 물질이라면 어느 재질이라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소자부층(144)은 압전 물질, 일예로서 PZT(Lead Zirconate Titanate)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극층(143)에는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더미층(14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양의 전극층(143a)의 양단부에는 양의 전극층(143a)과 분리되는 음극 더미패턴(149a)이 배치되고, 음의 전극층(143b)의 양단부에는 음의 전극층(143b)과 분리되는 양극 더미패턴(149b)이 배치된다.
즉, 양의 전극층(143a)의 양단부에는 음의 전극층(143b)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주음극접속부재(147)와 예비음극접속부재(148)가 통과하는 음극 더미패턴(149a)이 구비된다. 그리고, 음의 전극층(143b)의 양단부에는 양의 전극층(143a)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주양극접속부재(145), 예비양극접속부재(146)가 통과하는 양극 더미패턴(149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주전극(141)이 각각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에 연결되며, 예비전극(142)이 각각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 중 어느 하나에만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압전소자(140)의 양의 전극층(143a)과 음의 전극층(143b)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외부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유효 전극면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예비전극(142)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압전소자(140)의 중앙부에 크랙이 발생되면, 소자부층(144) 뿐만 아니라 전극층(143)에도 크랙이 발생된다. 이 경우 전극층(143)이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기점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주전극(141)에 연결되는 전극층(143)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나, 크랙이 발생된 부분에서부터 주전극(14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전극층(143)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유효 전극면이 감소되어 진동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이 구비되므로,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을 통해 전원을 전극층(143)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기점으로 양측 모두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 유효 전극면의 감소를 방지하여 진동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공간형성부를 통해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동부재와 압전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부재(130)에는 압전소자(140)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압전소자(140)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A)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160)를 구비한다. 즉, 공간형성부(160)는 진동부재(13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우 압전소자(140)의 양측면과 리브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160)늬 내부면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충진제(A), 즉 접착제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제(A)가 압전소자(140)의 저면과 압전소자(140)의 양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충진제(A)가 압전소자(140)의 저면과 압전소자(140)의 양측면에 도포되어 진동부재(130)의 상면과 공간형성부(160)의 내부면에 압전소자(140)가 접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140)는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이 구비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유효 전극면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공간형성부(14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압전소자(140)는 저면만이 진동부재(13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이 경우 크랙이 발생되어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압전소자(140)의 하부 측을 크랙이 확장되지 않으나,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압전소자(140) 상부 측에는 점차적으로 크랙에 의한 틈이 벌어진다. 즉, 크랙에 의한 압전소자(140)의 파손이 확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의 변형량이 줄어들고, 결국 진동량이 감소되는 것이다.
하지만, 공간형성부(140)를 통해 압전소자(140)의 양측면과 공간형성부(140)의 내부면 사이에 충진제(A), 즉 접착제가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압전소자(140)의 상부 측에서의 크랙에 의한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공간형성부(140)를 통해 압전소자(140)의 파손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량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에 의하면, 주전극(141)과 예비전극(142)을 구비하는 압전소자(140)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진동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공간형성부(160)의 내부면과 압전소자(130)의 양측면이 형성하는 공간에 충진제(A)가 충진되어 압전소자(130)에 발생된 크랙에 의한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진동부재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진동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진동부재(23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압전소자(140)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압전소자(140)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A, 도 4 참조)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260)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간형성부(260)는 진동부재(230)의 양측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공간형성부(260)는 진동부재(23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공간형성부(260)에는 압전소자(14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262)가 형성된다. 안내돌기(262)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공간형성부(260)의 내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나아가, 복수개의 안내돌기(262)는 압전소자(14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안내돌기(262)는 압전소자(140)의 설치 시 압전소자(14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에 대향 배치되는 공간형성부(260)의 내부면까지의 간극이 압전소자(140)의 타측면과 이에 대향 배치되는 공간형성부(260)의 내부면까지의 간극이 동일하도록 압전소자(14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2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공간형성부(260) 중 어느 하나의 공간형성부(260) 측으로 편심되어 진동부재(230)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압전소자(140)가 진동부재(230)의 어느 일측면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압전소자(140)의 일측면과 이에 대향 배치되는 공간형성부(260)의 내부면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충진제(A)가 충진되는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내돌기(262)를 통해 압전소자(140)의 양측면에 적정량의 충진제(A)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랙에 의해 발생되는 틈이 확장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 회로기판
130 : 진동부재
140 : 압전소자
150 : 중량체
160 : 공간형성부
170 : 댐퍼부재
110 : 하우징
120 : 회로기판
130 : 진동부재
140 : 압전소자
150 : 중량체
160 : 공간형성부
170 : 댐퍼부재
Claims (14)
-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진동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리브로 이루어지는 공간형성부;
상기 진동부재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형성부 내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공간형성부 내측에 배치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 저면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진동부재의 상면 사이를 충진하는 충진제;
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는 전극 쌍으로 구성되는 주전극과, 전극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전극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을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주전극과 상기 예비전극 중 어느 하나만이 외부 전원에 연결되더라도 변형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진동부재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충진제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의 높이는 상기 압전소자의 두께의 1/2 이상인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에는 상기 압전소자의 설치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안내돌기는 상기 압전소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진동발생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진동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압전소자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소자부층;
상기 소자부층에 상호 교호하도록 상하로 반복 적층되는 양의 전극층과 음의 전극층을 구비하는 전극층;
상기 양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주양극접속부재;
상기 음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는 주음극접속부재;
상기 양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주양극접속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양극접속부재; 및
상기 음의 전극층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주음극접속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접속부재;
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에는 상기 양의 전극층과 상기 음의 전극층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더미층이 더 구비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재와 연동하여 진동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압전소자는 전극 쌍으로 구성되는 주전극과, 전극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전극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을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 하우징에 설치되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에 설치되는 압전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에 대향 배치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측면과 함께 충진제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전극 쌍으로 구성되는 주전극과, 전극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전극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예비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진동부재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전소자의 양측면과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접착제가 충진되는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378A KR101662126B1 (ko) | 2014-05-02 | 2014-05-02 | 진동발생장치 |
US14/626,895 US10008658B2 (en) | 2014-05-02 | 2015-02-19 | Vibrator |
CN201510106434.4A CN105047812B (zh) | 2014-05-02 | 2015-03-11 | 振动器 |
US15/831,750 US20180097170A1 (en) | 2014-05-02 | 2017-12-05 | Vib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378A KR101662126B1 (ko) | 2014-05-02 | 2014-05-02 | 진동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6152A KR20150126152A (ko) | 2015-11-11 |
KR101662126B1 true KR101662126B1 (ko) | 2016-10-05 |
Family
ID=5435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3378A KR101662126B1 (ko) | 2014-05-02 | 2014-05-02 | 진동발생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0008658B2 (ko) |
KR (1) | KR101662126B1 (ko) |
CN (1) | CN10504781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8335B1 (ko) * | 2014-01-28 | 2020-07-27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발생장치 |
KR101652301B1 (ko) * | 2014-09-18 | 2016-08-30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진동 발생장치 |
TWM547213U (zh) * | 2017-05-19 | 2017-08-11 | Topray Mems Inc | 具有彈片式懸吊系統的線性震動致動器 |
KR102532801B1 (ko) * | 2020-12-31 | 2023-05-16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적층형 보강재 및 보강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11065A (ja) | 2005-01-26 | 2006-08-10 | Kyocera Kinseki Corp | 圧電発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3844012B2 (ja) * | 2003-12-25 | 2006-11-0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
JP2010103977A (ja) * | 2008-09-25 | 2010-05-06 | Kyocera Corp | 振動体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528177A (fr) * | 1970-11-23 | 1972-09-15 | Centre Electron Horloger | Résonateur piézoélectr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
JP3992840B2 (ja) * | 1998-06-22 | 2007-10-17 |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 圧電発音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3551078B2 (ja) | 1999-05-12 | 2004-08-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積層型圧電トランス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4497345B2 (ja) * | 2003-02-12 | 2010-07-0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振動子の支持構造及び該支持構造の製造方法 |
JP2005045691A (ja) * | 2003-07-24 | 2005-02-17 | Taiyo Yuden Co Ltd | 圧電振動装置 |
DE102004059429B4 (de) * | 2004-09-03 | 2006-07-27 | Physik Instrumente (Pi) Gmbh & Co. Kg | Linearer Ultraschall-Piezomotor |
JP2006311380A (ja) * | 2005-04-28 | 2006-11-09 | Epson Toyocom Corp | 圧電振動子及び圧電発振器 |
KR100866349B1 (ko) | 2007-04-05 | 2008-10-31 | 주식회사 코스텍시스 | 압전소자 |
JP4954814B2 (ja) | 2007-07-11 | 2012-06-2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駆動装置 |
JP5298999B2 (ja) * | 2009-03-19 | 2013-09-25 | Tdk株式会社 | 積層型圧電素子 |
KR101250798B1 (ko) * | 2009-10-27 | 2013-04-04 | 주식회사 로브 |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
KR20120105785A (ko) | 2011-03-16 | 2012-09-26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압전 소자 |
CN202135103U (zh) * | 2011-06-27 | 2012-02-01 |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 压电振动器 |
KR101350543B1 (ko) * | 2011-10-18 | 2014-01-14 | 삼성전기주식회사 |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휴대용 전자기기 |
CN103092336B (zh) * | 2011-10-28 | 2017-11-24 | Mplus株式会社 | 振动装置及包括该振动装置的触觉反馈装置 |
KR101862730B1 (ko) * | 2011-12-30 | 2018-06-01 | 주식회사 엠플러스 | 햅틱 디바이스 모듈 |
KR101157868B1 (ko)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KR101508812B1 (ko) * | 2012-05-08 | 2015-04-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코일 부품 제조방법 및 코일 부품 |
KR101409512B1 (ko) * | 2012-05-08 | 2014-06-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진동모듈 |
JP5843371B2 (ja) | 2013-03-20 | 2016-01-13 |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振動発生装置 |
US9579691B2 (en) | 2013-05-21 | 2017-02-28 | Mplus Co., Ltd. |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
US9595659B2 (en) * | 2014-04-30 | 2017-03-14 | Jung-Hoon Kim |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2014
- 2014-05-02 KR KR1020140053378A patent/KR1016621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2-19 US US14/626,895 patent/US100086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3-11 CN CN201510106434.4A patent/CN10504781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12-05 US US15/831,750 patent/US20180097170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44012B2 (ja) * | 2003-12-25 | 2006-11-08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
JP2006211065A (ja) | 2005-01-26 | 2006-08-10 | Kyocera Kinseki Corp | 圧電発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103977A (ja) * | 2008-09-25 | 2010-05-06 | Kyocera Corp | 振動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008658B2 (en) | 2018-06-26 |
CN105047812A (zh) | 2015-11-11 |
US20180097170A1 (en) | 2018-04-05 |
US20150318463A1 (en) | 2015-11-05 |
KR20150126152A (ko) | 2015-11-11 |
CN105047812B (zh) | 2018-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36708B2 (en) |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 |
KR101662126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60149284A (ko) | 액추에이터 구조체 및 이것으로부터 이격된 멤브레인을 구비하는 멤스 라우드스피커 | |
JP2008236741A5 (ko) | ||
CN103493356A (zh) | 压电发电装置 | |
US10315224B2 (en) | Ultrasonic transducer | |
KR102138335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472746B2 (en) | Vibrator | |
CN106664073A (zh) | 共振装置 | |
US9660172B2 (en) | Vibrator | |
JP2008192673A (ja) | インダクタンス部品 | |
JP2007103496A (ja) | コンデンサおよび基板アセンブリ | |
US10917025B2 (en) | Power generating element converting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
US11205977B2 (en) | Power generating element | |
KR10158072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9249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607949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455683B2 (en) | Piezoelectric piece for piezoelectric vib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4225497A (ja) | 携帯端末装置 | |
US9484521B2 (en) |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 |
KR101343214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1499722B1 (ko) | 압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 |
KR102030600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20160105131A1 (en) |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KR20160096484A (ko) | 진동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