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60038B1 - 무릎 통증 완화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 통증 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038B1
KR101660038B1 KR1020150047055A KR20150047055A KR101660038B1 KR 101660038 B1 KR101660038 B1 KR 101660038B1 KR 1020150047055 A KR1020150047055 A KR 1020150047055A KR 20150047055 A KR20150047055 A KR 20150047055A KR 101660038 B1 KR101660038 B1 KR 10166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fixing member
elevating
pusher
low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호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04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릎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 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대퇴부착용부재; 사용자의 종아리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종아리착용부재; 상기 대퇴부착용부재 및 종아리착용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무릎 내측을 압박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대퇴부착용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측고정부재; 상기 종아리착용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고정부재;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원기둥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는 승강안내부; 상기 승강안내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보행시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승강안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 무릎을 향한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무릎 통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무릎 내측을 압박하는 푸셔;를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움직일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승강돌기;를 포함하며, 보행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부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와 결합된 상기 푸셔에 의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릎 통증 완화 장치{Knee pain relief device}
본 발명은 무릎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 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무릎 관절에 부상을 당하거나 수술을 받은 후 고통을 받거나 교정이 필요하거나 보조기구의 사용이 요구되는 무릎 관절의 안정화 및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심한 부상일 경우 무릎 관절이 움직일 수 없도록 힌지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가벼운 부상이나 관절염의 경우 무릎 관절이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하지만 기존의 회전운동만 가능한 힌지는 무릎 관절이 움직일 수 있다는 것과 조금의 무릎 통증을 완화하여 줄 뿐, 무릎 통증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이를 개선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0249328호는 관절염으로 인하여 내측 무릎의 연골이 닳아 무릎 관절이 직접 닿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바깥쪽 무릎에 나사형식으로 조절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닿았던 무릎 관절을 벌려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힌지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한번 조절하면 계속해서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무릎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무릎 내측 압력을 받는 부분에 또 다른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 제02493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무릎통증완화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땅에 닿는 순간, 즉 무릎이 펴질 때만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붙었던 내측 무릎 관절을 벌려줌으로써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고, 무릎이 굽혀질 때에는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했던 압력이 해제되어 항시 압박으로 인한 무릎 부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대퇴부착용부재; 사용자의 종아리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종아리착용부재; 상기 대퇴부착용부재 및 종아리착용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무릎 내측을 압박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대퇴부착용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측고정부재; 상기 종아리착용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고정부재;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원기둥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는 승강안내부; 상기 승강안내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보행시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승강안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 무릎을 향한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무릎 통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무릎 내측을 압박하는 푸셔;를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움직일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승강돌기;를 포함하며, 보행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부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와 결합된 상기 푸셔에 의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사용자의 보행시, 무릎이 최대각으로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하고, 무릎이 최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최저점에 위치하며, 상기 상측고정부재가 상기 하측고정부재에 대하여 10~20o만큼 회동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승강부가 최고점 및 최저점을 각각 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부는, 상기 푸셔와 체결되는 상기 승강부의 돌출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푸셔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푸셔를 회전하여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상기 푸셔가 무릎을 압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안내홈은, 상기 푸셔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승강안내홈의 일지점에는 경사홈이 형성되고, 푸셔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상기 승강안내홈의 타지점에는 비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고정부재를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과 상기 상측고정부재의 하단에 각각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상측고정부재가 회동함에 있어 설정 범위를 넘어가지 않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보행 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자동으로 변화하여 무릎이 펴지면 압박하고, 무릎이 굽혀지면 압박이 해제되어, 관절염과 같은 무릎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항시 압박으로 인하여 무릎에 주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릎보조기의 힌지 조립체를 손으로 직접 조절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힌지 조립체의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하측고정부재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상측고정부재를 제외한 힌지 조립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푸셔를 제외한 힌지 조립체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무릎이 펴졌을 때의 상측고정부재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무릎이 굽혀졌을 때의 상측고정부재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무릎이 펴졌을 때의 힌지 조립체의 승강부와 푸셔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무릎이 굽혀졌을 때의 힌지 조립체의 승강부와 푸셔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힌지 조립체의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하측고정부재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상측고정부재를 제외한 힌지 조립체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릎통증완화장치의 푸셔를 제외한 힌지 조립체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는 무릎이 펴졌을 때의 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무릎이 굽혀졌을 때의 스토퍼의 작용을 타나낸 도면이다. 도 6a는 무릎이 펴졌을 때의 힌지 조립체의 승강부와 푸셔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무릎이 굽혀졌을 때의 힌지 조립체의 승강부와 푸셔가 하강한 모습을 타나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통증 완화 장치는 대퇴부착용부재(10), 종아리착용부재(20), 힌지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대퇴착용부재(10)는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곡선형의 부재로 형성된다.
종아리착용부재(20)는 사용자의 종아리부에 착용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곡선형의 부재로 형성된다.
힌지 조립체(30)는 상기 대퇴부착용부재(10)의 하단부와, 상기 종아리착용부재(20)의 상단부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조립체(30)는 보행 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서로 다른 압력을 가한다. 상기 힌지 조립체(30)는 보행시 무릎이 펴지면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도 6a)하고, 무릎이 굽혀지면 압박을 해제(도 6b)한다.
상기 힌지 조립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고정부재(40), 상측고정부재(50), 승강부(60), 푸셔(70), 스토퍼(80)을 포함한다.
하측고정부재(40)는 하단부가 상기 종아리착용부재(2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하기 상측고정부재(50)를 향한 방향으로 도넛형의 하측결합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도넛형의 돌기 내부에 하기 상측고정부재(50)를 향한 방향으로 원기둥 모양의 승강안내부(41)가 더 마련된다. 상기 도넛형의 돌기는 하기 상측고정부재(50)와 결합된다. 보행시 상기 종아리고정부재(20)와 연결된 상기 하측고정부재(40)가 회동하면 연동되어 하기 승강부(60)가 회동하고, 하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타고 승강한다.
승강안내부(4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승강안내홈(42)이 마련된다. 상기 승강안내부(41)는 하기 승강부(60)의 승강활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안내홈(42)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푸셔(7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승강안내홈(42)의 일지점에는 경사홈(45)이 형성되고, 푸셔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상기 승강안내홈(42)의 타지점에는 비경사홈(44)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안내홈(42)에 비경사홈(44)이 형성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보행시의 무릎 각도가 0o 에서 15o 로 변할 때, 상기 승강돌기(61)가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움직이고, 무릎의 각도가 15o이상 굽혀질 때, 최저점에 해당하는 비경사홈(44)에서 계속해서 위치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의 보행시에는 상기 승강돌기(61)가 승강을 반복함에 따라 상기 푸셔(70)에 의하여 사용자의 무릎 내측에 압박이 가해지고, 사용자의 비보행시에는 상기 승강돌기(61)가 비경사홈(44)에 머물면서 상기 푸셔(70)에 의한 압박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60)는 상기 승강안내부(41)를 감싸며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60)는 상기 승강안내부(41)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형의 다각기둥과 그 단부에 하기 푸셔(70)와 결합되기 위하여 돌출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푸셔조절부(6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60)의 내주면에 상기 승강안내홈(42)에 삽입되기 위한 승강돌기(61)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돌기(61)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지지돌기(62)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돌기(61)는 상기 승강안내홈(42)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돌기(62)는 상기 승강안내부(41)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60)는 보행시 하기 하측고정부재(40)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승강안내부(41)를 따라서 승강한다. 상기 승강부(60)는 사용자의 보행시, 무릎이 최대각으로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하고, 무릎이 최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저점에 위치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60)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가 상기 상측고정부재(50)에 대하여 θo만큼 회동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 및 최저점에 각각 도달할 수 있다. 상기 θo는 10~20o이며, 상기 10~20o는 일반적인 보행시 무릎의 각도가 15o인 점을 감안할 때, 상기 하측고정부재(40)가 상기 상측고정부재(50)에 대하여 회동하는 각도가 15o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10~20o 사이에서 설정되는 이유는, 상기 각도가 10o보다 작으면,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승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5o 일 때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보행시 무릎을 급격히 압박하게 되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상기 각도가 20o보다 클 경우, 보행시 무릎이 완전히 펴졌을 때는,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하지만, 무릎이 굽혀질 때는,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저점에 위치하지 못하고, 즉 비경사홈(44)에 위치하지 못하고, 상기 비경사홈(44)에서 5o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경사홈(45) 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릎이 굽혀졌을 때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이 완전히 해제되지 못하고, 이는 보행시 무릎을 항시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도는 10~20o 범위 안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승강돌기(61)는 상기 승강부(60)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승강안내홈(42)을 따라 움직인다. 상기 승강돌기(61)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안내홈(42)을 따라 이동할 때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돌기(61)의 원활하고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상측고정부재(50)는 상단부가 상기 허벅지고정부재(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결합된다. 상기 상측고정부재(50)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하측결합돌기(43)와 결합되기 위하여 대응되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고정부재(50)는 상기 승강부(60)가 삽입되기 위한 다각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승강부(60)를 수용한다.
스토퍼(80)는 상기 상측고정부재(50)를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40)의 일면과 상기 상측고정부재(50)의 하단에 각각 돌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와 상측고정부재(50)가 회동함에 있어 설정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정 범위는 사용자의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하측고정부재(40)와 상측고정부재(50)가 이루는 각도 이내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측고정부재(40)와 상측고정부재(50)가 사용자의 무릎이 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사용자의 무릎이 완전히 펴진 상태의 각도에 이르면 상기 하측고정부재(40) 및 상측고정부재(50) 각각에 형성된 스토퍼(80)가 서로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 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 및 상측고정부재(50)가 사용자의 무릎이 펴진 상태에 이루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여 파손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푸셔(70)는 상기 승강부(60)의 푸셔조절부(63)에 결합되고, 무릎 통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한다. 상기 푸셔(70)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푸셔조절부(63)와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 마련된다. 상기 푸셔(70)는 상기 푸셔조절부(63)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할 때, 상기 푸셔(70)가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을 기준압력으로 두고, 상기 푸셔(70)를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기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푸셔(70)를 조이면 무릎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기준압력을 더 작게 조절 하고, 상기 푸셔(70)를 풀면 무릎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준압력을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무릎 통증 완화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힌지 조립체(30)는 대퇴부착용부재(10)와 종아리착용부재(20)를 연결하고 회동할 뿐 아니라 보행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하는 압력을 자동으로 변화 가능하게 한다. 보행시 하측고정부재(40)가 회동하고 연동되어 승강부(60)가 회동한다. 상기 승강부(60)는 하측고정부재(40)에 형성된 승강안내부(41)를 따라 승강한다. 상기 승강부(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승강돌기(61)가 상기 승강안내부(41)에 형성된 승강안내홈(42)을 따라 움직이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60)는 무릎이 최대각으로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을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하고, 무릎이 최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측고정부재(40)을 기준으로 최저점에 위치한다. 무릎이 펴지면서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타고 올라가면 무릎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동된 푸셔(70)에 의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한다. 무릎이 굽혀지면서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부(41)를 타고 내려가고, 무릎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동된 상기 푸셔(70)에 의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던 것이 해제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이 펴지면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고, 무릎이 굽혀지면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던 것이 해제되어, 필요한 순간에만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고 무릎에 계속적인 압박으로 인한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행시,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승강안내홈(42)의 경사홈(45)를 따라 움직이는 궤적은 상기 하측고정부재(40) 및 상측고정부재(50)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10~20o에 해당한다. 상기 각도는 일반적인 보행시 무릎이 형성되는 각도인 15o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안내홈(42)은 상기 푸셔(7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상기 승강안내홈(42)의 타지점에 비경사홈(44)을 형성한다. 비경사홈(44)이 마련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보행시의 무릎 각도가 0o 에서 15o 로 변할 때, 상기 승강돌기(61)가 상기 승강안내홈(42)을 따라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 움직이고, 무릎의 각도가 20o이상 굽혀질 때, 최저점에 해당하는 비경사홈(44)에서 계속해서 위치하기 위함이다.
푸셔(70)와 푸셔 조절부(63)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60)가 상기 하측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할 때, 상기 푸셔(70)가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을 기준압력으로 두고, 상기 푸셔(70)를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기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푸셔(70)를 조이면 무릎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기준압력을 더 작게, 풀면 무릎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준압력을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8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이 완전히 펴진 상태의 각도에 이르면 상기 하측고정부재(40) 및 상측고정부재(50) 각각에 형성된 스토퍼(80)가 서로 간섭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 하도록 제한한다. 즉, 상기 하측고정부재(40) 및 상측고정부재(50)가 사용자의 무릎이 펴진 상태에 이루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여 파손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한다.
10 : 대퇴부착용부재
20 : 종아리착용부재
30 : 힌지 조립체
40 : 하측고정부재
41 : 승강안내부
42 : 승강안내홈
43 : 하측결합돌기
44 : 비경사홈
45 : 경사홈
50 : 상측고정부재
60 : 승강부
61 : 승강돌기
62 : 지지돌기
63 : 푸셔조절부
70 : 푸셔
80 : 스토퍼

Claims (5)

  1. 사용자의 대퇴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대퇴부착용부재;
    사용자의 종아리부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종아리착용부재; 및
    상기 대퇴부착용부재 및 종아리착용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압박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상기 대퇴부착용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측고정부재;
    상기 종아리착용부재의 상단에 고정되고,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고정부재;
    무릎을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에 원기둥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승강안내홈이 형성되는 승강안내부;
    상기 승강안내부를 감싸며 설치되고, 보행시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연동되어 회동하며, 상기 승강안내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
    무릎을 향한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무릎 통증을 완화할 수 있도록 무릎 내측을 압박하는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움직일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승강돌기;를 포함하며,
    보행시 무릎의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상기 승강안내부에 형성된 승강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부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와 결합된 상기 푸셔에 의하여 무릎 내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시,
    무릎이 최대각으로 펴진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최고점에 위치하고,
    무릎이 최저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하측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최저점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고정부재가 상기 상측고정부재에 대하여 10~20o만큼 회동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승강부가 최고점 및 최저점을 각각 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푸셔와 체결되는 상기 승강부의 돌출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푸셔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푸셔를 회전하여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상기 푸셔가 무릎을 압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홈은,
    상기 푸셔로부터 가까운 상기 승강안내홈의 일지점에는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푸셔로부터 먼 상기 승강안내홈의 타지점에는 비경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재를 향한 상기 하측고정부재의 일면과 상기 상측고정부재의 하단에 각각 돌기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부재와 상측고정부재가 회동함에 있어 설정 범위를 넘어가지 않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통증 완화 장치.
KR1020150047055A 2015-04-02 2015-04-02 무릎 통증 완화 장치 KR101660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55A KR101660038B1 (ko) 2015-04-02 2015-04-02 무릎 통증 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055A KR101660038B1 (ko) 2015-04-02 2015-04-02 무릎 통증 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038B1 true KR101660038B1 (ko) 2016-09-26

Family

ID=5706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055A KR101660038B1 (ko) 2015-04-02 2015-04-02 무릎 통증 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898A (zh) * 2017-07-03 2017-11-21 来宾市人民医院 石膏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28Y1 (ko) 2001-06-09 2001-11-16 선동윤 휨 방지장치가 부설된 무릎 보조기
KR100814427B1 (ko) * 2005-12-07 2008-03-18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JP2008519941A (ja) * 2004-11-09 2008-06-12 ノースイー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電気粘性流体ブレーキ又は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矯正装置
KR20120126326A (ko) * 2011-05-11 2012-11-21 하병욱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KR20130093415A (ko) * 2012-02-14 2013-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지지 보조기구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28Y1 (ko) 2001-06-09 2001-11-16 선동윤 휨 방지장치가 부설된 무릎 보조기
JP2008519941A (ja) * 2004-11-09 2008-06-12 ノースイー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電気粘性流体ブレーキ又は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矯正装置
KR100814427B1 (ko) * 2005-12-07 2008-03-18 김철운 무릎 관절염 질환 치료보조와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기구
KR20120126326A (ko) * 2011-05-11 2012-11-21 하병욱 무릎 관절의 내?외반 교정을 위한 무릎 보조기
KR20130093415A (ko) * 2012-02-14 2013-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지지 보조기구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1898A (zh) * 2017-07-03 2017-11-21 来宾市人民医院 石膏托
CN107361898B (zh) * 2017-07-03 2023-03-24 来宾市人民医院 石膏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22822A1 (en) Prosthetic joint with cam locking mechanism
US8100844B2 (en) Ambulating ankle and knee joints with bidirectional dampening and assistance using elastomeric restraint
AU2015301134B2 (en) Knee brace with adjustable strut length and dynamic strut lengthening
EP1503707B1 (en) Ambulating knee joint
EP1334704B1 (en) Body prosthetic implement
CN105662773A (zh) 一种用于膝关节置换术的下肢固定机构
KR101531203B1 (ko) 발목관절보조기
CN217987946U (zh) 一种机械足
KR101660038B1 (ko) 무릎 통증 완화 장치
US20230329891A1 (en) Ankle joint device with a foot support featuring adjustable initial angle
JPH0326251A (ja) 整形外科用支持器のための動作制御機構
KR102260966B1 (ko) 인공무릎관절
KR101091640B1 (ko) 피스톤식 무릎보조기
US20220142793A1 (en) Robotic prosthetic leg and method for driving robotic prosthetic leg
CA3041336C (en) Orthopedic walking boot having a mechanically adjustable ramp insert
KR101766779B1 (ko) 하지 지체장애인 및 보행부자유 노약자를 위한 안전스틱
KR101651509B1 (ko) 무릎 통증 완화 장치
KR101733858B1 (ko) 능동 하퇴 의지 장치
KR10216153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로봇 의족 장치
CN109316319A (zh) 一种骨科术后助行器
KR102695323B1 (ko) 교정기용 조인트
KR102162975B1 (ko) 하지 마비자용 보행 보조장치
CN220025322U (zh) 一种矫正器
PT1302133E (pt) Perna ajustavel em altura para uma superficie de suporte
KR20210092731A (ko) 충격 흡수 풋웨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