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446B1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8446B1 KR101668446B1 KR1020150029087A KR20150029087A KR101668446B1 KR 101668446 B1 KR101668446 B1 KR 101668446B1 KR 1020150029087 A KR1020150029087 A KR 1020150029087A KR 20150029087 A KR20150029087 A KR 20150029087A KR 101668446 B1 KR101668446 B1 KR 101668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inge
- unit
- display unit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Abstract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구비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며, 프레임 모듈은 사각형태의 전면판넬, 전면판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 전면판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좌측 및 우측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프레임과,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양 끝단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 프레임과, 제1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힌지 결합한 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간의 각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의 전시장 또는 공연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장치로서,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멀티비전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CRT, LCD를 이용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LED 모듈이 장착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비전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 대형무대, 빅 이벤트, 콘서트, 브랜드 프레젠테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적 정보전달 장치로써 갈수록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멀티비전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옥내외 전광판과 같은 고정설치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대화면으로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하는 렌털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비전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송정 폭 및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에 1개 이상의 LED 디스플레이 모듈이 부착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횡열로 배치하여 대화면을 구성하고 있는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무게와 부피로 인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가 되고 있다.
또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각도나 설치 구조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영상이 왜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간의 용이한 각도 조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힌지부의 구조를 구비하여 각도조절이 용이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구비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사각형태의 전면판넬; 상기 전면판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 상기 전면판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좌측 및 우측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프레임과,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양 끝단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힌지 결합한 힌지축을 포함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은, 상기 전면 판넬의 상부에 배치되어 중심에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부 결합홈을 구비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 결합홈에 장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프레임 모듈; 및, 상기 전면 판넬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심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하부 결합홈 및 상기 제1 하부 결합홈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 하부 결합홈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2 하부 결합홈에 장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후크 핀; 및, 상기 전면 판넬에 일측이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후크 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후크 핀에 고정 및 이탈가능한 걸림홈을 구비하는 후크 스핀들; 상기 후크 스핀들 하단을 관통하는 스핀들 캠; 상기 스핀들 캠을 회전시켜 상기 후크 스핀들을 상기 후크 핀에 고정 및 이탈시키는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이동시 상기 스핀들 캠에 회전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스핀들 캠의 캠축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3결합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3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좌측 결합홈이 구비된 좌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좌측 프레임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4결합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4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측 결합홈이 구비된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우측 프레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는, 걸림턱이 형성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장된 바디를 구비하는 좌측 결합부재; 상기 좌측 결합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좌측프레임에 고정되는 좌측 고정부; 및, 상기 좌측 결합부재와 핀연결되어, 상기 좌측 결합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헤드가 상기 제4결합부에 고정 또는 이탈가능하게 하는 제2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결합부는,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우측 결합부재; 및, 상기 우측 결합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우측 프레임에 고정되는 우측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힌지 축;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 개의 힌지 축 중심에 배치되는 제1 돌출볼;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하는 복수 개의 힌지 축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힌지 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핀연결되어 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 개의 힌지 축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톱니를 구비하는 힌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힌지 축이 관통하며, 측방향으로 힌지 축의 이동을 가드하는 제1 및 제2 관통홈;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홈 사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 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볼이 이탈 및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제2 연결부; 상기 힌지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힌지 고정부의 제1 톱니와 치합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한 톱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힌지축이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홀 및, 중심에 돌출된 제2 돌출볼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볼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관통된 제2 돌출볼의 위치를 표시하는 눈금선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3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 제1프레임, 및 상기 힌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 판상 형태의 엘이디모듈 및,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힌지부의 구조를 구비하여 각도조절이 용이하며, 힌지부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조절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왜곡없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 및 LED모듈이 탈부착 가능하여, 고장시 모듈별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른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잠금(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해제(un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에 따른 눈금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른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잠금(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해제(un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에 따른 눈금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10)는 실내의 전시장 또는 공연 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복수 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을 연결하여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각형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총 4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이 가로 2열, 세로2열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끼리 연결됨으로써 대형화면을 구성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14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구성 및 구성들의 결합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른 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은 프레임모듈(100), 엘이디모듈(200), 제어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모듈(100)은 전면판넬(400), 상부 및 하부 프레임모듈(500), 좌측 및 우측 프레임모듈(600), 및 힌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모듈(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 판상 형태로 프레임모듈(100)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엘이디모듈(200)은 전면판넬(40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며, 엘이디모듈(200)의 후방에는 제어모듈(300)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엘이디모듈(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엘이디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따르면, 제어모듈(300)은 프레임모듈(100)의 후방에 착탈가능하며, 엘이디모듈(200)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모듈(100)은 상하변 및 좌우변을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로서, 사각형태의 전면판넬(400)의 전방에 엘이디모듈(200)이 결합되고, 사각형태의 전면판넬(400)의 후방에는 제어모듈(3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모듈(100)의 상하변과 좌우변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500)과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600)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500)은 전면판넬(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을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530,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500)은 상부 프레임모듈(510) 및 하부 프레임 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 모듈(540)은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모듈(510)은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하부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모듈(510)은 상부프레임(520) 및 제1결합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520)은 돌출부(521) 및 상부 결합홈(5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530)는 후크 스핀들(531), 스핀들 캠(532), 제1레버(533), 토션스프링(534), 지지부(535,536) 및 고정부(53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결합홈(522) 및 제1 결합부(5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 모듈(540)은 하부프레임(550) 및 제2결합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550)은 제1 하부 결합홈(551) 및 제2하부 결합홈(5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560)는 후크 핀(561) 및 제2고정부(5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하부 결합홈(552) 및 제2결합부(56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상부 프레임(520)은 전면 판넬(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면 판넬(400)의 상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내지 5를 살펴보면, 상부 프레임(520)은 중심에 돌출된 돌출부(521) 및 돌출부(521)를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측에 상부 결합홈(52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521)는 제1 하부 결합홈(5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부(530)는 상부 결합홈(522)에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후크 스핀들(531)은 제2 결합부(560)의 후크 핀(561)에 고정 및 이탈가능한 걸림홈(1)을 상단에 구비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스핀들 캠(532)과 결합하기 위한 제1홈(2) 및 제2홈(9)을 구비할 수 있다.
후크 스핀들(531)을 상부 결합홈(5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후크 스핀들(531)의 걸림홈(1)은 상부 프레임(52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핀들 캠(532)은 원통형의 캠바디(4) 양측 말단에는 캠바디(4)의 원통의 편심된 위치에서 캠축(3)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핀들 캠(532)은 캠바디(4) 하부에 스토퍼(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후크 스핀들(531)의 제1홈(2)에 스핀들 캠(532)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홈(9)에서 스토퍼(8)가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핀들 캠(532)은 제1레버(5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캠바디(4)의 편심된 위치에 캠축(3)이 배치되어, 캠바디(4)가 상부 결합홈(522)에 삽입된 후크 스핀들(531)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토퍼(8)에 의해 캠바디(4)의 회전운동 각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홈(9)의 각도 내에서만 스핀들 캠(532)이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스토퍼(8)에 의해 스핀들 캠(532)이 회전되지 않고 멈출 수 있다.
제1레버(533)는 스핀들 캠(532)의 캠축(3) 양측과 결합하기 위한 캠축 결합홈(5,6) 및, 캠축 결합홈(5,6)과 연결된 손잡이(7)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레버(533)는 스핀들 캠(532)을 회전시켜 후크 스핀들(531)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후크 스핀들(531)이 후크 핀(562)에 고정 및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534)은 스핀들 캠(5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1레버(533)에 삽입된 캠축(3)의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 부재이다. 즉, 스핀들 캠(5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레버(533)의 회전이동시 스핀들 캠(532)에 탄성에 의한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지지부(535,536)는 토션스프링(534)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구비한 제1지지부(535) 및 삽입구가 없는 제2지지부(53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핀들 캠(532)의 캠축(3)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537)는 제1지지부(535) 및 제2지지부(536)의 외측에서 스핀들 캠(532)의 캠축(3)과 고정결합되는 마감캡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하부 프레임(540)은 전면 판넬(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면 판넬(400)의 하부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하부 프레임 모듈(540)의 하부 프레임(550)은 중심에 상부 프레임(520)의 돌출부(521)가 삽입되는 제1 하부 결합홈(551) 및 제1 하부 결합홈(551)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2 하부 결합홈(55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560)는 제2 하부 결합홈(552)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560)는 전면 판넬(400)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며 하단에 후크 핀(56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56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및 하부 프레임모듈(500)의 제1결합부(530) 및 제2결합부(560)는 회전운동에 따른 후크 스핀들(531)의 위치에 따라 잠금(lock)상태 또는 해제(unlock)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잠금(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따르면, 2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이 상하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단면이 도시되고 있다. 제1레버(533)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 스핀들(531)이 후크핀(562)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핀들 캠(532)의 캠바디(4)가 캠축(3)을 중심으로 회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8)가 제2홈(9)에 의해 회전가능한 최대각의 제1위치(91)에서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의 해제(unlock)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따르면, 2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이 상하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제를 위한 단면이 도시되고 있다. 제1레버(533)가 위쪽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크 스핀들(531)이 후크핀(562)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핀들 캠(532)의 캠바디(4)가 캠축(3)을 중심으로 회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8)가 제2홈(9)에 의해 회전가능한 최대각의 제2위치(92)에서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600)은 전면판넬(4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을 좌측 및 우측에 착탈가능한 복수 개의 결합부(630, 6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600)은 우측 프레임 모듈(640) 및 좌측 프레임 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프레임 모듈(610)은 좌측프레임(6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3결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 모듈(640)은 우측 프레임(650) 및 제4결합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프레임(620)은 상부 프레임 모듈(510)의 상부프레임(520) 및 하부 프레임 모듈(540)의 하부프레임(550)의 좌측에 배치되고 힌지부(7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프레임(620)은 제3결합부(630)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좌측 결합홈(6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좌측 결합홈(621)은 제3결합부(630)의 개수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결합부(630)는 좌측 결합부재(631), 좌측 고정부(633), 및 제2레버(63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결합부재(631)는 걸림턱이 형성된 헤드(71) 및 헤드(71)에 연장된 바디(7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71)는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걸림턱은 헤드(71)의 끝단과 바디(71)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72)는 원통형으로 끝단에 제2레버(634)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좌측 고정부(633)는 좌측프레임(610)에 고정되며, 좌측 결합부재(631)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여 삽입되는 좌측 결합부재(631)를 지지할 수 있다.
제2레버(634)는 좌측 고정부(633)를 관통한 좌측 결합부재(631)와 핀(632) 연결될 수 있다. 제2레버(634)는 결합된 좌측 결합부재(631)를 회전시켜 헤드(71)를 제4결합부(660)에 고정 또는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우측 프레임 모듈(640)의 우측 프레임(650)은, 상부 프레임 모듈(510)의 상부프레임(520) 및 하부 프레임 모듈(540)의 하부프레임(550)의 우측에 배치되고 힌지부(7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650)은 제4결합부(660)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우측 결합홈(6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우측 결합홈(651)은 제4결합부(660)의 개수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4결합부(660)는 우측 고정부(661) 및 우측 결합부재(662)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고정부(661)는 우측 프레임(650)의 우측 결합홈(65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우측 고정부(661)는 우측 결합부재(662)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홈을 통해 삽입되는 우측 결합부재(662)를 지지하며, 고정결합될 수 있다.
우측 결합부재(661)는 좌측 결합부재(631)의 헤드(71)에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제3결합부(630)와,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제4결합부(660)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을 좌우로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다.
결합시 동작을 살펴보면, 하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제3결합부(630)의 제2레버(634) 손잡이를 우측 프레임(61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우측 결합부재(662)의 삽입홈 형태와 대응되도록 헤드(71)를 회전시켜 우측 결합부재(662)의 삽입홈에 헤드(71)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레버(634)를 이용하여 헤드(71)가 우측 결합부재(662)의 삽입홈과 교차하게 배치되도록 헤드(71)를 회전시켜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레버(634)의 손잡이를 아래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시켜 줄 수 있다.
해체시 동작을 살펴보면, 하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제3결합부(630)의 제2레버(634) 손잡이를 좌측 프레임(61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른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의 우측 결합부재(662)의 삽입홈 형태와 대응되도록 헤드(71)를 회전시켜 우측 결합부재(662)의 삽입홈으로부터 헤드(71)를 빼내어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을 해체할 수 있다.
한편, 좌측 프레임(620) 및 우측 프레임(640) 각각의 양끝단은 힌지부(70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힌지부(700)는 제1 내지 제4힌지부(710 내지 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힌지부(710 내지 740)는 상부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40)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힌지부(710 내지 740)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된 것이며, 그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제1 내지 제4힌지부(710 내지 740)는 제1프레임(712), 제2프레임(711), 힌지축(713), 제1 돌출볼(714), 이탈방지부재(715) 및 힌지 고정부(71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12)은 상부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40)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711)은 좌측프레임(640) 및 우측 프레임(610)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712) 및 제2 프레임(711)은 힌지축(713)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7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10은 제1힌지부(7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제2힌지부(720)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힌지부(710)의 제1 프레임(712)은 상부프레임(510)의 우측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힌지부(710)의 제2 프레임(711)은 우측 프레임(620)의 상단과 고정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713)은 제2 프레임(711)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 프레임(712)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볼(714)은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 중심에 배치되어 제2프레임(7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힌지축(713) 및 제1 돌출볼(714)은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되어, 제2 프레임(711)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715)는 원형 링 형태로, 제1 프레임(7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프레임(712)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힌지 축(35,36,37)과 각각 결합되어, 힌지 축(25,26,2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 고정부(716)는 상부프레임(520) 또는 하부프레임(540)의 양끝단에 각각 핀연결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힌지 고정부(716)는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톱니(5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힌지부(710)의 힌지 고정부(716)는 상부프레임(520)의 우측 끝단에 핀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힌지부(720)의 힌지 고정부(716)는 하부 프레임(540)의 우측 끝단에 핀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 및 제4 힌지부(730,740)의 힌지 고정부(716)도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서 핀연결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712)은 제1연결부(47), 제1 및 제2 관통홈(40,45), 및 복수 개의 가드 요홈(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부(710)의 제1연결부(47)는 상부 프레임(520)의 우측 끝단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은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이 관통하며, 측방향으로 힌지 축의 이동을 가드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홈(40)을 통해 제2 및 제3 힌지축(26,27)이 관통하며, 제2관통홈(45)을 통해 제1 힌지축(25)이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은 곡면을 형성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힌지축(25,26,27)은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의 크기만큼 상호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통홈(40)의 크기는 제2관통홈(45)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드 요홈(44)은 제1 및 제2 관통홈(40,45) 사이에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 이동에 따라 제1 돌출볼(714)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가드 요홈(44)에 이탈 및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고하면, 제2 프레임(711)은 제2 연결부(11), 삽입부(12), 톱니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711)은 복수 개의 힌지축(25,26,27)을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홈(15,16,17) 및 제1 돌출볼(714)을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홈(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11)는 우측 프레임(620)의 하부 끝단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2)는 힌지 고정부(716)가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된 공간이 될 수 있다.
톱니부(13)는 힌지 고정부(716)의 제1 톱니(50)와 치합되는 제2 톱니(13)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힌지부(710)의 힌지축(25,26,27) 이동에 따른 동작은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4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제2프레임(711)을 이동시켜 힌지부(7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힌지 고정부(716)의 제1톱니(50)가 제2 톱니(1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힌지 고정부(716)를 이동시킨후 힌지부(7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힌지부(700)의 제2프레임(711) 이동시,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이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제1 돌출볼(714)도 요홈(4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 필요에 따른 각도로 힌지부(700)의 제2프레임(711)을 조절한 후, 힌지 고정부(716)의 제1톱니(50)가 제2톱니(13)에 맞물리도록 이동시켜 힌지부(7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제1힌지부(710)의 제1프레임(712) 일측이 상부 프레임(510)의 우측 끝단에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711) 일측이 우측 프레임(620)의 상부 끝단에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고정부(716)가 삽입부(12)에 삽입되어 제1톱니(50)와 제2 톱니(13)가 맞물려 제1힌지부(710)가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볼(714)이 복수 개의 가드 요홈(44)의 중심 요홈에 위치하며, 전면패널(400)에 대하여 우측프레임(620)이 수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제1 힌지부(710)는 정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제2프레임(711)이 우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이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제1 돌출볼(714)도 요홈(44)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400)에 대하여 우측프레임(620)의 각도가 커질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제2프레임(711)이 좌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복수 개의 힌지 축(25,26,27)이 제1 및 제2 관통홈(40,45)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2 프레임(711)에 고정된 제1 돌출볼(714)도 요홈(44)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400)에 대하여 우측프레임(620)의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힌지부(700)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부프레임(510) 또는 하부 프레임(540)과 우측 프레임(620) 또는 좌측 프레임(650)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변화는 좌우에서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 사이의 각도변화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힌지부(700)의 구조에 의해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1000)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1 내지 제4힌지부(710 내지 740)는 제1프레임(712), 제2프레임(711), 힌지축(713), 제1 돌출볼(714), 이탈방지부재(715), 힌지 고정부(716), 제3프레임(717) 및, 고정핀(718)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712), 제2프레임(711), 힌지축(713), 제1 돌출볼(714)는 도 10 및 도 1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의 힌지축(713)은 제2 프레임(711)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1 프레임(712)을 관통하는 4개의 힌지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713)의 끝단의 지름이 제1프레임(712)을 관통하는 앞단의 지름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제1힌지부(710)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715)는 4개의 힌지축(713)이 관통할 수 있는 4개의 홈(71a 내지 71d) 및, 4개의 홈(71a 내지 71d) 중심에 제2돌출부(72)를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715)는 제1 프레임(7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프레임(712)을 관통하는 4개의 힌지 축(7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힌지축(713)은 끝단의 지름이 앞단의 지름보다 크게 제작되어 이탈방지부(715)에 걸려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제3프레임(717)은 이탈방지부(715)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프레임(712)과 볼트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712)과 제3프레임(717) 사이에는 힌지축(713) 및 이탈방지부(715)가 삽입되고, 제1프레임(712)의 제1 및 제2 관통홈(40,45)내에서만 힌지축(713) 및 이탈방지부(715)가 이동되도록 제1프레임(712)과 제3프레임(717)은 볼트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717)은 제2 돌출볼(72)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81), 관통된 제2 돌출볼(72)의 위치를 표시하는 눈금선 표시부(82), 및 고정핀(718)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8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힌지축(713)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2돌출볼(72)이 이동되면, 눈금선 표시부(82)의 눈금선을 확인하여 제2돌출볼(72)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삽입홀(83)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가 되어 고정핀(718)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712)은 제2삽입홀(84)을 구비하며, 힌지 고정부(716)는 일측이 개방된 고정핀 삽입홈(85)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718)은 제3프레임(717)의 제1삽입홀(83), 제1프레임(712)의 제2삽입홀(84)을 관통하여, 힌지 고정부(716)의 고정핀 삽입홈(85)에 위치시켜 제1힌지부(7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서, 제1힌지부(710)의 각도조절에 따른 고정핀(718)의 삽입 및 인출 동작과 힌지 고정부(716)의 동작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제2힌지부(720)의 구성 및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서 설명된 제1힌지부(710)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3힌지부(730) 및 제4힌지부(740)도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구성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한편, 제1힌지부(710)의 각도조절에 대한 설명은 도 12 내지 1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며 힌지고정부(716) 및 고정핀(71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에 따르면, 고정핀(718)을 이탈시키고, 힌지고정부(716)를 제2프레임(711)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힌지부(710)의 각도를 조절하고 힌지고정부(716)를 제2프레임(711)과 결합시켜 고정하고, 고정핀(718)을 삽입하여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서는 각도조절 후, 고정된 힌지고정부(716) 및 고정핀(718)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의 각도조절에 따른 눈금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19에서와 같이 제1힌지부(710)의 힌지축(713)의 이동에 따라 각도가 조절되면, 힌지축(713)에 연동되어 제2돌출부(72)도 이동될 수 있다. 제2돌출부(72)의 이동은 도 20 및 도 21와 같이, 눈금선 표시부(8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00 :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100 : 프레임모듈 200 : 엘이디모듈
300 : 제어모듈 400 : 전면판넬
500 :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 510 : 상부 프레임 모듈
540 : 하부 프레임 모듈 520 : 상부 프레임
550 : 하부 프레임 600 : 죄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
610 : 우측 프레임 모듈 620 : 우측 프레임
640 : 좌측 프레임 모듈 650 : 좌측 프레임
700 : 힌지부
100 : 프레임모듈 200 : 엘이디모듈
300 : 제어모듈 400 : 전면판넬
500 :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 510 : 상부 프레임 모듈
540 : 하부 프레임 모듈 520 : 상부 프레임
550 : 하부 프레임 600 : 죄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
610 : 우측 프레임 모듈 620 : 우측 프레임
640 : 좌측 프레임 모듈 650 : 좌측 프레임
700 : 힌지부
Claims (6)
-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하변과 좌우변을 구비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모듈은,
사각형태의 전면판넬;
상기 전면판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부 및 하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및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모듈;
상기 전면판넬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웃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이 좌측 및 우측에 착탈가능하도록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프레임 및 복수 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 모듈;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양단을 힌지 결합하며, 설치되는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를 조절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양 끝단 각각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양 끝단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중첩되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복수개의 힌지축;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힌지축 중심에 배치되는 제1 돌출볼;
상기 힌지축이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힌지축 타단과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양단 각각에 핀연결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제1 톱니를 구비하는 힌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며, 관통된 상기 힌지축의 이동을 가드하는 제1 및 제2 관통홈;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홈 사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 축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볼이 이탈 및 삽입되는 복수 개의 가드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제2 연결부;
상기 힌지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힌지 고정부의 제1 톱니와 치합되는 제2 톱니를 구비한 톱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유닛.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힌지축이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홀 및, 중심에 돌출된 제2 돌출볼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볼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 및, 상기 관통된 제2 돌출볼의 위치를 표시하는 눈금선 표시부를 구비하는 제3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 제1프레임, 및 상기 힌지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 디스플레이유닛. - 사각형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된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프레임모듈의 전방에 부착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 판상 형태의 엘이디모듈; 및,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전기적으로 상기 엘이디모듈과 연결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87A KR101668446B1 (ko) | 2015-03-02 | 2015-03-02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87A KR101668446B1 (ko) | 2015-03-02 | 2015-03-02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8264A Division KR101541397B1 (ko) | 2013-10-28 | 2013-10-28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8674A KR20150048674A (ko) | 2015-05-07 |
KR101668446B1 true KR101668446B1 (ko) | 2016-10-21 |
Family
ID=5338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87A KR101668446B1 (ko) | 2015-03-02 | 2015-03-02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8446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5233B1 (ko) * | 2009-06-12 | 2011-10-19 |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
KR101289287B1 (ko) * | 2012-01-09 | 2013-07-24 | 에버브라이튼주식회사 | 영상표시모듈의 각도조절장치 |
-
2015
- 2015-03-02 KR KR1020150029087A patent/KR101668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8674A (ko) | 2015-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1397B1 (ko)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
KR101067769B1 (ko) |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 |
US6926375B2 (en) | Unit connecting mechanism and image display device | |
KR100802384B1 (ko) |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이것과 디스플레이의 결합 방법 | |
US9845849B2 (en) | Adjustable hanging device | |
KR200462949Y1 (ko) | 엘이디 표시장치의 연결잠금장치 | |
US8186637B2 (en) | Media device mounting system | |
KR20150011581A (ko) |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 |
KR101625168B1 (ko)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
US20090184216A1 (en) | Hinge Device of Plane Display | |
JP4088878B2 (ja) | 立体画像表示装置 | |
KR100443618B1 (ko) |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 장치 | |
KR101045096B1 (ko) | Led 디스플레이 고정프레임 | |
WO2016172732A1 (en) | Short throw projector mount with adjustable screw drive | |
US11105458B2 (en) | Post installation leveling device | |
KR101668446B1 (ko)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
JP2006106046A (ja) | 接続具及び映像表示装置 | |
JP4418444B2 (ja) | 連結機構及び表示ユニット | |
US11178783B2 (en) | Arc-shaped lock | |
JP6469461B2 (ja) | 画像表示装置の取付構造 | |
KR20110133735A (ko) |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 |
CN215567074U (zh) | 用于led显示屏箱体拼装的快速锁紧连接片机构 | |
JP2009055598A (ja) | ビデオカメラ | |
JP2004354570A (ja) | 映像表示装置 | |
US8701318B2 (en) |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image display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