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044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044B1 KR101667044B1 KR1020090091485A KR20090091485A KR101667044B1 KR 101667044 B1 KR101667044 B1 KR 101667044B1 KR 1020090091485 A KR1020090091485 A KR 1020090091485A KR 20090091485 A KR20090091485 A KR 20090091485A KR 101667044 B1 KR101667044 B1 KR 101667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fixing
- indoor
- indoor hea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관수용홈을 포함하는 고정유닛과, 각각 일단이 실내열교환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실내기의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열교환기, 고정유닛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기 및,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에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된다.
그리고,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증발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응축수단이 된다.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응축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증발수단이 된다. 상기 냉난방 운전의 전환은 상기 사방밸브에 의해 냉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본체;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 상기 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관을 함께 고정하는 고정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관이 수용 및 고정되는 배관수용홈;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수용홈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두께 방향으로 냉매 튜브의 열 수와 동일한 개수의 배관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고정유닛에는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수용되기 위한 다수개의 배관수용홈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유닛이 실내열교환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과 배관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고정부 각각은, 일단이 열교환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상기 본체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 및 고정부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고 외부로 토출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를 통한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실내기(1)의 본체(10)는 실내 공간의 공기조화를 위하여 실내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2) 및 후방 프레임(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2)과 후방 프레임(3)이 전후방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2) 및 후방 프레임(3) 사이에는 후술할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과 같은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과, 상기 후방 프레임(3)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전방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실내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01)와, 상기 실내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및 저면에 걸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전방 프레임(2)의 하단부와 상기 후방 프레임(3)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구(10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프리 필터(21)와,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팬(42) 및 모터(43)를 포함하는 팬모터어셈블리와, 상기 실내기(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컨트롤 박스(44,45)와,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그릴부(5)와,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풍향 조절부(52)와,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상항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베인(51)과, 상기 열교환기에 결합되는 집진 필터(48)와, 상기 실내기(1)의 작동 상태를 의미하는 다양한 신호가 출력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6)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열교환기고정부(46,47)와, 상기 모터(43)를 차폐하기 위한 모터(43) 커버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내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물론, 후술할 흡입그릴(200)도 상기 흡입구(10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상기 흡입그릴(200)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에서는 먼지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 필터(21) 및 집진 필터(48)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팬(42)을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102)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즉,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을 통과한 실내 공기를 상기 토출구(102)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팬(42)이 위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토출구(102)까지 연장되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 및 후방 프레임(3)의 일부분을 토출부라 칭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토출부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5)의 일부분을 상측 토출부라고 칭하고, 상기 토출부에 해당하는 후방 프레임(3)의 일부분을 하측 토출부라 칭한다.
한편,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압축기(미도시), 실외열교환기(미도시), 팽창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보다 상세히, 냉매의 유동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 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 고압 상태로 응축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팽창부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 상태로 팽창된다. 상기 팽창부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 또는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저압 상태로 증발된 후, 상기 압축기로 다시 유입되어 상기 냉매 사이클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냉매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 또는 증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면서 증발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실내열교환기를 고정하는 구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를 보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 프레임(3)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 팬(42) 및 모터(4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열 교환기(41), 팬(42) 및 모터(43)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부(34)의 일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 팬(42)이 위치되고, 상기 설치부(34)의 타면에는 상기 모터(43)가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서로 다른 기울기로 경사지게 놓이는 다수개의 열교환 유닛(411,412,413)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유닛(411,412,413) 각각은, 상기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냉매가 유동하는 다수개의 냉매 튜브와, 상기 냉매 튜브가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일측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상기 설치부(3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71,472,47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471,472,473)는 상기 열교환 유닛(411,412,4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즉, 다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471,472,473)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열교환 유닛(411,412,41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상기 설치부(34)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471,472,473)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설치부(34)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폐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상기 팬(42)의 상방 후반부에 놓이는 제 1 열교환 유닛(411)과, 상기 팬(42)의 상방 전반부에 놓이는 제 2 열교환 유닛(412)과, 상기 팬(42)의 전방에 놓이는 제 3 열교환 유닛(4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 유닛(411,412,413)을, 상기 팬(42)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 전부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팬(4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71,472,473)는, 상기 제 1 열교환 유닛(411)에 결합되는 제 1 고정부(471)와, 상기 제 2 열교환 유닛(412)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부(472)와, 상기 제 3 열교환 유닛(413)에 결합되는 제 3 고정부(47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부(471)는 상기 제 1 열교환 유닛(41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설치부(34) 사이의 공간 중 후반부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부(472)는 상기 제 2 열교환 유닛(41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설치부(34) 사이의 공간 중 전반부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폐한다. 즉, 상기 제 1 고정부(471) 및 제 2 고정부(47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설치부(34)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471,472,473)에 의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설치부(34)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설치부(34)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팬(42)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471) 및 제 2 고정부(472) 각각에는, 상기 제 1 열 교환 유닛(411) 및 제 2 열교환 유닛(412)에 연결되는 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관홀(470,480)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배관홀(470,480)은, 상기 제 1 열교환 유닛(411) 및 제 2 열교환 유닛(412)의 냉매 튜브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부(472)에는 상기 제 2 열교환 유닛(41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7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474)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47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고정부(472)에는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두께만큼 포밍되는 포밍부(490)가 형성된다. 상기 포밍부(49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부(471)와 중첩되는 제 2 고정부(472)의 일부분에 걸쳐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부(471) 및 제 2 고정부(472)는 상기 포밍부(490)만큼 중첩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2개의 고정부(471,472)가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고정부(471)와 중첩되는 제 2 고정부(472)에 상기 포밍부(49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부(471) 및 제 2 고정부(472)는, 하나의 체결부재가 각각에 형성되는 후술할 체결홀(479)을 동시에 관통하는 방법으로,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고정부(471,472)가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일면과 상기 2개의 고정부(471,472)는 나란하게 위치된다. 이때, 2개의 고정부(471,472)가 결합되는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2개의 고정부(471,47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부(472)와 중첩되는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일부분에는, 결합돌기(492) 및 걸림부(47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492)는 상기 제 1 고정부(47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78)는, 상기 제 2 고정부(472)의 후단부(49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일부가 절개 및 측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부(472)에는, 상기 결합돌기(492)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수용홈(49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부(471)에는,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47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77)에는 상기 제 1 고정부(471)를 상기 설치부(34)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479)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부(471)와 제 2 고정부(47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479)과 중첩되는 상기 제 2 고정부(472)의 포밍부(490)에는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체결홀(479)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47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고정부(471) 및 제 2 고정부(472)를 상기 설치부(34)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고정부(471)의 체결홀(479) 및 제 2 고정부(472)의 체결홀(479)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설치부(34)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2 고정부(472)의 하방에는, 상기 제 3 열교환 유닛(413)을 상기 설치부(34)에 고정하기 위한 제 3 고정부(473)가 구비된다. 상기 제 3 고정부(473)에는, 상기 설치부(34)에 결합되기 위한 본체결합부(476)와, 상기 제 3 열교환 유닛(413)에 결합되기 위한 열교환기결합부(47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결합부(476) 및 열교환기결합부(475)에는, 각각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체 결홀(479)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유닛를 보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고정유닛이 제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471,472,473)가 결합되는 일측면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타측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 연결되는 배관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46)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유닛(46)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 결합되는 열교환기결합부(461)와, 상기 후방 프레임(3) 즉,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기 위한 본체결합부(462)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결합부(462)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본체(10)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본체(1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이, 상기 고정유닛(46)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본체(10)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팬(42)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 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46)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관이 수용 및 고정되는 배관수용홈(465)과, 상기 팬(42)의 일단부가 사용되기 위한 팬수용홈(46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유닛(46)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타측면에는,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냉매 튜브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턴 튜브(4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턴 튜브(411)는 2개의 냉매 튜브를 연결한다. 상기 2개의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리턴 튜브(411)에 의하여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다른 하나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수용홈(465)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향하는 상기 고정유닛(46)의 일측면에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배관수용홈(465) 각각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두께 방향으로 냉매 튜브의 열수와 동일한 개수의 배관을 수용한다. 여기서, 냉매 튜브의 열 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측방에서 볼 때, 상기 냉매 튜브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최소 개수를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냉매 튜브의 열 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측방에서 볼 때, 상기 냉매 튜브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에서 볼 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냉매 튜브는 2열로 배치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두께 방향으로 냉매 튜브의 열 수는 2개이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리턴 튜브(411) 중 2개의 리턴 튜브(411)가, 상기 배관수용홈(465)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다수개의 배관수용홈(465) 각각에는, 상기 다수개의 리턴 튜브(411) 중 2개의 리턴 튜브(411)가 수용된다.
상기 배관수용홈(465)의 바닥면(325)에는, 상기 배관수용홈(465)에 수용되는 상기 배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되기 위한 응축수배수홀(466)이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배수홀(466)은 상기 고정유닛(46)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수배수홀(466)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유닛(46)의 타측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46)의 타측면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고정유닛(46)의 타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고정유닛(46)의 하방에 위치되는 집수부(미도시)로 유입된 후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실내기(1)에 의하면,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상기 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측면에 연결되는 배관(411) 중 냉매 튜브의 열 수와 동일한 개수의 배관(411)이, 상기 고정유닛(46)의 배관수용홈(465)에 수용 및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고정유닛(46)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측면에 연결되는 배관(411) 전부가 상기 고정유닛(46)의 배관수용홈(465)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배관(411)과 상기 고정유닛(46) 사이의 접촉면적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고정유닛(46)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유닛(411,412,413)에 대응되는 상기 다수개의 고정 부(471,472,473) 모두, 상기 본체(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고정부(471,472,473)가 상기 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471,472,473)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열교환 유닛(411,412,413)에만 고정되고, 상기 본체(10)에는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고정부(471,472,473)가 상기 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를 통한 상기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471,472,473)가 상기 본체(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이 더욱 안정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471,472,473)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유닛(4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1) 및 본체(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팬(42)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냉매와 열교환되지 않고 상기 본체(10) 외부로 토출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내기(1)에서 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부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고정유닛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고정유닛이 제거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고정유닛의 사시도.
Claims (9)
- 실내에 설치되는 본체;실내 공기 및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열교환기;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팬;상기 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상기 실내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관을 함께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서로 다른 기울기로 놓이며, 상기 팬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열교환유닛을 포함하고,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유닛에는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유닛을 상기 본체에 구비된 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부가 체결되며,상기 다수개의 고정부는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유닛과 상기 설치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고,상기 다수개의 고정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포함하고,상기 제 2 고정부에는 상기 제 1 고정부와 중첩되는 부분에 상기 제 1 고정부의 두께만큼 포밍되는 포밍부가 형성되고,상기 제 1 고정부에는 상기 포밍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포밍부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유닛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관이 수용 및 고정되는 배관수용홈이 구비되고,상기 배관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관수용홈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배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되기 위한 응축수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배관은, 냉매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단부에 구비되는 리턴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는 하나의 체결부재로 상기 본체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다수개의 고정부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열교환유닛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고정부 및 상기 포밍부의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는, 하나의 체결부재가 동시에 관통하기 위한 체결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485A KR101667044B1 (ko) | 2009-09-28 | 2009-09-28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485A KR101667044B1 (ko) | 2009-09-28 | 2009-09-28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06A KR20110034106A (ko) | 2011-04-05 |
KR101667044B1 true KR101667044B1 (ko) | 2016-10-17 |
Family
ID=4404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485A KR101667044B1 (ko) | 2009-09-28 | 2009-09-28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04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73508A (zh) * | 2020-04-26 | 2020-07-31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冷凝器连接块及空调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31619A (zh) * | 2017-02-08 | 2017-07-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多排换热器固定装置及固定方法及空调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0558B2 (ja) * | 1991-12-13 | 1998-12-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
JP3280868B2 (ja) * | 1996-10-08 | 2002-05-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
JP2003042478A (ja) * | 2001-07-27 | 2003-02-13 | Daikin Ind Ltd | 熱交換器固定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固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0580A (ko) * | 2006-12-27 | 2008-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열교환기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485A patent/KR1016670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0558B2 (ja) * | 1991-12-13 | 1998-12-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
JP3280868B2 (ja) * | 1996-10-08 | 2002-05-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
JP2003042478A (ja) * | 2001-07-27 | 2003-02-13 | Daikin Ind Ltd | 熱交換器固定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固定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73508A (zh) * | 2020-04-26 | 2020-07-31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冷凝器连接块及空调器 |
CN111473508B (zh) * | 2020-04-26 | 2021-08-20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冷凝器连接块及空调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06A (ko) | 2011-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50928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852800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335748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80121211A (ko) | 공기조화기 | |
KR101667044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210062846A (ko) | 공기조화기 | |
KR10166383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2009236385A (ja) | 空調装置 | |
CN111457481A (zh) | 空调室外机 | |
KR100642365B1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620355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911954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의 조립방법 | |
KR100547674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608536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29914B1 (ko) |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50024797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CN219572101U (zh) | 一种整体式空调 | |
KR20050047161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WO2024105775A1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CN101210708A (zh) | 一种管道式商用空调器室内机 | |
KR20190003071A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20060117832A (ko) |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 |
KR2003004346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154568Y1 (ko) | 냉난방 분리형 에어콘의 실외기 | |
KR100624737B1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