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44B1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3444B1 KR101653444B1 KR1020140069387A KR20140069387A KR101653444B1 KR 101653444 B1 KR101653444 B1 KR 101653444B1 KR 1020140069387 A KR1020140069387 A KR 1020140069387A KR 20140069387 A KR20140069387 A KR 20140069387A KR 101653444 B1 KR101653444 B1 KR 101653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 rotary shaft
- disposed
- magnet
- sensing mag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2—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actuated by movement of a float carrying a 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마그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로터리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 확대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의 부분 확대 사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로터리 샤프트 및 센싱 마그네트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하우징 스톱퍼 및 로터리 샤프트 윙의 윙 스톱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마그네트 및 센싱 모듈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P | P-R | R | R-N | N | N-D | D | |
410S1 | 1 | 1 | 0 | 0 | 0 | 0 | 0 |
410S2 | 0 | 1 | 1 | 1 | 0 | 0 | 0 |
410S3 | 0 | 0 | 0 | 1 | 1 | 1 | 0 |
410S4 | 0 | 0 | 0 | 0 | 0 | 1 | 1 |
410S5-PS | 0 | 0 | 0 | 0 | 0 | 0 | 0 |
410S5-Ns | 1 | 0 | 0 | 0 | 1 | 0 | 0 |
100..하우징 110...하우징 바디
120...하우징 커버 200...기판
300..로터리 샤프트 400...센싱부
Claims (14)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모듈은 감지하는 극성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는 3극 착자 구성을 이루고, 중앙에 S극성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센싱 모듈은 S극성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으로 3극 이상의 극성 배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삭제
- 삭제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모듈은 감지하는 극성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으로 3극 이상의 극성 배치를 이루고,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3극 착자 구성을 이루고, 중앙에 N극성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싱 모듈은 N극성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삭제
- 삭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제 2 중앙 N극성과, 상기 제 2 중앙 N극성의 양측에는 제 2 사이드 S극성이 배치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축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중앙 N극성의 두께는 상기 제 2 사이드 S극성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기판과의 거리가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센성 유니트. - 삭제
- 삭제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으로 3극 이상의 극성 배치를 이루고,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3극 착자 구성을 이루고, 중앙에 각각 N극성 및 S극성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는, 제 2 중앙 N극성과, 상기 제 2 중앙 N극성의 양측에는 제 2 사이드 S극성이 배치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축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중앙 N극성의 두께는 상기 제 2 사이드 S극성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기판과의 거리가 더 가깝고,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축 길이 방향으로 상이한 두께를 가지는 제 1 센싱 마그네트 중앙부 및 제 1 센싱 마그네트 사이드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중앙부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사이드부보다 상기 기판과 거리가 더 가깝고,
상기 기판 상에서 투영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중앙부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사이드부 사이의 경계선은 상기 제 2 중앙 N극성과 상기 제 2 사이드 S극성의 경계선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모듈은 감지하는 극성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마그네트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일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서로 상이한 반경으로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속 레인지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하나의 센싱 모듈만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차량의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사이의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센싱 모듈 중 두 개 이상의 센싱 모듈이 온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싱 모듈과 상기 제 2 센싱 모듈은 감지하는 극성이 서로 반대이고,
상기 센싱 마그네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센싱 마그네트 및 상기 제 2 센싱 마그네트의 반대편으로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는 제 3 센싱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제 3 센싱 마그네트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 3 센싱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센싱 마그네트는 차량의 N 변속 레인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3 센싱 모듈과 대향 배치 및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387A KR101653444B1 (ko) | 2014-06-09 | 2014-06-09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9387A KR101653444B1 (ko) | 2014-06-09 | 2014-06-09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1247A KR20150141247A (ko) | 2015-12-18 |
KR101653444B1 true KR101653444B1 (ko) | 2016-09-02 |
Family
ID=5508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9387A Active KR101653444B1 (ko) | 2014-06-09 | 2014-06-09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34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002158A1 (de) * | 2018-03-16 | 2019-09-19 | Paragon Ag | Sensor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r Drehstellung einer Gelenkwelle von Karosseriekinematikvorrichtungen, z.B. von Spoilern |
EP4109174A1 (en) * | 2018-04-23 | 2022-12-28 | Corephotonics Ltd. | An optical-path folding-element with an extended two degree of freedom rotation range |
KR102357533B1 (ko) | 2019-04-30 | 2022-02-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US11573391B2 (en) | 2019-04-30 | 2023-02-07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CN111856839A (zh) * | 2019-04-30 | 2020-10-30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8472A1 (ja) * | 2009-02-26 | 2010-09-02 | 日立金属株式会社 | 角度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 |
JP2011185873A (ja) * | 2010-03-10 | 2011-09-22 | Alps Electric Co Ltd | 磁気検出装置及び磁気エンコーダ |
JP2012053006A (ja) * | 2010-09-03 | 2012-03-15 | Tokai Rika Co Ltd | 回転角度検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0361B2 (ja) * | 1996-03-19 | 2001-08-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回転センサ |
-
2014
- 2014-06-09 KR KR1020140069387A patent/KR1016534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8472A1 (ja) * | 2009-02-26 | 2010-09-02 | 日立金属株式会社 | 角度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 |
JP2011185873A (ja) * | 2010-03-10 | 2011-09-22 | Alps Electric Co Ltd | 磁気検出装置及び磁気エンコーダ |
JP2012053006A (ja) * | 2010-09-03 | 2012-03-15 | Tokai Rika Co Ltd | 回転角度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1247A (ko) | 2015-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3444B1 (ko)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
JP3970852B2 (ja) | シャフトに加えられるトルクを測定する装置 | |
US7321230B2 (en) | Rotation angle-detecting device | |
JP6659416B2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KR20100070593A (ko) |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 |
KR101591320B1 (ko) | 센서 장착 회전 커넥터 | |
JP3850199B2 (ja) | インヒビタスイッチ | |
JP2006234573A (ja) | 回転角度検出装置 | |
KR102103536B1 (ko)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
JP6242759B2 (ja) | 回転移動検出装置 | |
CN114174769B (zh) | 旋转角度检测传感器 | |
KR101629088B1 (ko)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
JP6129276B1 (ja) | 非接触式回転角度検出装置 | |
KR101000141B1 (ko) |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 |
US10539430B2 (en) | Position detecting device | |
US7667420B2 (en) | Position sensor system | |
KR20160043228A (ko)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
JPS62237357A (ja) | 回転センサ | |
JP2011033387A (ja) | 角度検出センサ | |
KR20210082764A (ko) | 다회전 검출이 가능한 엔코더 | |
KR101599608B1 (ko) | 로터리 센서 유니트 | |
KR102212162B1 (ko) | 스텝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텝 모터 제어 시스템 | |
JP2012122982A (ja) |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US20200318729A1 (en) | Detecting device | |
JP2009276241A (ja) | 回転角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