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52601B1 - 촉매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촉매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601B1
KR101652601B1 KR1020140186322A KR20140186322A KR101652601B1 KR 101652601 B1 KR101652601 B1 KR 101652601B1 KR 1020140186322 A KR1020140186322 A KR 1020140186322A KR 20140186322 A KR20140186322 A KR 20140186322A KR 101652601 B1 KR101652601 B1 KR 10165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zone
gas
chlorination
combustion z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352A (ko
Inventor
조부영
김원일
우재영
염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8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6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6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2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4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 B01J38/42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using halogen-contain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B01J8/44Fluidisation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4Recycling of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된 촉매 입자를 재생하기 위한 촉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응기 본체가 해지 투입장치와 일체로 구성되고,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에서 가스의 순환 방향이 반대로 구성되어, 반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촉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촉매 재생 장치{CATALYST RE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촉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수소를 유용한 탄화수소 생성물로 전환시키는 접촉 전환에서 소모된 촉매를 재생시켜 탄화수소 전환 반응에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촉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공업에서는 연속적인 촉매 전환이 진행된다. 탄화수소의 유동 촉매 분해(Fluidized Catalyst Cracking)는 경질 탄화수소 성분의 생산에 있어 중요한 공정이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생산에 있어 중요한 공정이다. 유동 촉매 분해 공정에서는 유동화된 촉매를 반응기와 재생기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한다.
프로필렌 생산의 또 다른 경로는 촉매 탈수소화반응을 통한 프로판의 탈수소화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은 강한 흡열반응이며, 그리고 만족할만한 속도로 반응을 진행하기 위해서 고온을 요구한다. 촉매 반응이 고온에서 진행됨에 따라, 그에 대한 부반응으로 열분해 및 코크 생성반응이 수반되고, 이러한 부반응의 정도가 촉매의 선택도 및 활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된다. 부반응의 하나인 코크 생성 반응은 촉매상의 활성물질을 코크로 덮이게 하여 반응물과 접촉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반적인 반응전환율을 낮추게 된다. 또한, 코크의 생성이 진행됨에 따라 촉매 내에 존재하는 기공의 입구를 막아 기공 내에 존재하는 활성물질을 무용화하여 급격하게 비활성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탈수소화 반응기의 다음 단에는 코크 침적물의 축적이 비활성화를 유발할 때, 코크 침적물을 제거하기 위해 촉매를 재생하여 촉매의 활성도를 복원시키기 위한 촉매 재생 장치가 연결된다.
이동상 모드의 촉매 재생 장치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3 개 또는 4 개의 반응기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반응 구역과, 임의의 수의 단계들, 일반적으로 연소 단계, 그 후의 염소화 단계, 그 후의 건조 단계 및 환원 단계를 실시하는 촉매 재생 구역을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미국특허 제2008/0159930호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비하고, 탄화수소 전환 구역으로부터 촉매를 받아 들이는 촉매 해지 투입장치(320), 상기 촉매 해지 투입장치(320)와 연통되어, 염소화 가스를 받아 들이는 흡착 베셀(400) 및 연소 구역을 구비하는 재생 베셀(420)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전환 구역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전환 촉매를 위한 촉매 재생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촉매 재생 장치는 촉매 재생장치와 해지 투입장치가 별도로 분리 구성되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운전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촉매 재생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설비비용을 줄이고, 촉매 재생 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촉매 재생 장치의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 내에서의 유동 흐름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반응기 내부의 핫 스판(Hot spot)을 억제하여 촉매 손상을 최소화하여 공정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촉매 내 코크 함량이 높은 연소 구역에서 가스 순환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촉매 유동과 동일하여 촉매 재생 시 촉매 막힘 현상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고, 건조 구역에서의 가스 분산이 원활하여 잔량 코크 제거에 용이하고, 염소화 구역에서 공기 분산이 잘 되어 핫 스팟 발생을 억제하여 촉매 재생 공정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촉매 입자들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재생장치는
탈수소 구역으로부터 공급된 촉매로부터 촉매 잔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해지 투입장치;
상기 해지 투입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공급 가스 유입관과 재생된 촉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고, 촉매는 이동상으로 연소 구역, 염소화 구역 및 건조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본체는 환상 디스크형 연소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소 구역에는 반응기 중심에 공급 가스를 분산 주입하기 위한 스크린 분산판이 설치되어, 공급 가스가 스크린 분산판을 통하여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은 환상 디스크형으로 구성되고, 촉매 베드는 2개의 동축 원통형 벽에 의해 구획된 환상형 공간 내에서 유동되며, 가스는 하나의 벽을 경유하여 유입되며, 대향하는 벽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촉매 재생 장치에서 연소 구역과 상기 염소화 구역 사이에는 촉매는 통과시키고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이 차단층이 설치되어,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의 가스 순환 방식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촉매 재생 장치에서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의 유동 흐름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반응기 내부의 핫 스팟 (Hot spot)을 억제하여 촉매 손상을 최소화하여 촉매 재생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촉매 내 코크 함량이 높은 연소 구역에서 가스 순환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촉매 유동과 동일하여 촉매 재생 시 촉매 막힘 현상에 의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구역의 가스 분산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잔량의 코크 제거에 용이하고, 염소화 구역에서의 공기 분산이 잘 되어 핫 스팟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생산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촉매 재생 장치에서는 촉매 재생 장치의 하단에서의 촉매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촉매 재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촉매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촉매 입자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로서 도시된 것이며, 첨부된 도면의 특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원에서 "구역(ZONE)"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하부-구역을 포함하는 촉매 재생 장치 내의 특정 영역(area)을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촉매 재생 장치의 본체는 반응기로서 하나 이상의 구역들 또는 하부-구역들(sub-zone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촉매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는 탈수소 구역으로부터 공급된 촉매로부터 촉매 잔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해지 투입장치(1); 및 상기 해지 투입장치(1)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공급 가스 유입관(3, 6, 7)과 재생된 촉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8)을 포함하고, 촉매는 이동상으로 연소 구역, 염소화 구역 및 건조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본체는 직렬로 배치된 환상 디스크형 연소 구역(10, 10')을 포함한다.
상기 연소 구역에는 반응기 중심에 공급 가스를 분산 주입하기 위한 스크린 분산판(11)이 설치되어, 공급 가스가 스크린 분산판을 통하여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분산판(11)은 다수의 오리피스들 포함하는 도넛 형의 판상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이다.
스크린 분산판(11)이 연소구역(10, 10')에 가스 도입부와 배출부 위치에 각각 존재하여 연소구역(10, 10')의 가스 분산을 원할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촉매 재생 장치에서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은 환상 디스크형으로 구성되고, 촉매 베드는 2개의 동축 원통형 벽에 의해 구획된 환상형 공간 내에서 유동되며, 가스는 하나의 벽을 경유하여 유입되며, 대향하는 벽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연소 구역(10, 10')을 통과한 후, 가스는 가스 배출관(4)을 경유하여 연소 구역으로부터 배출된다.
연소 구역에는 촉매 이송을 위하여 비활성 가스를 연소 구역(10, 10')에 투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2)이 해지 투입장치(1)와 연소 구역(10, 10') 사이에 연결되고, 연소 구역(10, 10')으로부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관(4)이 연소 구역 중간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소 구역(10, 10')에서는 가스 순환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촉매 유동과 동일하여, 촉매 재생 시 촉매 막힘 현상으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 구역(10 및 10')은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촉매는 통과시키되, 가스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시키지 않는다. 각 연소 구역 내에서의 가스의 별도의 관리에 의하여 유입 및 배출 가스 온도와 이의 산소 함량을 임의의 시간에서의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최대의 산소 사용 이외에도, 이러한 관리는 각 구역 내에서의 작동 조건을 조절하여 코우킹 연소를 조절할 수 있다.
연소 후, 탄소 함유 물질의 함량이 낮아진 촉매는 도관(12)을 통과하여 염소화 구역(20, 20')에 도달한다. 그 후, 건조 구역(30)으로 흐르게 되어 도관(8)을 경유하여 본체에서 배출된다.
연소 구역(10, 10')과 염소화 구역(20, 20') 사이에는 플레이트 또는 기타의 임의의 차단판(14)이 배치되어 촉매는 통과시키되, 가스는 통과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가스는 건조 구역(30)으로부터 염소화 구역(20, 20')으로는 자유롭게 순환된다.
염소화 구역(20, 20')에서는 상기 염소화 구역의 중간에 설치되는, 염소화 구역에 염소화제를 투입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6)과 염소화 구역의 상류에 형성된, 염소화 구역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5)이 연결되어, 가스의 순환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연소 구역(10, 10')과 염소화 구역(20, 20')의 가스 순환 방식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염소화 구역(20, 20')에는 하나 이상의 염소화제, 하나 이상의 산소 함유 가스 또는 물이 공급된다. 염소화제는 염소, HCl 또는, 탄소수 12 미만 및 1~6개의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염소화 탄화수소(예를 들면, 사염화탄소) 또는 이러한 재생 공정에서 염소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염소화제가 될 수 있다. 산소 함유 가스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화 구역이 축방향인 경우, 염소화 구역의 하부에 투입하여 촉매에 대해 역류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염소화 구역(20, 20')에서, 촉매는 투입된 가스와 접촉되며, 또한 건조 구역(30)으로부터의 가스와 접촉되고, 투입한 산소를 다시 충전하고, 건조 단계로부터의 소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분산판(11)은 촉매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연소 구역(10, 10')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본체의 하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수단(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재생된 촉매 입자들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삼각뿔형 보조판(35)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구역(30)에는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가스의 하나 이상의 처리 수단, 상기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및 가스를 압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촉매 재생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코크 침적물을 포함하는 소비된 촉매 입자를 함유하는 스트림이 제공된다. 소비된 촉매 입자의 촉매 활성도를 유지 또는 회복시키기 위해, 소비된 촉매 입자는 재생되어야만 하며, 즉 코크의 거의 전부가 소비된 촉매 입자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
소비된 촉매 입자로부터의 코크의 제거는 장치(100)의 연소 구역(10, 10')에서의 연소를 통해 실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 구역(10, 10')은 제1 연소 구역(10)과 제2 연소 구역(10')을 포함한다. 소비된 촉매 입자의 스트림은 우선 연소 구역(10, 10')으로 도입된다. 연소 구역(10, 10')에서 코크가 소비된 촉매 입자 상에서 연소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100)는 또한 산소를 함유하는 연소 가스를 연소 구역(10, 10')으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입구(2)를 구비한다. 연소 구역(10, 10')에서의 코크의 연소를 제어하기 위해, 연소 가스 및 연소 구역 내에서의 환경의 산소 함량이 엄격히 제어된다.
소비된 촉매 입자는 코크 연소 후, 연소 구역(10, 10')을 빠져나가기 때문에, 촉매 입자로서 간주될 수 있다. 촉매 입자는 도관(12)를 경유하여 연소 구역(10, 10')으로부터 염소화 구역(20, 20')까지 장치(100)를 하향 통과하여 이동한다. 염소화 가스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6)를 통해 염소화 구역(20, 20')으로 공급된다. 염소화 가스는 염소와 같은 할로겐 함유 가스와 공기와 같은 산소 함유 가스 또는 물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일 유입구(6)가 할로겐 함유 가스와 산소 함유 가스의 조합된 스트림을 염소화 구역(20, 20')에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별도의 유입구가 가스들의 별도의 이송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염소화 구역(20, 20') 내의 할로겐 함유 가스와 산소 함유 가스의 존재는 촉매 입자의 염소화를 위해 공급된다. 염소화는 필수적인데, 그 이유는 촉매 입자에 있는 백금족 금속이 처리 중에 직면하는 고온에서 응집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염소화 반응보다 양호한 촉매 활성도를 위해 촉매 입자 상의 응집된 백금족 금속을 재분산시킨다.
염소화 후에 촉매 입자는 염소화 촉매 입자로서 간주될 수 있다. 염소화 촉매 입자는 장치(100)에서 염소화 구역(20, 20')으로부터 건조 구역(30)으로 안내된다. 정상 상태 모드에서, 가열된 건조 가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7)를 통해 건조 구역(30)에 공급된다. 건조 가스는 불활성 가스, 할로겐 함유 가스 및/또는 공기와 같은 산소 함유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구역(30)에서, 건조 가스는 상류 반응에 기인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촉매 입자를 통과하도록 송출된다.
도 2에서는, 단일의 유입구(7)가 여러 가지 가스들의 조합된 스트림을 건조 구역(30)에 공급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별개의 유입구가 다양한 가스의 별개의 이송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 구역(30)이 염소화 구역(20, 20')과 유체 연통되어, 염소화 구역(20, 20')에 필요한 가스가 건조 구역(30)을 통해 유입구(58)에 의해 염소화 구역에 공급될 수 있다. 염소화 구역(20, 20')으로부터 나온 가스는 도관(5)을 통해 장치(1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촉매 입자는 건조 구역(30)을 통과한 후에 장치(100)를 빠져나가고, 촉매 개질 시스템 또는 다른 촉매 시스템으로 다시 공급될 수도 있고, 연소 구역(10, 10')에 공급되고 있는 소비된 촉매 입자의 스트림으로 재순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는 연소구역(10, 10')에서 가스 배출 역할을 하는 가스 배출관(4)의 앞단에 분산역할을 수행하는 원형의 판상 또는 스크린 형태의 분산판(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는 연소구역(10, 10')에서 가스 배출관(4) 앞단에서 분산판(11) 구조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로 가스 배출관(4)이 분산판(11)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4에 연소 구역(10, 10')에 연결된 불활성 퍼지 유입구(9)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내부 유입관(15)을 지나서 연소 구역(10, 10')으로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는 구조로 재생반응기 내부 운전 전에 공기 불순물을 제거하여 촉매 연소 구역(10, 10')에서 산소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촉매 재생 장치는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 사이에, 염소화 구역(20, 20')에서 배출되는 배출 가스를 포집하는 배출 가스 포집장치(40)를 추가로 포함하여, 배출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재생반응기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하였지만, 다수의 변형이 존재함을 이해해야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 적용성 또는 구성을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는 것도 또한 이해해야만 한다. 오히려, 전술한 상세한 설명 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편리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 및 그 법적 등가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술된 요소들의 기능 및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1 : 해지 투입장치 4 : 가스 배출관
10, 10' : 연소 구역 11: 스크린 분산판
20, 20' : 염소화 구역 30 : 건조 구역

Claims (10)

  1. 촉매 입자들을 재생하는 재생장치로서, 상기 재생장치는
    탈수소 구역으로부터 공급된 촉매로부터 촉매 잔재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해지 투입장치;
    상기 해지 투입장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공급 가스 유입관과 재생된 촉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고, 촉매는 이동상으로 연소 구역, 염소화 구역 및 건조 구역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본체는 환상 디스크형 연소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 구역에는 반응기 중심에 공급 가스를 분산 주입하기 위한 가스 도입부와 가스 배출부 위치에 스크린 분산판이 설치되어, 공급 가스가 스크린 분산판을 통하여 주입되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은 환상 디스크형으로 구성되고, 촉매 베드는 2개의 동축 원통형 벽에 의해 구획된 환상형 공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재생 장치에서 연소 구역과 상기 염소화 구역 사이에는 촉매는 통과시키고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이 차단층이 설치되어, 연소 구역과 염소화 구역의 가스 순환 방식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재생 장치는 산소 함유 가스를 연소 구역에 투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이 상기 해지 투입장치 하단과 연소 구역 사이에 배치되고, 연소 구역으로부터의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이 연소 영역 중간에 형성되어, 연소 구역에서 가스 순환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염소화 구역에는 상기 염소화 구역의 중간에 설치되는, 염소화 구역에 염소화제를 투입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과 염소화 구역의 상류에 형성된, 염소화 구역으로부터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관이 연결되어, 가스의 순환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분산판은 촉매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연소 구역의 수평 방향 단면적이 본체의 하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재생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재생된 촉매 입자들이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삼각뿔형 보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구역에는 상기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가스의 하나 이상의 처리 수단, 상기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 및 가스를 압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분산판은 다수의 오리피스들 포함하는 도넛 형의 판상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재생 장치.
KR1020140186322A 2014-12-22 2014-12-22 촉매 재생 장치 Active KR10165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22A KR101652601B1 (ko) 2014-12-22 2014-12-22 촉매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22A KR101652601B1 (ko) 2014-12-22 2014-12-22 촉매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52A KR20160077352A (ko) 2016-07-04
KR101652601B1 true KR101652601B1 (ko) 2016-08-31

Family

ID=565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22A Active KR101652601B1 (ko) 2014-12-22 2014-12-22 촉매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28B1 (ko) * 2017-12-27 2019-12-02 효성화학 주식회사 탈수소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1909B1 (fr) * 1997-04-14 1999-05-14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installation perfectionnes pour la regeneration d'un catalyseur de production d'aromatiques ou de reformage
FR2995798B1 (fr) * 2012-09-27 2015-10-16 IFP Energies Nouvelles Reacteur de regeneration en continu de catalyseur avec des moyens deflecteurs pour devier l'ecoulement du catalyseur dans la zone d'oxychl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52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381B2 (en) Utilization of baffles in chlorination zone for continuous catalyst regeneration
CS271326B2 (en) Method of gas circulation in regeneration zone with movable bed
KR101645833B1 (ko) 독립적 순환 루프를 갖는 복수의 연소 구역
JPS5837019B2 (ja) ジユウリヨクリユウノシヨクバイリユウシノサイセイホウ
US7045477B2 (en) Process for continuously regenerating catalyst particles
KR101652601B1 (ko) 촉매 재생 장치
KR101617112B1 (ko) 경질 파라핀 탈수소화 공정을 위한 촉매로부터 코크 소각의 향상된 견실성
KR100858772B1 (ko) 반응 및 재생 시스템
KR101652598B1 (ko) 촉매 재생 장치
KR101652600B1 (ko) 촉매 재생 장치
KR101652605B1 (ko) 촉매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652599B1 (ko) 촉매 재생 방법
KR102124338B1 (ko) 촉매 재생 장치 및 방법
RU2700049C2 (ru) Способ адсорбции хлорида водорода из выходящего газа регенерации
RU256441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катализатора
CN115870016B (zh) 一种降低低碳烷烃脱氢反应催化剂中硫含量的方法
CN104841494A (zh) 固定床反应器中结构化催化剂定点再生方法
RU2698876C2 (ru) Способ адсорбции хлорида водорода из выходящего газа регенерации
KR101932328B1 (ko) 탈수소 반응 촉매재생장치
RU2574385C1 (ru) Ряд зон выжигания катализатора с независимыми контурами циркуляции
US9868118B2 (en) Process for regenerating catalyst particles
KR20160077337A (ko) 탈수소화 반응기
RU144685U1 (ru) Реактор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закоксованного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катализатора
FI59117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generering av en reformingkatalysator
US20150202583A1 (en) Apparatus to reduce catalyst fluidization in regeneration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