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58906B1 -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06B1
KR101658906B1 KR1020140043620A KR20140043620A KR101658906B1 KR 101658906 B1 KR101658906 B1 KR 101658906B1 KR 1020140043620 A KR1020140043620 A KR 1020140043620A KR 20140043620 A KR20140043620 A KR 20140043620A KR 101658906 B1 KR101658906 B1 KR 10165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ransportation
stop
transportation means
map
arriv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50A (ko
Inventor
한상택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14004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과 이동 가능 지역 내에 위치한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한 운행 정보를 지도 상에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 AND OPERATION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지역을 검출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과 이동 가능 지역 내에 위치한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한 운행 정보를 지도 상에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도시는 물론 지역 대도시를 중심으로 관할 지역의 대중교통 수단, 특히, 버스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 정보 안내 시스템은, 임의의 정류장을 경유하여 운행되는 버스의 위치를 버스 정보 센터에서 실시간 수집하여 정류장 도착 예상 시간, 노선 별 현재 위치 등과 같은 교통정보로 가공하고, 가공된 교통정보를 각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 정보 안내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로 제공하여 운행 노선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버스 이용자는 정류장에 설치된 상기 버스 정보 안내기를 통하여 버스의 도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대중교통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은,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운행 노선 등의 정보가 지도와 연동되어 제공되지 않고, 단순히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의 수준이 노선 내의 정류장 정보, 도착 대기 시간 등의 단순한 수준에 그치며, 사용자의 관심과는 관계없이 일방적인 정보 제공만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를 기초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임의의 목적지까지의 운행되는 최적의 대중교통 수단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그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KR 10-2013-001039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지역을 검출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과 이동 가능 지역 내에 위치한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한 운행 정보를 지도 상에 보다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제공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운행 정보 제공 장치는,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제어부 ―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지도 및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 정류장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한 지역을 지도 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동 가능 지역 중 일 지점을 목적지를 선택하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다양한 운행 정보를 지도 상에 일괄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입력 등에 반응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최적의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와 상호 연동하는 양방향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first)", "제 2(second)"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하나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수량 또는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하나의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 에 대한 참조는 오직 두 개의 엘리먼트들이 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일정한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server)는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주기 또는 비주기로,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 특히,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 정류장 및/또는 도착 정류장을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운행 정보는,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예를 들어, 노선 번호 등), 운행 노선, 각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노선에 관한 정보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을 구성하는 정류장에 관한 상세 정보(예를 들어, 정류장 ID, 정류장 명, 정류장의 위치 정보 등), 각 정류장 사이 거리 정보, 각 정류장 사이의 정확한 경로를 나타내는 지점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운행 정보에 따라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동 가능 지역 중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와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도착 정류장을 설정하고,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대중교통 수단이 경유하는 임의의 정류장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정류장에서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 대기 승객 등에게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특히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서 구현되어, 사용자가 정류장 근처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임의의 장소에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 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는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주기 또는 비주기로 임의의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운행 정보의 요청이 있을 시, 해당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운행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요청한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정류장 설정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입력부(150) 및 메모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와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정류장 설정부(120)를 통해 설정된 출발 정류장 및/또는 도착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에게 주기 또는 비주기로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등 다양한 통신기술을 통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와 유,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정류장 설정부(120)는 출발 정류장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착 정류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설정부(120)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임의의 정류장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상기 정류장을 디폴트로 출발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직접 정류장 명 또는 정류장 ID를 직접 입력하거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정류장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선택된 정류장을 출발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와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정류장을 추출하고, 이를 도착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발 정류장 및/또는 도착 정류장이 설정되면, 이를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또한 획득된 운행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30)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프로세서 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운행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지역을 검출하여 표시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각각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에서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을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운행 노선을 편집하고, 편집된 운행 노선을 통합하여, 통합된 운행 노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도 상의 영역을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이동 가능 지역은, 표시부(140)를 통해, 소정의 축척을 가진 지도 상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하여,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운행 정보에 포함된 운행 노선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하고,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140)를 통해, 지도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다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지도 상에 검출된 이동 가능 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가능 지역은, 예를 들어, 그 경계선이 소정의 굵기 및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되거나, 이동 가능 지역 자체가 소정의 투명도를 가진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등을 지도 상에 표시하거나,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전환 또는 팝업된 다른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당해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입력 장치가 구비된 터치 입력 방식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적용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출발 정류장 및/또는 목적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정류장 설정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입력 방식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입력부(150)는 표시부(1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출발 정류장 또는 목적지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표시부(140)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touch)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50)는, 키(key) 입력버튼 등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운행 정보 및, 예를 들어, 도로, 건물 등의 위치(위도 및 경도), 주소, 명칭 등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16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또는 통신부(110)에 의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을 통해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환승없이 대중교통 수단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S310 단계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S311 단계 및 S312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S311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에서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 중 서로 상이한 식별 표지를 가지는 각각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에서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반대 방향의 정류장을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운행 노선이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대중교통 수단의 진행 방향(예를 들어, 상행 또는 하행)에 부합하는 정류장만을 포함하도록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편집된 각각의 운행 노선에는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각 대중교통 수단의 진행 방향으로 종점까지의 정류장만이 포함되게 된다.
S312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이 제거된 운행 노선을 통합하고, 통합된 운행 노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도 상의 영역을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는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범위, 건물 또는 인구 밀집도 등에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한 면적을 가지는 소정의 형상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지도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통합된 운행 노선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을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할 수 있다.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이 검출되면, S320 단계에서,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지도 상에 검출된 이동 가능 지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가능 지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경계선이 소정의 굵기 및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되거나, 이동 가능 지역 자체가 소정의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를 정류장 설정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는 지도 상에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된 영역의 일 지점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가능 지역 내에 위치한 목적지 명(예를 들어, 지명, 주소, 건물명 등)을 입력부(150)를 통해 직접 입력하거나, 지도 상의 이동 가능 지역으로 표시된 영역 중 일부를 손가락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목적지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지의 선택 시, 사용자는 지도가 표시된 화면, 특히, 이동 가능 지역이 포함된 영역을 소정의 방식으로 터치함으로써, 지도의 축척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목적지를 지도 상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S340 단계에서,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도착 정류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장 설정부(120)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에 포함된 정류장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와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정류장을 모두 추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와 가까운 거리 순으로 소정의 개수의 정류장을 추출하여, 도착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착 정류장이 설정되면, S35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30)는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에 포함된 운행 노선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모두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할 수 있다.
S360 단계에서, 표시부(140)는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운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출발 정류장과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지도 상에 표시하거나,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에서 전환 또는 팝업된 다른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은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획득되거나,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운행 정보에 포함된 정류장의 위치 또는 정류장 사이의 거리 정보, 임의의 지역에서의 대중교통 수단의 평균 속력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표시 전에, 통신부(110)를 통해,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에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중 적어도 일부(특히, 도착 대기 시간 및 현재 위치)를 새로 요청함으로써, 갱신된 운행 정보가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의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및 현재 위치는, 표시부(140)로의 최초 표시 이후, 기 설정된 주기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획득됨으로써, 상기 설정 주기로 갱신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는,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상기 도착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대중교통 수단에 대해서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의 동작 방법(300)은, 출발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및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류장 설정부(120)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임의의 정류장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상기 정류장을 디폴트로 출발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발 정류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류장 명 또는 정류장 ID를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출발지를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 내의 정류장이 지도 상에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활성화된 정류장 중 하나를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면, 정류장 설정부(120)는 선택된 정류장을 출발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출발 정류장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로 구현된 경우, GPS 등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의 위치 감지 모듈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의 정류장이 지도 상에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활성화된 정류장 중 하나를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면, 정류장 설정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류장을 출발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통신부(110)는 출발 정류장 및/또는 도착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운행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각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행 정보 중 적어도 일부, 특히,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등의 정보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에 반복 요청 및 수신됨으로써,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운행 정보는 사용자의 별도의 갱신 요청 입력이 있을 시,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200)에 요청 및 수신됨으로써, 비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운행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5a를 참조하면,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된 출발 정류장(510)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520)이 지도 상에 소정의 굵기의 경계선 및 소정의 색상으로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된다. 이때, 이동 가능 지역(520)이 최초 표시되는 지도의 축척은 기 설정된 디폴트 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지도는 위도 및 경도 범위, 건물 또는 인구 밀집도 등에 따라 동일 또는 상이한 면적을 가지는 소정의 형상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따라서, 이동 가능 지역(520)은,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영역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530)가 선택되면, 이를 기초로 1이상의 도착 정류장(540)을 설정하고, 출발 정류장(510)과 도착 정류장(540)을 모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하여, 출발 정류장(510)으로부터 도착 정류장(540)까지의 운행 노선(550), 식별 표지(560), 출발 정류장(510)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570) 등이 지도 상에 표시된다. 이때, 지도 상에 표시되는 운행 노선(550), 식별 표지(560), 도착 대기 시간(570) 등은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상이한 식별 표지(560)를 가지는 대중교통 수단 각각에 대하여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운행 정보 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대중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또는 출발 정류장(510)으로부터 도착 정류장(540)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이 지도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되거나, 지도 화면으로부터 전환되거나, 팝업된 다른 화면에 개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목적지(530) 입력을 위해 소정의 터치 동작을 통해 지도 상에 표시된 이동 가능 지역(520)을 확대 표시할 수 있으며, 이후 확대된 이동 가능 지역 상의 일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지점을 목적지(530)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100)는, 출발 정류장(510)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 지역(520)을 지도 상에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동 가능 지역(520) 중 일 지점을 목적지(530)를 선택하면 목적지(530)까지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다양한 운행 정보를 지도 상에 일괄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드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정류장 설정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입력부
160: 메모리부 200: 대중교통 정보 제공 서버
510: 출발 정류장 520: 이동 가능 지역
530: 목적지 540: 도착 정류장
550: 운행 노선 560: 식별 표지
570: 도착 대기 시간

Claims (17)

  1.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지도 및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블록화하여 상기 지도 상에 소정의 방식으로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 중 상이한 식별 표지를 가지는 각각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에서 상기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이 제거된 운행 노선을 통합하고, 상기 통합된 운행 노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도 상의 소정의 영역을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통합된 운행 노선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을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운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와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도착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중교통 수단 중 상기 출발 정류장과 상기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상기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도 상의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표시된 영역 중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touch)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도착 대기 시간 및 현재 위치는, 기 설정된 주기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대중교통 수단은,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상기 도착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대중교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방법.
  9.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출발 정류장을 경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이동 가능 지역을 검출하는 제어부 ―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대중교통 수단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 및
    지도 및 상기 이동 가능 지역을 블록화하여 상기 지도 상에 소정의 방식으로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 중 상이한 식별 표지를 가지는 각각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노선에서 상기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을 제거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 이전의 정류장이 제거된 운행 노선을 통합하여, 상기 통합된 운행 노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도 상의 소정의 영역을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통합된 운행 노선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영역을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가 입력되면, 상기 운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목적지와의 거리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도착 정류장을 설정하는 정류장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중교통 수단 중 상기 출발 정류장과 상기 도착 정류장을 동시에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을 추출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표지, 운행 노선, 상기 출발 정류장으로의 도착 대기 시간, 현재 위치, 상기 도착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입력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도 상의 상기 이동 가능 지역으로 표시된 영역 중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touch)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도착 대기 시간 및 현재 위치는, 기 설정된 주기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대중교통 수단은, 상기 추출된 대중교통 수단 중 상기 도착 대기 시간이 가장 짧은 대중교통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
KR1020140043620A 2014-04-11 2014-04-11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ctive KR10165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20A KR101658906B1 (ko) 2014-04-11 2014-04-11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20A KR101658906B1 (ko) 2014-04-11 2014-04-11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50A KR20150118250A (ko) 2015-10-22
KR101658906B1 true KR101658906B1 (ko) 2016-09-23

Family

ID=5442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20A Active KR101658906B1 (ko) 2014-04-11 2014-04-11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117B1 (ko) * 2019-05-21 2022-07-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중교통 안내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443A (ja) 2005-04-05 2006-10-26 Navitime Japan Co Ltd バス運行状況表示システム、バス運行状況表示装置およびバス運行状況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83A (ko) * 2000-12-15 2002-06-21 전민우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
KR20130010394A (ko)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네비웨이 버스정보 안내시스템
KR101255029B1 (ko) * 2011-07-26 2013-04-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34800B1 (ko) * 2011-11-17 2019-01-03 네이버 주식회사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3443A (ja) 2005-04-05 2006-10-26 Navitime Japan Co Ltd バス運行状況表示システム、バス運行状況表示装置およびバス運行状況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50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8077B2 (en) Transit navigation
US9151627B2 (en) Navigation directions between automatically determined starting points and selected destinations
KR102309523B1 (ko) 공통적으로 카테고리화된 엔터티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302442B2 (en) Transit incident reporting
US20210335128A1 (en) Traffic Notifications During Navigation
US9189959B2 (en) Navigation system providing a super detail mode of operation to assist user's driving
US9891065B2 (en) Transit incidents
US9706518B2 (en) Location based application feature notification
US10101892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interactive settings and dependency adjustments
JP2014132227A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8906B1 (ko)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87712B2 (ja) 目的地転送システム、目的地転送方法、及び目的地転送プログラム
US20190316916A1 (en) Computer assisted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multi-gps based navigational assistance services
JP6550796B2 (ja) 情報案内システム
JP764007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8187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JP7575416B2 (ja) 地図画像表示装置
KR102104432B1 (ko) 네비게이션의 경로 설정 방법
JP6379647B2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185258A (ja) 経路探索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