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827B1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827B1 KR101658827B1 KR1020160021627A KR20160021627A KR101658827B1 KR 101658827 B1 KR101658827 B1 KR 101658827B1 KR 1020160021627 A KR1020160021627 A KR 1020160021627A KR 20160021627 A KR20160021627 A KR 20160021627A KR 101658827 B1 KR101658827 B1 KR 101658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lf
- unit
- driving
- weight
- h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105 trans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6 hydr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 E05Y2800/11—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그러므로, 정전시나 긴급시에는 다른 조작이 필요없이 자중강하전환레버만을 작동시키면 수문의 자체중량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문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자중강하부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주요구성부와 동력전달 관계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주요구성부인 전동부, 전치감속부, 자중강하부, 자동변환부 및 수동구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전동부 및 전치감속부를 나타내는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자중강하부를 나타내는 절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중 자중강하부의 결합상태(OFF)를 보인 일부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중 자중강하부의 해제상태(ON)를 보인 일부 절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중 자동변환부 및 수동구동부를 나타내는 절개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중 (a)는 자중강하부측에 본 자동변환부 사시도, (b)는 수동구동부측에서 본 자동변환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중 주감속부 및 이중스핀들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전동구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자중강하구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의 수동구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120 : 제1승강장치부 130 : 제2승강장치부
140 : 커플링 150 : 개도계(開度計)
160 : 연결축 170 : 수문제어부
180 : 조작대 190 : 브라켓
200 : 전동부 201 : 전동기
202 : 전동축 203 : 전동기결합구
300 : 전치감속부 301 : 웜치차1
302 : 웜휠1 303 : 구동축
305 : 직교1축 306 : 전치감속부결합구1
307 : 직교축결합구 308 : 전치감속부결합구2
400 : 자중강하부 401 : 구동축베어링
410 : 구동축연결구 411 : 자중강하결합구1
415 : 직교2축 420 : 클러치케이싱
430 : 다판클러치 431 : 디스크
432 : 마찰판 433 : 코일스프링
435 : 클러치압축판 440 : 자중강하전환장치
441 : 자중강하전환레버 442 : 자중강하탈착구1
443 : 자중강하전환레버리미트 450 : 자중강하탈착구2
455 : 자중강하결합구2
460 : 스플라인 461 : 스플라인베어링
470 : 클러치케이싱결합구 471 : 결합넛트
480 : 자중강하전환장치하우징
500 : 자동변환부 501 : 회동림
502 : 직교3축 503 : 자동변환부케이싱
504 : 회동림연결구 505 : 마찰패드
506 : 기계제동축 507 : 코일스프링2
508 : 기계제동압하판 509 : 기계제동부
510 : 인입허브 511 : 베벨치차1
520 : 출력허브 521 : 베벨치차2
530 : 중앙허브 540 : 동조허브1
541 : 베벨치차4 550 : 동조허브2
551 : 베벨치차5 560 : 회동1축
570 : 회동2축 600 : 수동구동부
601 : 수동구동축 602 : 웜치차2
603 : 웜휠2 605 : 수동연결구
606 : 수동핸들 607 : 손잡이
610 : 동력전달부 611 : 체인스프로켓
612 : 체인스프로켓 700 : 주감속부
710 : 제2축 711 : 제2피니언
712 : 제2감속기어 720 : 제3축
721 : 제3피니언 722 : 제3감속기어
800 : 이중스핀들부 801 : 동조(同調)치차1
802 : 동조치차2 803 : 스핀들기어1
804 : 스핀들기어2 810 : 동조(同調)1축
820 : 동조2축 830 : 스핀들
831 : 스핀들커버
Claims (6)
- 수문본체(110)에 연결되어서 수문본체(11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구현하는 자중강하부(400);
자중강하부(400) 일단에 연결되어서 수문본체(110)가 전동구동 또는 수동구동시에 승강속도를 감속시키는 전치감속부(300);
전치감속부(300)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전치감속부(30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정전시 전치감속부(300)에 제동력을 해제시키는 전동부(200);
자중강하부(400)와 주감속부(700)에 연결되어서 전동 또는 수동구동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자동변환부(500);
자동변환부(500)에 연결되어서, 전동부(200)의 전원이 차단되면 주감속부(7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수동구동부(600);
자동변환부(500)에 연결되고 수문본체(110)가 전동구동 또는 수동구동 또는 자중강하구동시에 수문본체(110)의 승강을 감속시키는 주감속부(700);
주감속부(700)와 수문본체(110)에 연결되고 주감속부(700)의 구동력에 의해 수문본체(110)가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이중스핀들부(80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전동구동시, 전동부(200)의 구동력이 전치감속부(300)에 의해 1차 감속되고, 주감속부(700)에 의해 2차 감속된 후 수문본체(110)에 전달되고;
자중강하시, 전치감속부(300) 및 전동부(200)를 자중강하부(400) 후단과 분리되도록 자중강하부(400)를 배설하여, 주감속부(700)만 수문본체(110)의 자중강하를 구현하도록 구비되며;
자동변환부(500)는,
자동변환부케이싱(503) 내부에 배설되고, 직교2축(415)을 결합한 입력측 인입허브(510) 원둘레측에 베벨치차1(511)이 배설되며, 직교3축(502)의 일단에 인입허브(510)와 마주보는 출력허브(520)에 직교3축(502)을 결합하고 그 원둘레측에는 베벨치차2(521)를 배설되고, 회동림(501) 내측에 배치한 동조허브1(540) 및 동조허브2(550)와 중앙허브(530) 사이에는 회동1축(560)과 회동2축(570)으로 각각 축이음하여 동조허브1(540)에 원추형 베벨치차4(541)와 동조허브2(550)에 원추형 베벨치차5(551)를 마주보게 배설하고, 베벨치차1(511) 및 베벨치차2(521)와 이중으로 치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전자브레이크를 내설한 전동부(200);
전동부(200)에 축이음한 구동축(303)에 윔치차1(301) 및 이와 직교하는 직교1축(305)의 원둘레에 웜휠1(302)을 각각 외설하여 치합시켜서, 1/40 내지 1/80 감속비로 감속하도록 구성한 전치감속부(300);
직교1축(305)과 축방향으로 배치한 직교2축(415)의 외주면에 형성한 다판클러치(430)의 디스크(431)를 코일스프링(433)의 탄성력으로 마찰판(432)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자중강하전환장치(440)를 구성하고, 직교2축(415)을 스플라인(460) 상에서 직교1축(305)과 단속(斷續)시켜서 수문본체(110)를 자중으로 강하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자중강하부(400);
자중강하부(400)의 타단에 연결되고, 직교2축(415)을 결합한 인입허브(510)와 직교3축(502)을 결합한 출력허브(520)에 베벨치차(511,521)를 치합·배설하고, 회동림(501) 내측과 중앙허브(530) 외측을 연결하는 회동축(560,570)에 원추형 베벨치차(541,551)를 배설하여 각각 이중으로 치합시켜서 전동 또는 수동구동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는 자동변환부(500);
자동변환부(500) 내부에 직교3축(502)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수동구동축(601)에 웜치차2(602)가 외설되고, 출력허브(520)와 수동결합구(605)로 웜휠2(603)를 결합하여 웜치차2(602)와 치합시켜서, 전동부(200)에 전원이 차단되면 수동핸들(606)로 자동변환부(500) 회전시켜서 주감속부(700), 이중스핀들부(800), 스핀들(830) 및 수문본체(110)를 수동력으로 승강시키는 수동구동부(600);
자동변환부(500)의 직교3축(502)과 이중스핀들부(800) 사이에 배치되며, 2단의 치차감속장치로 이루어진 주감속부(700);
수직봉의 원주면(圓周面)에 치차를 형성한 스핀들(830)이 구비되고, 스핀들(83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스핀들기어(803,804)로 스핀들(830)과 이중 치합시켜서 수문본체(110)를 승강시키며, 스핀들(830)에 압하력을 발생시키고 수문본체(110)에 의해 스핀들(830)에 작용하는 상하진동을 억제시키는 이중스핀들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동·수동 자동변환을 구현하여 전동 및 수동구동으로 개폐시키고, 주감속부(700)를 자중강하구동 또는 수동구동으로 수문본체(110)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치감속부(300)는,
전동부(200)와 자중강하부(400) 사이에 직교되게 배치되며, 일단은 전동부(200)의 전동축(202)과 축이음으로 연결된 구동축(303)에 전동력을 입력시키고,
다른 일단은 직교1축(305)의 원주면에 웜휠1(302)을 배치하여 구동축(303)의 원주면에 외설한 웜치차1(301)과 치합시키도록 구성하며, 전동부(200)의 구동력을 웜치차1(301)과 웜휠1(302)에서 1/40 내지 1/80의 감속비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청구항 2에 있어서, 자동변환부(500)는,
자동변환부케이싱(503) 내부에 배설되고, 직교2축(415)을 결합한 입력측 인입허브(510) 원둘레측에 베벨치차1(511)이 배설되며, 직교3축(502)의 일단에 인입허브(510)와 마주보는 출력허브(520)에 직교3축(502)을 결합하고 그 원둘레측에는 베벨치차2(521)를 배설되고, 회동림(501) 내측에 배치한 동조허브1(540) 및 동조허브2(550)와 중앙허브(530) 사이에는 회동1축(560)과 회동2축(570)으로 각각 축이음하여 동조허브1(540)에 원추형 베벨치차4(541)와 동조허브2(550)에 원추형 베벨치차5(551)를 마주보게 배설하고, 베벨치차1(511) 및 베벨치차2(521)와 이중으로 치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자동변환부(500)는,
회동림(501)의 원주측에 기계제동압하판(508)과 마찰패드(505)를 구성하여 회동림(501)의 과속을 제어하여 할 수 있는 기계제동장치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동구동부(600)는,
직교3축(502)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 수동구동축(601)에는 웜치차2(602)가 외설되어, 출력허브(520)와 수동결합구(605)로 웜휠2(603)가 결합되며, 웜치차2(602)와 치합하도록 배설되고,
전동구동시에는 웜휠2(603)가 윔치차2(602)의 회전을 제동시키고, 수동구동시에는 수동핸들(606)로 수동구동축(601)을 회전시켜서, 웜치차2(602)와 웜휠2(603) 및 직교3축(502)이 구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627A KR101658827B1 (ko) | 2016-02-24 | 2016-02-24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1627A KR101658827B1 (ko) | 2016-02-24 | 2016-02-24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8827B1 true KR101658827B1 (ko) | 2016-09-22 |
Family
ID=5710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1627A Active KR101658827B1 (ko) | 2016-02-24 | 2016-02-24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82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0068B1 (ko) | 2018-04-11 | 2018-09-18 | 주식회사 트리플리 | 비상 작동 기능을 지닌 전동장치 |
IT202200016104A1 (it) * | 2022-07-29 | 2024-01-29 | Consorzio Di Bonifica Dellemilia Centrale | Paratoia di un sistema idrico |
KR102726755B1 (ko) * | 2024-05-17 | 2024-11-06 | 주식회사 한영산업 | 기후대응형 수문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281B1 (ko) * | 2008-03-24 | 2008-09-11 | 김상국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KR100975954B1 (ko) * | 2009-11-10 | 2010-08-13 | 주식회사 광희 | 수문용 권양장치 |
-
2016
- 2016-02-24 KR KR1020160021627A patent/KR10165882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281B1 (ko) * | 2008-03-24 | 2008-09-11 | 김상국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KR100975954B1 (ko) * | 2009-11-10 | 2010-08-13 | 주식회사 광희 | 수문용 권양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0068B1 (ko) | 2018-04-11 | 2018-09-18 | 주식회사 트리플리 | 비상 작동 기능을 지닌 전동장치 |
IT202200016104A1 (it) * | 2022-07-29 | 2024-01-29 | Consorzio Di Bonifica Dellemilia Centrale | Paratoia di un sistema idrico |
KR102726755B1 (ko) * | 2024-05-17 | 2024-11-06 | 주식회사 한영산업 | 기후대응형 수문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8281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2002795B1 (ko) | 수문 권양장치 | |
KR101658827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1046715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1893760B1 (ko) | 수문용 권양기 | |
KR101646763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1945995B1 (ko) | 드럼 권양기용 안전장치 | |
CN104948670B (zh) | 一种具有自锁功能的双输入转换装置 | |
KR100647425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JP2003139267A (ja) | 負荷体駆動装置 | |
JP3165760U (ja) | 水門開閉装置 | |
KR100303267B1 (ko) | 수문용 권양장치 | |
JP5851278B2 (ja) | 緊急遮断ゲート装置 | |
JPH07224417A (ja) | 水門扉開閉装置 | |
KR100982528B1 (ko) |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 |
JP3668943B2 (ja) | 水門開閉装置の操作制御システム | |
KR200310496Y1 (ko) | 수문용 권양장치 | |
JP2014109168A (ja) | 水門開閉装置 | |
JP2015129389A (ja) | 水門設備の作動連動装置 | |
KR200380457Y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0454158B1 (ko)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 |
EP0064080A1 (en) | SAFETY MECHANISM FOR LIFTING DRUMS. | |
JPH0513775Y2 (ko) | ||
KR200386255Y1 (ko) | 수문권양기 | |
KR102741159B1 (ko) | 하이브리드식 전동/수동 전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