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657B1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7657B1 KR101657657B1 KR1020150104743A KR20150104743A KR101657657B1 KR 101657657 B1 KR101657657 B1 KR 101657657B1 KR 1020150104743 A KR1020150104743 A KR 1020150104743A KR 20150104743 A KR20150104743 A KR 20150104743A KR 101657657 B1 KR101657657 B1 KR 1016576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module
- communication module
- terminal
- prof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 H04W4/008—
-
- H04W76/02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1통신모듈과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갖는 제2통신모듈; 및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두절없이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통신 두절(Link Loss)이 발생했을 때 다른 통신 모듈과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행 중이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 발생 시 듀얼 통신 모듈 간의 역할을 전환함으로써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두절없이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통신 두절(Link Loss)이 발생했을 때 다른 통신 모듈과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행 중이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 발생 시 듀얼 통신 모듈 간의 역할을 전환함으로써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차량은 부가적인 기능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기능의 동작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차량은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이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은 유선 및 무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갖는다.
이러한 차량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길을 안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차량의 단말기와의 미러링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기능을 차량 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 통화 기능이 차량 내부에서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거나 외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차량에서 직접 수행한다.
일 측면은 두 개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갖는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1통신모듈과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갖는 제2통신모듈; 및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그룹의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을 포함하고, 제2그룹의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의 폰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의 저장을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는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단말기 및 제1통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되, 제1통신 모듈과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제1통신 모듈은 단말기와 페어링이 시도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제2통신모듈은, 제1통신모듈과 단말기와 통신 시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마스터 모듈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통신모듈은,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제1통신 모듈에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은, 마스터 모듈로 전환되면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은,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갖는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이 마련되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이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의 재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에 페어링 명령을 전송하고,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단말기의 통화 기능 및 오디오 기능 수행 시 통화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 시 기본 프로파일을 제외한 프로파일의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차량은 단말기의 오디오 기능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갖는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고,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을 설정하는 것은, 단말기와의 페어링 시도 명령이 수신되면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을 설정하는 것은,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미리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두절없이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통신 두절(Link Loss)이 발생했을 때 다른 통신 모듈과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행 중이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 발생 시 듀얼 통신 모듈 간의 역할을 전환함으로써 단말기와의 연결 실패 및 연결 해제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안정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통신 모듈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단말기와의 통신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와 단말기의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폰북을 재 제공 시, 자동으로 폰북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와 단말기의 폰북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폰북 재 제공 시, 수동으로 폰북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와 단말기의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폰북을 재 제공 시, 자동으로 폰북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통신부와 단말기의 폰북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폰북 재 제공 시, 수동으로 폰북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 위를 주행한다. 이러한 차량(1)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 글래스(117)는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6)을 갖는다.
센터 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페시아(125)에는 사용자의 단말기(2)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127)는 헤드유닛(126) 또는 차량용 단말기(130)와 사용자의 단말기(2)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용 단말기(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단말기(130) 및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2),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2)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한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음성 입력을 위한 사운드 입력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8)는 헤드 유닛(126) 및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28)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헤드 유닛(126) 내의 제어부 또는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을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부(128)는 내비게이션 기능 선택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입력부(128)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버튼 형상으로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28)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28)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에 터치된 터치 신호를 차량용 단말기(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130)는 외부에서 수신된 컨텐츠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130)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제공된 영상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과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전후좌우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1)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캔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적어도 두 개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제1통신 모듈 및 제2통신 모듈로 기재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되 서로 동일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2)와의 통신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동일한 통신 방식을 갖는 두 개의 블루투스 모듈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으로 단말기(2)와 통신할 수 있고, 하나의 통신 모듈과 통신이 두절된 상태에서도 다른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와의 통신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의 제어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로,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하기 위한 차량은 제1입력부(128), 제1사운드입력부(129), 제1제어부(141), 제1저장부(142), 증폭부(143), 제1표시부(144), 스피커(145) 및 제1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 마련된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차량에 마련된 각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고, 사용자용 단말기의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한다.
제1입력부(128)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명령을 제1제어부(141)에 전송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입력부(128)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통신 연결 및 통신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128)는 사용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여 통화 기능 수행 시, 통화 연결 및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128)는 사용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여 음악 재생 시, 음악 재생, 정지,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28)는 사용자용 단말기(2)로부터 폰북 정보의 다운로드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28)는 제1표시부(144))와 스피커(145) 등의 출력 장치의 출력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력 정보는 스피커의 볼륨 레벨 및 제1표시부(144)의 밝기, 제1표시부(144)의 표시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방식은, 문자의 크기, 색상, 화면 분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운드입력부(129)는 차량 내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1제어부(141)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1사운드 입력부(129)는 마이크로 폰 또는 마이크로 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41)는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의 페어링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의 페어링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41)는 단말기와의 페어링 시도 명령을 제1통신모듈(150a)과 제2통신모듈(150b)에 전송하고, 두 통신 모듈의 페어링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두 통신 모듈 중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한다.
제1제어부(141)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을 전송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을 전송한다.
제1제어부(141)는 입출력 기능 및 제1통신부(150)의 정보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화 정보, 오디오 정보, 동작 명령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통화 정보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통화시간 및 통화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오디오 정보는 파일 명, 파일 크기, 재생을 위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41)는 통화 연결 시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음성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1사운드 입력부(129)에서 전송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음성 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41)는 통화 연결 시 수신된 수신 신호에서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 번호 또는 확인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름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41)는 음악 재생 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제1 입력부(128)에 입력된 동작 명령의 전송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41)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듈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슬레이브 모듈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며, 변경된 마스터 모듈의 통신 모듈과 단말기(2)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이때 제1 제어부(141)는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을 전송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을 전송한다.
제2제어부(141)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서 전송한 폰북 정보 및 그 외 텍스트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의 저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제2저장부(142)는 페어링된 단말기(2)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142)는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기초하여 마스터 모듈의 통신모듈에서 전송된 폰북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폰북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름과, 적어도 하나의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제2저장부(142)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변경되면 저장된 폰북 정보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저장부(142)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변경되면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된 폰북 정보를 다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저장부(142)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와,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증폭부(143)는 필터링된 음성 신호 및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 등의 사운드 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145)로 전송한다.
제1표시부(144)는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제1표시부(144)는 단말기(2)와의 페어링 정보를 표시하고, 단말기(2)와의 통신 유무 정보를 표시한다.
제1표시부(144)는 음악 재생 시 음악 재생 정보를 표시하며, 통화 연결 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이름, 전화번호 및 통화 시간 등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표시부(144)는 정보 송수신 시 송수신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4)는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4)는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4)는 차량에 마련된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일 수 있고, 또는 차량용 단말기의 표시부일 수 있다.
이때 제1표시부(144)는 목적지 입력을 위한 한/영 문자 버튼, 숫자 버튼, 특수 문자 버튼 등을 표시하고, 경로 안내 명령을 위한 경로 안내 버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145)는 증폭부(143)에서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하여 공기 중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피커(145)는 통화 연결 음 및 통화 음성을 사운드로 출력한다.
스피커(145)는 메인 제어부(141)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스피커(145)는 내비게이션 정보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스피커(145)는 내비게이션 기능 시 경로 및 주행 정보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고, 컨텐츠나 외부 방송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라디오 등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통신부(150)은 제1제어부(141) 및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과 단말기(2) 사이에서 정보가 교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 통신부(150)는 제1통신모듈(150a)과, 제1통신모듈(150a)과 동일한 통신 방식을 갖는 제2통신모듈(150b)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부(150)의 제1통신모듈(150a)은 제1마이컴(151)과 제1송수신부(152)를 포함하고, 제2통신모듈(150b)은 제2마이컴(153)과 제2송수신부(154)를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150a)과 제2통신모듈(150b)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 핸즈프리 장치와 통신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간에 기본적이 접근 필요 요건을 기술한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재생, 일시 정지, 볼륨 조절, 이전곡/다음곡 등의 곡 선택 등의 동작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과,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Advance Audio Distribution Profile)과, 텍스트 및 영상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파일 프로파일(FTP: File Transfer Profile)과, 전화번호부에 접근하고 통화 연결 시 발신자 및 수신자의 이름을 안내하기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를 각각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150a)의 제1마이컴(151)은 제1제어부(141)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마이컴(151)은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2)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단말기(2)와의 페어링이 성적으로 완료되면 단말기(2)와 제1제어부(141)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41)의 명령은, 단말기와의 페어링 명령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41)는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위해 프로파일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거나, 통신 모듈별 모듈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마이컴(151)은 제1제어부(141)로부터 페어링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페어링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페어링 명령이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이면 단말기(2)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확인된 페어링 명령이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이면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1마이컴(151)은 제1제어부(141)로부터 마스터 모듈의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2)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1제어부(141)로부터 슬레이브 모듈의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1마이컴(151)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경우 또는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제1제어부(141)와 단말기(2) 사이의 정보 송수신에 대한 제어권을 갖는다.
제1마이컴(151)은 제어권을 갖은 경우 블루투스 통신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권을 갖지 못한 경우 통화 연결 기능과 오디오 제어 기능에 대한 제어만을 수행한다.
제1마이컴(151)은 슬레이브 모듈에서 마스터 모듈로 전환 시 기본 프로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파일의 페어링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송수신부(152)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제1마이컴(151)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제1송수신부(151)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한 정보를 제1마이컴(151)에 전송하고, 제1마이컴(151)에서 전송한 정보를 단말기(2)에 전송한다.
제2통신모듈(150b)의 제2마이컴(153)은 제1제어부(141)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3)은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2)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단말기(2)와의 페어링이 성적으로 완료되면 단말기(2)와 제1제어부(141)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41)의 명령은, 단말기와의 페어링 명령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41)는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위해 프로파일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거나, 통신 모듈별 모듈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마이컴(153)은 제1제어부(141)로부터 페어링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페어링 명령을 확인하고, 확인된 페어링 명령이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이면 단말기(2)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확인된 페어링 명령이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 명령이면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2마이컴(153)은 제1제어부(141)로부터 마스터 모듈의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2)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1제어부(141)로부터 슬레이브 모듈의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2)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경우 또는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경우, 제1제어부(141)와 단말기(2) 사이의 정보 송수신에 대한 제어권을 갖는다.
제2마이컴(152)은 제어권을 갖은 경우 블루투스 통신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권을 갖지 못한 경우 통화 연결 기능과 오디오 제어 기능에 대한 제어만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3)은 슬레이브 모듈에서 마스터 모듈로 전환 시 기본 프로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파일의 페어링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송수신부(154)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제2마이컴(153)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제2송수신부(154)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한 정보를 제2마이컴(153)에 전송하고, 제2마이컴(153)에서 전송한 정보를 단말기(2)에 전송한다.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면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다.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은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대응하여 단말기(2)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은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대응하여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그룹의 프로파일은 제1, 2통신 모듈에서 지원하는 모든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그룹이고, 제2그룹의 프로파일은 제1, 2 통신 모듈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그룹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2통신 모듈의 제1그룹은 핸즈프리 장치와 통신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하기 위한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간에 기본적이 접근 필요 요건을 기술한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재생, 일시 정지, 볼륨 조절, 이전곡/다음곡 등의 곡 선택 등의 동작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을 포함하고,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하기 위한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Advance Audio Distribution Profile)과, 상대 기기의 파일 시스템을 액세스하여 폴더, 파일의 검색, 생성, 수정 및 삭제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파일 프로파일(FTP: File Transfer Profile)과, 전화번호부에 접근하고 발신자 이름을 안내하기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를 더 포함한다.
제1, 2 통신 모듈의 제2그룹은 핸즈프리 장치와 통신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하기 위한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간에 기본적이 접근 필요 요건을 기술한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재생, 일시 정지, 볼륨 조절, 이전곡/다음곡 등의 곡 선택 등의 동작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하는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을 포함한다.
즉 제1통신 모듈(150a)과 제2통신 모듈(150b)은 GAP, HFP, AVRCP를 기본 프로파일로 한다.
여기서 기본적인 접근 요건은 불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의 주소, 클록, 종류 등을 알아내는 일반 절차와 링크 관리, 보안 절차 등을 포함한다.
즉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통신 불가능할 때 제1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서로의 기능을 전환한다.
즉, 제1통신부는 제1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제2통신 모듈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상태에서 제1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두절되면 제1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고 제2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한다.
이때 제1통신 모듈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2통신 모듈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은 단말기와의 통신에서 제어권을 갖고, 마스터 모듈의 통신 모듈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듈이 단말기와의 통신에서 제어권을 갖는다.
제1통신부(15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은 단말기(2)로부터 폰북 정보를 다운받아 제1제어부(141)에 전송한다.
제1통신부(15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듈로부터 폰북 정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운받아 제1제어부(141)에 전송한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구성도로, 단말기(2)는 제2입력부(210), 제2사운드 입력부(220), 제2제어부(230), 제2표시부(240), 제2사운드 출력부(250), 제2저장부(260) 및 제 2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2)는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용 단말기(2)는 통화 기능, 오디오 기능, 영상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을 제2제어부(230)에 전송한다.
제2입력부(210)는 차량(1)과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2입력부(210)는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기능은 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볼륨 조절을 위한 조절 버튼, 번호 등의 문자가 인쇄된 버튼,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명령을 갖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버튼은 물리적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입력부(210)는 제2표시부(240)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버튼은, 제2표시부(240)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터치 신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제2사운드 입력부(220)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2제어부(223)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2사운드 입력부(220)는 마이크로 폰을 포함한다.
제2제어부(230)는 제2입력부(210)에 페어링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과의 페어링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차량(1)의 제1통신부(150)와의 페어링 시, 제2통신부(270)에서 지원하는 모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즉 제2제어부(230)는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는 제2입력부(210)에 입력된 모드 선택 버튼의 신호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한다.
제2제어부(23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와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차량의 제1제어부(141)와 통신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정보가 차량의 제1통신부(15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수신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30)는 전화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차량의 제1통신부(150)로 전송한다.
제2제어부(23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차량의 제1통신부(15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3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1통신모듈 또는 제2통신모듈과 페어링된 후 제1통신 모듈 또는 제2통신 모듈과 통신한다.
제2제어부(23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기본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모듈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2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의 핸즈프리 프로파일(HFP)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음성의 입출력 및 통화 연결 상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고,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와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에 의해 수행되는 음악 재생의 출력을 제어하며, 음악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2제어부(23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의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과 페어링된 후 제1통신 모듈 및 제2통신 모듈 모두와 통신한다.
이때 차량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서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표시부(24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2표시부(240)는 통화 기능과 관련된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240)는 전화 발신 시 번호 키패드를 표시하고, 전화 수신 시 발신인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와, 통화 연결 및 취소 버튼을 표시한다.
제2입력부(210)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제2표시부(240)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용 단말기(2)의 제2입력부와 제2표시부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아울러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 시 사운드의 출력을 차단한다.
즉 제2오디오 출력부(250)는 통화 기능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지만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면서 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차단하여 차량 내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2저장부(260)는 폰북 정보를 저장한다.
폰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름별 전화번호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일 경우에는 번호별 전화 종류가 설정될 있다.
제2저장부(260)는 페어링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통신부(27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하되 제1통신모듈 또는 제2통신모듈과 페어링된 후 제1통신 모듈 또는 제2통신 모듈과 통신한다.
즉 제2통신부(27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기본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2통신부(27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모듈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2통신부(27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 폰북 정보를 전송하고, 통화 기능 수행 시 음성 정보를 송수신하며, 오디오 기능 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제2통신부(27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에 영상 정보와, 이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2통신부(270)는 제1통신 모듈 및 제2통신 모듈과 모두 페어링될 수 있다.
제2통신부(270)는 전화 통신, USB,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에 USB 통신이 마련된 경우, 통신부(240)는 차량의 멀티 단자(127)의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로, 도 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1)은 단말기(2)와의 페어링 명령이 수신(301)되면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의 연결을 시도한다.
즉, 차량(1)은 단말기(2)와 제1통신모듈(150a)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단말기(2)와 제2통신모듈(150b)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302)한다.
차량(1)은 두 통신 모듈의 페어링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첫 번째로 연결된 통신 모듈을 확인한다.
차량(1)은 두 통신 모듈 중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303)한다.
차량(1)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를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를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304)한다.
즉 차량(1)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1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제2 통신 모듈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모듈과 단말기는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2통신모듈과 단말기는 GAP, HFP, AVRCP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한다.
차량(1)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305)한다.
이때 차량(1)은 마스터 모듈의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차량(1)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통신 불가능하다고 판단(306)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307)한다.
그리고 차량(1)은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를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를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한다.
즉 차량(1)은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을 GAP, HFP, AVRCP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1통신 모듈이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되고, 제2 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모듈(150a)과 단말기(2)는 GAP, HFP, AVRCP 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2통신모듈(150b)과 단말기(2)는 GAP, HFP, AVRCP, A2DP, FTP, PBAP 을 통해 페어링을 수행한다.
차량은 페어링이 완료되면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308)한다. 이때 차량(1)은 마스터 모듈의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차량(1)은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이 불가능한지 판단(309)하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 사이의 통신 상태가 정상이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2)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유지(310)시키고,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이 통신 불가능하다고 판단(309)되면 제1통신모듈(150a) 사이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단말기(2)와 제2통신모듈(150b) 사이의 통신 연결을 재 시도(311)한다.
차량(1)은 두 통신 모듈의 페어링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첫 번째로 연결된 통신 모듈을 확인 과정부터 단말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두 통신 모듈 모두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두 통신 모듈의 고장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1)과 단말기(2)의 블루투스 통신 예를 도 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1)과 단말기(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할 때 차량(1)과 단말기(2) 간의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본 예는 제1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제2 통신 모듈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차량의 제1통신부(150)는 제1통신모듈(150a)과 제2통신모듈(150b)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1)은 단말기(2)가 발신 또는 수신 상태일 때, 제1통신모듈(150a)과 제2통신모듈(150b)가 기본 프로파일인 핸즈프리 프로파일(HFP)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페이링된 상태이지만, 마스터 모듈인 제1통신모듈(150a)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1)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제1통신모듈(150a)을 이용하여 단말기(2)에 전송하고, 단말기(2)에서 전송한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1통신모듈(150a)을 이용하여 수신한 후 수신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1)은 제1통신모듈(150a)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1통신 모듈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제1통신 모듈의 통화 상태가 통화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2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유지시킨다.
이때 제1통신 모듈(150a)은 통화 기능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을 정지하고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을 시도하여 슬레이브 모듈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통신부와 단말기(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오디오 기능을 수행할 때 차량(1)과 단말기(2) 간의 프로파일 페어링 예시도이다.
본 예는 제1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제2 통신 모듈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차량의 제1통신부(150)는 제1통신모듈(150a)과 제2통신모듈(150b)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가 오디오 기능을 수행할 때, 차량(1)의 제1통신모듈(150a)은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와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2통신모듈(150b)은 기본 프로파일인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1)은 제1통신모듈(150a)의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제1통신모듈(150a)의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통해 오디오 기능의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1)은 제1통신모듈(150a)을 이용하여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음악 재생 등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재생 중인 음악에 대한 정보(재생 시간, 음악명 등)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1)은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 상태라고 판단되면 제1통신 모듈(150a)의 음악 재생에 대한 오디오 정보의 송수신을 정지시킨다.
이때 차량(1)은 음악 재생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통신 모듈(150b)을 이용하여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지, 일시 정지, 오디오 기능의 취소 등의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1)은 단말기(2)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을 시도하여 슬레이브 모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통신 모듈(150b)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오디오 기능이 자동으로 다시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제1통신모듈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다시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제1통신모듈(150a)은 기본 프로파일인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2통신모듈(150b)은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와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한다.
차량(1)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수행 중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단말기(2)로부터 폰북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통신부와 단말기(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폰 북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차량은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의 폰북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제1통신부는 제1통신모듈(150a)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경우, 제1통신모듈의 폰북 프로파일(PBAP)을 이용하여 폰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를 제1저장부에 저장(321)한다.
차량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수행 시 제1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은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인지 판단(322)하고,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323)한다.
차량은 두 통신 모듈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제1저장부에 폰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324)하고, 제1저장부에 폰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기(2)에 폰북 정보를 요청하고,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을 통해 폰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를 제1저장부에 저장(325)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제1통신부는 제2통신모듈(150b)이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경우, 제2통신모듈의 폰북 프로파일(PBAP)을 이용하여 폰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를 제1저장부에 저장한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통신부와 단말기(2)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폰 북 정보를 수동으로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차량은 단말기와 통신이 연결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통해 단말기의 폰북 정보를 제공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1)의 제1통신부는 제1통신모듈(150a)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경우, 제1통신모듈의 폰북 프로파일(PBAP)을 이용하여 폰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를 제1저장부에 저장(331)한다.
차량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수행 시 제1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정보를 출력한다.
차량은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인지 판단(332)하고, 마스터 모듈인 통신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333)한다.
차량은 두 통신 모듈의 페어링을 제어하고, 제1저장부에 폰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334)하고, 제1저장부에 폰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표시부를 통해 폰북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출력(335)한다.
차량은 제1입력부로부터 폰북 다운로드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폰북 다운로드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폰북 정보를 요청하고, 단말기에서 폰북 정보가 전송되면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을 통해 폰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폰북 정보를 제1저장부에 저장(337)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는 차량의 제1통신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치(150')는 제1통신 모듈(150c)과 제2통신모듈(150d)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차량의 제1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은 단말기(2)에서 전송된 정보를 차량의 제1제어부에 전송하고, 제1제어부에서 전송된 정보를 단말기(2)에 전송한다.
제1통신모듈(150c)과 제2통신모듈(150d)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로,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과,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과,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Advance Audio Distribution Profile)과, 파일 프로파일(FTP: File Transfer Profile)과, 폰북 프로파일(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를 각각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150c)과 제2통신모듈(150d)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이 마스터 모듈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통신 모듈은, 단말기와 페어링이 시도 또는 재시도되면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통신모듈(150c)은 제2통신모듈(150d)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1통신모듈(150c)은 제1마이컴(155)과 제1송수신부(156)를 포함하고, 제2통신모듈(150d)은 제2마이컴(157)과 제2송수신부(158)를 포함한다.
제1마이컴(155)은 제1제어부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2)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단말기(2)와의 페어링이 성적으로 완료되면 단말기(2)와 제1제어부(141)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며, 제2마이컴(157)에 페어링 명령을 전송한다.
제1마이컴(155)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한 페어링을 수행한다.
제1마이컴(155)은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마이컴(155)은 제1제어부와 단말기(2) 사이의 정보 송수신에 대한 제어권을 갖는다.
제1마이컴(155)은 제어권을 갖은 경우 블루투스 통신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권을 갖지 못한 경우 통화 연결 기능과 오디오 제어 기능에 대한 제어만을 수행한다.
제1마이컴(155)은 단말기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하고 제2마이컴(157)의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제1마이컴(155)은 단말기와 연결 시도 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연결에 실패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하고 제2마이컴(157)에 마스터 모듈로의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송수신부(156)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제1마이컴(155)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제1송수신부(156)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한 정보를 제1마이컴(155)에 전송하고, 제1마이컴(155)에서 전송한 정보를 단말기(2)에 전송한다.
제2통신모듈(150d)의 제2마이컴(157)은 제1제어부(141)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7)은 제1마이컴(155)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2)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이때 제2마이컴(157)은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그룹은 GAP, HFP, AVRCP를 포함한다.
즉 제2마이컴(157)은 슬레이브 모듈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7)은 슬레이브 모듈의 역할 수행 시 제1마이컴(155)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1마이컴(155)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듈로 전환하고, 제1마이컴(155)에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재수행한다.
이때 제2마이컴(157)은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즉, 제2마이컴(157)은 제1제어부(141)와 단말기(2) 사이의 정보 송수신에 대한 제어권을 갖는다.
제2마이컴(157)은 제어권을 갖은 경우 블루투스 통신에서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권을 갖지 못한 경우 통화 연결 기능과 오디오 제어 기능에 대한 제어만을 수행한다.
제2마이컴(157)은 통신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슬레이브 모듈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송수신부(158)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 제2마이컴(157)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제2송수신부(158)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전송한 정보를 제2마이컴(157)에 전송하고, 제2마이컴(157)에서 전송한 정보를 단말기(2)에 전송한다.
슬레이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은 기본 프로파일인HFP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 모듈인 통신 모듈은 마스터 모듈인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 수행 시 마스터 모듈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마스터 모듈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단말기와의 통화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듈과 마스터 모듈은 기본 프로파일인AVRCP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 모듈인 통신 모듈은 마스터 모듈이 통신 불가능한 상태일 때 마스터 모듈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없어도, 기본 프로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프로파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동안 AVRCP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슬레이브 모듈은 마스터 모듈로 전환이 완료되면 오디오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150')는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은 단말기(2)로부터 폰북 정보를 다운받아 제1제어부에 전송한다.
통신 장치(150')는 마스터 모듈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듈로부터 폰북 정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운받아 제1제어부에 전송한다.
1: 차량 2: 사용자용 단말기
150: 통신부150a: 제1통신모듈
150b: 제2통신모듈
150: 통신부150a: 제1통신모듈
150b: 제2통신모듈
Claims (25)
-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과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갖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폰북 프로파일(PBAP)을 포함하고,
상기 제2그룹의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폰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폰북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제1통신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제1통신 모듈과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
상기 제1통신 모듈과 상기 제2통신 모듈에 페어링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통신 모듈 및 상기 제2통신 모듈 중 상기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제1통신모듈이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되면 상기 제1통신모듈과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마스터 모듈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제1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1통신 모듈에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로 전환되면 프로파일은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폰북 프로파일(PBAP)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모듈은,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갖는 제1통신모듈과 제2통신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1통신 모듈 및 제2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삭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로 변경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의 재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 모듈과 제2통신 모듈에 페어링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상기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폰북 프로파일(PBA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기능 및 오디오 기능 수행 시 통화 정보와 오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변경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 시 기본 프로파일을 제외한 프로파일의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상기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차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 기능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차량. -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갖는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제1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단말기 사이에 제2그룹의 프로파일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와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변경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통신 모듈 및 제2통신 모듈 중 상기 단말기와 첫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두 번째로 페어링된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폰북 프로파일(PBA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된 통신 모듈과 상기 단말기 사이에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및 오디오 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을 통한 페어링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통신모듈 및 제2통신모듈 중 미리 설정된 통신 모듈을 마스터 모듈로 설정하고 다른 통신 모듈을 슬레이브 모듈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743A KR101657657B1 (ko) | 2015-07-24 | 2015-07-24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743A KR101657657B1 (ko) | 2015-07-24 | 2015-07-24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7657B1 true KR101657657B1 (ko) | 2016-09-19 |
Family
ID=5710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4743A KR101657657B1 (ko) | 2015-07-24 | 2015-07-24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765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5815A (ko) * | 2016-12-27 | 2018-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4489A (ja) * | 2006-08-14 | 2008-02-28 | Yazaki Corp | 車両通信システム |
KR20100036350A (ko) * | 2007-11-08 | 2010-04-07 |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
KR20110076520A (ko) * | 2009-12-29 | 2011-07-06 | (주)큐디스 | 차량용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30042903A (ko) * | 2011-10-19 | 2013-04-2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다차로 요금 징수 시스템의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통신 방법 |
-
2015
- 2015-07-24 KR KR1020150104743A patent/KR1016576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4489A (ja) * | 2006-08-14 | 2008-02-28 | Yazaki Corp | 車両通信システム |
KR20100036350A (ko) * | 2007-11-08 | 2010-04-07 |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
KR20110076520A (ko) * | 2009-12-29 | 2011-07-06 | (주)큐디스 | 차량용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KR20130042903A (ko) * | 2011-10-19 | 2013-04-29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다차로 요금 징수 시스템의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통신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5815A (ko) * | 2016-12-27 | 2018-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
US10325432B2 (en) | 2016-12-27 | 2019-06-18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for setting up multi remote control in vehicle and vehicle thereof |
KR101973159B1 (ko) | 2016-12-27 | 2019-08-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47827B1 (en) | Navigation apparatus | |
KR101643560B1 (ko) |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
US7053866B1 (en) | Portable adaptor and software for use with a heads-up display unit | |
US20100198428A1 (en) | Multi-purpose fob system | |
US7616978B2 (en) | Combined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 |
US20160050510A1 (en) |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nt To Use Services Based On Proximity | |
JP2001008274A (ja) | 自動車の通信システム | |
JP2017050856A (ja) | 車両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カスタマイズ | |
MX2008011447A (es) | Adaptador portatil y software para el uso con una unidad de pantalla de visualizacion de datos. | |
US20140365073A1 (en) |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 |
US2017018839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going calls in vehicle | |
CN101648547A (zh) | 一种汽车娱乐系统 | |
CN114454826B (zh) | 一种车载娱乐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 |
US9672842B2 (en) | Terminal, audio devic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and vehicle | |
KR101657657B1 (ko) |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
US20040102227A1 (en) | Handsfree talking device for operating mobile telephones in motor vehicles | |
JP2001239894A (ja) | 乗物用情報処理装置 | |
KR101675312B1 (ko) | 음성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 |
KR101630156B1 (ko) |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110064899A (ko) | 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
CN203198868U (zh) | 可移动的车内显示设备及车载多媒体系统 | |
KR102459533B1 (ko) | 차량 및 그 방법 | |
CN205945900U (zh) | 车载智能手机外设 | |
KR101587063B1 (ko) |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 |
CN201115295Y (zh) | 车载信息娱乐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