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877B1 - sorting device for fruit - Google Patents
sorting device for fr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6877B1 KR101656877B1 KR1020150153642A KR20150153642A KR101656877B1 KR 101656877 B1 KR101656877 B1 KR 101656877B1 KR 1020150153642 A KR1020150153642 A KR 1020150153642A KR 20150153642 A KR20150153642 A KR 20150153642A KR 101656877 B1 KR101656877 B1 KR 1016568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fruit
- bracket
- sorting
-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과실선별기는 과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와;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별부(120)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상부에 설치되는 선별컨베이어(122)로 구성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12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23)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2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8)에 의해 스프로켓(23)이 구동됨에 따라 순환이동하는 롤러체인(22)과, 상기 롤러체인(22)에 결합되어 롤러체인(22)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 개의 롤러(24)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롤러(24) 간격이 넓어져, 과실의 크기를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선별컨베이어의 롤러 간격이 넓어져, 과실의 크기를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킴으로써, 과실이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er, comprising: a fruit sorter (110) for transferring a fruit; The sorting unit 120 includes a support frame 121 and a support frame 121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1. The support frame 121 supports the sorting unit 120, And a sorting conveyor 122. The sorting conveyor 122 includes a pair of rail frame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ir of sprockets 2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ail frame 20, A roller chain 22 connected to the pair of sprockets 23 and circulatingly moved as the sprocket 23 is driven by the driving motor 28, And a plurality of rollers 24 that are moved together with the roller chain 2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24 is increased toward the front and the size of the fru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to be sorted. The roller spacing of the sorting conveyor is widened toward the front, By dividing the amount of screening in multiple stages,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error is precisely selected by size improv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실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과실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실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sorter that minimizes fruit damage and selects fruit by size.
일반적으로, 과실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8961호(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에 배경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크기별로 선별구멍이 통 공된 선별통이 구성되는 과실 선별기에 의해 크기에 따라 선별되고,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은 다시 중량에 따라 자루에 담겨지거나 또는 박스 등에 담겨져 각각 포장된다.Generally, the fruits are classified into a size (size) by a fruit and a separator constituting a screening cylinder having a sorting hole by size,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8961 (fruit sorter provided with a weight sensor) And the fruits selected by size are packed in a bag or packed in a box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weight.
상기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8961호(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에 의하면, 상기 중량 감지체가 구비된 과실 선별기는 크기별로 형성되는 선별구멍(11)이 통공된 원통형 선별통(12)에 의해 과실이 크기별로 선별되어 배출되는 출구(13)가 전면에 구성되는 선별기(10)와; 상기 선별기(10)의 출구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브라켓(20)과;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후면에 구성되고 수용브라켓(20)의 전면으로 록킹편(31)이 노출된 솔레노이드 록킹부(3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되고 상기 록킹편(31)에 의해 록킹되어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40)와;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단에 구성된 상기 개폐부(4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과실자루(101)가 걸어지고 걸어진 과실자루(101)의 내부에 과실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면 상기 솔레노이드 록킹부(30)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브라켓(20)의 하부를 폐쇄하는 중량 감지체(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ccording to Registration No. 20-0458961 (a fruit sorter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the fruit sorter equipped with the weight sensor has a sorting hole 11 formed in a size- A separator (10) having an outlet (13) through which the fruits are sorted and discharged by the sorting container (12) in a size; A receiving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30890호(회전식 고속선별기)에는 일측에 일정하지 않은 크기의 구형 또는 비구형의 선별대상물이 다량 투입되어 저장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진 회전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동수단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면에는 정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수단; 상기 투입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역회전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되, 투입구간과 배출구간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구획부재;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투입수단의 출구와 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가이드부재; 상기 투입구간에는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로 정렬시켜 이송하도록 상기 고정가이드부재 내주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회전판 상에 설치되는 정렬부재; 상기 회전판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가이드부재의 일측을 시작으로 상기 회전판의 원주를 따라 회전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선별출구를 갖도록 상기 하향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별부재; 및 상기 선별부재의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출구로부터 크기별로 배출된 상기 선별대상물을 대상물받침대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향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배출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속선별기를 제공한다고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prior art,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30890 (rotary type high-speed sorting machine), there is known a method in which a sorting object of a spherical or non- A rotary sorting machine comprising: a bas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bas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unit and rotated, and having a downward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a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sorting object fed from the hopper into the rotary plate; A partitioning memb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troducing means to prevent the sorting object from being supplied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the sorting member being divided into an inlet section and an outlet section; A fixing guide member formed on the base to be curv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n edge of the rotary plate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ing means; An aligning member disposed on the rotary plat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to maintain a gap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ionary guide member so as to align and convey the sorting object fed from the hopper to the edge of the rotary plate; A separating member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and spaced apart from an edge of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so as to have a sorting outlet form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interval in the rotating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plate starting from one side of the fixed guide member; And a discharge guide member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sorting member and having the same slope as the downward slope so that the sorting object discharged from the sorting outlet is transported to the object support.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를 이용하여 과실을 선별하게 되면, 과실의 표면이 손상되고, 장치 사이에 파손된 과실의 조각이 끼여 위생성이 떨어지며, 과실을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f the fruit is selected us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aratus, the surface of the fruit is damaged, fragments of broken fruit are caught between the apparatuses and the hygienic properties are poor,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lect fruit by size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선별컨베이어의 롤러 간격이 넓어져, 과실을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킴으로써, 과실이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과실선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rting apparatus and a sorting method for separating a plurality of fruits by multi- And to provide an error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과실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과실선별기는 과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와;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별부(120)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상부에 설치되는 선별컨베이어(122)로 구성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12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23)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2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8)에 의해 스프로켓(23)이 구동됨에 따라 순환이동하는 롤러체인(22)과, 상기 롤러체인(22)에 결합되어 롤러체인(22)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 개의 롤러(24)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롤러(24) 간격이 넓어져, 과실의 크기를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er, comprising: a fruit sorter (110) for transferring a fruit;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선별컨베이어의 롤러 간격이 넓어져, 과실을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킴으로써, 과실이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spacing of the screening conveyor is widened toward the front, and the fru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to be sorted, whereby the fruits are sorted accurately according to their siz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의 사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부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다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도2에 도시된 선별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부의 측면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선별부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선별부의 부분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저장부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저장부의 다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브라켓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진.
도 14 내지 15는 본 발명의 브래킷 실시 예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 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
도 18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정면 개요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of a sash of a fruit /
2 is a side view of the fruit s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the transf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photograph of the transf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transf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lector shown in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detailed view of the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hotograph of the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photograph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hotograph of a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of a guide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acke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과실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실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과실선별기는 과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와; 상기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별부(120)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상부에 설치되는 선별컨베이어(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er, comprising: a fruit sorter (110) for transferring a fruit; The
또한, 상기 선별컨베이어(12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23)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23)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8)에 의해 스프로켓(23)이 구동됨에 따라 순환이동하는 롤러체인(22)과, 상기 롤러체인(22)에 결합되어 롤러체인(22)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 개의 롤러(24)로 구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롤러(24) 간격이 넓어져, 과실의 크기를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롤러(24) 사이에는 브라켓(30)이 결합되어, 상기 롤러체인(22)에는 브라켓(30)과 롤러(24)가 하나씩 교대로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30)에는 장공(26)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장(26)에 업다운롤러(27)가 삽입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업다운롤러(27)는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일정간격마다 하향되게 단턱(29)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롤러체인(2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질 때, 단턱(29)이 형성된 구간에서 브라켓(30)에 장착된 업다운롤러(27)는 레일프레임(20)에 형성된 단턱(29)의 낮아진 높이만큼 하강되어 진행되므로 레일체인(22)에 고정된 롤러(24)와 업다운롤러(27) 사이공간이 벌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의 사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부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다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부의 평면도, 도 6은 도2에 도시된 선별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별부의 측면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선별부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선별부의 부분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저장부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저장부의 다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브라켓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진, 도 14 내지 15는 본 발명의 브래킷 실시 예 단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fruit sor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of the transf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other photograph of the transf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7 is a side view of the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artial detail view of the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hotograph of a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other photograph of the stor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bracket photograp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hotograph of a guide plat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5 are sectional views of the bracke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100)는 과실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10)와, 상기 이송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과실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부(120)로 구성된다.The
도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는 과실이 투입되는 호퍼(112)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면에 안착된 과실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1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상기 호퍼(112)는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측 상면에 결합되며, 이송컨베이어의 좌우측 및 후방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물체를 이송시키는 롤러 컨베이어이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송컨베이어의 저면에는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The conveying conveyor is a roller conveyer that conveys an object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s. The conveying conveyor is configured to have a slope that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rear to the front, and a wheel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nveying conveyor to facilitate movement.
한편, 상기 이송부(110)의 전방에는 선별부가 설치되며, 상기 선별부에서 과실이 크기별로 분류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선별부(120)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부에 설치되는 선별컨베이어(122)로 구성된다.The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컨베이어(12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의 양 끝단부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23)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8)에 의해 스프로켓이 구동됨에 따라 순환이동하는 롤러체인(22)과, 상기 롤러체인에 결합되어 롤러체인과 함께 움직이는 롤러(24)와,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체인과 함께 움직이는 브라켓(30)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업다운롤러(27)로 구성되되, 상기 롤러와 브라켓은 다수 개가 롤러체인에 하나씩 교대로 결합되어 있다.6 to 9, the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의 저면에는 크기가 선별된 과실이 배출되어 저장되는 저장부(123)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상기 선별컨베이어에 안착된 과실은 롤러와 업다운롤러 사이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저장부(123)에 저장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롤러간의 간격이 넓어져 과실이 다단계로 선별되는 것이다.
The fruit seated on the sorting conveyor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rollers and the up-down roller and is stored in the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일프레임은 좌우 한쌍으로, 좌측 레일프레임과, 우측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평행되게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rail frame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pair of left and right rail frames and a right rail fram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좌,우측 레일프레임의 수직단면은 ''형상으로,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일정간격마다 하향되는 단턱(29)이 형성되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left and right rail frames is' A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레일프레임에는 3개의 단턱이 형성되어 높이에 따라 4구간으로 나누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단턱의 개수 및 단턱간의 높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ail frame shown in FIG. 6 has three stepped portion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ir heights. The number of stepped portions and height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have.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21)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롤러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실이 정렬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자세한 내용은 이후 업다운롤러를 후술할 때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좌,우측 레일프레임의 양 끝단부측에는 각각 스프로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로켓에 롤러체인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로켓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롤러체인에 전달하여 롤러체인이 무한궤도로 순환 이동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sprocket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rail frames, and a roller chain is coupled to the sprockets. The sprockets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roller chain, .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레일프레임에는 각각 한 쌍의 스프로켓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에 하나의 롤러체인이 연결되므로, 좌측 레일프레임에는 좌측롤러체인이 장착되고, 우측 레일프레임에는 우측롤러체인이 장착되어지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pair of left and right rail frames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of sprockets, and one roller chain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prockets, so that a left roller chain is mounted on the left rail frame , And the right rail frame is fitted with the right roller chain.
그리고 상기 좌,우측 레일프레임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좌측롤러체인과 우측롤러체인도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지며, 상기 좌,우측 롤러체인 사이에는 다수 개의 롤러와 브라켓이 교대로 하나씩 번갈아가며 결합된다.Since the left and right rail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eft roller chain and the right roller chai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rollers and brackets are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ller chains They are combined one by one.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는 레일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의 일단은 좌측 롤러체인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롤러체인에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8 to 9, the roller is coup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ail frame, one end of the roller is coupled to the left roller chai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right roller chain.
그리고 상기 롤러체인에 롤러와 서로 하나씩 교대로 결합되어지는 브라켓(30)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26)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26)에 업다운롤러(27)가 롤러(24)와 동일하게 레일프레임(2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업다운롤러의 일단은 좌측롤러체인에 결합된 브라켓의 장공에 삽입되고, 타단은 우측롤러체인에 결합된 브라켓의 장공에 삽입되어진다.A
즉, 상기 롤러와 업다운롤러는 서로 하나씩 교대로 결합되되, 롤러는 롤러체인에 고정되어 롤러체인이 이동됨에 따라 같이 순환이동되며, 상기 업다운롤러는 롤러체인이 이동됨에 따라 브라켓과 함께 순환이동하되, 브라켓의 장공 내부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있게 끼움장착되어 순환이동된다.
That is, the rollers and the up-down rollers are alternate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rollers are fixed to the roller chains so that they are simultaneously circulated as the roller chains are moved. The up-down rollers circulate along with the brackets as the roller chains are moved, It is inserted and circula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slot of the bracket.
상기 브라켓의 수직단면은 ''형상으로, 하부가 뾰족하게 생긴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vertical cross- Shaped in the shape of a pentagonal shape having a lower portion and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절곡편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절곡편이 레일체인에 결합되므로 브라켓이 스프로켓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레일체일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bending piece formed on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rail chain so that the bracket can be rotated along the rail without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procket.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장착된 업다운롤러는 레일프레임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업다운롤러는 레일프레임의 상면형상을 따라 브라켓의 장공 내부에서 하강하며 전진하게 된다.The up-down roller mounted on the bracket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and the up-down roller descends from the inside of the slot of the bracket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즉, 상기 브라켓이 레일프레임의 높이가 다른 구간을 지나갈 때, 브라켓에 장착된 업다운롤러는 레일프레임에 형성된 단턱의 낮아진 높이만큼 높이가 낮춰진 상태로 진행하게되므로 레일체인에 고정된 롤러와의 사이간격이 벌어지게되고, 이에 따라 비교적 큰 과실이 롤러와 업다운롤러 사이공간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racket passes the other section of the height of the rail frame, the up-down roller mounted on the bracket advances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is lowered by the lowered height of the step formed on the rail frame, So that a relatively large fruit falls dow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roller and the up-down roller.
곧, 상기 레일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단턱의 높이에 따라 과실이 분류되는 크기가 결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단턱을 형성하였으므로, 전방으로 갈수록 롤러와 업다운롤러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크기의 과실이 선별되어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p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decreas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 and the up-down roller The larger the size of the fruit is selected and discharged.
한편, 상기 브라켓의 실시 예로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의 절곡편은 두께를 가지며, 좌, 우측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롤러체인(22)에 결합되는 절곡편을 외측절곡편(31)이라하고, 다른 하나를 내측절곡편(32)이라 한다. 13, the bent piece of the
또한, 상기 내측절곡편과 외측절곡편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수직단면이 ''형상인 중심축(33)이 끼움삽입되되, 중심축(33)은 외측절곡편 내부에서는 전후방으로 움직이며, 내측절곡편에는 끼움삽입되어 내측절곡편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과실이 진행되는 방향이 전방이다)The inner bent piece and the outer bent piece are each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상기 중심축(33)의 양 끝단부는 중앙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절곡편과 외측절곡편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이와 대응되는 결합홈도 내부보다 입구측이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심축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외측절곡편의 결합홈에는 인장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인장스프링(S)이 장착되고, 그 스프링 끝단부에 중심축이 결합되어, 평소에는 외측절곡편과 내측절곡편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되며, 사용자가 내측절곡편을 롤러측으로 당기면 내측절곡편은 외측절곡편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전,후방으로 힌지회동되어진다.In addition, a tension spring (S) resisting a force to be pulled is mounted on the joint groove of the outer bending piece, and a center shaft is coupled to the spring end portion. Normally, the outer bending piece and the inner bending pie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ser pulls the inner bent piece toward the roller side, the inner bent piece is released from the outer bent piece and is hing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또한, 도14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측절곡편은 외측절곡편과 마주보는 면 하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절곡편은 내측절곡편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걸림편이 형성된다.14 to 15, the inner bent piece is formed with a hooking groove at a lower end of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bent piece, and the outer bent piece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groove of the inner bent piece to be fastened, .
상기 내측절곡편은 외측절곡편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 전후방향으로 힌지회동시킬 수 있되, 상기 내측절곡편은 외측절곡편과 서로 마주보는 면이 접하게 되면, 상기 외측절곡편의 걸림편이 내측절곡편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힌지회동이 불가능 하게 된다.The inner bent piece can be pu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bent piece so as to be hi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inner bent pie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ing surface of the outer bent piece, So that the hinge rotation can not be performed.
반대로 상기 내측절곡편을 외측절곡편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내측절곡편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체결된 외측절곡편의 걸림편은 분리되어, 상기 내측절곡편과 외측절곡편이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절곡편은 결합축에 의해 외측절곡편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다.On the contrary, when the inner bent piece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uter folded piece, the engaging piece of the outer folded piece inserted into the hooked groove of the inner folded piece is separated, And the inner bent piece is hinged to the outer bent piece by the coupling axis so that the inner bent piece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상기 내측절곡편의 상면에는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절곡편(32)을 힌지회동하기 용이하다.A
따라서, 본 발명의 과실선별기(100)는 복수 개의 업다운롤러와 롤러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과실이 업다운롤러와 롤러 사이에 끼일 경우,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켜 업다운롤러에 진동을 줌으로써, 과실을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일프레임의 상면에 다수 개의 돌기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여, 업다운롤러가 전진할 때, 돌기에 접촉되면 돌기를 넘으면서 회전되어지므로, 상기 업다운롤러 상부에 안착된 과실이 정렬되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up-down roller advances, when the projections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ons, they rotate while passing over the projections. Effect.
한편,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켓(23) 측에 위치한 지지프레임(121)에는 가이드플레이트(124)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30)의 끝단부가 기울어져 스프로켓(2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3, a
다시 말하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레일체인이 스프로켓에 직접 접촉될 때, 브라켓의 끝단부가 스프로켓 방향으로 기울어져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스프로켓측 지지프레임에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다.In other words, a guide plate is coupled to the sprocket-side support fram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end of the bracket may be generated by tilting toward the sprocket when the rail chain coupled to the bracket directly contacts the sprocket.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스프로켓과 브라켓 사이공간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브라켓의 끝단부를 가이드 함으로써, 브라켓의 끝단부가 스프로켓 방향으로 기울어져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The guide plate is protruded in a space between the sprocket and the bracket so as to guide the end of the bracket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end of the bracket is inclined toward the sprocket.
즉,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의 절곡부가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브라켓에 형성된 절곡편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어, 브라켓의 상부끝단부가 스프로켓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12, when the bent portion of the bracket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the guide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ent piece formed on the brack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contacts the sprocket .
또한, 브라켓의 절곡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브라켓에 형성된 절곡편에서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어, 브라켓의 하부 끝단부가 스프로켓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bent portion of the bracket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the guide plat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iece formed at the brack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from contacting the sprocket.
한편, 상기 레일프레임(20)의 하부에는 저장부(123)가 결합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의 롤러와 업다운롤러 사이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저장부에 저장된다.Meanwhile, a
상기 컨별컨베이어의 롤러간격이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져 전방으로 갈수록 점점 더 큰 크기의 과실이 선별되어 배출되어지므로, 상기 저장부도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크기별로 선별된 과실이 각각 저장되어지도록 한다.Since the roller interval of the con- vey conveyor is widened toward the front and the fruit of a larger size is gradually discharged toward the front, the storage unit also divides the inner space and stores fruit selected by size.
상기 저장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상이며, 상기 저장부는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면에 상하부로 회동가능한 개폐도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과실을 박스에 용이하게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한다.The storage unit is shaped like a box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storage unit is opened on one side, and the opening / closing door rotatab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coupled to the opened one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ransfer fruit stored in the space to the box. .
또한, 상기 저장부의 내부 바닥면은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담겨진 과실이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lope, so that the fruit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opened surface of the fruit.
도 16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 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 개요도, 도 18은 본 발명 과실선별기에 설치되는 레일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정면 개요도이다.FIG. 16 is a side outlin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lan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rail frame installed in a sorter. Fig.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턱이 형성된 레일프레임(20)을 각각 단턱의 단위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개로 분할된 레일프레임(20)은 상부가 개구된 가이드블럭(40)의 공간부에 삽입장착되되, 상부는 일정길이가 가이드블럭(40)보다 더 돌출되어 있도록 한다.16 to 18, the
그리고 상기 다수개로 분할되어 서로 접하고 있는 레일프레임(20)의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홈(50)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홈(50)에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드돌기(60)를 형성하였다.A slide groove (5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any one of the rail frames (20) which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a slide projection ).
즉, 분할된 레일프레임(20)의 일면에는 슬라이드홈(50)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프레임(20)에 접촉하고 있는 다른 레일프레임(20)의 일면에는 슬라이드홈(50)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돌기(60)를 형성하며, 타면에는 슬라이드홈(60)을 형성하여 또 다른 레일프레임(2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A
상기 분할된 레일프레임(20)은 서로 결합된 채, 턴버클(70)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였다.The divided rail frame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vertically movable by the turnbuckle 70.
턴버클(7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환봉(71) 상기 환봉(71)의 나사산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양단에는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72)로 이루어져 환봉(71)의 일단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조물에 고정하여 회전체(72)를 회전시키면 환봉(71)은 회전체(72)에 결합된 채,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는 관용의 수단이다.The turnbuckle 70 includes a pair of round rods 71 having threads formed therein and a
이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레일프레임(20)의 외부측 측면과 가이드블럭(40)에는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환봉(71)을 형성시키고, 상기 한 쌍의 환봉(80)에 형성된 나사산이 양단에 나사결합되는 회전체(7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전체(72)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블럭(40)은 지지프레임(121)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레일프레임(2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18, a pair of round rods 71 having threaded ends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divided
따라서, 분류하고자 하는 과실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분할된 레일프레임(20) 간의 높이에 따른 단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ep according to the height between the divided rail frames 20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fruit to be classifi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갈수록 선별컨베이어의 롤러 간격이 넓어져, 과실의 크기를 다단계로 나누어 선별시킴으로써, 과실이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spacing of the sorting conveyor is widened toward the front, and the size of the fru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to select the fruit,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the productivity are improved.
100: 과실선별기
110:이송부 111:이송컨베이어
112:호퍼
120:선별부 121:지지프레임
122:선별컨베이어 123:저장부
124:가이드플레이트
20:레일프레임 21:돌기
22:롤러체인 23:스프로켓
24:롤러
26:장공 27:업다운롤러
28:구동모터 29:단턱
30:브라켓 31:외측절곡편
32:내측절곡편 33:중심축
34:손잡이 35:걸림턱
36:걸림홈
40: 가이드블럭
50: 슬라이드홈
60: 슬라이드돌기
70: 턴버클 71. 환봉
72. 회전체
S:스프링 100: Fruit selector
110: conveying section 111: conveying conveyor
112: Hopper
120: selection unit 121: support frame
122: sorting conveyor 123: storage unit
124: guide plate
20: rail frame 21: projection
22: Roller chain 23: Sprocket
24: Roller
26: Slot 27: Up-down roller
28: Driving motor 29:
30: bracket 31: outer bending piece
32: inner bent piece 33: central axis
34: handle 35: latching jaw
36: Retaining groove
40: guide block
50: Slide groove
60: slide projection
70: Turnbuckle 71. Round bar
72. Rotating body
S: Spring
Claims (3)
상기 선별부(120)는 지지프레임(121)과, 상기 지지프레임(121)에 상부에 설치되는 선별컨베이어(122)로 구성되되, 상기 선별컨베이어(12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0)과,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로켓(23)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켓(23)에 장착되는 롤러체인(22)과, 상기 롤러체인(22)에 체결되어 롤러체인(22)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 개의 롤러(24)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다수 개의 롤러(24) 사이에는 브라켓(30)이 결합되어, 상기 롤러체인(22)에는 브라켓(30)과 롤러(24)가 하나씩 교대로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30)에는 장공(26)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장공(26)에 업다운롤러(27)가 삽입장착되고,
상기 업다운롤러(27)는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상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일정간격마다 하향되게 단턱(2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체인(2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질 때, 단턱(29)이 형성된 구간에서 브라켓(30)에 장착된 업다운롤러(27)는 레일프레임(20)에 형성된 단턱(29)의 낮아진 높이만큼 하강하여 진행되므로 레일체인(22)에 고정된 롤러(24)와 업다운롤러(27) 사이 공간이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프레임(2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돌기(21)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21)는 롤러(24)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실이 정렬되는 것이고,
상기 브라켓(30)의 상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절곡편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30)에 형성된 절곡편이 레일체인(20)에 결합되므로 브라켓(30)이 스프로켓(23)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레일체인(20)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레일프레임(20)의 하부에는 저장부(123)가 결합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122)의 롤러(24)와 업다운롤러(27) 사이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저장부(123)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선별기.
A fruit sorter comprising a sorting unit (120) for sorting fruit by size,
The sorting unit 120 includes a support frame 121 and a sorting conveyor 122 disposed on the support frame 121. The sorting conveyor 122 includes a pair of A pair of sprockets 2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ail frame 20, a roller chain 22 mounted to the pair of sprockets 23, And a plurality of rollers 24 fastened to the roller chain 22 and moved together with the roller chain 22,
A bracket 30 is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llers 24 and a bracket 30 and a roller 24 ar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roller chain 22. The bracket 30 is provided with a slot 26 Down roller 27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26,
The up-down roller 27 is seat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20, and a step 29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20 so as to be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ront, Down roller 27 mounted on the bracket 30 is lowered by the lowered height of the step 29 formed on the rail frame 20 in the section where the step 29 is formed, The space between the roller 24 fixed to the rail chain 22 and the up-down roller 27 is opened,
A plurality of projections 2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rame 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jections 21 are seated on the roller 24,
The bending piece formed on the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rail chain 20 so that the bracket 3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procket 23 Is rotatable along the rail chain (20)
A storage part 123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rail frame 20 and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roller 24 and the up-down roller 27 of the sorting conveyor 122 and stored in the storage part 123 Wherein the first separator is formed of a first separator and a second separ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642A KR101656877B1 (en) | 2015-11-03 | 2015-11-03 | sorting device for fr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3642A KR101656877B1 (en) | 2015-11-03 | 2015-11-03 | sorting device for fru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6877B1 true KR101656877B1 (en) | 2016-09-12 |
Family
ID=5695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3642A Active KR101656877B1 (en) | 2015-11-03 | 2015-11-03 | sorting device for fr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687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058A (en) * | 2016-11-21 | 2018-05-30 | 이상환 | Sorting apparatus of fruits and vegetables |
CN110052411A (en) * | 2019-05-31 | 2019-07-26 | 乌鲁木齐新瑞驰国际经贸有限公司 | A kind of space-changeable type roller thick stick grading plant |
CN114289317A (en) * | 2021-12-22 | 2022-04-08 | 魏文韬 | Be used for food processing coconut size classification equipment |
CN115957969A (en) * | 2022-12-20 | 2023-04-14 | 湖北工程学院 | Novel fruit cleaning and screening machine |
CN116273996A (en) * | 2022-12-27 | 2023-06-23 | 象山宇翔机械有限公司 | A sorting track and optical sorting ma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9968U (en) * | 1993-12-28 | 1995-07-18 | 白柳式撰果機株式会社 | Bulk vegetable sorting equipment |
KR20140027720A (en) * | 2012-08-27 | 2014-03-07 | 최병훈 | Fruit sorter |
-
2015
- 2015-11-03 KR KR1020150153642A patent/KR1016568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9968U (en) * | 1993-12-28 | 1995-07-18 | 白柳式撰果機株式会社 | Bulk vegetable sorting equipment |
KR20140027720A (en) * | 2012-08-27 | 2014-03-07 | 최병훈 | Fruit sort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7058A (en) * | 2016-11-21 | 2018-05-30 | 이상환 | Sorting apparatus of fruits and vegetables |
KR102743248B1 (en) * | 2016-11-21 | 2024-12-13 | 이상환 | Sorting apparatus of fruits and vegetables |
CN110052411A (en) * | 2019-05-31 | 2019-07-26 | 乌鲁木齐新瑞驰国际经贸有限公司 | A kind of space-changeable type roller thick stick grading plant |
CN114289317A (en) * | 2021-12-22 | 2022-04-08 | 魏文韬 | Be used for food processing coconut size classification equipment |
CN115957969A (en) * | 2022-12-20 | 2023-04-14 | 湖北工程学院 | Novel fruit cleaning and screening machine |
CN116273996A (en) * | 2022-12-27 | 2023-06-23 | 象山宇翔机械有限公司 | A sorting track and optical sort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877B1 (en) | sorting device for fruit | |
DE69506513T2 (en) | Automatic device for separating light, hollow and elongated objects and for dispensing these objects in a row | |
CN105686030B (en) | It is a kind of to send label device and send the automatic of label device to wear label machine using this | |
US9120130B2 (en) | Sorting apparatus | |
US3517797A (en) | Thread bobbin tube aligner | |
KR101993808B1 (en) | fruit sorter | |
KR100958742B1 (en) | Apparatus for skewered food | |
KR101530890B1 (en) | High-speed rotary separator | |
KR101113321B1 (en) | Apparatus for skewered food | |
KR20160126135A (en) |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 |
US10336554B1 (en) | Device for separating and aligning pin-shaped piece goods | |
US20100133065A1 (en) |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elongate food products | |
KR101836444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CN105707963A (en) | Prodding device and automatic prodding machine adopting same | |
KR101833276B1 (en) | Cap alignment device of capping machine | |
CN211810576U (en) | Rod inserting device of cheese canning machine | |
CN105686031B (en) | Automatically label machine is worn | |
KR101763565B1 (en) | Apparatus for sorting low-quality garlic | |
KR100923138B1 (en) | Skewer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skewer alignment | |
KR101453504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CN217533438U (en) | Bulk noodle bagging machine | |
CN110626544B (en) | Net cover device of net cover box machine | |
KR101386826B1 (en) | Supplying device of tray for laver | |
JPS60102313A (en) | Supplying device for headed-rod material | |
JPS633808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