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43821B1 -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21B1
KR101643821B1 KR1020140150190A KR20140150190A KR101643821B1 KR 101643821 B1 KR101643821 B1 KR 101643821B1 KR 1020140150190 A KR1020140150190 A KR 1020140150190A KR 20140150190 A KR20140150190 A KR 20140150190A KR 101643821 B1 KR101643821 B1 KR 10164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hin plate
film
elastic thi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949A (ko
Inventor
박효중
Original Assignee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심준우
주식회사 형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심준우, 주식회사 형일시스템 filed Critical 엘피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휴대폰, TV, 전자사전 등) 디스플레이 패널(LCD, PDA, PAP 등) 중 차세대 유망 제품인 커브형 패널(일정한 곡률로 꺽기거나 휘어진 글라스)에 얇은 필름(보호필름, 터치필름 등)을 더욱 신속 정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최선의 수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양측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가 형성된 커브형 터치 패널(P)의 내면(저면) 또는 외면(상면)에 얇은 필름(보호필름, 투명 전도성 터치필름 등, F)을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피부착물인 필름(전자기기용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얇은 필름)을 상부에 대응되는 패널에 밀착하여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하는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필름이 부착될 매체인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3차원적 대응이 가능하여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상관없이 완벽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Film attached to the device's curved glass}
본 발명은 전자기기(휴대폰, TV, 전자사전 등) 디스플레이 패널(LCD, PDA, PAP 등) 중 차세대 유망 제품인 커브형 패널(일정한 곡률로 꺽기거나 휘어진 글라스)에 얇은 필름(보호필름, 터치필름 등)을 더욱 신속 정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최선의 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기기(휴대폰, TV, 전자사전 등) 디스플레이 패널(LCD, PDA, PAP 등)의 외측면에는, 패널의 표면을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보호하거나 지문을 방지할 목적으로 마이크로 단위로 얇게 만들어지는 POL, FRP 등의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과,
터치용 패널의 내측 표면에 터치에 관련한 인식 및 센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스퍼터링으로 인듐주석산화물(ITO)이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 또한 보편화가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터치용 패널은, 단순히 수평형에 비해 시각적인 몰입감을 더욱 높이고 수요자의 선호도에 따라 스크린의 형태적 변화를 주도할 목적으로 패널 전체를 원만하게 휘어진 곡면 또는 휨형 터치 패널로 제조하거나,
또는 휴대폰용 터치패널의 경우, 터치할 수 있는 영역을 휴대폰의 좌,우 측면은 물론 전,후면 등으로 크게 확대할 목적으로 그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를 포함하는 커브형 터치패널로 제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선행문헌들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바 있는, 등록특허 10-1159028호(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필름 부착방법 및 그 장치)와, 등록특허 10-1316640호(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필름 부착장치)가 이미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 10-1159028호 및 등록특허 10-1316640호를 포함하는 선행문헌들은, 수평 또는 평판형으로된 단순한 형태의 패널(글라스)에만 한정적으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한 전용의 기구임에 따라, 일정한 R로 휘어진 형상이거나 또는 전,후,좌,우측 증 어느하나이상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를 갖는 등 단순한 평판형을 초월한 커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필름을 부착하는 자체가 불가능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즉, 커브형 터치패널은 그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처럼 패널에 밀착된 필름을 단순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면서 문질르는 방법으로는 꺼어진 부위에 형성된 굴곡부와 경사각에 대한 하여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의 뒷받침이 없이는 사실상 극복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수평형 패널뿐 아니라,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를 갖는 커브형 터치패널에도 필름의 정밀한 부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필름부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가 형성된 커브형 터치 패널(P)의 내면(저면) 또는 외면(상면)에 얇은 필름(보호필름, 투명 전도성 터치필름 등, F)을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피부착물인 필름(전자기기용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얇은 필름, F)을 상부에 대응되는 패널(P)에 밀착하여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하는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필름이 부착될 매체인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셋팅)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3차원적 대응이 가능하여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상관없이 완벽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피부착물인 필름(전자기기용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얇은 필름, F)을 상부에 대응되는 패널(P)에 밀착하여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하는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필름대응장치(100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필름이 부착될 매체인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셋팅)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3차원적 대응이 가능하여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상관없이 완벽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단순한 수평형태의 패널뿐 아니라,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를 갖는 커브형 터치패널 및 그외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정밀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하게되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커브형 패널의 대표적인 형상 및 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적인 배치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에 대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한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의 탄성박판에 부착된 필름을 개념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와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커브형 패널에 필름을 부착하는 하나의 예를 순서대로 설명한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양측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가 형성된 커브형 터치 패널(P)의 내면(저면) 또는 외면(상면)에 얇은 필름(보호필름, 투명 전도성 터치필름 등, F)을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피부착물인 필름(전자기기용 패널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얇은 필름, F)을 상부에 대응되는 패널(P)에 밀착하여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하는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필름이 부착될 매체인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셋팅)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3차원적 대응이 가능하여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상관없이 완벽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를 설치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와 그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에 대하여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
먼저,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는,
승하강모터의 정역회전구동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플레이트(1200)가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동시에 어느 하나 이상은 좌우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이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사이에는 탄성박판(1400)의 양끝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중 어느하나의 후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500)이 구성되며, 상기 탄성박판(1400)이 걸쳐진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사이의 승하강플레이트(1200)에는 상기 탄성박판(1400)을 위로 밀어올려서 팽팽하게 하는 동시에 일정한 곡률로 휨을 발생시키면서 모터 또는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좌우왕복운동이 가능한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하측에는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구동장치(1800)가 설치된다.
이때 승하강구동장치(1800)는 승하강모터(1810)에 의해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를 상,하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일측은 승하강플레이트(120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승하강모터(1810)와 연결된 볼스크류(1820)가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와 지지프레임(1850) 사이에는 슬라이드 레일(1830)과 가이드불럭(미도시)이 맞물려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은,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어느 하나는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일측 상부에 고정된 지지블록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된 수평유동수단(1130)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유동수단(1130)은 좌우 수평으로 자유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다양한 구조나 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수평으로 안착된 수평 가이드레일(1131-1)과 그 일단에 결합된 좌우 이동블럭(1131-2)이 조합된 수평유동용LM가이드장치로 채용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간단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박판(1400)은, 일정한 강성을 갖는 동시에 적절한 탄성 및 휨성을 갖는 비교적 얇은 판 형태인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불문하는 박판형태인 것으로, 본원 출원인이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확인 바에 따르면 적은 직경의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를 대응하더라도 그 롤러의 R 보다 월등히 큰 바람직한 원만한 곡률로 만들어질 수 있는 강성이나 탄성, 휨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비교적 조도가 높은 매끈한 면과 함께 부식에 강한 특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강판으로 구성함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기 탄성박판(1400)은 한 쌍의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에 양측단이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부면에는 부착 대상체인 일정 크기의 필름(F)이 부착되어 셋팅될 수 있 는데, 이때 상기 탄성박판(1400) 상면에 셋팅되는 필름(F)은 다양한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데, 도 5와 같이 탄성박판(1400)의 상면의 어느 일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필름(F)을 임시로 부착(자연적으로는 떨어지지 않지만 일정한 힘으로 떼어내면 쉽게 떨어질 정도로 약하게 접합함)하되, 상기 필름(F)과 탄성박판(1400) 사이에는 임시적 점착(지극히 약한 접착)력을 갖는 점착제를 도포해 둘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양면 테이프(박판과는 강하게 부착되지만 노출되는 윗면에는 약한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뗐다 붙었다의 많은 횟수에도 오랜 시간 점착력의 유지가 가능한 시트)와 같은 점착시트를 부착해둘 수 있고,
이렇게, 탄성박판 윗면에 필름을 임시로 점착이 완료되면 그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 보호를 목적으로 붙어져 있은 종이를 떼어서 제거하여 필름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P)과의 실질적인 접착이 가능한 접착제가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롤링-슬라이드 롤러(1600)를 움직여서 필름이 점착되어 있는 위치의 탄성박판 저면에 위치시키면, 일정하게 휘어진 곡률부의 표면(박판)에 필름이 일측 끝부분이 자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되어 있는 상부 고정유닛을 하방으로 움직여서 상호 밀착시키면. 보호필름의 일측 끝단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기 시작한다.
여기에서 상기 롤링-슬라이드 롤러(1600)를 일정한 속도로 수평 슬라이드 동작시키면, 상기 탄성박판(1400)의 휨에 의해 만들어진 유연한 곡률과 점차적인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벽지가 발라지듯 순차적으로 밀착되면서 기포 없는 매끈한 접착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1500)의 그 일측은 상기 한 쌍의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중 슬라이드 가능한 어느하나의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에 고정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인데, 상기 슬라이드 가능한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을 외측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탄성박판(1400)은 팽팽하게 펴지려는 성질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 또는 실린더(16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우류(1620)에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이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의 상측에는 일정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는 지지대(1640)를 구성시킨 다음, 그 지지대(1640)의 끝단부에 구성됨에 따라 좌우 일정간격 슬라이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유동수단(1130) 및 탄성스프링(1500)의 작용에 의해 팽팽한 수평상태를 이루는 상기 탄성박판(1400)이 위로 밀려져 휘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탄성박판(1400)의 하부에 밀착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탄성박판(1400)이 곡률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탄성박판(1400)이 위로 밀려지는 정도에 따라 소망하는 적의의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구성에 따라 형성되는 탄성박판(1400)의 곡률은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자체 곡률보다 훨씬 더 큰 완만한 곡률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탄성박판(1400)의 완만한 곡률은,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탄성박판(1400) 상부면에 안착된 보호필름(F)을 패널(P)에 부착할 시킬 때, 아주 정밀하고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승강시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에 의해 위로 휘어져 완만한 곡률을 가진 탄성박판(1400)의 최상부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에 밀착되면서 소망하는 적의의 압착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탄성박판(140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왕복운동시 탄성박판(1400)과의 마찰을 줄여 원활한 슬라이드가 될 수 있도록,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자유회전은 힌지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외면 전체 둘레에는 일정 쿠션(탄성)을 갖는 우레탄을 일정 두께로 구성하여 유연한 압착력 및 롤러 슬라이드시 원활한 회전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가 탄성박판(140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시, 상기 탄성박판(1400)은 상기 수평유동수단(1130)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므로 스트레스나 응력이 대폭 감소되고 무리가 따르지 않는 부드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수명도 길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슬라이드 좌우왕복운동에 의해 필름(F)을 디스플레이 패널(P)에 부착할 때, 상기 탄성박판(1400)이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에 의해 위로 휘어진 상태로 됨에 따라 형성되어지는 탄성박판(1400)의 완만한 곡률이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곡률보다 크게 휘어지기 때문에 필름(F)을 더욱 정밀하고 유연하게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탄성반판의 저면을 위로 밀어올려서 롤링되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60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함께 좌우 왕복운동하면서 위로 미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반대로 상기 탄성반판(1400)의 상면을 아래로 당기면서 롤링 및 안내가 이루어져 탄성박판의 휨 각도를 좁게(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로 움직이는 패널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좁은 각도)로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탄성박판 휨 각도조절용 보조롤러(1700)를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박판 휨 각도조절용 보조롤러(1700)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 일측에 지지대(1710)를 구성한 다음 그 지지대(1710) 위로 결합 구성시시켜서,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함께 좌우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
그리고, 상기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는,
상기 커브형 패널(P)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는 패널 고정판(200)이 구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판(200)의 상측에는 상기 패널 고정판(200) 전체의 좌우 위치를 임의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패널 고정판(200)의 양측 지점을 상, 하로 각각 개별적으로 유동하여 패널의 상,하 위치 및 그 기울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한 패널고정판의 구동장치(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패널고정판의 구동장치(300)는, 상기 패널고정판(200) 상부의 일측과 타측지점에 그 각각의 중심점(101,101')을 기준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한 회전링크1,2(110, 110')를 구성시킨 다음 지지체1,2(120, 120')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1,2(110, 1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체 1,2(120,120')와 고정 설치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체 1,2(120,120') 사이에 수평유동수단(130)이 더 설치하며,
상기 양측 지지체1,2(120,120')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링크1,2(110, 110')의 상,하 위치를 수치제어에 따른 정밀값으로 가변할 수 있는 상하높낮이구동수단(140)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높낮이구동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하측에는 좌우이송수단(400)을 설치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1,2(110, 110')는 일정한 직경의 회전축(111,111')을 구성한 다음, 그 회전축(111,111')에 지지용 베어링(112,112)을 축삽 구성한 것과; 상기 수평유동수단(130)은, 좌우 수평으로 안착된 수평 가이드레일(131-1)과 그 레일(131-1) 일단에 결합된 좌우 이동불럭(131-2)이 조합된 수평유동용LM가이드장치(131)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높낮이구동수단(140)은, 상단 끝에 상기 지지체1,2(120,120')가 각각 결합된 이송바(141,141')가 수직 구성되고, 상기 이송바(141,141')의 일측에는 상하 이송용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블럭이 구비된 지지바(142,142-1)를 세워 구성한 다음, 상기 지지바(142,142-1)의 각 후측에는 서보모터(M)에 의해 정밀 회전이 가능하고 볼스크류(143)를 구성하고 상기 볼스크류(143)의 일단에는 이송바(141,141')와 연결된 연결대(144)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400) 또한, 좌우 수평으로 안착된 수평 가이드레일(410)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410) 일단에는 좌우 이동불럭(42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바(142,14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는 볼스크류(430)가 구성되고, 상기 볼스크류(430)의 일측 끝에는 구동용 서보모터(440)가 장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상기 패널고정판(200) 및 그 패널고정판(200)에 고정된 커브형 패널(P)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자동화 이동은 물론 패널고정판(200) 및 패널의 기울기 각도 또한 자유롭게 변환 및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상부에 설치된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에 커브형 패널을 대응시킬 때 어떠한 위치 및 방향이던 상관없이 3차원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P)을 고정시키는 상기 패널 고정판(200)에는 상기 패널(P)에 대한 효과적인 밀착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흡착용 진공장치(180)가 설치되는데, 이 흡착용 진공장치(180)는 내부에 일정한 진공공간(181)을 할당한 다음, 상기 내부의 진공공간(181)과 외부 사이의 살두께에는 수많은 갯수의 미세한 통공(182)을 뚫어 성형하고, 상기 진공공간(181)의 다른 일측에는 에어호스(184)가 연결된 에어흡입홀더(183)를 구성시킨 구조를 설계될 수 있다.
A: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P: 패널
F: 얇은 필름 1000: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
2000: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

Claims (7)

  1. 양측 가장자리의 변쪽 부분에 일정한 곡률 및 경사각으로 꺽어진 절곡부가 형성된 커브형 터치 패널(P)의 내면 또는 외면에 얇은 필름(F)을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피부착물인 필름을 상부에 대응되는 패널(P)에 밀착하여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부착이 되도록 하는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필름이 부착될 매체인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하,좌,우 전방향으로의 3차원적 대응이 가능하여 어떠한 형태의 패널에도 상관없이 완벽한 필름의 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를 설치한 것과;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는,
    승하강모터의 정역회전구동에 따라 승하강 가능한 승하강플레이트(1200)가 구성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동시에 어느 하나 이상은 좌우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이 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사이에는 탄성박판(1400)의 양끝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중 어느하나의 후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500)이 구성되며, 상기 탄성박판(1400)이 걸쳐진 상기 좌,우측 탄성박판 고정유닛(1300) 사이의 승하강플레이트(1200)에는 상기 탄성박판(1400)을 위로 밀어올려서 팽팽하게 하는 동시에 일정한 곡률로 휨을 발생시키면서 모터 또는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좌우왕복운동이 가능한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하측에는 승하강플레이트(1200)의 상,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구동장치(1800)가 설치된 것과;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는,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200)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터 또는 실린더(161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우류(1620)에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이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의 상측에는 일정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는 지지대(1640)를 구성시킨 다음, 그 지지대(1640)의 끝단부에 구성되는 것과;

    탄성반판(1500)의 저면을 위로 밀어올려서 롤링되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함께 좌우 왕복운동하면서 위로 미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반대로 상기 탄성반판(1400)의 상면을 아래로 당기면서 롤링 및 안내가 이루어져 탄성박판의 휨 각도를 좁게로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탄성박판 휨 각도조절용 보조롤러(1700)를 선택적으로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는 것과;

    상기 탄성박판 휨 각도조절용 보조롤러(1700)는,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의 슬라이드 이송블럭(1630) 일측에 지지대(1710)를 구성한 다음 그 지지대(1710) 위로 결합 구성시시켜서, 상기 탄성박판 휨발생용 롤러(1600)와 함께 좌우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구동형 패널대응장치(2000)는,
    상기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필름대응장치(1000)의 상부에 커브형 패널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는 패널 고정판(200)이 구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판(1200)의 상측에는 상기 패널 고정판(200) 전체의 좌우 위치를 임의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패널 고정판(200)의 양측 지점을 상, 하로 각각 개별적으로 유동하여 패널의 상,하 위치 및 그 기울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한 패널고정판의 구동장치(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고정판의 구동장치(300)는,
    상기 패널고정판(200) 상부의 일측과 타측지점에 그 각각의 중심점(101,101')을 기준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한 회전링크1,2(110, 110')를 구성시킨 다음 지지체1,2(120, 120')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1,2(110, 1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체 1,2(120,120')와 고정 설치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체 1,2(120,120') 사이에 수평유동수단(130)이 더 설치하며,
    상기 양측 지지체1,2(120,120')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링크1,2(110, 110')의 상,하 위치를 수치제어에 따른 정밀값으로 가변할 수 있는 상하높낮이구동수단(140)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높낮이구동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하측에는 좌우이송수단(40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50190A 2014-10-31 2014-10-31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Active KR10164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90A KR101643821B1 (ko) 2014-10-31 2014-10-31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190A KR101643821B1 (ko) 2014-10-31 2014-10-31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49A KR20160050949A (ko) 2016-05-11
KR101643821B1 true KR101643821B1 (ko) 2016-07-29

Family

ID=5602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190A Active KR101643821B1 (ko) 2014-10-31 2014-10-31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355B1 (ko) 2019-02-13 2019-06-14 최규화 필름 코팅용 라미네이터
KR20200085480A (ko) * 2019-01-07 2020-07-15 이주헌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US11605315B2 (en) 2020-04-16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326B1 (ko) * 2016-06-09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합착 장치
KR101909111B1 (ko) * 2016-08-24 2018-10-17 박길미 엘이디 장착 프레임용 반사필름 부착장치
CN107877943B (zh) * 2016-09-29 2019-07-30 蓝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油墨图案的曲面玻璃的制备方法
CN108556332B (zh) * 2018-05-30 2024-10-11 湖南腾远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辊压贴膜装置
KR102083628B1 (ko) * 2018-07-05 2020-03-02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978166B1 (ko) * 2018-12-24 2019-05-14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15330B1 (ko) * 2019-05-05 2019-08-28 주식회사 도원테크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457487B1 (ko) * 2021-04-06 2022-10-21 (주)디아이비 U형 글라스의 필름접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접착방법
US11833796B2 (en) 2021-06-22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m attach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435A (ja) 2005-07-29 2007-02-08 Optrex Corp フィルムの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59028B1 (ko) * 2011-07-13 2012-06-21 주식회사 아바코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필름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101316640B1 (ko) * 2012-04-30 2013-10-15 박효중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필름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849B1 (ko) * 2008-07-18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0435A (ja) 2005-07-29 2007-02-08 Optrex Corp フィルムの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59028B1 (ko) * 2011-07-13 2012-06-21 주식회사 아바코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필름 부착방법 및 그 장치
KR101316640B1 (ko) * 2012-04-30 2013-10-15 박효중 탄성박판의 휨을 이용한 롤링-슬라이드 타입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필름 부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480A (ko) * 2019-01-07 2020-07-15 이주헌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KR102172895B1 (ko) * 2019-01-07 2020-11-02 이주헌 휴대단말기용 보호필름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KR101989355B1 (ko) 2019-02-13 2019-06-14 최규화 필름 코팅용 라미네이터
US11605315B2 (en) 2020-04-16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949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821B1 (ko) 커브형 글라스의 필름 부착장치
KR101260297B1 (ko)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US8919406B2 (en) Bonding apparatus
CN104536171A (zh) 一种液晶屏检测装置
CN107203297B (zh) 一种曲面显示面板的曲面贴合装置
KR101631524B1 (ko) 필름부착장치
KR101214537B1 (ko) 곡면 커버 글래스 부착장치
CN211542371U (zh) 覆膜设备
CN209982521U (zh) 支撑组件及智能终端
CN108556332B (zh) 一种辊压贴膜装置
KR101647387B1 (ko) 굴곡형 기판 상에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
KR20180113736A (ko) 합성수지 탄성체의 체적변위를 이용한 커브형 패널의 필름부착방법과 그 수단
KR101974813B1 (ko)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1387955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용 접착재 도포 장치
CN106926617A (zh) 一种数学教学用绘图板
KR101539287B1 (ko) 터치 패널용 기판 부착장치
KR102140700B1 (ko) 커브드패널용 필름 합착장치
CN104608456A (zh) 一种热滚轮滚压贴合装置和贴合方法
CN104360508B (zh) 一种承载台以及覆晶薄膜压接维修设备
KR101385133B1 (ko) 플레이트 합착 장치
KR20170031325A (ko) 전체 곡률형 글라스의 필름부착 방법 및 그 장치
KR10135558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CN203510710U (zh) 一种应用于导光板制造的导光板位置调整装置
CN104315308A (zh) 可调式滑动机构及支架装置
CN210599735U (zh) 一种oled显示屏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