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25B1 -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4625B1 KR101644625B1 KR1020140066574A KR20140066574A KR101644625B1 KR 101644625 B1 KR101644625 B1 KR 101644625B1 KR 1020140066574 A KR1020140066574 A KR 1020140066574A KR 20140066574 A KR20140066574 A KR 20140066574A KR 101644625 B1 KR101644625 B1 KR 101644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scalator
- steps
- wheelchair
- mode switching
- switch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모드로 운행중인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승이 요구되는 경우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에스컬레이터 탑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스텝군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가이드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 승강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승강판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스프로킷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모드로 운행중인 에스컬레이터를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승이 요구되는 경우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의 에스컬레이터 탑승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 이송장치로써의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사람들의 유동이 많은 건물의 층간 사이 또는 긴 복도에 설치되어진다. 특히,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이나 전철 등 역사 내의 환승통로와 같이 승객이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구간이나 역사의 입출구 구간에서 일반이용객이나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환승구조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건물 내부에 매립 설치되는 트러스와 트러스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트러스의 양쪽 단부에는 랜딩부가 구성되고, 트러스의 내부에는 구동모터와 스텝체인 및 스텝체인을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기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텝체인에는 다수의 스텝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에는 핸드레일이 스텝의 주행 속도와 같은 주행속도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일은 스텝체인을 주행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는 경사부분에서는 계단식의 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계단식의 스텝에 탑재하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지만 휠체어나 전동카트와 같은 이동보조수단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에스컬레이터에 탑재시킬 수 있는 구조에 어려움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로는 에스컬레이터와는 별도로 에스컬레이터 장치가 설치된 역사 내의 벽면에 경사 가이드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승강되는 대차를 이용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휠체어나 전동카트 이용자가 혼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역무원들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로써의 대차를 개선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어 이미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다수의 스텝이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구간에 탑재한 상태로 이송도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스텝이 평면을 이루어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간을 형성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휠체어나 전동카트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배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탑재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 일반인 탑재모드 상태로 비장애인인 일반인이 이용하는 와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승이 요구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일측에 구성된 전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장애인 탑승구간의 스텝 부분이 장애인 탑재모드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름 목적으로는 승강판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승강을 통해 피니언과 랙의 치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스텝군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에스컬레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에 있어서,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가이드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 승강판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승강판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스프로킷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지되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재모드 전환장치와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랙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스프로킷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결바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스텝군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승강판 작동수단은 승강판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 구름롤러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를 승강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평상시 일반인 탑재모드 상태로 비장애인인 일반인이 이용하는 와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탑승이 요구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일측에 구성된 전환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장애인 탑승구간의 스텝 부분이 장애인 탑재모드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승강판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승강을 통해 피니언과 랙의 치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수단과 작동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측면 구성도.
도 7 은 도 5 의 후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8 의 측면 구성도.
도 10 은 도 9 의 작동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 는 도 1 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수단과 작동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측면 구성도.
도 7 은 도 5 의 후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8 의 측면 구성도.
도 10 은 도 9 의 작동을 보인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랙의 작동 후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에 따른 스텝 연결수단과 작동수단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도 5 의 측면 구성도, 도 7 은 도 5 의 후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탑재모드 전환장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8 의 측면 구성도, 도 10 은 도 9 의 작동을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모드를 일반모드에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탑재모드 전환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탑재모드 전환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161), 가이드(161)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162), 지지대(162)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163), 승강판(163)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승강판(163)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작동수단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165)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탑재모드 전환장치는 일반모드에서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되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승강판 작동수단이 작동되어 승강판(163)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승강판(163)이 상승되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65)과 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로킷(156)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에 따라 스프로킷(156)이 랙(165)의 일측으로 진입하게 되면서 치결합되면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져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따른 연결편(140)과의 결합으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은 상호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에 따라 스프로킷(156)이 랙(165)의 일측으로 진입하여 타측으로 지나는 동안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져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연결편(140)과 연결바(142)의 결합으로 인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구성에서 승강판(163)의 상부에 전후로 구성되는 랙(165)은 1스텝(10)측의 스프로킷(156)과 2스텝(20)측의 스프로킷(156) 각각에 대응하여 구성된다. 즉,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56)을 포함한 구동축(154)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랙(165)의 위치 배열을 스프로킷(156)의 위치 배열에 대응하여 설치함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구성에서 승강판(163)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판 작동수단은 승강판(163)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16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164), 구름롤러(164)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164)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164)를 승강시키는 경사면(164a-1)이 형성된 이동부재(164a) 및 이동부재(164a)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164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승강판 작동수단은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전후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원위치시키게 되면 승강판(163)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즉,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잡아당겨 승강판(162)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하게 되고,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밀어 승강판(162)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일반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잡아당겨 승강판(162)의 상승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전동 솔레노이드(164b)를 통해 이동부재(164a)를 밀어 승강판(162)의 하강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탑재모드 전환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재모드 전환장치와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랙(165)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동수단의 스프로킷(156)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결바(142)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 중 1스텝(10)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20)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20)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20)의 지지하는 1단 승강링크(110), 2스텝(20) 후단의 3스텝(30)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30)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30)을 지지하는 2단 승강링크(120),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후단이 일정 경사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0.5스텝 회전수단,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 연결수단, 1스텝(10)과 2스텝(2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작동수단 및 에스컬레이터의 일반모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장애인 탑재모드 또는 장애인 탑재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작동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탑재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탑재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는 평소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는 일반모드로 운행되어진다. 이처럼 일반모드로 운행 중에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 요구시 에스컬레이터 구간을 차단 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에스컬레이터는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하부측 랜딩구간 또는 상부측 랜딩구간에 들어서면서 일단 멈추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하부측 랜딩구간 또는 상부측 랜딩구간에서 일단 멈춘 다음에는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의 상부로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밀어 위치시킨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랜딩구간을 벗어나기 전에 탑재모드 전환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작동수단을 구동시켜 스텝 연결수단의 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구성된 0.5스텝 회전수단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되어 0.5스텝(50)의 후단이 1스텝(10)의 선단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일정 경사각으로 회전되어 0.5스텝(5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모드인 일반모드를 장애인 탑재모드로 전환시켜 1스텝(10) 전단의 전단스텝(40)에 구성된 0.5스텝 회전수단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스토퍼수단 역시 작동되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후륜을 구속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탑재구간으로부터 휠체어나 전동카트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연결수단의 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1스텝(10)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구간에 들어서면서 계단을 형성하게 되면 2스텝(20)은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1단 상승하고, 3스텝(30)은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2단 상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2스텝(20)과 3스텝(30)의 상승에 의해 2스텝(20) 하부의 1단 승강링크(110)와 3스텝(30) 하부의 2단 승강링크(120)는 1단 및 2단으로 펼쳐지게 되고,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3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승강링크 고정수단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120)의 고정이 이루어져 2스텝(20)과 3스텝(3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스텝(20)과 3스텝(30)은 스텝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은 평면상의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휠체어 탑재구간에 0.5스텝(50)을 더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는 3.5스텝의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기종에 상관없이 탑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한 상태로 상부측 랜딩구간 또는 하부측 랜딩구간으로 이송되어 들어서게 되면 0.5스텝(50)은 역방향 회전을 통해 원위치 되면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일단 멈추게 된다. 이처럼 목적하는 위치의 랜딩구간에 들어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일단 멈추게 되면 휠체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는 휠체어 탑재구간을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 탑재구간에 탑재된 휠체어나 전동카트가 휠체어 탑재구간을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해당 위치에 설치된 탑재모드 전환장치에 의한 휠체어 탑재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재이송이 이루어지면 스토퍼수단이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3스텝의 내부로 은닉되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해당 위치의 랜딩구간을 벗어나기 전에 탑재모드 전환장치의 일반모드 전환에 따라 작동수단이 역으로 구동되어 스텝 연결수단의 역가동을 통해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상호 연결이 분리되고, 승강링크 고정수단에 역방향 작동에 의해 1단 승강링크(110)와 2단 승강링크(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모드의 전환에 따라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상호 연결이 분리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2스텝(20)과 3스텝(30)은 하강하여 일반모드 상태로 원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탑재모드 전환장치가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1단 승강링크(110)는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군 중 1스텝(10)을 기준으로 후단의 2스텝(20) 하부에 설치되어 2스텝(20)의 승강시 1단 승강을 통해 2스텝(2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링크의 구성이 1단 상승에 맞게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1단 승강링크(110)는 2스텝(20)의 하부의 구조에 설치 고정되어 2스텝(2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펼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2단 승강링크(120)는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군 중 2스텝(20) 후단의 3스텝(30) 하부에 설치되어 3스텝(30)의 승강시 2단 승강을 통해 3스텝(30)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상승시 1스텝(1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링크의 구성이 2단 상승에 맞게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2단 승강링크(120)는 3스텝(30)의 하부의 구조에 설치 고정되어 3스텝(30)의 상판이 1스텝(10)과 동일 높이로 상승시 펼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텝 연결수단은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평면상의 탑재구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텝 연결수단은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을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송시 평면상의 탑재구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텝 연결수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스텝 연결수단은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 각각의 하부면 양측 동일선상에 가이드홈(140a)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연결편(140) 및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에 구성된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 상에 전후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142a)이 형성된 연결바(14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텝 연결수단은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을 통해 1스텝(10)측 연결바(142)는 2스텝(2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는 한편 2스텝(20)측 연결바(142)는 3스텝(3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휠체어 탑재구간의 형성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편(140)과 연결바(142)는 1스텝(10)이 2스텝(20)과 3스텝(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텝 연결수단의 구성에서 1스텝(10)측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의해 2스텝(2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1스텝(10)과 2스텝(20)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2스텝(20)측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에 의해 3스텝(30)측 연결편(140)의 가이드홈(140a)으로 삽입되어 2스텝(20)과 3스텝(30)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면 이송이 이루어지면 2스텝(20)과 3스텝(30)은 1스텝(10)의 평면을 이룬 상태로 휠체어 탑재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동수단은 스텝 연결수단의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의 연결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수단은 도 3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스텝(10)과 2스텝(20)의 하부측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회전 구동을 통해 스텝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수단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동수단은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50), 회전축(150) 각각의 양단에 구성되어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에 구성된 연결바(142)의 랙(142a)과 치결합되는 피니언(152),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154), 구동축(154)의 하단에 구성된 스프로킷(156) 및 구동축(154)의 회전력을 회전축(150)에 전달하는 베벨기어(158)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작동수단은 탑재모드 전환장치와의 치결합에 의한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스프로킷(156)의 회전은 구동축(154)과 베벨기어(158)를 통해 회전축(15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15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142)은 치결합된 연결바(142)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바(142)에 의한 1스텝(10)과 2스텝(20) 및 3스텝(30)이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수단은 탑재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스프로킷(156)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구동축(154)과 베벨기어(158)를 통해 회전축(1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피니언(152)에 치결합되는 랙(142a)이 형성된 연결바(142)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1스텝(10)과 2스텝(20)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56)을 포함한 구동축(154)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열 설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승강판(163)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다수의 지지대(162)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승강을 통해 스프로킷(156)과 랙(165)의 치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 탑재모드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에스컬레이터 장치 110. 1단 승강링크
120. 2단 승강링크 140. 연결편
142. 연결바 150. 회전축
152. 피니언 154. 구동축
156. 스프로킷 158. 베벨기어
160. 베이스 플레이트 161. 가이드
162. 지지대 163. 승강판
165. 랙
120. 2단 승강링크 140. 연결편
142. 연결바 150. 회전축
152. 피니언 154. 구동축
156. 스프로킷 158. 베벨기어
160. 베이스 플레이트 161. 가이드
162. 지지대 163. 승강판
165. 랙
Claims (3)
- 휠체어나 전동카트의 탑재구간을 형성하는 스텝군이 구비되어지되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텝군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탑재구간에 휠체어나 전동카트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로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트러스 상에 설치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
상기 가이드 각각의 가이드공 상에 상하로 출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으로 설치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 하부면 중심에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름롤러, 상기 구름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에 전후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지되 구름롤러의 구름면에 면접촉되어 구름롤러를 승강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전후로 직선 이동시키는 전동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져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판 작동수단; 및
상기 승강판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어지되 스프로킷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치결합되는 랙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하부측 랜딩구간과 상부측 랜딩구간 각각의 트러스 상에 설치되어지되 하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승모드 전환장치와 상부측 랜딩구간에 설치된 탑승모드 전환장치의 랙은 상호 역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로킷이 하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정회전이라면 상부측 랜딩구간에서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결바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져 상기 스텝군의 연결이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574A KR101644625B1 (ko) | 2014-05-30 | 2014-05-30 |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574A KR101644625B1 (ko) | 2014-05-30 | 2014-05-30 |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049A KR20150139049A (ko) | 2015-12-11 |
KR101644625B1 true KR101644625B1 (ko) | 2016-08-16 |
Family
ID=5502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6574A KR101644625B1 (ko) | 2014-05-30 | 2014-05-30 |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46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3782B1 (ko) | 2020-12-31 | 2022-05-30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황인지형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9758B2 (ja) * | 1990-06-18 | 1996-09-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スカレ―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53907A (en) * | 1992-11-18 | 1994-10-11 | Kabushiki Kaisha Toshiba | Dual-purpose escalator for wheelchair |
JP2768223B2 (ja) | 1993-01-13 | 1998-06-25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スカレータ装置 |
JP3102534B2 (ja) | 1993-05-13 | 2000-10-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スカレーター装置 |
JP2574799Y2 (ja) | 1993-08-05 | 1998-06-18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スカレータ装置 |
JPH11246156A (ja) | 1998-03-05 | 1999-09-14 | Toshiba Corp |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 |
JP2010137982A (ja) | 2008-12-15 | 2010-06-24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車いす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6574A patent/KR1016446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29758B2 (ja) * | 1990-06-18 | 1996-09-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スカレ―タ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3782B1 (ko) | 2020-12-31 | 2022-05-30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황인지형 스마트 에스컬레이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049A (ko) | 2015-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11433B2 (en) |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 |
KR101644622B1 (ko) | 3.5 스텝구조의 장애인 탑승구조의 에스컬레이터 장치 | |
KR101644625B1 (ko) | 에스컬레이터의 장애인 탑승모드 전환장치 | |
CN105016174A (zh) |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 |
CN107673171B (zh) | 一种轨道下吊式电车 | |
KR101243665B1 (ko) |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휠체어 램프 | |
JP6321900B2 (ja) | 低高地用交通システム | |
JP2570392B2 (ja) | 車椅子乗用踏段付エスカレータ | |
KR101646652B1 (ko) | 에스컬레이터의 휠체어 스토퍼 장치 | |
CN204778187U (zh) |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 |
KR101732919B1 (ko) | 에스컬레이터용 휠체어 탑재구간의 0.5 스텝장치 | |
CN208716636U (zh) | 壁挂式无障碍通道爬楼机 | |
JP3206451U (ja) | 乗物遊具 | |
KR101913710B1 (ko)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연결장치 | |
KR101863339B1 (ko) |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지지구조 | |
JP2581176B2 (ja) | エスカレータ装置 | |
RU2509711C2 (ru) | Подъемник для прямолинейных лестничных маршей | |
CN220745038U (zh) | 一种辅助上楼机 | |
CN115611220B (zh) | 一种水下平台中方便于设备吊装进出舱的方法 | |
JP3084038U (ja) | 階段昇降機 | |
CN219058232U (zh) | 一种多厢连续循环运行电梯 | |
RU32097U1 (ru) | Подъемник для инвалидов | |
JPH0772072B2 (ja) | 複数の籠が昇降手段に設置の複数レーン付き高速エレベーター | |
KR0136707Y1 (ko) | 화물차용 발판의 승.하강장치 | |
JP2569204B2 (ja) | エスカレ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