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32384B1 -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 Google Patents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384B1
KR101632384B1 KR1020140046078A KR20140046078A KR101632384B1 KR 101632384 B1 KR101632384 B1 KR 101632384B1 KR 1020140046078 A KR1020140046078 A KR 1020140046078A KR 20140046078 A KR20140046078 A KR 20140046078A KR 101632384 B1 KR101632384 B1 KR 101632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ensor
water
mode
s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578A (ko
Inventor
안장기
Original Assignee
안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장기 filed Critical 안장기
Priority to KR102014004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8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근접센서의 작동 오프모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였을 때에만 작동하는 손근접시에작동하는모드, 항상 작동하는 모드로 총 세가지 모드로 작동하는 수도꼭지 부착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Omitted}
본 발명은 수도꼭지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돗물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세가지 모드의 물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용 기구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주로 주방의 싱크대나 샤워장에 설치되어 그릇 또는 신체 일부분을 닦을 수 있도록 물을 배출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도꼭지를 통해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냉ㆍ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도배관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수도꼭지를 개폐하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레버로는 주로 수동레버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수동레버를 냉수용과 온수용으로 분리하여 각각 따로 설치하거나, 하나의 수동레버를 통해 냉ㆍ온수를 선택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수동레버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반드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공중이 이용하는 시설물에서는 종종 수동레버를 조작한 상태로 방치하여 불필요한 물 낭비가 발생하곤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작동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센서형 자동 수도꼭지를 제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수도꼭지의 끝 부분에 사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이 센서의 작동에 의해 수도꼭지가 물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필요한 경우에만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물이 나오도록 하는 것은 종래에 알려진 기술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항상 물이 나올 수 있거나 혹은 근접센서에 손을 갖다 대어도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모드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술적 요지가 있다.
특히 불필요한 물의 낭비가 심한 주방용 싱크대 수돗물에 있어서 전솔한 세가지의 요구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근접센서에 의한 자동화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에 착안하여 본 발명이 착안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4237
본 발명에서는 수도꼭지의 작동이 세가지 모드, 즉 사람의 손이 감지될 때에만 작동하는 모드와, 항상 센서가 작동하여 물이 흘러 내리는 모드와, 센서가 작동을 항상 멈추어 있는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부착한 수도꼭지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1)를 포함한 수도꼭지장치에 있어서,
수도꼭지(2) 하우징에 장착되는 감지센서(4);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수도물을 배출시키거나 억제하는 제어부;
수도꼭지 단부에 형태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고 수도꼭지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a);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2몸체 및 제3몸체(1b, 1c);
상기 제2몸체(1b)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4)와 대면되는, 흑색의 비감지물체(1-1);
상기 제3몸체(1c)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와 대면되는, 색상이 흑색이 아닌 상시감지물체(1-2);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어,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시 작동부재(1)가 벌어지도록 절개된 절개된 절개부(1-5);
를 포함하는,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가 제시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수도꼭지 근처에 손을 갖다 대어도 물이 나오지 않는 모드 및 상시감지물체를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나오는 모드 그리고, 손을 수도꼭지에 갖다 댈 경우에만 물이 배출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ㅈ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배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부재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단면도로서 감지센서와 비감지물체가 대면하고 있는 측단면도
도 3은 작동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상태에서 작동부재를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배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부재가 수도꼭지에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단면도로서 감지센서와 비감지물체가 대면하고 있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작동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태에서 작동부재를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1)를 포함한 수도꼭지장치에 있어서,
수도꼭지(2) 하우징에 장착되는 감지센서(4);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수도물을 배출시키거나 억제하는 제어부;
수도꼭지 단부에 형태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고 수도꼭지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a);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2몸체 및 제3몸체(1b, 1c);
상기 제2몸체(1b)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4)와 대면되는, 흑색의 비감지물체(1-1);
상기 제3몸체(1c)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와 대면되는, 색상이 흑색이 아닌 상시감지물체(1-2);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어,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시 작동부재(1)가 벌어지도록 절개된 절개된 절개부(1-5); 를 포함하는,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가 제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도꼭지에 부착하는 장치인 작동부재(1)는 상부에는 원형 후프 형태로 되어 있는 제1몸체(1a)와, 상기 제1몸체의 일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제3몸체(1b, 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는 수도꼭지 단부에 대응된 형태이면 되므로, 반드시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제3 몸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된 사이 공간은 손근접시에작동하는모드 위치(1-3)에 해당한다.
즉 손근접시에작동하는모드 위치는, 도 2와 같이 수도꼭지에 미리 장착된 감지센서 직하부 위치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몸체(1b)의 단부에는 판상의 비감지물체(1-1)이 결합되어 있으며, 제3몸체(1c)의 단부에는 판상의 상시감지물체(1-2)이 결합되어 있다.
작동부재(1)는 상기의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도 1과 같이 수도꼭지 단부 외곽을 감싸고 있는 구조를 취하면서, 도 4와 같이 사용자는 작동부재(1)를 쥐고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비감지물체(1-1)가 감지센서(4)의 직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감지센서는 수도꼭지 하우징에 장착되며, 수도꼭지 하부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작동부재를 도 1과 같이 장착하였을 때, 비감지물체 혹은 상시감지물체가 위치한 곳의 직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
물론, 도 2와 달리 감지센서가 물체를 인식하는 방향이 도 2와 같이 수도꼭지 하방일 경우가 바람직하지만, 그외에도 도 2의 A 위치(수도꼭지 측면)에 장착함과 동시에, 그 A 위치에 대응하여, 상시감지물체와 비감지물체를 도 3과 달리, 제2, 제3몸체(1b,1c)의 측면으로 각각 위치하게 각각 할 수도 있다. 즉 센서와 1-1, 1-2 물체들을 대면시킬 수 있는 형태로 장착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것이다.
근접적외선센서가 바람직하며, 이 센서는 검정색을 센서에 근접시켜놓을 때에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는 센서에서 방출되는 빛을 모두 검정색이 흡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비감지물체(1-1)는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작동부재(1)를 회전시켜서 도 2와 같은 위치 즉, 감지센서(4)의 직하부에 비감지물체(1-1)이 위치하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을 수도꼭지 아래에 가져다 대어도 물이 방출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가 필요한 상황은, 설겆이를 하다가 물이 배출되지 않기를 원할 때, 예를 들어 식기세제를 그릇에 붓거나 수세미로써 그릇에 문지르는 동작을 할 때 혹은 세면기 바닥이나 주변 청소시, 물의 낭비를 막고자 비감지물체(1-1)를 감지센서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감지센서(4)를 돌려 놓으면 된다.
한편, 사용자는 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기를 원할 경우가 있다. 즉, 감지센서(4)의 직하부에 상시감지물체(1-2)를 위치시키면, 감지센서에서는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하며, 이러한 신호는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물이 계속 방출되게 된다.
상시감지물체(1-2)는 흑색을 제외한 색상의 물체이어야 한다. 이경우에는 근접적외선 센서로부터 나온 빛의 반사가 이루어져서 감지센서가 온 되므로, 지속적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큰 물통에 물을 계속 받고자 할 경우에는 상시감지물체(1-2)를 감지센서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작동부재를 회전하면 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의 비감지물체(1-1)와 상시감지물체(1-2) 사이의 공간은 손근접시에작동하는모드위치(1-3)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태는 종래 알려진 수도꼭지 근처에 사용자가 손을 갖다 대었을 때에만 물이 배출되는 모드에 해당한다.
즉 세척이 끝난 식기류들을 헹군 다음, 보관대로 옮기는 과정에서도 계속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자동으로 멈추게 함으로써 물 낭비를 줄이고 또한 세제, 비누 등으로 세척 후의 물의 배출을 위하여 수동레버 작동시 수동레버에 묻은 세제나 비누를 다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추가적인 물 낭비도 없다.
이러한 기술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세가지 물 배출 또는 배출억제 모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모드는, 도 3의 비감지물체(1-1)을 감지센서(4)의 직하부에 두는 모드, 둘째 모드는, 비감지물체와 상시감지물체(1-1,1-2) 사이의 개방된 공간(1-3)에 두는 모드, 세째 모드는, 상시감지물체(1-2)를 감지센서(4)의 직하부에 두는 모드이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수도물 낭비를 막는 방법은 상기 둘째 모드와 일치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첫째모드(수도꼭지 근처에 손을 갖다 대어도 물이 나오지 않는 모드) 및 세째모드(상시감지물체를 감지센서가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나오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단지 작동부재(1)를 R1, R2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한편, 작동부재의 제1몸체에는 절개부(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경우 작동부재를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시 약간 벌려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1:작동부재 1a:제1몸체 1b:제2몸체 1c: 제3몸체
2: 수도꼭지
1-1:비감지물체
1-2:상시감지물체
1-3:손근접시에작동하는모드 위치 1-5 절개부
4:감지센서

Claims (1)

  1.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1)를 포함한 수도꼭지장치에 있어서,
    수도꼭지(2) 하우징에 장착되는 감지센서(4);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수도물을 배출시키거나 억제하는 제어부;
    수도꼭지 단부에 형태에 대응된 형상을 가지고 수도꼭지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a);
    상기 제1몸체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2몸체 및 제3몸체(1b, 1c);
    상기 제2몸체(1b)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4)와 대면되는, 흑색의 비감지물체(1-1);
    상기 제3몸체(1c)의 일측에 형성되고, 작동부재가 회전됨에 따라서 감지센서와 대면되는, 색상이 흑색이 아닌 상시감지물체(1-2);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어, 수도꼭지 단부에 장착시 작동부재(1)가 벌어지도록 절개된 절개된 절개부(1-5);
    를 포함하는,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KR1020140046078A 2014-04-17 2014-04-17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32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078A KR101632384B1 (ko) 2014-04-17 2014-04-17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078A KR101632384B1 (ko) 2014-04-17 2014-04-17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578A KR20150120578A (ko) 2015-10-28
KR101632384B1 true KR101632384B1 (ko) 2016-06-22

Family

ID=5442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0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2384B1 (ko) 2014-04-17 2014-04-17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75A (ko) 2018-12-17 2020-06-25 박민혁 센서가 장착된 자동 거품비눗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555B2 (ja) * 1993-03-15 1999-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人体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7099A (en) * 1993-03-31 1995-03-14 Pilolla; Joseph J. Sink arrangement with faucet having dual operational mode
JPH1025779A (ja)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自動水栓
CN101137797B (zh) * 2005-01-13 2010-06-23 理想标准国际公司 具有可选的自动模式和手动模式的近程龙头
KR200444237Y1 (ko) 2007-09-11 2009-04-22 김창진 수동자동겸용 분리형 절수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555B2 (ja) * 1993-03-15 1999-09-06 松下電工株式会社 人体検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75A (ko) 2018-12-17 2020-06-25 박민혁 센서가 장착된 자동 거품비눗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578A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63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the supply of a medium, devices of this type comprising washing or drying units and a corresponding method
US9062790B2 (en) System and method to position and retain a sensor in a faucet spout
EP2700854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overriding a solenoid valve of a faucet
US11732450B2 (en) Sink with integrated rinse feature
US8876025B1 (en) Variable flow showerhead
KR101632384B1 (ko)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JP6300141B2 (ja) トイレ用設備
AU2015351375A1 (en) Automatic water faucet
JP2002356889A (ja) 自動吐水機器
JP2009108490A (ja) 自動水栓
JPS6095038A (ja) 自動水栓
JP2012067537A (ja) 自動水栓
KR200454436Y1 (ko) 싱크대용 수도밸브 자동개폐장치
KR20190072080A (ko) 절수형 자동 수전
CA2574050A1 (en) Urinal with hygienic sprinkler
JP2012211448A (ja) 給水装置
KR20130064524A (ko) 소변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US20240301671A1 (en) Sanitary fit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anitary fitting
JP6382748B2 (ja) 自動水栓
JP6367096B2 (ja) 自動水栓
KR200344204Y1 (ko) 세척액의 자동공급을 위한 수전금구 구조
JP2004116148A (ja) 便器洗浄装置
JP2016108773A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