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26B1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5426B1 KR101635426B1 KR1020150146773A KR20150146773A KR101635426B1 KR 101635426 B1 KR101635426 B1 KR 101635426B1 KR 1020150146773 A KR1020150146773 A KR 1020150146773A KR 20150146773 A KR20150146773 A KR 20150146773A KR 101635426 B1 KR101635426 B1 KR 101635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asing
- tube
- shrinkable
- she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16L59/18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shrink-down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 외측으로 열수축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c는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d는 열수축 케이싱을 2개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켜 열을 인가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e는 열수축 케이싱이 수축되어 밀폐되고, 내부로 우레탄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제조를 위한 연결관체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양단부 외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연결관체의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 따라 내부로 성형틀이 삽입되고, 연결관체 양단 각각에 열수축성 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3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용착용 히터에 의해 접착부가 융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3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양측 끝단 외면 각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내부로 성형틀을 삽입한 후, 양단 각각에 열수축성 시트를 권취한 연결관체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시트 융착용 히터에 의해 권취된 열수축성 시트의 권취방향 끝단을 융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A-A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융착용 히터에 의해 열수축성 시트와 연결관체의 접착부가 융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전기로에 의해 열수축성 시트가 한몸체가 된 상태의 단면도,
도 4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양측 끝단 외면 각각에 열선시트를 권취한 상태의 연결관체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연결관체 양단 각각에 열수축성 관을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전기융착기에 의해 접촉부에서 열수축성 관과 연결관체가 융착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연결관체 양측 끝단 외면 각각에 열선시트를 권취하고, 내부로 성형틀을 삽입하고, 양단 각각으로 열수축성 시트를 권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시트 융착용 히터에 의해 권취된 열수축성 시트의 권취방향 끝단을 융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융착용 히터에 의해 열수축성 시트와 연결관체의 접착부가 융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전기로에 의해 열수축성 시트가 한몸체가 된 상태의 단면도,
도 6e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7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측 끝단 내면에 접착부재 도포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용접하고, 연결부 외측으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열을 가하여 열수축성 관 또는 열수축성 시트가 수축되어 밀봉된 상태의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케이싱과 이중보온관의 사이공간으로 우체탄 폼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면에 접착부재 도포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이중보온관의 내관 끝단을 서로 용접하고, 연결부 외측으로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을 가하여 열수축성 관 또는 열수축성 시트가 수축되어 밀봉된 상태의 단면도,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케이싱과 이중보온관의 사이공간으로 우체탄 폼이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2:보호층
3:외관
4:우레탄폼
5:열수축 케이싱
6:접착부재
10:이중보온관
20:연결관체
21:접착제
22:열선시트
23:전기융착기
24:코드선
30:성형틀
40:열수축성 관
41:열수축성 시트
50:융착용 히터
51:시트 융착용 히터
60:오븐
100: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Claims (5)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은, 연결관체와, 내면 일측 각각이 상기 연결관체의 양끝단 외면에 융착, 결합되어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성 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연결관체의 양끝단 외면 각각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선시트를 권취하는 단계;
내면 일측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 또는 열선시트가 권취된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관체의 양단 각각에 열수축성 관을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열수축성 관이 접촉된 접촉부 각각을 융착용 히터에 의해 가열하거나, 전기 융착기에 의해 상기 열선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열수축성 관을 융착 결합시켜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열수축성 관 외측 내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는 단계;
연결을 위한 한 쌍의 이중보온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케이싱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
한 쌍의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접촉시켜 용접하고, 상기 케이싱을 한 쌍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열수축성 관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케이싱에 의해 연결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이중보온관 사이 공간에 보온재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은, 연결관체와, 내면 일측 각각이 상기 연결관체의 양끝단 외면에 융착, 결합되어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연결관체의 양끝단 외면 각각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선시트를 권취하는 단계;
일측이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 또는 상기 열선시트가 권취된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관체의 양단 각각에 상기 열수축성 시트를 권취시키는 단계;
시트 융착용 히터에 의해 권취된 상기 열수축성 시트의 권취방향 끝단 측을 가열하여 상기 열수축성 시트 끝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열수축성 시트가 접촉된 접촉부 각각을 융착용 히터에 의해 가열하거나, 전기 융착기에 의해 상기 열선시트를 가열하여, 상기 연결관체와 상기 열수축성 시트를 융착 결합시키는 단계;
가열로 내에서 상기 열수축성 시트를 일체화시켜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의 열수축성 시트 외측 내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는 단계;
연결을 위한 한 쌍의 이중보온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케이싱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
한 쌍의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접촉시켜 용접하고, 상기 케이싱을 한 쌍의 이중보온관의 연결부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열수축성 시트에 열을 인가하여, 상기 케이싱에 의해 연결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이중보온관 사이 공간에 보온재를 충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773A KR101635426B1 (ko) | 2015-10-21 | 2015-10-21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773A KR101635426B1 (ko) | 2015-10-21 | 2015-10-21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5426B1 true KR101635426B1 (ko) | 2016-07-01 |
Family
ID=5650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6773A Active KR101635426B1 (ko) | 2015-10-21 | 2015-10-21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542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7346B1 (ko) * | 2016-10-17 | 2017-05-29 |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KR101878233B1 (ko) * | 2017-09-28 | 2018-07-13 | 세인스틸 주식회사 |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
KR101936105B1 (ko) * | 2017-07-26 | 2019-01-08 | 세인스틸 주식회사 |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
KR102683375B1 (ko) * | 2023-12-28 | 2024-07-10 | 세인스틸 주식회사 | 이중보온관의 연결부가 강화된 듀얼 열수축케이싱 덮개용 시트 및 설치방법 |
KR102714417B1 (ko) * | 2023-12-05 | 2024-10-11 | 신동열 | 배관 연결 장치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0275A (ja) * | 2001-10-26 | 2003-05-08 | Sekisui Chem Co Ltd | 管接続方法 |
KR20060014306A (ko) * | 2004-08-10 | 2006-02-15 | 김진만 | 열수축시트를 이용한 열수축관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및 열수축시트 부착용 클램핑바 |
KR100625895B1 (ko) | 2005-01-14 | 2006-09-20 | 김진만 | 열수축성관 |
KR100839205B1 (ko) | 2007-05-21 | 2008-06-17 | 김진만 | 열배관망의 이중보온관 이음부 연결 시공방법 |
KR20110100388A (ko) * | 2010-03-04 | 2011-09-14 | 김진만 | 이음부 포밍을 이용한 열수축성 이중보온관의 시공방법 |
KR20110108865A (ko) * | 2010-03-30 | 2011-10-06 | (주)강화이엔씨 |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
KR20130108093A (ko) | 2010-05-19 | 2013-10-02 | 셔코 리미티드 | 튜브형 섹션들 간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 부재, 및 연결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 부재의 이용방법 |
KR101382415B1 (ko) | 2013-02-28 | 2014-04-10 |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
-
2015
- 2015-10-21 KR KR1020150146773A patent/KR10163542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0275A (ja) * | 2001-10-26 | 2003-05-08 | Sekisui Chem Co Ltd | 管接続方法 |
KR20060014306A (ko) * | 2004-08-10 | 2006-02-15 | 김진만 | 열수축시트를 이용한 열수축관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및 열수축시트 부착용 클램핑바 |
KR100625895B1 (ko) | 2005-01-14 | 2006-09-20 | 김진만 | 열수축성관 |
KR100839205B1 (ko) | 2007-05-21 | 2008-06-17 | 김진만 | 열배관망의 이중보온관 이음부 연결 시공방법 |
KR20110100388A (ko) * | 2010-03-04 | 2011-09-14 | 김진만 | 이음부 포밍을 이용한 열수축성 이중보온관의 시공방법 |
KR101147507B1 (ko) | 2010-03-04 | 2012-05-21 | 김진만 | 이음부 포밍을 이용한 열수축성 이중보온관의 시공방법 |
KR20110108865A (ko) * | 2010-03-30 | 2011-10-06 | (주)강화이엔씨 |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
KR20130108093A (ko) | 2010-05-19 | 2013-10-02 | 셔코 리미티드 | 튜브형 섹션들 간의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 부재, 및 연결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 부재의 이용방법 |
KR101382415B1 (ko) | 2013-02-28 | 2014-04-10 | 주식회사 목산인터트레이드 |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7346B1 (ko) * | 2016-10-17 | 2017-05-29 |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KR101936105B1 (ko) * | 2017-07-26 | 2019-01-08 | 세인스틸 주식회사 |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
KR101878233B1 (ko) * | 2017-09-28 | 2018-07-13 | 세인스틸 주식회사 |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
KR102714417B1 (ko) * | 2023-12-05 | 2024-10-11 | 신동열 | 배관 연결 장치 |
KR102683375B1 (ko) * | 2023-12-28 | 2024-07-10 | 세인스틸 주식회사 | 이중보온관의 연결부가 강화된 듀얼 열수축케이싱 덮개용 시트 및 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5426B1 (ko)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
EP2572134B1 (en) | Casing member for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ubular sections and use thereof for forming connections | |
KR101737346B1 (ko) |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 그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 연결용 케이싱을 이용한 이중보온관 연결방법 | |
EP2800921B1 (en) | Heat-shrinkable tube covering | |
KR20170072292A (ko) | 폴리에틸렌 파이프라인의 전기융합을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
KR101887912B1 (ko) |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 |
KR102404567B1 (ko) |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 |
KR101382415B1 (ko) | 관 연결 방법 및 장치 | |
KR101878233B1 (ko) |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AU2011288891B2 (en) | Internal electrofusion ring coupler | |
KR101655315B1 (ko) | 이중보온관용 열수축관 우레탄 폼 발포 홈 마개, 그 홈 마개의 제조방법, 및 그 발포 홈 마개의 설치방법 | |
KR101935027B1 (ko) | 이중보온관의 웰딩 플러그 및 그의 설치방법 | |
KR101936105B1 (ko) |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의 케이싱 제조방법과 케이싱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설치방법 | |
EP2253876B1 (en) | heatshrinkable sleeve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25895B1 (ko) | 열수축성관 | |
EP2580511B1 (en) | Shrink sleeve for joining insulated pipes | |
KR20220071596A (ko) | 열손실을 최소화한 보온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연결방법 | |
KR200417002Y1 (ko) |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 |
KR101341053B1 (ko) | 관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712103B1 (ko) | 이중보온관의 연결부가 강화된 듀얼 열수축케이싱의 제조 및 설치방법 | |
JP2011158007A (ja) | 樹脂管の熱融着具 | |
KR101044931B1 (ko) | 수밀용 열수추관 연결방법 | |
KR100562162B1 (ko) | 합성수지관 연결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 |
KR200402687Y1 (ko) |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 |
JP2681069B2 (ja) | 長手体および曲り体の被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