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35140B1 - 인공지능형 석션기 - Google Patents

인공지능형 석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140B1
KR101635140B1 KR1020157000620A KR20157000620A KR101635140B1 KR 101635140 B1 KR101635140 B1 KR 101635140B1 KR 1020157000620 A KR1020157000620 A KR 1020157000620A KR 20157000620 A KR20157000620 A KR 20157000620A KR 101635140 B1 KR101635140 B1 KR 10163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theter
suction
unit
bronch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길
Original Assignee
(주)엘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메카 filed Critical (주)엘메카
Priority to KR102015700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66
    • A61M1/0031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석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환자의 기관지에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서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이동하는 튜브부, 및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튜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기관지에 이물질의 발생 여부를 직접 파악하여 자동 구동되는 석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공지능형 석션기{SUCTION PUMP OF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본 발명은 석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사용자 호흡기 내부의 이물질 발생을 파악해 카테터를 주입하여 흡입하는 인공지능형 석션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석션기는 병원에서 시술을 하면서 환자의 몸속으로부터 발생되는 피, 타액, 구토물 및 분비물 등의 이물질을 용기로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가정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상시 석션기를 장착하고 보호자나 간호사들이 이물질을 기도나 수술부위에서 빼내는 일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석션기는 이물질 및 기타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석션기에 흡입력을 부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오물들이 이동하는 석션관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석션기는 소음이 크고, 환자 또는 보호자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이물질들은 수면 중에도 발생하여 환자의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 간병인 및 보호자가 수시로 석션기를 구동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석션기는 환자에게서 오는 반응을 통해서 수시로 환자내의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고,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수시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물질을 제거할 때마다 오염문제로 교체해야 하는 카테터에 대한 지출이 크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403658호는 환자의 체내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의료용 석션 카테타의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1279451호는 자동으로 적출물의 하수 처리가 가능한 의료용 석션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개시된 기술들은 작동함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위생적이지만,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편의성을 만족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건강을 위해 환자에게서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하고, 보호자나 간호사들의 편의성과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석션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기관지 내부의 이물질을 스스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카테터를 주입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는, 환자의 호흡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환자의 기관지에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서 상기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이동하는 튜브부; 및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일정시간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FM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값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기관지에 이물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브부를 상기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관지 내부로 삽입된 튜브부의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진공압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브부의 흡입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 구조의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감겨져 있는 회전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회전릴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기관지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제1 커프, 및 상기 제1 커프의 하부에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제2 커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프 및 상기 제2 커프는 상호 교번되도록 팽창 및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제1 커프 상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 및 상기 제1 커프가 수축하고 상기 제2 커프가 부풀어올라 상기 제2 커프 상부에 이물질이 형성된 경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질의 흡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외부 구동체로부터의 흡입압을 감압하는 감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션기는 기존의 석션기와 달리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 MFM)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일상호흡상태를 파악하여 호흡이상이 감지된 경우에만 카테타를 기관지 내부로 이동 삽입되며, 기관지 내부에서의 이동중 기관지 내부로 삽입된 카테타의 흡입 단부에서 측정되는 진공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이물질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카테타의 흡입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석션기는 사용자의 기관지에 이물질이 발생했을 경우에만 이물질을 흡입하기 때문에 환자의 통증 및 전력소모량이 적고, 호흡이상 및 이물질의 감지에 의해 자동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도 보호자 없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석션기에 구비된 카테타는 호흡 이상이 감지된 경우에만 기관지 내부로 이동 삽입되며, 정상상태에서는 기관지에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호흡상의 불편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된 MFM 센서는 불변성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므로 낮은 흐름의 가스의 측정에 유리하고, 가스의 볼륨이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흘러가는 가스의 질량을 정확한 값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는 간이호흡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호흡상태가 불규칙하거나 곤란할 경우 간이호흡기능을 통해 폐기능을 개선할 수 있고, 응급상황일 경우에 사용자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이호흡기능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의 흡기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주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폐기능의 개선과 단련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위생상의 문제로 인해 일회용으로 사용되어 높은 유지비용을 발생시키던 카테터를 식염수 세척 등을 통해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제1 및 제2 커프들은 번갈아 팽창하고 수축하면서 사용자의 기관지의 염증이나 감염유발을 최소화하게 되며, 튜브부는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모터커버는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DC 모터 : BLDC 모터)를 커버하며, BLDC 모터가 발산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환자나 유아 등에게 부합하는 사용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비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환자는 석션기가 미작동하는 상황에서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비상버튼은 장비가 이상작동시 누름으로써 환자를 보호 할 수 있고, 석션기에 연결된 비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환자는 석션기가 미작동하는 상황에서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 등의 통신 장비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일상호흡상태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에 제어부는 보호자나 의료진에게 경고 메세지를 발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포함되는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은 도 2에서의 카테터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카테터릴이 T튜브를 통해 기관지에 삽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포함되는 튜브부에 연결할 수 있는 T튜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의 다른 방향에서 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의 입력부 상의 구동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저장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록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의 튜브부의 다른 방향에서 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서와 튜브부와 석션시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회전휠의 회전 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석션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10)는, 커버부(20), 구동부(30), 저장부(40), 센서부(50), 진공게이지(60), 분무기(70), 입력부(80), 필터(90), 저울(100), 튜브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커버부(20)는 전면커버(20a), 후면커버(20b) 및 모터커버(20c)를 포함하고, 전면커버(20a)에는 입력부(8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석션기(10)의 전원을 켜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구동부(30)는 드라이버(30a),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DC 모터 : BLDC 모터)(30b) 및 솔레노이드 밸브(30c)를 포함하며, 저장부(40)는 식염수 용기(40a)와 석션 용기(40b)를 포함하고, 센서부(50)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 MFM) 센서(50a)를 포함한다.
후면커버(20b)는 석션기(10)의 후면에 형성되고 전면커버(20a)와 결합하여 석션기(10)의 내부 장치들을 보호하고 소음을 차단하며, 외부오염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모터커버(20c)는 이중케이스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스폰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중케이스 구조는 상기 구동부(30)의 소음을 차단하고 진동을 줄이기 위해 형성된다. 모터커버(20c)로 인해 상시 석션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소음과 진동의 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드라이버(30a)는 제어부(120)로부터 받은 신호를 송신하여 BLDC 모터(30b)를 제어한다. 드라이버(30a)는 BLDC 모터(30b)의 열기와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BLDC 모터(30b)와 거리를 두고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커버(20c)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BLDC 모터(30b)는 드라이버(30a)와 연결되어 안정적이고 주기적으로 펌핑을 하게 된다. BLDC 모터(30b)는 석션기(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내부의 이물질의 흡입 및 사용자의 호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BLDC 모터(30b)는 BLDC 모터(BRUSHLESS DC)를 사용하게 된다.
BLDC 모터(30b)는 기존의 AC 모터와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과 FLOW RATE(NL/m), 모터의 구동주기를 전류의 증감으로 손쉽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가, 이물질 유무에 관계없이 계속적인 흡입 구동을 하지 않고, 이물질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선택적 흡입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BLDC 모터(30b)는 열에 강하고 소음이 적으며, 특히 ON/OFF시에 아크 발생이 없어 모터 수명이 일반 AC 모터의 3배 정도가 될 뿐만 아니라 소형화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구동부(30)에는 카테터(113a)를 통해 역류해서 들어오는 오물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해 오물방지 필터를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30c)의 내부 통로에는 통로를 차단하는 봉이 구비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30c)dp 구비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내부의 원통형 금속 막대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봉을 위로 밀어 올림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개방되게 된다.
한편, 코일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원통형 금속 막대가 하부로 이동하면, 봉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밸브를 차단하게 된다.
이물질을 흡입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물질을 흡일할 때,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다시 석션기(10)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MFM 센서(50a)와 식염수 용기(40a) 및 석션용기(40b)와 모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MFM 센서(50a)와 식염수 용기(40a) 및 석션용기(40b)와 각각 결합된 독립된 3개의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MFM 센서(50a)와 식염수 용기(40a) 및 석션용기(40b)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솔레노이드 밸브(30c)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40)는 식염수 용기(40a)와 석션 용기(40b)를 포함한다. 식염수 용기(40a)는 식염수로 채워져 있으며, 하부에 저울(100)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제작된다. 식염수 용기(40a)는 자체모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물질을 흡입하기 전에 식염수를 보내 이물질이 흡입하기 쉬운 상태를 만들게 된다. 식염수 용기(40a)는 식염수 교체와 청소를 위해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다.
식염수 용기(40a) 하부에는 저울(100)과 소형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저울(100)은 식염수 용기(40a) 내부의 식염수의 무게를 상시 측정하여 일정무게 이하로 벗어나면 제어부(120)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20)는 신호를 받아 입력부(80)를 통해 식염수 공급신호를 표시한다.
식염수 용기(40a)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흡입되기 전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되고, 식염수 용기(40a)의 식염수가 사용자의 기관지 내부에서 이물질과 혼합하여 이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식염수 용기(40a)는 사용자의 기관지에 들어가는 카테터(113a)와 연결되고, 자체 모터를 사용하여 식염수를 카테터(113a)에 펌핑하여 카테터(113a)의 살균 및 세척을 하게된다.
석션 용기(40b)는 석션기(10)의 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게 된다. 석션 용기(40b) 하부에는 저울(100)이 형성되어 있다. 석션 용기(40b)는 저울(100)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용량으로 형성된다. 석션 용기(40b)는 이물질들의 처리와 청소를 위해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다.
석션 용기(40b)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와 결합된다. 따라서 식염수 용기(40a) 내부의 식염수가 이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폐쇄된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물질을 흡입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폐쇄되고 MFM 센서(50a)와 연결된 제3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된다. 센서부(50)는 MFM 센서(50a)를 포함한다.
MFM 센서(50a)는 BLDC 모터(30b)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석션기(10)의 전체적인 무게에는 영향이 적다. MFM 센서(50a)는 가스의 질량을 측정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MFM 센서(50a)는 불변성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므로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확한 양의 가스 흐름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MFM 센서(50a)는 낮은 흐름의 가스의 측정에 유리하고, 가스의 볼륨이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흘러가는 가스의 질량을 정확한 값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석션기(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MFM 센서(50a)는 주로 CO2, Ar, Methane, Hydrogen 및 Nitrogen 등의 다양한 가스의 질량을 측정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석션기(10)를 사용하는 환자의 호흡으로부터 CO2의 질량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혈액순환, 호기, 흡기, 폐활량 및 폐기능 등의 복합적인 데이터들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는 MFM 센서(50a)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상태가 악화됨으로 인한 불안정한 호흡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MFM 센서(50a)는 환자의 일상호흡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일상호흡상태 정보란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의 질량(흡기질량, 호기질량) 또는 유량과 분당호흡수 등 사용자의 호흡상태의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의 기관지에 이물질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내쉬는 공기의 질량 또는 유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MFM 센서(50a)는 달라진 사용자의 흡기질량, 호기질량 또는 유량과 분당호흡수의 결과를 제어부(120)로 전송하며, 제어부(120)는 MFM 센서(50a)의 측정값을 통해 이러한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MFM 센서(50a)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신음 소리 등의 크기를 측정하는 음압 센서 등의 압력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관지에 발생한 이물질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환자는 무의식적으로 신음 소리를 내게 되며, 음압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신음 소리를 크기를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주관적 상태를 고려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센서부(50)에는 수분이 센서부(5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장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진공게이지(60)는 석션기(10)의 흡입압력을 나타내기 위해 전면커버(20a) 전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석션기(10)의 흡입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다면, 사용자의 호흡기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진공게이지(60)를 전면에 형성하여 정상적인 압력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진공게이지(60)는 안전하고 오류가 적은 아날로그 진공게이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무기(70)는 석션기(10) 측면 외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무기(70)는 사용자의 호흡이 곤란할 경우에 환자의 기도에 습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부(80)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입력부(80)가 형성된 위치에는 복수의 버튼을 형성하여 연령별 호흡 단계의 선택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입력부(80)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난해한 설명과 조작법에 대해 신경을 쓸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필터(90)는 식염수 용기(40a)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들어가는 공기를 정화시킨다.
저울(100)들은 식염수 용기(40a)와 석션 용기(40b) 하부에 형성되어 식염수 용기(40a)와 석션 용기(40b)에 들어있는 이물질들과 식염수의 무게를 측정한다.
식염수 용기(40a) 하부에 설치된 저울(100)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이 되는 경우에, 저울(100)은 중량 미만임을 알리는 중량미만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하며, 이에 제어부(120)는 입력부(80)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식염수 보충 요청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석션 용기(40b) 하부에 설치된 저울(100)의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을 초과하게 되면, 저울(100)은 중량 초과 상태임을 알리는 중량초과 신호를 제어부(120)로 전송하며, 이에 제어부(120)는 입력부(80)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이물질 비움 요청 메시지를 출력한다.
튜브부(110)는 석션기(10) 외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기관지 내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한다.
제어부(120)는 드라이버(30a) 상부에 형성된다. 제어부(120)는 MFM 센서(50a)로부터 수신되는 일상호흡상태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드라이버(30a)로 BLDC 모터(3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낸다. BLDC 모터(30b)는 드라이버(30a)에서 오는 신호를 통해 펌핑을 시작하고 튜브부(110)는 사용자의 기관지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석션기에 포함되는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브부(110)는 카테터릴(113)과 튜브커버(114)를 포함하고, 카테터릴(113)은 카테터(113a), 나사프레임(113b), 카테터릴케이스(113c), 스테핑 모터(113d) 및 오물통(41)을 포함한다.
카테터(113a)는 나사프레임(113b)의 돌출된 나사산 사이를 둘러싸며 감싸고 있으며, 나사프레임(113b)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카테터(113a)가 카테터릴(113)의 외부로 이동하거나 다시 카테터릴(113)의 내부로 돌아오게 된다.
즉, 나사프레임(113b)은 스테핑 모터(113d)와 결합되어 스테핑 모터(113d)의 회전을 통해 회전하게 되고 카테터릴케이스(113c)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프레임(113b)이 맞물려 스테핑 모터(113d)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카테터(113a)가 나사프레임(113b)의 돌출부들 사이에 감겨져 카테터(113a)와 나사프레임(113b) 사이에 장력과 마찰력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스테핑 모터(113d)의 회전으로 나사프레임(113b)이 회전하게 되고, 나사프레임(113b)의 회전 방향에 따라 카테터(113a)가 장력과 마찰력에 의해 회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카테터(113a)의 일단은 튜브커버(11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카테터릴(113)을 지나 오물통(41)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튜브커버(114)는 카테터릴(113)과 연결된 부분과 기관지로 향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로 4개의 돌출구가 형성되어 각각 MFM센서(50a), 식염수용기(40a), 네블라이져 및 필터(150)와 결합될 수 있다.
식염수용기(40a)와 연결되는 돌출구를 통해서 식염수가 카테터(113a)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카테터(113a)의 내부를 살균, 소독 및 이물질 제거를 하게 된다.
또한 카테터릴케이스(113c)와 연결된 3개의 식염수 호스는 식염수 용기(40a)에서 주입되는 식염수를 운반하여 카테터릴케이스(113c) 내부의 카테터(113a)의 외부 표면과 나사프레임(113b)를 살균 및 세척하게 된다.
필터(15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정화하고, 필터(150)와 결합된 돌출구는 필터(150)를 분리하고, 인공호흡기를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석션도중 환자의 호흡기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필터(150)를 분리하고, 인공호흡기를 연결함으로써, 환자의 호흡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MFM센서(50a)는 카테터(113a)의 앞쪽 부분에 연결되어 환자가 내쉬는 가스의 질량 흐름을 측정하고, 제어부(120)는 MFM센서(50a)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분석하여, 환자의 기관지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스테핑 모터(113d)를 구동시켜 카테터(113a)를 환자의 기관지로 삽입하거나 기관지로부터 빼내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튜브부에 포함되는 카테터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테터릴(113)은 카테터(113a), 나사프레임(113b), 스테핑 모터(113d) 및 카테터릴케이스(113c)를 포함한다.
카테터(113a)는 무독성의 실리콘이나 고무 및 탄성이 존재하는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프레임(113b)의 돌출부들 사이에 감겨져 마찰력과 장력에 의해 고정된다.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113d)는 나사프레임(113b)과 결합되며, 스테핑 모터(113d)의 회전에 의해 나사프레임(113b)이 회전하게 된다.
스테핑 모터(113d)는 미세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환자의 기관지안에 카테터(113a)를 부드럽게 주입시켜 기관지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각 개인의 기관지가 다르기 때문에 환자의 기관지에 맞게 카테터의 깊이를 개별적으로 조절 설정함으로 기관지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카테터(113a)는 스테핑 모터(113d)의 구동에 의해 기관지 내부로 이동하여 이물질을 빨아들이고, 스테핑 모터(113d)의 반대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나사프레임(113b)에 감겨져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카테터(113a)의 표면은 기관지 내부의 이물질들에 의해 오염되게 되며, 이를 세척하기 위해 카테터릴케이스(113c)의 하부에는 3개의 식염수 호스를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멍들을 통해 식염수가 주입되면 카테터(113a)와 나사프레임(113b)에 남아있는 이물질들이 살균 및 세척이 된다. 또한 카테터(113a)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해, 식염수가 카테터(113a)의 내부를 통과하여 오물통(41)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나사프레임(113b)은 나사산 형식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돌출부들 사이에 카테터(113a)가 감겨지게 된다. 또한 카테터(113a)와 나사프레임(113b), 카테터릴케이스(113c) 및 스테핑 모터(113d)들은 각각 분해되기 쉬운 구조로 부착되어 있어 언제나 이물질을 세척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카테터릴이 T튜브(151)를 통해 기관지에 삽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50)는 기관지 내의 이물질에 의한 환자의 달라진 일상호흡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120)는 스테핑 모터(113d)를 구동하게 된다.
스테핑 모터(113d)가 회전하면 카테터(113a)는 T튜브(151)를 통해 환자의 기관지로 주입된다. 이때 스테핑 모터(113d)는 환자의 기관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미세하게 돌아가며 카테터(113a)를 밀게 된다. 이때 T튜브(151)는 환자에게 맞는 다양한 종류의 T튜브(151)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저장부(40) 내의 식염수를 카테터(113a)를 통해 기관지에 흡착된 이물질로 주입하여 이물질이 떼어지기 쉬운 콜로이드 상태로 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BLDC 모터(30b)를 구동시켜 카테터(113a)를 통해서 흡입되기 쉬운 상태의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카테터(113a)는 기관지 내부에 주입되어 이물질을 빨아들인 후 스테핑 모터(113d)의 역회전을 통해 나사프레임(113b)에 감겨져 기관지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기관지 내부로 삽입되었던 카테터(113a)가 나사프레임(113b)까지 감겨져 들어오면 BLDC 모터(30b)의 펌핑에 따라 카테터릴케이스(113c) 외부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해 식염수가 들어와 카테터(113a)의 외부를 세척하게 된다.
또한 카테터(113a) 내부에도 BLDC 모터(30b)의 펌핑으로 인한 식염수가 주입되어, 카테터(113a) 내부에 남아있던 이물질 또한 세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113a)의 내외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카테터(113a)의 오염으로 인한 기관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위생상의 이유로 일회용으로만 사용되던 카테터(113a)를 최소한 1일 동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카테터(113a)의 빈번한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의 석션기에 포함되는 튜브부에 연결할 수 있는 T튜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튜브(151)는 제1 커프(151a), 제2 커프(151b), 제1 튜브(151c), 제2 튜브(151d), 제3 튜브(151e), 제4 튜브(151f) 및 제5 튜브(151g)를 포함한다.
T튜브(151)는 석션기(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을 포함하고 있다. T튜브(151)는 기관절개용 튜브로써 사용자의 목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기관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T튜브(151)의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은 주사기나 공기주입장치로 사용자의 기관지에서 부풀어 올라 기관지 내부를 확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은 사용자의 기관지에 하나씩 차례대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부풀어오르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은 위 아래의 위치에서 교번하여 차례대로 부풀고 수축하게 되는데, 이는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이 부풀어 오른 상태가 지속되면, 기관지에 염증이나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을 시간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팽창/수축시켜줌으로써 기관지의 염증이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들을 교번하여 차례대로 부풀어오르게 하기 위해 각각 제3 튜브(151e)와 제2 튜브(151d)가 제1 및 제2 커프(151a, 151b)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프(151a)의 일정한 팽창시간이 지나면 제3 튜브(151e)를 이용해 공기를 빼내고, 제2 튜브(151d)를 사용해 제2 커프(151b)에 공기를 넣어 팽창시킨다.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사용자의 기관지에 염증이나 감염의 유발 가능성을 낮추게 되며, 사용자는 T튜브(151)를 자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 편의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T튜브(151)는 사용자의 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기다란 T 튜브를 먼저 연결한 상태에서, 기다란 T 튜브에 석션기(10)의 튜브들을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다란 T 튜브 내부에는 석션기(10)로부터 외부로 전개되는 제1 튜브(151c)와 제4 튜브(151f)가 구비되며, 이는 사용자의 기관지까지 도달하게 된다.
한편, MFM 센서(50a)가 사용자의 분당호흡수, 호기가스의 질량이나 유량 등의 일상호흡상태를 측정하여 제어부(120)에 전송하면 제어부(120)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일상호흡상태의 분석에 따라 환자의 호흡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20)는 BLDC 모터(30b)를 구동시켜 제3 튜브(151e)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 등의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호흡상태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 제5 튜브(151g)를 통한 간이인공호흡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보호자나 의료진에게 경고 메세지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튜브(151c) 및 제4 튜브(151f)는 사용자의 기관지 내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통로이다. 제1 튜브(151c)는 제1 커프(151a)가 부풀어 있는 동안 제1 커프(151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는 이물질을 빨아들이며, 제4 튜브(151f)는 제1 커프(151a)의 공기가 빠져나가 수축하고 제2 커프(151b)가 부풀어 있는 동안 제2 커프(151b)의 상부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빨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튜브(151c) 및 제4 튜브(151f)에 의해 제1 커프(151a) 또는 제2 커프(151b)가 부풀어 있는 동안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들이 순차적으로 흡입된다.
식염수 용기(40a)의 식염수는 제1 튜브(151c) 및 제4 튜브(151f)를 통해서 사용자의 기관지에 발생하는 타액이나 가래, 굳은 이물질 등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에 소량으로 분무된다. 식염수가 이물질에 분무되면 이물질은 유동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은 제1 튜브(151c) 및 제4 튜브(151f)를 통한 흡입력에 쉽게 빨려 들어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석션기(10)가 흡입하기 전에 제1 튜브(151c) 및 제4 튜브(151f)를 통해 식염수가 먼저 이물질과 혼합되어 이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BLDC 모터(30b)가 구동하여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석션기의 다른 방향에서 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석션기(10)는 후면에 USB 단자(140)와 전원스위치(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USB 단자(140)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PC 등의 외부 장비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일상호흡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 장비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외부 장비에서는 일상호흡상태 정보를 저장 및 통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스위치(130)는 USB 단자(140) 하부에 형성되어 석션기(10)의 전원을 끄고 켜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도 1의 석션기의 입력부 상의 구동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는 사용자의 호흡기능개선을 위해 폐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네뷸라이저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네뷸라이저 기능은 사용자의 호기와 흡기의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도록 유도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호흡기능개선을 위해서 분무기(70)를 사용하거나, 분무기(70)를 떼어내고 튜브부(110)에 별도의 네블라이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네블라이저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는 불규칙한 분당호흡수와 비정상적으로 높은 분당호흡수를 정상으로 회복가능하고, 폐활량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입력부(80)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는 크게 호흡정보 표시창(81)과 기기설정창(82)을 포함한다. 호흡정보 표시창(81)은 분당호흡수(81a), 1회호흡량(81b) 및시간당호흡수(81c)를 표시하고, 기기설정창(82)에는 실내온도 설정 버튼(82a),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 조절 버튼(82c), 구동시간 설정 버튼(82d), 압력 설정 버튼(82e), 흡기 시간 설정 버튼(82f), 호기 시간 설정 버튼(82g), 시작 버튼(82h) 및 간이 호흡 버튼(82i)이 구비되어 있다.
분당호흡수(81a)는 1분당 호기와 흡기의 총합계를 나타내며, 1회호흡량(81b)은 호기나 흡기시 내쉬거나 들이마시는 가스의 양을 나타낸다. 분당호흡수(81a)와 1회호흡량(81b)은 사용자로부터 1분 이내의 단시간에 측정할 수 있는 수치이다.
시간당호흡수(81c)는 시간당 호기와 흡기의 총합계를 나타내며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이다.
실내온도(82a)는 사용자가 석션기(10)를 사용하는 장소의 현재 실내온도를 나타내며 수술실에서나, 기관지가 약한 사용자의 상태를 호전하기 위한 경우에 중요한 요소이다.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은 복수의 버튼들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분당호흡수(81a)에 따라서 호흡수 단계를 선택하게 된다.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분당호흡수(81a)의 절반에 해당하는 횟수로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분당호흡수가 10회인 호흡수 단계(82b)가 선택되면 네블라이저는 1분간 5회의 분사를 하게 된다. 따라서 1회에 6초 동안 호기에 맞추어서 5번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석션기(10)의 네블라이저 기능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동안 들어마시도록 유도당하게 되고, 호흡수 단계가 증가할 때마다 점진적으로 호기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폐활량 개선이 이루어지며,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으로 긴 분당호흡수가 정상적으로 회복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은 3개로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버튼들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조절 버튼(82c)은 압력, 시간 등의 설정값을 입력하는 버튼이고 시작버튼(82d)은 설정이 완료된 석션기(10)의 구동이 시작되도록 하는 버튼이다.
구동시간 설정 버튼(82d)은 사용자가 석션기(10)를 사용할 시간을 설정하는 버튼이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분단위로 석션기(10)를 사용할 시간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압력버튼(82e)은 사용자의 호흡기에 분무되는 공기의 압력을 설정하는 버튼이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일정 범위의 내에서 자유롭게 압력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흡기시간 설정 버튼(82f)은 사용자가 들이마시는 시간인, 흡기시간을 설정하는 버튼이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흡기시간을 1초 내지 10초의 범위 내에서 초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호기시간 설정 버튼(82g)은 사용자가 내쉬는 시간인, 호기시간을 설정하는 버튼이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호기시간을 1초 내지 10초의 범위 내에서 초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시작버튼(82h)은 기기설정창(82)의 설정을 마친 후 사용자가 석션기(10)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간이호흡버튼(82i)는 사용자의 호흡상태를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호흡상태가 불규칙하고 곤란할 경우 수동으로 사용하는 버튼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는 기본적으로 MFM 센서(50a)가 사용자의 호흡상태를 측정하여 인공지능으로 간이호흡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간이호흡버튼(82i)는 사용자의 흡기시간을 늘려주고 폐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거나 비상시에 사용하게 된다.
Figure 112015002477910-pct00001
Figure 112015002477910-pct00002
표 1은 연령별로 나누어진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에서의 호흡수 단계별 분당호흡수(81a)를 나타내고, 표 2는 유량증가단계에 따른 분사시간비율과 압력을 나타내고 있다.
표 1과 표 2에서의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에 기본 정보로서 입력되어 있으며, 표 1 및 표 2의 수치들은 사용자가 입력부(80)를 통해 임의 변경이 가능하다.
표 1을 참조하면, 호흡수 단계 설정 버튼(82b)은 연령별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연령대에 따라서 각각 다른 분당호흡수(81a)를 갖는다.
표 2를 참조하면, 유량증가단계는 복수의 단계들이 가능하며, 유량증가단계의 사이에는 각각 다른 시간이 분단위로 설정된다.
분당호흡수(81a)는 1분내에 이루어지는 흡기 및 호기의 총합을 나타내고, 유량증가단계란 분사시간비율이 다음 비율로 넘어가는 단계를 의미하며, 분단위에서 시간단위로 설정이 가능하다.
분사시간비율이란 흡기 동안 분무기(70)가 분무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흡수 단계(82b)에서 Adult를 선택하고 유량증가단계의 시간을 1분으로 설정하는 경우, 분당호흡수(81a)가 10회라면 그 중에서 흡기의 횟수는 5회가 된다.
따라서 1회 흡기의 시간은 6초가 된다. 이때 유량증가단계는 1단계에서 시작되며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설정한 1분이 걸린다. 1단계에서의 분사시간비율은 1이며, 분사시간비율이 1이면 흡기의 시간 6초 동안 분무기(70)가 분무를 하게 된다.
1분이 지나 2단계로 넘어가면 분사시간비율은 1.1로 바뀌어 흡기의 시간 6.6초 동안 분무기(70)가 분무를 하게 된다. 다시 1분이 지나게 되면 3단계로 넘어가 분사시간비율은 1.2로 바뀌어 흡기의 시간 즉 공기의 분사시간이 7.2초로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분사시간비율에 따라서 공기의 분사시간이 분사시간비율에 단계별로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는 수시간 또는 수일에 걸친 석션기(10)의 사용으로 늘어나는 공기의 분사시간에 유도되어 자연스럽게 흡기의 시간을 늘리게 된다.
흡기시간을 길게 유도해주는 기능은 석션기(1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석션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석션기(10)에 한정하지 않고 폐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품들에 적용이 가능하며, 폐암환자, 운동선수, 비염환자, 단전이나 복식호흡을 개선하려는 사용자, 우울증 환자 및 정신과 환자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다.
폐암환자의 경우 정상적으로 호흡이 가능한 일부의 폐기능을 개선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폐암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운동선수는 낮시간에 운동을 하여 폐기능을 단련하고, 수면중에도 석션기(10)나 흡기시간을 길게 유도해주는 기능을 통해 폐기능을 단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염환자에게는 흡기시간을 길게 유도해주는 기능을 통해 면역력을 기르고 몸 전체와 코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비염에 대한 자가치료의 효과가 있다.
단전이나 복식호흡을 수련하는 사용자들에게는 흡기시간을 길게 유도해주는 기능을 통해 폐기능 개선과 수면중에도 복식호흡을 유도하여 단전 및 복식호흡에 의한 효과를 증가시킨다.
정신집중을 요하는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에게도 흡기시간을 길게 유도해주는 기능은 폐의 기능을 개선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공부에 대한 집중뿐만 아니라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
정신과 환자의 경우 안정된 호흡을 유도하여 뇌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긍정적인 몸의 상태를 만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신체적인 안정은 정신적인 안정을 유도하여 정신과 환자의 불안이나 우울증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센서부(50)의 감지값에 따른 구동(이른바, 자동 구동 모드)과 독립적으로, 도 9에서의 입력부(80)를 통해 의사 등의 관리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 주기(예를 들면, 1시간)에 따라 튜브부의 기관지 내부로의 이동 및 튜브부의 흡입압 증가를 통한 이물질의 흡입 과정이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른바, 반 자동 구동 모드).
이에 의하면, 센서부(50)에서의 감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소정의 시간 주기에 따른 이물질의 자동 흡입이 실행됨으로써, 환자가 위험한 상태에 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1의 석션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저장부(11)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저장부(11)는 석션 용기(11a), 감열프린터(11b), 식염수 용기(11c), 전원부(11d) 및 모터(11e)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석션 용기(11a)는 도 1의 석션 용기(40b)가 오물을 채울 공간이 없을 경우 석션 용기(11a)에서 오물이 채워지게 된다. 식염수 용기(11c) 역시 도 1의 식염수 용기(40a)의 식염수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 식염수 용기(40a)로 식염수를 다시 채워주기 위한 저장 용기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석션 용기(11a)와 식염수 용기(11c)는 사용자가 많고 수시로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열프린터(11b)는 석션 용기(11a)와 식염수 용기(11c) 사이에 구비되며, 석션기(10)를 사용한 일정기간 내의 사용기록이나 환자의 호흡상태, 구동시간, 호흡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된 프린트물의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하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맞는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전원부(11d)는 감열프린터(11b)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11e)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다. 전원부(11d)의 하부에는 모터(11e)가 구비되어 있으며, 모터(11e)는 석션 용기(11a)로 오물을 이동시키거나 식염수 용기(11c) 내부의 식염수를 석션기(10)의 식염수 용기(40a)로 이동시키기 위한 펌핑을 위해 구동된다.
석션기(10)의 사용빈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병원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석션기(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저장부(11)를 추가로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은 도 1의 석션기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록선도이다.
전원부(11d)는 제어부(120)와 드라이버(30a)에 전력을 공급하며(S101), MFM 센서(50a)는 사용자의 호기가스의 질량 또는 유량 등의 일상호흡상태 정보에 대한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송신한다(S102).
한편, 제어부(120)는 MFM 센서(50a)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일상호흡상태를 벗어나 이물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드라이버(30a)로 구동신호를 송신한다(S103).
드라이버(30a)는 제어부(120)의 신호를 받아 BLDC 모터(30b)에 신호를 보낸다(S104). BLDC 모터(30b)는 드라이버(30a)의 신호를 받아 구동하게 되며, 이때 외부 공기는 수분 필터를 통해 BLDC 모터(30b)로 공급된다(S105).
한편, 카테터릴(113)을 통해 카테터(113a)가 T튜브(151)를 통해 사용자의 기관지 속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기관지에 위치하게 되며(S106), 카테터릴(113)을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기 전에 이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식염수 용기(40a)에 연결된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개방된다(S107).
한편, 식염수 용기(40a)에 연결된 소형모터가 구동되어 식염수 용기(40a) 내의 식염수를 흡입하고(S108), 식염수 용기(40a) 내의 식염수가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를 지나 제4 튜브(151f)를 통해 사용자의 기관지로 이동하여 이물질의 유동성을 증가시킨다.
한편, 식염수 용기(40a) 하부의 저울(100)은 식염수 용기 내의 식염수의 중량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20)로 중량 미만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S109).
제1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닫히면 제3 튜브(151e)와 연결된 제3 솔레노이드 밸브(30c) 또한 닫히게 되며(S110), 이물질의 유동성이 증가된 다음, 제4 튜브(151f)를 통해 BLDC 모터(30b)와 연결된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된다(S111).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되어 이물질들이 제4 튜브(151f)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를 통과해서 일정압력으로 흡입된다.
한편, 석션용기 하부에 구비된 저울(100)은 이물질의 무게를 측정하고,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120)로 중량 초과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S112).
이물질이 일정압력으로 흡입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30c)는 폐쇄되고, 제3 솔레노이드 밸브(30c)가 개방되며, 환자는 호흡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MFM 센서(50a)는 상시 사용자의 일상호흡상태를 측정한다(S113).
카테터(113a)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되고 석션용기로 모두 이동하게 되면, 카테터릴(113)이 구동하여 카테터(113a)를 견인하고, 사용자의 기관지로부터 카테터(113a)가 배출되면, 식염수를 통해 카테터(113a)의 내부와 외부를 세척하게 된다(S114).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10)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MFM 센서(50a)가 사용자의 흡기와 호기가스의 질량 또는 유량 등의 일상호흡상태 정보에 대한 측정값을 제어부(120)로 송신함에 따라(S102), 제어부(120)는 MFM 센서(50a)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값은 정상 호흡시의 호기가스에 대한 측정값의 2배 또는 3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제어부(120)에 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기준값은 입력부(8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환자별 맞춤형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해서, 최초 석션기(10)의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에 환자의 정상 호흡시의 호기가스에 대한 측정값의 소정의 시간 동안(예를 들면, 1분)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인, 기준값 설정 모드가 자동 실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어부(120)는 기준값 설정 모드를 통해, 상기 평균값의 2배 또는 3배에 해당하는 값을 기준값으로 설정 및 저장하게 된다.
한편, MFM 센서(50a)로부터 수신된 측정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스테핑 모터(113d)에 구동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카테터(113a)가 T튜브(151)를 통해 사용자의 기관지 속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드라이버(30a)를 통해 BLDC 모터(30b)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며, BLDC 모터(30b)는 카테터(113a)의 흡입 단부에 대략 10 mmHg 정도의 흡입압이 발생되도록 구동된다.
이와 같이 단부에 경미한 초기 흡입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카테터(113a)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이동 거리만큼 기관지 속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하는 동안 기관지 내부의 이물질에 카테터(113a)의 단부가 걸리게 되는 경우에 카테터(113a)의 단부에 구비된 흡입홀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면서 카테터(113a)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은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테터(113a)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어, 50 mmHg)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부(120)는 드라이버(30a)를 통해 BLDC 모터(30b)에 구동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카테터(113a)의 흡입 단부에 대략 150 내지 200 mmHg 정도의 흡입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카테터(113a)의 단부에 걸린 이물질은 카테터(113a)를 통해 흡입되며, 이물질의 흡입이 완료됨에 따라 카테터(113a)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은 소정의 기준값 미만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드라이버(30a)를 통해 BLDC 모터(30b)에 구동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카테터(113a)의 흡입 단부의 흡입압이 다시 10 mmHg 정도가 되도록 한다.
제어부(120)에는 상기 진공압에 대한 상기 소정의 기준값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80)를 통해 기준값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튜브부(110)에는 카테터(113a)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진공압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은 도 2에서의 튜브 커버(114)에 구비된 돌출구에 MFM센서(50a)와 같은 설치 구조로서,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단부에 경미한 초기 흡입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카테터(113a)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이동 거리만큼 기관지 속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한 다음, 동일한 초기 흡입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기관지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상 호흡이 감지된 경우에 카테터(113a)의 단부에 경미한 흡입압 만이 걸려 있는 상태로, 카테터(113a)를 느린 속도로 기관지 내부로 삽입하고, 기관지로부터 배출시키되, 카테터(113a)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즉, 이물질이 감지된 경우)에만 카테터(113a)의 흡입압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카테터(113a)의 흡입압에 의한 환자의 기관지가 손상 및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LDC 모터(30b)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10)에 구비된 튜브부(110)는 이동부(111)를 포함하며, 이동부(111)에는 회전휠(115), 오링(O-ring)(116), 및 롤러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카테터(113a) 원주를 따라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회전휠(115)의 접촉면에 원형 회전휠(115)의 원주를 따라 감겨져 있으며, 원형 회전휠(115)이 스테핑 모터(113d)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카테터(113a)와 접촉되는 원통형 회전휠(115)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카테터(113a)는 기관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튜브부(110)로 회수된다.
한편, 카테터(113a)와 접촉되는 원통형 회전휠(115)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커질수록 스테핑 모터(113d)의 회전량에 따른 카테터(113a)의 이동 거리는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롤러부(117)를 설치하고, 롤러부(117)와 회전휠(115)의 사이에 카테터(113a)가 게재되도록 함으로써, 롤러부(117)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카테터(113a)가 회전휠(115)의 접촉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카테터(113a)와 접촉되는 원통형 회전휠(115)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한편, 롤러부(117)가 카테터(113a)를 가압함에도 불구하고, 롤러부(117)와 카테터(113a)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은 카테터(113a)의 이송 구조를 통해 카테터(113a)의 이동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오링(O-ring)(116)과 롤러부(117)와의 사이 공간에, 회전휠(115)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에 따라 카테터(113a)의 외면 살균용 자외선 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카테터(113a)의 살균 처리가 이동부(111)의 내부에서 또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서의 튜브부의 다른 방향에서 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튜브부(110)에는 도 12에서의 이동부(111)와 90°방향으로 인접 설치된 수납부(112)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수납부(112)에는 카테터(113a)가 수납 보관되어 있으며, 수납부(112)에 수납된 카테터(113a)는 회전휠(11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부(111)로 공급되며, 회전휠(11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이동부(111)를 통해 회수된 카테터(113a)가 수납부(112)에 수납 보관되게 된다.
한편, 수납부(112)에는 식염수 투입구(1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식염수 투입구(118)를 통해 수납부(112)의 내부로 공급되는 식염수는 수납부(112) 내부에 수납 보관된 카테터(113a)를 세척 및 살균 처리하게 된다.
도 14는 도 12에서와 튜브부와 석션 시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이동부(111) 및 수납부(112)를 포함하는 튜브부(110)를 석션기(10)의 본체부(17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석션기(10)의 사용 환경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회전휠(115)에 감겨짐으로써 카테터(113a)의 구부러진 각도가 대략 90°정도가 되도록 함으로써, 도 12에 비해 카테터(113a)의 전후진 이동이 보다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카테터 유출입 유도부(117a)의 내측 단부에 가이드부(111a)를 설치하되, 가이드부(111a)를 유출입 유도부(117a)를 통해 유출입되는 카테터(113a)의 외측면과 평행하게 설치하여 둠으로써, 카테터(113a)가 튜브부(110)의 내부에서 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구불구불해짐으로써 회전휠(115)의 회전에 따라 카테터(113a)의 이동 거리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션기에 구비된 튜브부의 회전휠의 회전 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회전휠(115)의 배면에, 회전휠(115)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회전휠(115)의 결합부위에서의 부피 및 중량을 증대시키는 회전 안정대(115a)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회전휠(115)의 회전 구동시의 축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석션기(10)에 구비된 구동부(30)를 제거한 상태에서, 대형 병원의 침상에 석션기(10)를 일괄 설치하고, 복수의 석션기(10)에서의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동력을 병원의 기계실 등에 설치된 외부 구동체를 통해 일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 경우에는 외부 구동체를 통해 복수의 석션기(10)에 일괄적으로 가해지는 이물질의 흡입압을 각각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감압부를 도 1에서의 구동부(30)를 대체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석션 및 카테터 삽입이 가능한 석션기는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대부분의 병원 및 가정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2)

  1. 환자의 호흡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환자의 기관지에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서 상기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이동하는 튜브부; 및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 구조의 카테터, 상기 카테터를 상기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삽입 또는 회수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통해 회수된 상기 카테터가 수납 보관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에는 식염수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의 내부에 상기 카테터의 외면 살균용 램프가 설치되는 것인 석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유량계(MASS FLOW METER: MFM) 센서를 구비하는 것인 석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을 일정시간 체크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결과를 전송하는 것인 석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MFM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환자의 호기 가스의 질량값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기관지에 이물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브부를 상기 환자의 기관지 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인 석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지 내부로 삽입된 튜브부의 흡입 단부에서의 진공압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석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진공압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석션기에 흡입력을 가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튜브부의 흡입압을 증가시키는 것인 석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 구조의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감겨져 있는 회전릴을 포함하는 것인 석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회전릴을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석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기관지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제1 커프, 및 상기 제1 커프의 하부에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제2 커프를 포함하는 것인 석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프 및 상기 제2 커프는 상호 교번되도록 팽창 및 수축하는 것인 석션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제1 커프 상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 및 상기 제1 커프가 수축하고 상기 제2 커프가 부풀어 올라 상기 제2 커프 상부에 이물질이 형성된 경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석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외부 구동체로부터의 흡입압을 감압하는 감압부를 더 포함하는 석션기.
KR1020157000620A 2015-01-07 2015-01-07 인공지능형 석션기 KR10163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00620A KR101635140B1 (ko) 2015-01-07 2015-01-07 인공지능형 석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00620A KR101635140B1 (ko) 2015-01-07 2015-01-07 인공지능형 석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40B1 true KR101635140B1 (ko) 2016-06-30

Family

ID=5635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620A KR101635140B1 (ko) 2015-01-07 2015-01-07 인공지능형 석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91A (ko) * 2004-09-27 2007-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켄 기관 캐뉼라
KR20100000636A (ko) * 2008-06-25 2010-0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션기능이 있는 기침 보조장치
KR101455087B1 (ko) * 2014-02-28 2014-10-27 강정길 카테터릴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포터블 석션기
KR101470328B1 (ko) * 2014-02-28 2014-12-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포터블 석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391A (ko) * 2004-09-27 2007-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켄 기관 캐뉼라
KR20100000636A (ko) * 2008-06-25 2010-0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션기능이 있는 기침 보조장치
KR101455087B1 (ko) * 2014-02-28 2014-10-27 강정길 카테터릴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포터블 석션기
KR101470328B1 (ko) * 2014-02-28 2014-12-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포터블 석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142B2 (ja) 人工知能型サクション装置
US11684738B2 (en) Systems for automatically removing fluid from multiple regions of a respiratory tract
JP7536824B2 (ja) 気道開存性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5503094B1 (ja) 喀痰装置、人工呼吸システム及び喀痰装置の作動方法
CN104135924B (zh) 用于监测和控制压力支持设备的方法和装置
US20070221221A1 (en) Ventilator for Rapid Response to Respiratory Disease Conditions
CN104080504A (zh) 用于改善辅助通气的装置和方法
KR101470328B1 (ko) 인공지능 포터블 석션기
JP2015536787A (ja) 過膨張を治療するための手持ち圧力支援システム
KR101774943B1 (ko) 인공지능형 석션기
WO2017072812A1 (ja) 挿管チューブ
CN213131812U (zh) 一种新型的呼吸内科肺功能康复训练器
AU2013202645B1 (en) Oscill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apparatus
JP2011030990A (ja) 携帯用人工呼吸器の人命救助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635140B1 (ko) 인공지능형 석션기
WO2010033429A1 (en) Warming therapy device including resuscitation control system
WO2017072811A1 (ja) 喀痰装置及び人工呼吸システム
CN115738014A (zh) 一种呼吸内科护理自带呼吸监测功能的呼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