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34998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998B1
KR101634998B1 KR1020090004727A KR20090004727A KR101634998B1 KR 101634998 B1 KR101634998 B1 KR 101634998B1 KR 1020090004727 A KR1020090004727 A KR 1020090004727A KR 20090004727 A KR20090004727 A KR 20090004727A KR 101634998 B1 KR101634998 B1 KR 10163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sg
cell
access
ident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442A (ko
Inventor
임채권
최성호
염태선
배은희
정정수
소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매크로 셀 및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허용 리스트를 수신하여, 접근 정보를 생성하는 매크로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 채널 상태 측정 후,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접근 정보에 따라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의 측정 결과만 상기 매크로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G 기지국에 대한 측정 보고를 위한 시스템.
CSG, femto, macro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크로 및 CSG(Closed Subsc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CSG 기지국에 대한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펨토(Femto)란 10-15의 매우 작은 단위를 나타낸다. 펨토 셀(Femto Cell) 또는 CSG 셀이란 셀룰러 시스템에서 매우 작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셀을 의미하며, 이러한 펨토 셀(또는 CSG 셀)을 관장하기 위한 기지국을 가칭 펨토 기지국이라고 칭한다. 펨토 기지국은 초소형/저전력 가정/사무실용으로 사용될 옥내 기지국을 의미한다. 한편, 3GPP LTE(Long Term Evolution : Release 8)에서는 eNB(evolved NodeB) 및 home eNB(home evolved NodeB)라는 기지국을 정의한 바 있다. 이중 eNB는 일반적인 매크로 셀(macro cell)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이며, home eNB는 펨토 셀(또는 CSG 셀)을 관장하는 펨토 기지국이다.
즉, 3GPP에서는 기존 매크로 기지국과 별도로 특정 사용자만 접속 할 수 있 는 펨토 기지국(CSG 기지국)이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고 있다. 이때, CSG 기지국은 사용자 혹은 사업자에 의해서 커버리지 증대, 용량(capacity) 증대 혹은 기타 차별화된 서비스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CSG 기지국의 서비스 커버리지는 최소 수 미터에서 최대 매크로 서비스 커버리지 정도까지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망 구성은 망 내에 수많은 CSG 기지국이 설치 가능하게 될 것이며, 망 내의 단말들은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의 신호를 모두 측정(measure)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티브(Active mode) 단말은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signal)를 분석하여 PCI(Physical Cell ID)를 도출, 이를 기반으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현재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에 전달하여, 서빙 기지국으로 하여금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
반면, 휴지 상태(idle mode) 단말은 인접 기지국에 접근하게 되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Broadcast)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PCI를 얻는 것 보다 많은 자원/시간이 사용된다. 단말이 수신하는 시스템 정보에는 기지국의 ECGI(EUTRAN Cell Global ID), TAI(Tracking Area ID), 및 기지국이 CSG 기지국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CSG Indicator 등이 포함된다. 휴지 상태(Idle mode) 단말은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셀 검색을 통해 셀을 선택 또는 재선택한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에서는 단말이 자신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CSG 기지국에 대한 측정 보고 또는 CSG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읽는 것을 피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에 따라 단말은 자신이 사용하지 못하는 CSG 기지국에 대해서도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야 하고 이를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들을 제외하고 측정 보고를 행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를 위한 시스템은, 매크로 셀 및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허용 리스트를 수신하여, 접근 정보를 생성하는 서빙 기지국; 및 주변 기지국 채널 상태 측정 후,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접근 정보에 따라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의 측정 결과만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인 접근 허용 셀 식별자 및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인 접근 거부 셀 식별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및 CSG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은, 매크로 셀 및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접근 허용 리스트를 수신하여, 접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속한 단말이 상기 서빙 기지국의 주변 기지국 및 상기 서빙 기지국에 속한 CSG 기지국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접근 정보에 따라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의 측정 결과만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인 접근 허용 셀 식별자 및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인 접근 거부 셀 식별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및 CSG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 보고시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CSG 기지국들의 측정 보고를 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 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셀룰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셀룰러 시스템 중 매크로 및 CSG 셀들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및 CSG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10)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300)와 코어 네트워크(300)에 연결되는 매크로 기지국(eNB, evolved NodeB)(100), 코어 네트워크(400)와 게이트웨이(HeNB GW)(410)를 통해 연결되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기지국(HeNB, Home eNB)(400),
매크로 기지국(eNB)(200) 및 CSG 기지국(HeNB)(400)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 UE, 이하, "단말"로 축약함)(100)을 포함한다.
도 1b에 매크로 기지국(200)이 관장하는 매크로 셀(macro cell)(이하, "매크로 셀"로 축약함)(10) 및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에 속하는 다수의 CSG 셀(20)들이 도시되었다. 매크로 기지국(100)은 매크로 셀(10)을 관장하는 기지국으로, 매크로 셀(10)은 일반적인 셀룰라(cellul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한다.
한편, CSG 셀(또는 펨토 셀, femto cell)(20)은 매크로 셀(10)에 대응하여 매크로 셀(10)의 영역 보다 작은 크기의 셀이다. CSG 셀(20)은 일 주택 또는 일 주 택의 하나의 방과 같은 소규모 환경을 지원하는 셀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크로 셀(10) 내에는 다수의 CSG 셀(20)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CSG 셀(20)의 CSG 기지국(400)은 매크로 셀(10)을 관장하는 매크로 기지국(100)에 대응하여 매크로 셀 내의 CSG 셀(20)을 관장하는 기지국이다.
매크로 기지국(200)은 단말(100)과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매크로 셀들을 관리하고 무선자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셀 내 필요한 제어 정보를 시스템 정보로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단말(100)에 데이터나 제어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라디오자원을 할당하거나, 또는 단말기로부터 현재 셀과 인접 셀들의 채널 측정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수행한다. 매크로 기지국(200)은 무선자원 관리와 관련된 RRC(Radio Resource Protocol) 등의 제어 프로토콜을 구비한다.
CSG 셀(20)은 비상콜(Emergence call)과 같은 긴급 서비스를 제외한 일반 서비스를 위하여서는 상기 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등록된 특정 단말기들만 선택/액세스할 수 있는 셀들을 명칭하며, 일반적으로 개인의 가정과 같이 협소한 지역에 설치되는 홈 셀이나 기업이나 특정 조직을 위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기업/지역 네트워크 셀을 나타낸다.
특히, CSG 셀(또는 CSG 셀을 관장하는 CSG 기지국)은 자신에게 등록한 단말기들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CSG 셀(또는 CSG 셀을 관장하는 소형 기지국)은 자신에게 등록한 단말기들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목록 형태로 접근 허용 리스트(UE CSG whitelist)가 될 수 있으며, MME(310)을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300) 또한 이러한 접근 허용 리스트(UE CSG whitelist)를 가진다.
또한, 특정 CSG 셀에 등록한 단말(100)은 자신이 등록한 CSG 셀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100)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CSG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CSG 셀 전용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L1 cell id)들을 통해 동기 채널(SCH: Sync Channel)을 검색(Search)하거나, 또는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다. PCI는 총 504개가 정의되어 있으며, 그 중 특정 범위의 PCI들은 오퍼레이터별로 CSG 셀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100)은 매크로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 접속하거나, 소형 기지국(20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MME(310)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300)를 통칭하여 코어 네트워크(300)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코어 네트워크(300)가 수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MME(310)가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매크로 셀과 CSG 셀이 혼재된 셀룰러 시스템을 가정한다. 아래에서는 매크로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실시 예만을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는 서빙 기지국이 CSG 기지국일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단말의 측정 보고 정보로 PCI만 기술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측정 보고 정보로 인접 셀의 다른 정보, 즉 ECGI 등이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코어 네트워크(300)로부터 수신한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근거로 접근 정보를 생성한다. 여 기서, 접근 정보는 매크로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접근 정보는 접근 허용 셀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셀 식별자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근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코어 네트워크(300), 매크로 기지국(200) 및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을 현재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100)이 존재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300)는 각 단말(100)별로 접근 가능한 특정 CSG 기지국(400)의 목록인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가진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300)는 S20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200)에 접근 허용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 안의 CSG 기지국(400)들의 정보, 즉, Physical Cell ID(PCI), Global Cell ID(GCI), CSG ID 등을 이미 가지고 있으므로,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접근 가능한 CSG 기지국의 셀 식별자, 즉, 접근 허용 셀 식별자(CSG PCI Whitelist, 이하, "접근허용 식별자"로 축약함)를 생성하다. 그런 다음, 매크로 기지국은 S203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를 단말에 전송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S205 단계에서 접근 허용 정보를 수신하고,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접근 할 수 없는 CSG 기지국의 셀 식별 자, 즉, 접근 거부 셀 식별자(CSG PCI Blacklist, 이하, "접근거부 식별자"로 축약함)를 생성하다. 그런 다음, 매크로 기지국은 S207 단계에서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를 바탕으로 CSG 기지국들에 대해 측정 보고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먼저,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S301 단계에서 CSG 기지국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를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200)은 S303 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300)로부터 자기 자신에 속한 단말(100)의 접근 허용 리스트(UE CSG Whitelist)를 수신한다.
그러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S305 단계에서 자기 자신에 속한 각 단말(100)의 접근 허용 식별자(CSG PCI Whitelist) 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CSG PCI Blacklist)를 생성한다. 즉, 매크로 기지국(200)은 S303 단계에서 접근 허용 리스트 및 CSG 기지국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어서 매크로 기지국(200)은 S307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은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 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에 의거하여 측정 보고를 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 보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 단계에서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 또는 CSG 기지국으로부터 CSG 셀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은 CSG 기지국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에 대한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 또는 CSG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SIB)를 통해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은 CSG 기지국들이 사용하는 PCI 정보를 단말 생산시 입력 등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단말은 S403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은 S405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407 단계에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시, 접근 허용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채널 상태와, 인접한 CSG 기지국 중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를 가지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만 보고한다.
한편, 단말은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S407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 로 기지국의 채널 상태와, 인접한 CSG 기지국 중 수신한 접근 거부 식별자를 가지지 않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만 보고한다.
그러면,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단말(100), 매크로 기지국 1(201), 매크로 기지국 2(202), CSG 기지국 1(401), CSG 기지국 2(402), 및 코어 네트워크(300)가 존재한다. 여기서, 단말(100)의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2(202)라고 가정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1(201)은 매크로 기지국 2(202)의 인접 기지국이며,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는 매크로 기지국 2(202)의 셀 커버리지에 속한 CSG 기지국이라고 가정한다.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의 셀 식별자는 각각 PCI 101, PCI 201, PCI 203라고 가정한다.
도 5a는 매크로 기지국 2(202)가 접근 허용 식별자를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300)는 S50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전송한다. 접근 허용 정보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접근 허용 정보에 따라 단말(100)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이 CSG 기지국 1(40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안의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S503 단계에서 상술한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허용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러한 접근 허용 식별자는 CSG 기지국 1(401)의 셀 식별자인 "PCI 201"을 포함한다.
이어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S505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PCI 201")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단말(100)은 S507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509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1(201)의 측정 결과와, 앞서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PCI 201")에 따라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 1의 측정 결과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즉, 셀 식별자가 "PCI 101", "PCI 201"인 기지국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한편, 도 5b는 매크로 기지국 2(202)가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300)는 S51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전송한다. 접근 허용 정보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접근 허용 정보에 따라 단말(100)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이 CSG 기지국 2(40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안의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S513 단계에서 상술한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 거부 식별자를 생성한다. 여기서, 접근 거부 식별자는 CSG 기지국 2(402)의 셀 식별자인 "PCI 202"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S515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PCI 201")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단말(100)은 S517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519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1(201)의 측정 결과와, 앞서 수신한 접근 거부 식별자("PCI 202")에 따라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 2의 측정 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G 기지국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즉, CSG 기지국 1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셀 식별자가 "PCI 101", "PCI 201"인 기지국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제2실시예
먼저,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1 단계에서 CSG 기지국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를 미리 저장한 상태이다. 이때,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3 단 계에서 코어 네트워크(300)로부터 자기 자신에 속한 단말(100)들의 접근 허용 리스트를 수신한다.
접근 허용 리스트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5 단계에서 자기 자신에 속한 각 단말(100)의 접근 허용 식별자(CSG PCI Whitelist) 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CSG PCI Blacklist)를 생성한다. 즉,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5 단계에서 접근 허용 리스트 및 CSG 기지국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저장한 상태에서, 단말(100)이 측정 보고를 수행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7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한다. 이러한 측정 보고는 각 기지국의 셀 식별자와 셀 식별자에 대응하는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측정 보고는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에 대한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매크로 기지국(200)은 S609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즉, 매크로 기지국(200)은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400)에 대한 측정 결과를 제외하기 위하여, 접근 허용 식별자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100)은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 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에 의거하여 측정 보고를 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 보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S70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200) 또는 CSG 기지국(400)으로부터 CSG 셀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100)은 CSG 기지국(400)들이 사용하는 셀 식별자(PCI)에 대한 정보를 매크로 기지국(200) 또는 CSG 기지국(400)에서 브로드캐스트 되는 시스템 정보(예컨대, SIB, System Information Block)를 통해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CSG 기지국(400)들이 사용하는 PCI 정보를 단말 생산시 입력 등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S703 단계에서 상술한 셀 식별자(PCI)에 의거하여, 매크로 및 CSG 기지국을 포함하는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705 단계에서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즉, 단말은 S705 단계에서 측정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인 측정 결과를 현재 서빙 기지국에 전송한다.
측정 보고를 수신한 기지국은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100)은 S707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상태에서, 단말은 S709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711 단계에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시, 접근 허용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채널 상태와, 인접한 CSG 기 지국 중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를 가지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만 보고한다.
한편, 단말은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 S713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의 채널 상태와, 인접한 CSG 기지국 중 수신한 접근 거부 식별자를 가지지 않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만 보고한다.
그러면,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 단말(100), 매크로 기지국 1(201), 매크로 기지국 2(202), CSG 기지국 1(401), CSG 기지국 2(402), 및 코어 네트워크(300)가 존재한다. 여기서, 단말(100)의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2(202)라고 가정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1(201)은 매크로 기지국 2(202)의 인접 기지국이며,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는 매크로 기지국 2(202)의 셀 커버리지에 속한 CSG 기지국이라고 가정한다.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의 셀 식별자는 각각 PCI 101, PCI 201, PCI 203라고 가정한다.
도 8a는 매크로 기지국 2(202)가 접근 허용 식별자를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300)는 S80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전송한다. 접근 허용 정보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접근 허용 정보에 따라 단말(100)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이 CSG 기지국 1(40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안의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S803 단계에서 상술한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허용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러한 접근 허용 식별자는 CSG 기지국 1(401)의 셀 식별자인 "PCI 201"을 포함한다.
한편, 단말(100)은 S805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100)은 S807 단계에서 각 기지국들(201, 401, 402)의 셀 식별자별로 매핑한 측정 결과를 현재 서빙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전송한다.
매크로 기지국 2(202)는 단말이 인접한 CSG 기지국 중 수신한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만 보고하도록 하기 위하여, S809 단계에서 접근 허용 식별자("PCI 201")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접근 허용 식별자를 수신한 단말(100)은 S811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다시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813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1(201)의 측정 결과와, 앞서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PCI 201")에 따라 단말의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 1의 측정 결과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즉, 셀 식별자가 "PCI 101", "PCI 201"인 기지국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한편, 도 8b는 매크로 기지국 2(202)가 접근 거부 식별자를 단말(100)에 제공하는 경우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300)는 S821 단계에서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접근 허용 정보(UE CSG Whitelist)를 전송한다. 접근 허용 정보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접근 허용 정보에 따라 단말(100)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이 CSG 기지국 2(40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2(202)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안의 CSG 기지국들의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S823 단계에서 상술한 접근 허용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거부 식별자를 생성한다. 여기서, 접근 거부 식별자는 CSG 기지국 2(402)의 셀 식별자인 "PCI 202"가 될 수 있다.
한편, 단말(100)은 S825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100)은 S827 단계에서 각 기지국들(201, 401, 402)의 셀 식별자별로 매핑한 측정 결과를 현재 서빙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2(202)에 전송한다.
매크로 기지국 2(202)는 단말이 인접한 CSG 기지국 중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 보고를 생략하기 위하여, S829 단계에서 접근 거부 식별자("PCI 202")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단말(100)은 S831 단계에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다시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은 매크로 기지국 1(201), CSG 기지국 1(401), 및 CSG 기지국 2(402)에 대해 수행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S833 단계에서 인접한 매크로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 1(201)의 측정 결과와, 앞서 수신한 접근 거부 식별자("PCI 202")에 따라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 2의 측정 결과를 제외한 나머지 CSG 기지국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즉, CSG 기지국 1에 대해서만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셀 식별자가 "PCI 101", "PCI 201"인 기지국에 대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 보고시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CSG 기지국들의 측정 보고를 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은 핸드오버시 주변 기지국들의 채널 상태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는 서빙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서빙 기지국이 펨토 기직국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은 경우, 액티브 단말의 경우, 핸드 오버를 위한 측정 보고를 위해 특정 조건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단말(100)은 측정 결과, 다음의 두 가지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현재 서빙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200)으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조건은 첫째, 측정한 인접 셀이 서빙 셀(200) 보다 기 설정된 오프셋 파라미터 값(offset) 이상 측정 결과 값이 좋은 경우, 둘째, 측정한 인접 셀이 기 설정된 임계치(threshold) 이상의 측정 결과값이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측정 전, 단말(100)은 상술한 "offset", "threshold" 등의 파라미터 값을 측정 컨트롤(measurement control) 메시지 등을 통해 서빙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00)은 상술한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측정 보고를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CSG 기지국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근을 허용하는 CSG 기지국 중 상술한 바와 같은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CSG 기지국의 경우에만 측정 보고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은, 핸드 오버시에, 적용 될 뿐만 아니라,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용 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 단말(100)이 한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절차가 수행된다. 셀 재선택 절차 중에, 단말기는 주변의 셀들(즉 인접 셀들)의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보고하며, 최종적으로 셀선택/재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셀 재선택의 목적은, 단말기가 캠프(camp)할 최적 셀(best cell)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상기 찾아낸 최적 셀을 서빙 셀로 설정하는 것이다. 즉, 셀 재선택 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휴지 모드 상태의 단말이라도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이용하여 셀 검색에 대한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다. 즉,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부 식별자)를 수신한 단말(100)은 휴지 상태(idle mode)로 들어가더라도, 기 수신한 접근 허용 식별자(또는 접근 거 부 식별자)를 기반으로, CSG 기지국에서 방송(broadcast)되는 정보를 읽어볼 필요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셀 및 CSG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근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접근 허용 식별자 및 접근 거부 식별자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 보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0)

  1. 매크로 셀 및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단말이 측정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의 셀 식별자인 접근 거부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을 제외한 주변 기지국의 제1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제1 채널 상태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보고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는 PCI(Physical Cell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보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관계없이 주변 기지국의 제2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제2 채널 상태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보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및 CSG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보고 방법.
  6. 매크로 셀 및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혼재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의 셀 식별자인 접근 거부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접근을 거부하는 CSG 기지국을 제외한 주변 기지국의 제1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제1 채널 상태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 식별자는 PCI(Physical Cell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정보에 관계없이 주변 기지국의 제2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제2 채널 상태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 및 CSG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90004727A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63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27A KR101634998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27A KR101634998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42A KR20100085442A (ko) 2010-07-29
KR101634998B1 true KR101634998B1 (ko) 2016-07-01

Family

ID=4264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4998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7714B2 (en) 2010-09-24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network of access points
US9301265B2 (en) 2010-09-24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transmit power control
US9451480B2 (en) 2010-09-28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60507B2 (en) 2012-10-23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call continuity by allowing inbound mobility towards non-member CSG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3067A1 (en) * 2006-03-09 2007-09-13 Patrick Li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s within a macrocell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84438*
3GPP TR 24.801 V8.1.0*
3GPP TS 36.300 V8.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42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596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CN107071694B (zh) 机器对机器(m2m)终端和基站
KR101547544B1 (ko)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488264B1 (ko)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US89092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732661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ulti-level proximity indication and small cell discovery
CN101925087B (zh) 一种封闭用户组小区的测量上报方法
CN102474773B (zh) Ue访问的小区历史信息的识别家用基站的用途
JP4648469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US873156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822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an overlapping network environment
US201400165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inter-heterogeneous cell interference adjust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79378B2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selecting carrier frequency band of a femtocell base station
US8934912B2 (en) Method for deciding unregistered macrocell user equipment adjacent to femtocell base station
GB2478846A (en) Load balancing between macro-cells and pico-cells
EP248551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s,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ame
JP4637252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6414208B2 (ja)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US886808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163499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측정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3105960B1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easurement of reference signals
US20130225160A1 (en)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92537B1 (ko) 단말,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및 기지국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KR20120049807A (ko) 펨토셀 기지국에 인접한 비등록 매크로셀 단말 탐색 방법
JP5150700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