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34561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561B1
KR101634561B1 KR1020150051614A KR20150051614A KR101634561B1 KR 101634561 B1 KR101634561 B1 KR 101634561B1 KR 1020150051614 A KR1020150051614 A KR 1020150051614A KR 20150051614 A KR20150051614 A KR 20150051614A KR 101634561 B1 KR101634561 B1 KR 101634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waterproofing
concrete
precast concrete
waterp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봉순
백지원
백승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5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시공함으로써 아파트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슬래브와 일체화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의 마감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 내부에 와이어로프로 고정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방수턱에 비해 내구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PRECAST CONCRETE WATERPROOF HUMMO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파트 내부 공사 중에서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턱(Waterproof Hummock)이란 바닥의 물이 그 바깥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으로 구획된 끝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하며, 바닥에 고이는 물의 정도와 바닥마감재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10~20㎝ 정도의 높이로 설치하는 방수를 위한 턱을 말한다. 이러한 방수턱은 방수 처리되지 않은 공간으로 누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슬래브와 일체로 시공될 수 있고, 통상적으로, 거실과 욕실 또는 발코니 사이, 지하 주차장의 이중벽 등에 시공된다.
예를 들면, 발코니의 경우, 발코니 끝 외부에 면한 곳에 설치하는 방수턱은 바닥방수층, 타일초벌 모르타르 및 타일붙임 등을 고려하여 마감층에서 10㎝ 이상 남을 수 있는 높이인 15㎝ 정도 높이로 시공하며, 그 상단에는 발코니 바닥 마감층으로부터 높이 120㎝ 정도의 핸드레일을 설치한다. 이때, 거실 등 내부에 면한 곳은 벽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발코니 바닥에서 15㎝ 정도를 12㎜ 정도 안으로 들어가게 시공하여 방수턱을 형성하며, 이후, 바닥 방수와 동시에 미장을 실시한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거실 또는 침실과 욕실 또는 발코니 사이에 방수턱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실 또는 침실(11)과 욕실 또는 발코니(12) 사이에 방수턱(13)이 시공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수턱은 통상적으로 습식 방식으로 시공한다. 다시 말해,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방수턱 거푸집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거나, 또는, 슬래브 시공을 완료한 후에 수평 측량하여 방수턱 철근을 배근하고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에, 방수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하지만, 전술한 습식 방식은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양생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지연시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방수턱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우수한 시공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습식 방식의 방수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0674호에는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20)은 금속판을 적절히 절곡하거나 플라스틱을 적절히 성형하여 건식으로 제작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20)은, 수평판부(21a, 21b); 양 단부 각각에서 하향 수직하게 마련된 한 쌍의 수직판부(22a, 22b); 하나 또는 한 쌍의 수직판부(22a, 22b)의 하단에서 외향 수평하게 마련된 하나 또는 한 쌍의 바닥지지판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평판부(21a, 21b)를 통해 소정의 너비를 확보하고, 수직판부(22a, 22b)를 통해 소정의 춤을 확보하고, 바닥지지판부(23)를 통해 슬래브에 안착 설치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20)은 바닥지지판부(23)를 슬래브에 안착시킨 후 고정핀(24)을 박아 고정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20)은 슬래브 중간 직선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 제안된 형태로서, 방수턱 시공 부위의 조건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와 성능을 가지는 건식 방수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방수턱 시공을 건식화하기 때문에 시공 효율성과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수턱 시공과 관련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은 방수턱 전면을 감싸도록 금속판을 적절히 절곡하거나 플라스틱을 적절히 성형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수턱의 선시공은 슬래브와 일체식으로 방수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것인데, 이때,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다른 하자를 유발시키기도 하며, 또한 거푸집 해체시에 축조된 방수턱의 깨짐이나 동절기 공사에서 보양의 문제점,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미장 마무리를 실시할 시에 콘크리트의 경화 정도에 따라 마감면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거푸집 해체 후에 면처리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의 방수턱은 발코니 공간에서의 우수나 생활하수 침투로 인한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창호(PL 창호)의 설치 전에 선시공하며, 이러한 방수턱은 슬래브와 일체로 조성하기 위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슬래브 철근을 배근하고, 이후 방수턱 거푸집을 별도로 시공하며, 이후에 슬래브 및 방수턱을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턱을 시공할 경우, 방수턱 거푸집의 별도 시공시에 슬래브 철근 배근 위치 및 고정 부위를 손상하여 철근 피복 과다 및 결속부위 파손 등으로 콘크리트 초기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턱 부위 콘크리트 타설 간 부어넣기 작업 및 다짐작업이 거푸집 하단면에서의 콘크리트 흘러내림 등으로 밀실한 다짐이 되지 않고, 이때, 거푸집 상단면 마감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후속 공정 진행시에 다수의 문제점을 발생하여 공기지연 및 공사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63027호에는 "피씨 구조 방수턱"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의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30)은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하여 방수턱을 시공코자 하는 공사장으로 이송하여 슬래브(32) 축조 시 동시에 거푸집(33) 상에 고정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현장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L)와 폭(W), 높이(H)를 갖도록 방수턱(30)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사전에 제작한다.
이러한 PC 구조 방수턱(30)은 상하 방향으로 안전난간 설치용 매립너트(34)를 좌우로 매립설치하고, 상기 매립너트(34)의 하부로 방수턱받침대(35)를 연장설치토록 한다. 또한, 방수턱(30)의 배면부에는 갱폼 고정용 매립너트(6)를 매립 고정한다.
또한, 이러한 PC 구조 방수턱(30)의 좌우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옹벽연결앵커(37)가 설치되고, 하부로는 다수개의 슬래브연결앵커(38)가 설치된다. 상기 슬래브연결앵커(38)는 개략 L형으로 절곡시켜 슬래브(32)와 콘크리트 타설 시 안정적으로 방수턱(30)이 시공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30)에 따르면, 공장에서 사전에 PC 구조 방수턱을 제작하여 공사장에 슬래브 축조 시 거푸집 상에 일체로 고정하여 축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30)의 경우, 단지 발코니 외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방수턱 구조로서, 현실적으로 아파트 공사 중에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기존의 방수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방수턱 거푸집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철근배근 손상,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시공간 방수턱 마감 불량으로 인한 창호고정 불량,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주변 과다 모르타르 사춤 및 방수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63027호(출원일: 2006년 11월 13일), 발명의 명칭: "피씨 구조 방수턱"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0674호(출원일: 2009년 5월 14일), 발명의 명칭: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22237호(출원일: 2006년 9월 20일), 발명의 명칭: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5-6176호(공개일: 1995년 3월 20일), 발명의 명칭: "방수턱 거푸집"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시공함으로써 아파트 플라스틱 창호 하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슬래브와 일체화 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내부에 와이어로프로 고정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방수턱에 비해 내구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은, 침실 또는 거실과 발코니 또는 욕실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턱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에 있어서,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및 제1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를 구비하며,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 대향하도록 공장에서 상기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에 형성되는 매립너트;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구 사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프;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해 공장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상에 타설되는 공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의 시공 방법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침실 또는 거실과 발코니 또는 욕실 사이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 양단에 방수턱 프레임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정착구 사이에 와이어로프를 정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에 공장 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이 설치될 시공선 양단에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 고정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f)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된 매립너트를 통해 각각 체결하는 단계; 및 g)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에 모르타르 마감재를 현장 타설하여 슬래브와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시공함으로써 아파트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슬래브와 일체화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마감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내부에 와이어로프로 고정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방수턱에 비해 내구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창호의 고정시 일정한 마감면 상부에 충분한 하중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일체화 시공됨으로써 플라스틱 창호의 처짐 등에 의한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방수턱 사용을 통한 불필요한 폐기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각종 습식공사 마감 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가 가능하여 하자 발생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거실 또는 침실과 욕실 또는 발코니 사이에 방수턱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식 방수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PC 구조 방수턱의 시공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턱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턱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 프레임(100a)은 제1 고정 플레이트(110), 제2 고정 플레이트(120), 매립너트(130), 정착구(140) 및 와이어로프(150)를 포함하며, 후술할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제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침실 또는 거실(210)과 발코니 또는 욕실(220)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턱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방수턱으로서, 제1 고정 플레이트(110), 제2 고정 플레이트(120), 매립너트(130), 정착구(140), 와이어로프(150) 및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110)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제1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12)를 구비하며,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제1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12)는 절곡 형성된다.
제2 고정 플레이트(120)는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22)를 구비하며, 공장에서 상기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타측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22)는 절곡 형성된다.
매립너트(130)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에 각각 형성되고, 정착구(140)는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의 양단부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는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와이어로프(150)를 고정할 수 있는 2개소의 정착구(140)가 각각 기설치되며, 이때, 현장 시공시에 PC 방수턱(100)과 후술할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매립너트(130)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에 각각 매립 고정된다.
와이어로프(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구(140)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정착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150)는 강연선일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110)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20) 사이에 긴장력을 도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 방수턱(100)은 연결 부위가 없는 단일 구조로 제작하기 위해서, 단면 내부에 휨 및 강성과 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프(150), 예를 들면, 4개소의 와이어로프(150)를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사이에 고정하고, 그 내부에 폴리프로필렌 섬유(도시되지 않음)를 충분히 혼합한 콘크리트를 배합한 후에 타설하도록 한다.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는 공장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에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는 타설 시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L)와 폭(W), 높이(H)를 갖도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사전에 제작한다. 예를 들면, 공장 제작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은 현장 시공성, 구조 안전성 및 내구성을 위해 시공 가능한 단면 치수 확정이 필요한데, 현장에서 시공되는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의 PC 방수턱의 단면 구조는 PL 창호의 폭 치수보다는 시공 마감을 위해 최소 4~5㎝ 작아야 하고, 층간소음 및 단열마감 구조를 위한 마감을 고려할 때 내부 마감 모르타르 마감면에서 최소 3~4㎝ 이상 작아야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 방수턱의 단면 구조는 폭(W) 18㎝, 높이(H) 7㎝, 부재의 길이(L)는 현장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을 현장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제1 고정 플레이트(110), 제2 고정 플레이트(120), 매립너트(130), 정착구(140), 와이어로프(150) 및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후, 현장에서 거실 또는 침실(210) 및 욕실 또는 발코니(220) 사이의 시공선에 설치된다. 이때, 시공 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미리 제작된 PC 방수턱(100)은 시공현장으로 운반하여 거실 또는 침실(210) 및 욕실 또는 발코니(220)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슬래브 타설시에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을 설치하기 전에 방수턱 시공선 양단에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는 제1 지지턱 플레이트 수직부(311) 및 제1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12)을 구비하며, 방수턱 시공선의 일단에 배치된다.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는 제2 지지턱 플레이트 수직부(32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22)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에 대향하도록 방수턱 시공선의 타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은 기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에는 전술한 상기 PC 방수턱(100)의 내부의 매립너트(130)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체결부재(330)를 사용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방수턱 시공선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상기 PC 방수턱(100)의 내부의 매립너트(130) 부위와 고정을 목적으로 시공 오차를 고려한 볼트 직경의 3D 길이만큼 PC 방수턱 설치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타공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하단 구조는 횡(X축)방향의 철근배근의 시공성을 고려한 형태로 슬래브 거푸집 고정면,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 고정면 및 PC 방수턱(100)과의 고정면 등으로 제작된다.
체결부재(330)는 상기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 사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을 삽입 고정한 후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에 형성된 매립너트(130)와 상기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330)는 예를 들면, 체결볼트 및 와셔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수턱 시공 현장에서는 슬래브 철근의 배근 이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창호(400) 하단 방수턱(100) 부위를 확인하고, 예를 들면, 결로방지 단열재(도시되지 않음)의 외부쪽 방향으로 양단부에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의 하단부를 예를 들면, 못(도시되지 않음)으로 슬래브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이 현장에 시공된 후, 모르타르 마감재(500)를 사용하여 마감을 실시하고, 이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 상에 플라스틱 창호(PL 창호)(40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PC 방수턱(100)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풀림방지 워셔 및 볼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330)로 고정한 후, 현장에서 최종 마감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에 플라스틱 창호(400) 시공선과의 수평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 방수턱(100)을 설치하고, 모르타르 마감재(500)를 타설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 방수턱과 슬래브는 견고하게 일체화 시공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시공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시공 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시공 방법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침실 또는 거실(210)과 발코니 또는 욕실(220) 사이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으로서, 먼저,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 양단에 방수턱 프레임(100a)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를 고정 설치한다(S110).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여건에 맞는 소정의 길이(L), 단면치수 폭(W)은 18㎝, 높이(H)는 7㎝로 PC 방수턱(100)을 제조하기 위해서 양측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를 공장에서 PC 방수턱 거푸집(17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에 각각 형성된 정착구(140) 사이에 와이어로프(150)를 정착시킨다(S120).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부 타설면 쪽으로 기제작된 4개소의 정착구(140) 및 2개소의 매립너트(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의 콘크리트 타설면 쪽으로 각각 설치되는 4개소의 정착구(140)는 PC 방수턱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와이어로프(150)인 강연선을 상기 정착구(140) 단부에 각각 정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에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을 형성한다(S130).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여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L)와 폭(W), 높이(H)를 갖도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사전에 제작한다. 또한,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하여 타설함으로써 경화 이후 콘크리트 PC 방수턱의 휨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 내부에 와이어로프(150)로 고정하고,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방수턱에 비해 내구성 및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이 설치될 시공선 양단에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를 고정 설치한다(S140). 구체적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제조된 PC 콘크리트 방수턱(100)을 현장 시공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창호(400) 하단의 PC 방수턱(100) 부위를 확인하고, 예를 들면, 결로방지 단열재 외부쪽 방향으로 바닥 슬래브 거푸집 양단부에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 사이에 설치한다(S150). 구체적으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 시공선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상기 PC 방수턱(100)의 내부의 매립너트(130)와 서로 체결하기 위해서 시공오차를 고려한 볼트 직경의 3D 길이만큼 PC 방수턱(100) 설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타공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의 하단 구조는 횡(x축) 방향의 철근 배근의 시공성을 고려한 형태로서, 슬래브 거푸집 고정면, 지지턱 플레이트 고정면 및 PC 방수턱 고정면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체결부재(330)를 사용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과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에 각각 형성된 매립너트(130)를 통해 각각 체결한다(S160). 구체적으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 방수턱(100)과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풀림방지 워셔 및 볼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330)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최종 콘크리트 타설전 플라스틱 창호(400)의 시공선과의 수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이후, 슬래브 콘크리트와 일체화 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의 마감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후속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후속적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에 마감 모르타르(500)를 현장 타설하여 슬래브와 일체화시킨다(S170).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시공함으로써 아파트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하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때, 현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콘크리트 구조체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슬래브와 일체화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속적으로 수행되는 플라스틱(PL) 창호의 고정시 일정한 마감면 상부에 충분한 하중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일체화 시공됨으로써 플라스틱(PL) 창호의 처짐 등에 의한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수턱 사용을 통한 불필요한 폐기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각종 습식공사 마감 기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가 가능하여 하자 발생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
100a: 방수턱 프레임
110: 제1 고정 플레이트
111: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112: 제1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
120: 제2 고정 플레이트
121: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
122: 제2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
130: 매립너트
140: 정착구
150: 와이어로프/강연선
160: 공장 타설 콘크리트
170: 방수턱 거푸집
210: 거실 또는 침실
220: 발코니 또는 욕실
310: 제1 지지턱 플레이트
320: 제2 지지턱 플레이트
311: 제1 지지턱 플레이트 수직부
312: 제1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
321: 제2 지지턱 플레이트 수직부
322: 제2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
330: 체결부재(볼트+와셔)
400: 플라스틱 창호(PL 창호)
500: 모르타르 마감재

Claims (9)

  1. 침실 또는 거실(210)과 발코니 또는 욕실(220)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턱으로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방수턱에 있어서,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제1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12)를 구비하며,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110);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 바닥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110)에 대향하도록 공장에서 상기 방수턱 거푸집의 양단 중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120);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에 형성되는 매립너트(130);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11) 및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 수직부(12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구(14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착구(140) 사이에 정착되며, PC 방수턱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정착구(140) 단부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프(150);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을 형성하기 위해 공장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상에 타설되는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포함하며,
    상기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의 타설시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이 설치될 시공선 양단에 제1 지지턱 수직부(311)와 제1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12)을 구비한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수직부(321)와 제2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22)을 구비한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체결부재(330)를 통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에 형성된 매립너트(13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320)를 각각 체결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에 모르타르 마감재(500)를 현장 타설하여 슬래브와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의 내부 타설면 쪽으로 기제작된 4개소의 정착구(140) 및 2개소의 매립너트(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4. 삭제
  5.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을 침실 또는 거실(210)과 발코니 또는 욕실(220) 사이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공장에서 방수턱 거푸집 양단에 방수턱 프레임(100a)의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PC 방수턱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에 각각 형성된 정착구(140) 사이에 와이어로프(150)인 강연선을 형성하여 상기 정착구(140) 단부에 정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에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혼입된 공장 타설 콘크리트(160)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이 설치될 시공선 양단에 제1 지지턱 수직부(311)와 제1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12)을 구비한 제1 지지턱 플레이트(310) 및 제2 지지턱 수직부(321)와 제2 지지턱 플레이트 걸림턱(322)을 구비한 제2 지지턱 플레이트(320)를 고정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을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f) 체결부재(330)를 통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100)에 형성된 매립너트(13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320)를 각각 체결하는 단계; 및
    g)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에 모르타르 마감재(500)를 현장 타설하여 슬래브와 일체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방수턱(10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플레이트(110, 120) 내부 타설면 쪽으로 기제작된 4개소의 정착구(140) 및 2개소의 매립너트(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시공 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플라스틱 창호(400) 하단에 설치될 상기 PC 방수턱(100) 부위를 확인하고 결로방지 단열재의 외부쪽 방향으로 바닥 슬래브 거푸집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시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PC 방수턱(100)과 제1 및 제2 지지턱 플레이트(310, 320)는 풀림방지 워셔 및 볼트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재(330)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최종 콘크리트 타설전 플라스틱 창호(400)의 시공선과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의 시공 방법.
KR1020150051614A 2015-04-13 2015-04-1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Active KR101634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14A KR101634561B1 (ko) 2015-04-13 2015-04-1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14A KR101634561B1 (ko) 2015-04-13 2015-04-1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61B1 true KR101634561B1 (ko) 2016-06-29

Family

ID=5636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14A Active KR101634561B1 (ko) 2015-04-13 2015-04-1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5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206A (zh) * 2017-12-27 2018-03-30 沈阳建筑大学 预制钢构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10016974A (zh) * 2019-04-24 2019-07-16 佛山市顺德区海瑞斯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卫生间淋浴区挡水基及其铺设工艺
KR102149289B1 (ko) * 2019-12-26 2020-08-28 윤정욱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CN115179390A (zh) * 2022-06-27 2022-10-1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装配式承台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717437A (zh) * 2022-11-08 2023-02-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制拼装混凝土防水反坎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30049177A (ko) * 2021-10-05 2023-04-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폭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건식 방수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6A (ko) 1993-08-12 1995-03-20 현명관 방수턱 거푸집
KR20020061025A (ko) * 2001-01-12 2002-07-22 이순호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296105Y1 (ko) * 2002-08-13 2002-11-29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럭
KR20060123051A (ko) * 2006-11-13 2006-12-01 전영총 피씨 구조 방수턱
KR100722237B1 (ko) 2006-09-20 2007-05-30 김영란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JP2011196030A (ja) * 2010-03-17 2011-10-06 Tokyu Construction Co Ltd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090674B1 (ko) 2009-05-14 2011-12-08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76A (ko) 1993-08-12 1995-03-20 현명관 방수턱 거푸집
KR20020061025A (ko) * 2001-01-12 2002-07-22 이순호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296105Y1 (ko) * 2002-08-13 2002-11-29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럭
KR100722237B1 (ko) 2006-09-20 2007-05-30 김영란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60123051A (ko) * 2006-11-13 2006-12-01 전영총 피씨 구조 방수턱
KR100763027B1 (ko) 2006-11-13 2007-10-04 주식회사 빌드썬 피씨 구조 방수턱
KR101090674B1 (ko) 2009-05-14 2011-12-08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건식 방수턱의 시공구조
JP2011196030A (ja) * 2010-03-17 2011-10-06 Tokyu Construction Co Ltd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206A (zh) * 2017-12-27 2018-03-30 沈阳建筑大学 预制钢构叠合剪力墙及其施工方法
CN110016974A (zh) * 2019-04-24 2019-07-16 佛山市顺德区海瑞斯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卫生间淋浴区挡水基及其铺设工艺
KR102149289B1 (ko) * 2019-12-26 2020-08-28 윤정욱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20230049177A (ko) * 2021-10-05 2023-04-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폭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건식 방수턱
KR102595834B1 (ko) 2021-10-05 2023-10-3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폭 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건식 방수턱
CN115179390A (zh) * 2022-06-27 2022-10-1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装配式承台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717437A (zh) * 2022-11-08 2023-02-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制拼装混凝土防水反坎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5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07882184A (zh) 装配式外墙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20190121362A (ko) 기포 콘크리트-하이브리드 건설 요소
CN102230339A (zh) 预制厨房及其建造和安装方法
KR10096499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20110119472A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0336870B1 (ko)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102033417B1 (ko) 루프 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CN104641055A (zh) 建造系统及方法
KR20170000255A (ko) 복합공법을 이용한 욕실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욕실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583751B1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KR200432330Y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TW201706486A (zh) 預鑄外牆工法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0386354B1 (ko) 슬립폼 공법을 이용한 고층 집합 주거건물의 시공방법
JP5166225B2 (ja) 屋上浮き型枠の足元固定用打ち込み型枠とそれを用いた防水層の端部処理構造の構築方法
KR20130022698A (ko) 배관 매설 슬래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