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739B1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739B1 KR101622739B1 KR1020140113147A KR20140113147A KR101622739B1 KR 101622739 B1 KR101622739 B1 KR 101622739B1 KR 1020140113147 A KR1020140113147 A KR 1020140113147A KR 20140113147 A KR20140113147 A KR 20140113147A KR 101622739 B1 KR101622739 B1 KR 1016227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terminal
- display element
- wire
-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4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 radio frequency tag transmitter or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섹션별 축약한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가 구비된 케이블링/와이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배선을 위한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연결된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구성되는 표시소자 어레이, 케이블 내 각 와이어에 부착되며 각 케이블 및 와이어 식별을 위한 케이블 정보와 와이어 정보를 보유하고 무선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는 와이어 태그, 무선 단말기에 기기 정보를 무선 송출하거나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을 제어하는 표시소자 제어기, 및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에서 기기 정보 및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기기 내 단자 정보 및 단자 내 접점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단자 내 접점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소자 제어기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배선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원자력 발전소 등의 건설 현장에서의 케이블 및 와이어링 작업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LED 어레이의 통신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각 LED 유닛의 연결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플랜트 기기 및 케이블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에서 구성되는 와이어링 리스트의 상세도들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와이어링 리스트 로딩시의 데이터 구조 및 검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에서 실시 가능한 네트워크 연결 형태 및 각 형태별 와이어링 리스트구조를 각 예시하는 참고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LED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에서 무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기기 ID와 와이어 ID의 인식 및 LED 제어기 구동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에서 LED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LED ID 사전 설정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4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12 : 접점 13 : 케이블
14 : 와이어 20 : LED 어레이
20a-20n : LED 유닛 21 : 서브 제어부
22 : LED 30 : 와이어 태그
30L,30R : 와이어 태그 페어 40 :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
50 : LED 제어기 51,61 : 근거리 무선 통신부
52 : 맵 테이블 저장부 53 : 보조 전원부
54 : LED 제어 인터페이스부 55 : 주제어부
60 : 무선 단말기 62 : 태그 감지부
63 : 메인 메모리 64 : 보조 메모리
65 : 와이어링 안내 제어부 70 : LED ID 사전 설정부
100 : 와이어링 리스트 100L,100R : 와이어링 리스트 페어
Claims (20)
- 배선을 위한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이동 저장 가능하도록 섹션별로 분리 저장된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가 구비된 케이블링/와이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배선을 위한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연결된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구성되는 표시소자 어레이;
케이블 내 각 와이어에 부착되며 각 케이블 및 와이어 식별을 위한 케이블 정보와 와이어 정보를 보유하고 무선 단말기에 의해 인식되는 와이어 태그;
무선 단말기에 기기 정보를 무선 송출하거나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을 제어하는 표시소자 제어기; 및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에서 기기 정보 및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기기 내 단자 정보 및 단자 내 접점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단자 내 접점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소자 제어기를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소자 제어기는,
기기마다 각각 별도로 설치되거나 또는 휴대형으로 제작되어 무선 단말기와 세트를 이루어 각 기기에 연결되고, 기기 정보를 보유하고 외부의 무선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기기 정보를 무선 송출하며,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과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를 저장하는 맵 테이블을 구비하여 외부의 무선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접점 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로 상기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 유닛의 개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직렬 입출력 인터페이스(SIO)를 통한 표시소자 제어기와의 직렬 통신으로 기기 내에 구비된 각 단자와 단자 내 각 접점 정보 전체를 작업자 요구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여, 기기 제조사에 의해 설계된 단자 및 접점 정보와 상기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대응 연결된 각 표시소자의 식별을 위한 표시소자 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의 맵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게 보조하는 표시소자 ID 사전 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를 수신하여 이동 저장하며, 표시소자 제어기 및 와이어 태그로부터 기기 정보 및 와이어 정보를 각각 무선 인식하여 기저장된 와이어링 리스트에서 기기 정보 및 와이어 정보에 대응하는 해당 기기 내 단자 정보 및 단자 내 접점 정보를 검색하고, 표시소자 제어기와의 통신으로 표시소자 제어기 내의 맵 테이블에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의 매핑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 내 접점 정보 또는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소자 유닛은,
배선을 위한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는 표시소자;
외부 기기에서 전달되는 구동 데이터에서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브 제어부는,
외부 기기에서 전달되는 구동 데이터에서 검출된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표시소자를 구동하고 자신의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구동 데이터를 비트 지연시켜 다음 하위비트의 표시소자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는,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이동 저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링 리스트에 대한 설계 도면 및 관련 정보를 하나 이상의 건설 섹션별로 각각 분리시켜 축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리스트는,
와이어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ID;
케이블 및 와이어가 각 기기에 연결되는 위치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단자/접점 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ID는 케이블 ID와 와이어 I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접점 레코드는 기기 ID와 단자 ID 및 접점 I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리스트는,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된 다수의 표시소자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소자 I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리스트는,
기기 ID 별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와이어의 양쪽 단부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와이어 태그에 대해 와이어링 리스트 페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한 와이어링 리스트 로딩시의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로딩시의 메모리 크기 및 검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색인 기반 연결리스트를 활용한 동적 메모리 할당 방식이 적용되며,
바이너리 방식으로 데이터 검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리스트는,
각 단자 ID 및 접점 ID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링크 포인터 정보가 각 접점 ID에 더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포인터 정보는,
2개의 접점 ID가 일대일로 연결된 상태, N개의 접점 ID가 케스케이딩 형태로 연결된 상태, 1개의 접점 ID와 다수 개의 접점 ID가 방사형으로 연결된 상태 중의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 어레이는,
다수의 표시소자 유닛이 하나의 라인에 연결되어 표시소자 제어기와 직렬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표시소자가 각각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되는 표시소자 어레이, 배선할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를 건설 섹션별로 축약시켜 저장하는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 와이어에 개별 부착되는 와이어 태그, 각 기기에 설치되어 기기 정보를 보유하며 단자 내 각 접점과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맵 테이블을 구비하여 각 표시소자를 개별 구동하는 표시소자 제어기, 및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며 와이어 태그를 무선 인식하고 표시소자 제어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케이블링/와이어링 시스템에서, 케이블링/와이어링을 위한 기기의 단자 내 접점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섹션별로 축약된 와이어링 리스트 설계 DB의 와이어링 리스트를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통해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1단계;
(b) 무선 단말기가 기기에 설치된 표시소자 제어기로부터 기기정보를 무선 인식하는 제2단계;
(c) 무선 단말기가 기 저장된 와이어링 리스트로부터 제2단계에서 인식된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를 검색하여 로딩하는 제3단계;
(d) 무선 단말기가 와이어 태그로부터 와이어 정보를 무선 인식하고 제3단계에서 로딩된 기기의 와이어링 리스트에서 해당 와이어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와이어에 대응하는 기기의 단자 및 단자 내 접점을 인식하는 제4단계;
(e) 무선 단말기가 표시소자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표시소자 제어기 내의 맵 테이블에 단자 내 접점과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의 매핑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및
(f) 무선 단말기가 제5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자 내 접점 정보 또는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g) 표시소자 제어기가 단자 내 접점 정보 또는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정보에 따른 맵 테이블 상의 매핑정보 또는 단자 내 접점 정보와 그에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로 표시소자 어레이의 각 표시소자의 개별 구동을 제어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 -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d)는,
(d1) 와이어 태그로부터 케이블 ID와 와이어 ID를 인식하고, 제3단계에서 로딩된 와이어링 리스트에서 케이블 ID 어레이를 검색하는 단계;
(d2) 검색된 케이블 ID 어레이에서 바이너리 검색기법을 이용하여 와이어 태그로부터 획득한 케이블 ID를 검색하는 단계;
(d3) 상기 검색된 케이블 ID에 대응하는 와이어 ID 어레이를 검색하는 단계;
(d4) 와이어 태그로부터 획득한 와이어 ID를 와이어 ID 어레이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d5) 상기 검색된 와이어 ID가 링크된 단자 ID 및 접점 ID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 -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0) 기기 내에 구비된 각 단자와 단자 내 각 접점 정보 전체를 작업자 요구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여, 기기 제조사에 의해 설계된 단자 및 접점 정보와 상기 기기의 단자 내 각 접점에 대응 연결된 각 표시소자의 식별을 위한 표시소자 정보를 표시소자 제어기의 맵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표시소자 ID 사전 설정단계;를 제1단계(a) 이전에 실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 ID 사전 설정단계(a0)는,
(a01) 기기 내 원하는 단자 및 접점 정보를 선택하여 직렬 통신으로 표시소자 제어기에 전달하는 단계;
(a02) 표시소자 제어기가 현재 연결된 표시소자 정보를 이용하여 1개씩 순차적으로 표시소자를 점등하는 단계;
(a03) 상기 점등된 해당 표시소자가 작업자가 선택한 단자 및 접점 정보에 맞게 점등된 경우에 작업자에 의해 키입력되는 확인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단자 및 접점 정보와 표시소자 정보를 매핑시켜 맵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
(a04) 모든 단자 및 접점 정보에 대해 상기 단계들(a01-a03)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3147A KR101622739B1 (ko) | 2014-08-28 | 2014-08-28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3147A KR101622739B1 (ko) | 2014-08-28 | 2014-08-28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806A KR20160025806A (ko) | 2016-03-09 |
KR101622739B1 true KR101622739B1 (ko) | 2016-05-31 |
Family
ID=5553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3147A Active KR101622739B1 (ko) | 2014-08-28 | 2014-08-28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27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75298B1 (en) | 2018-07-10 | 2019-11-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ssisting cable use by locating connector ends of the cable |
EP3945697A1 (en) * | 2020-07-30 | 2022-02-02 | Carrier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troller infor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KR102523552B1 (ko) * | 2021-06-08 | 2023-04-20 | 한국전력공사 | 전력 설비에 대한 표지기 시스템 및 표지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1383A (ja) * | 2005-10-28 | 2007-06-14 | Hitachi Ltd | Rfidシステム,rfidケーブルシステム,rfidケーブル敷設方法 |
JP2008299859A (ja) * | 2008-06-20 | 2008-12-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機器接続管理システム |
-
2014
- 2014-08-28 KR KR1020140113147A patent/KR1016227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1383A (ja) * | 2005-10-28 | 2007-06-14 | Hitachi Ltd | Rfidシステム,rfidケーブルシステム,rfidケーブル敷設方法 |
JP2008299859A (ja) * | 2008-06-20 | 2008-12-1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機器接続管理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5806A (ko) | 2016-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68936B2 (en) | Cable connection guid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conduc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CN202306262U (zh) | 具有自我描述的现场设备 | |
KR101622739B1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배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 |
CN109982123B (zh) | 一种匹配的方法和设备 | |
EP3266284B1 (en) |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element in a lighting system, electronic element and configuring system | |
CN104755945A (zh) | 用于校准智能ac输出口的方法和装置 | |
US10416658B2 (en) |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WO2016127093A1 (en) | Wire diagram tagging system | |
US20150113180A1 (en) | Method for Servicing a Field Device | |
US20160198252A1 (en) | Earphone assembly and tour guide system for tourists | |
KR100956089B1 (ko) | 선박의 전장 설계 도면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1606130B1 (ko) | 배선 안내시스템 | |
WO2016023583A1 (en) | Mobile device, engineering tool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cable configur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 |
CN105517745B (zh) | 用于运行焊接系统的方法以及装置 | |
CN108898201B (zh) | 太阳能组件的信息关联系统和方法 | |
JP2011119065A (ja) | ワイヤハーネス組立装置、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立方法 | |
CN105898961A (zh) | 无线照明配对控制系统 | |
KR101686623B1 (ko) | 공작 기계와 컴퓨터 간의 스마트 유무선 통신장치 | |
CN109085773B (zh) | 电能管理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1756336B1 (ko) | 등기구의 어드레스 설정 시스템 | |
JP2018106606A (ja) | 作業工程管理ラック、作業工程管理システム、作業工程管理方法 | |
CN103166704B (zh) | 光纤插头的电子标签配对方法及装置 | |
CN112292737B (zh) | 装配辅助方法和装配装置 | |
JP2017091002A (ja) | 管理装置 | |
CN114064180B (zh) | 一种基于无源rfid的安措可视化操作指引系统与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