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40B1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Google Patents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540B1 KR101622540B1 KR1020140162708A KR20140162708A KR101622540B1 KR 101622540 B1 KR101622540 B1 KR 101622540B1 KR 1020140162708 A KR1020140162708 A KR 1020140162708A KR 20140162708 A KR20140162708 A KR 20140162708A KR 101622540 B1 KR101622540 B1 KR 101622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foamable
- injection
- filling structure
- refract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내화 충전구조체가 건물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다양하게 형성되는 발포성 슬리브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와 고정틀이 골선을 통해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발포성 슬리브의 결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에서 2개로 분리된 발포성 슬리브가 결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120: 관통부재
200: 발포성 슬리브
200a: 제1 발포성 슬리브(상하부 테이퍼형)
200b: 제2 발포성 슬리브(전면 골선형)
200c: 제3 발포성 슬리브(일부 골선형)
210: 슬리브(Sleeve)
220: 내부 발포재
230: 날개형 구조
240: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
250: 슬리브 골선
300: 고정틀
310: 고정틀 본체
320: 고정틀 체결부재
330: 고정틀 골선
Claims (13)
- 건축물의 바닥(110) 또는 벽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관통부재(120)를 설치할 경우,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공간(틈)을 밀폐시킴으로써 화재시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내화충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 구조체는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로 이루어진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로서,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발포 팽창하는 발포성 재료로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를 사출(Injection Molding)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발포성 무기질 재료를 유기질 재료와 혼합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규격에 대응하는 특정 형태로 사출되며,
상기 슬리브(210)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발포재(220)는 상기 슬리브(210)와 동일한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210) 및 상기 내부 발포재(220)가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온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 자체가 발포 팽창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고정하여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바닥(110) 또는 벽체의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상기 바닥(110)을 관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정틀(300)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틀(300)은 상기 관통부재(120)를 고정하여 상기 관통부재(120)의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화재시 온도상승 또는 화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하부 테이퍼형(200a), 전면 골선형(200b) 또는 일부 골선형(200c)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틀(3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틀(300)에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고정틀 골선(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전면 골선형(200c) 또는 일부 골선형(200d)은 슬리브 골선(250)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골선(250)에 대응하는 골선이 상기 관통부재(120)에 형성되어,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의 처짐 및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관통부재(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돌출부분의 신축성을 이용하도록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는 상기 관통부재(120)의 수직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신축성 재료를 이용한 발포성 슬리브(240)는 독립적으로 또는 상기 슬리브(210) 및 내부 발포재(220)와 필요시 혼용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형 발포성 슬리브(200)는 상기 관통공과 관통부재(120) 사이의 하부틈을 채우기 위해 날개형 구조(230)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형 구조(230)는 상부에서 채움이 있을 경우,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틈을 막아서 내화충전 구조체의 성능 및 미관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발포성 슬리브(200-1, 200-2)를 서로 맞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발포성 슬리브(200)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관통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708A KR101622540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708A KR101622540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2540B1 true KR101622540B1 (ko) | 2016-05-19 |
Family
ID=561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2708A Active KR101622540B1 (ko) | 2014-11-20 | 2014-11-20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254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09418A (ja) * | 2016-12-28 | 2018-07-12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
KR20220057720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파이어넷 |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
KR102587308B1 (ko) | 2023-06-05 | 2023-10-12 | 주식회사 파이어넷 |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554A (ja) * | 2002-06-24 | 2004-01-29 | Inaba Denki Sangyo Co Ltd |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
JP2014128688A (ja) | 2014-01-28 | 2014-07-10 | Inaba Denki Sangyo Co Ltd | 貫通孔防火措置構造 |
-
2014
- 2014-11-20 KR KR1020140162708A patent/KR10162254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554A (ja) * | 2002-06-24 | 2004-01-29 | Inaba Denki Sangyo Co Ltd | 耐火構造物用貫通孔形成具 |
JP2014128688A (ja) | 2014-01-28 | 2014-07-10 | Inaba Denki Sangyo Co Ltd | 貫通孔防火措置構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09418A (ja) * | 2016-12-28 | 2018-07-12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固定枠及び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
KR20220057720A (ko)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파이어넷 | 수직배관의 화재 저항 구조체 |
KR102587308B1 (ko) | 2023-06-05 | 2023-10-12 | 주식회사 파이어넷 | 내화채움재의 비산 탈락 방지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7197B1 (ko) |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 |
JP5427782B2 (ja) |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US20120110934A1 (en) | Intumescent backer rod | |
KR100867273B1 (ko) |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 |
KR101603620B1 (ko) |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 |
EP3947888A1 (en) | Fire resistant construction block | |
KR101622540B1 (ko) | 발포성 슬리브를 이용한 내화충전 구조체 | |
KR102239032B1 (ko) |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 |
KR101519816B1 (ko) |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 |
KR100701208B1 (ko) | 건물의 외장 단열구조 | |
JP7237187B2 (ja) | チューブ状封止要素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20130000806A (ko) | 건축물의 케이블 관통부에 적용되는 내화충전구조의 시공방법 | |
KR20110098448A (ko) | 화재 번짐 방지 수단을 갖는 입상배관의 고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 |
KR20140089642A (ko) | 건축물의 관통부용 보온이 완료된 금속파이프에 내화충전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 |
JP3130233U (ja) | 建築物の防火区画配線構造体 | |
KR102000573B1 (ko) | 리모델링 주택의 외단열 시공방법 | |
KR102008627B1 (ko) |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 |
KR102571553B1 (ko) | 내화충전제 낙하 방지를 위한 언더컷 연결장치 | |
EP3792420A1 (en) | Fireproof structure for through-penetration firestopping of building | |
KR20020083301A (ko) | 철구조물의 층간 방화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 |
CN203188387U (zh) | 一种现浇砼复合构件 | |
KR101553860B1 (ko) | 조립형 방화 고정구 | |
JP2018109283A (ja) |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 |
KR101509104B1 (ko) | 열교 차단을 위한 복합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377961Y1 (ko) |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