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며,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방송재생장치(200)와,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는 전화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재생장치(2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수신하여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는 IPTV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화단말장치(4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전화 서비 스를 이용하는 VoIP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도 1을 언급하면, 전화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포함하는 방송재생장치(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서비스서버(100)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동시 수행 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재생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망(1)은, 방송재생장치(200,300), 방송서비스서버(100), 전화단말장치(400),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동통신망과, 유선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모바일인터넷망, 전화망 등의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는, 방송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210)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220)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부(230)를 포함한다.
방송재생부(21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송재생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채널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반적인 방송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방송재생부(210)는 재생하는 컨텐츠의 채널정보(예 : 채널번호 등) 및 컨텐츠정보(예 : 장르정보, 제목정보, 유료방송컨텐츠 여부정보, 성인방송컨텐츠 여부정보 등)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데이터추출부(22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추출부(22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추출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하는 경우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전화통화 발생 선택 여부 또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 수신 여부를 데이터추출부(220)가 직접 판단하여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나, 별도의 판단부(미도시)가 전화통화 발생 선택 여부 또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한 결과를 데이터 추출부(220)에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추출부(220)가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여부를 인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방송재생부(2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됨이 수신됨에 따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데이터추출부(220)는 방송재생부(210)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데이터추출부(220)는,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방송재생부(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데이터제공부(230)는, 데이터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제공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가 수신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해당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재생장치(200) 및 전화단말장치(400)가 홈 네트워킹을 통해 연계되는 댁 내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망(1)은 방송재생장치(200) 및 전화단말장치(400)가 포함되는 홈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방송재생장치(200)는 홈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 개시됨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홈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410)와,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430)와,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통화기능수행부(430)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420)를 포함한다.
마이크(410)는, 전화단말장치(400)의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기능부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은 음성데이터로서 통화기능수행부(430) 또는 음성제거부(420)로 제공된다.
음성제거부(420)는,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외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통화기능수행부(430)로 전달한다.
즉, 음성제거부(42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제거부(420)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함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고, 또는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기 분석/파악된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가 포함되어 있고 음성제거부(420)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음성제거부(420)는, 통화기능수행부(430)에 의한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통화기능수행부(430)는,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 발신 시도 시 또는 전화 착신 시,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음성전화 뿐 아니라 화상전화 기능을 더 가짐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및 촬영된 화상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화상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전화통화(음성 또는 화상) 기능 수행 시 통신망(1)을 통해 자신 즉 전화단말장치(100)과 연관된(기 등록된) 해당 방송재생장치(200)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통화기능수행부(430)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마이크(4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 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고,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방송재생장치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될 시에는 음성제거부(42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여 전화단말장치(400)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단말장치(400)가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방송재생장치(200)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 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방송재생장치(200)의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31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330)와,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기능수행부(350)와, 방송재생부(31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통화기능수행부(350)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320)와,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여 통화기능수행부(350)로 전달하는 음성제거부(340)를 포함한다.
즉,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재생부(31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송재생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채널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반적인 방송 재생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방송재생장치(3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출력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마이크(330)는,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은 기능부로써,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은 음성데이터로서 통화기능수행부(350) 또는 음성제거부(340)로 제공된다.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통화기능수행부(350)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되면, 방송재생부(3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의 컨텐츠 재생 및 통화기능수행부(350)에서의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이에,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재생부(310)에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데이터추출부(320)는,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방송재생부(3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제거부(34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하고,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통화기능수행부(35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성제거부(340)는,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 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추출부(320)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하여, 컨텐츠음성데이터의 파악된 음성파라미터를 음성제거부(34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음성제거부(340)가 데이터추출부(32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직접 파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음성제거부(340)는,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데이터추출부(320)에 의해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음성제거부(34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통화기능수행부(350)는,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 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신하여,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 발신 시도 시 또는 전화 착신 시,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음성전화 뿐 아니라 화상전화 기능을 더 가짐으로써,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및 촬영된 화상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화상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화기능수행부(350)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에는 마이크(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고,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음성제거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방송재생부(310)는,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제거부(340)에 의한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 금번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컨텐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화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 음성제거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음성을 뮤트(Mute)시키고 방송재생장치(300)를 이용하는 통화자의 통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S10)를 수신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한다(S20). 이에 방송재생장치(2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한편, 방송재생장치(200)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화통화 기능이 수행(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이 선택된다(S30).
이에, 방송서비스서버(100)는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0), 전화통화이벤트 발생 시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S50)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S55).
전화단말장치(400)는,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금번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다(S60).
그리고, 전화단말장치(400)는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S70,S80),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에서는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통화데이터가 출력될 것이고(S90), 전화단말장치(400)에서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에 따른 수신된 통화데이터가 출력될 것이다(S95).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방송을 재생한다(S100). 이에 방송재생장치(2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기 설정된 전화통화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11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개시됨을 수신하는 경우를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됨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S12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이 인지되면,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한다(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별도로 전화통화 발생이 선택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기 등록된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고, 소정 전화단말장치(예 : 전화단말장치(400))로부터 전화통화 기능 수행 개시가 수신됨에 따른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으로 인해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해당 전화단 말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2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금번 전화통화이벤트 발생에 따른 해당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자신 즉 방송재생장치(200)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어느 하나도 종료되지 않으면 전술의 S120~S130단계를 반복하고,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에 따라 전화통화 기능 수행을 개시한다(S2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음성 또는 화상) 기능 수행 시 통신망(1)을 통해 자신 즉 전화단말장치(100)과 연관된(기 등록된) 해당 방송재생장치(200)로 전화통화 기능이 개시됨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외부의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다(S230).
즉,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함으로써,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고, 또는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기 분석/파악된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가 포함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포함된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 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방송재생장치(200)로부터의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면,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자의 음성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따른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S23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24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전화단말장치(400)의 전화 음질 향상 방법은, S220단계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마이크(4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방송재생장치(200)에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전화단말장치(400)로 제공하여 전화단말장치(400)가 마이크(4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 을 제거함으로써, 전화단말장치(400)가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에서 방송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음성이 미치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화단말장치(400)에서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IPTV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방송재생장치(200)에서의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방송재생장치(200)의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방송을 재생한다(S300). 이에 방송재생장치(300)에서는 컨텐츠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음성이 출력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예 : 전화 발신 시도 또는 전화 착신 응답 등)에 따라 전화통화 기능 수행을 개시한다(S3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즉 통화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포함된 통화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특히 IP기반으로 설정되는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320).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현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S33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즉 현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로부터 컨텐츠음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처럼, 컨텐츠로부터 특정 데이터(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추출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음성의 특징을 나타내는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을 파악한다(S3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파악되는 음성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따른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다(S35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금번 전화통화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에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데이터에서 특정 음성파라미터(예 : 주파수, 위상 등)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특정 음성(예 : 컨텐츠음성)을 제거하는 방식은, 기존의 다양한 음성 분리/제거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S35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36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300)의 사용자에 의한 재생선택에 따라,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컨텐츠음성 제거에 따른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70~S385). 즉,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 수행 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컨텐츠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①) 금번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컨텐츠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S38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화음성재생이 선택된 경우(②) S350단계에 의해 처리된 음 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에서 컨텐츠음성이 제거된 상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여 방송재생장치(3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음성을 뮤트(Mute)시키고 방송재생장치(300)를 이용하는 통화자의 통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S385).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금번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됨에 따른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거나 전화통화 기능 수행이 여부를 판단하여(S390), 어느 하나도 종료되지 않으면 전술의 S330~S385단계를 반복하고, 어느 하나가 종료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의 전화 음질 향상 서비스 방법은, S320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되는지 않고 어느 하나의 단일 동작을 수행한다면, 일반적인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마이크(33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통화데이터를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통화로를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와의 전화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32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재생하는 컨텐츠의 컨텐츠음성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통화 기능에 따라 마이크(3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통화자의 음성+컨텐츠음성)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음성데이터를 토대로 컨텐츠음성을 제거함으로써, 전화통화 기능을 통해 상대방 전화단말장치(10)로 통화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컨텐츠음성을 제거한 통화자의 순수한 음성만을 포함하는 음성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300)는, 컨텐츠 재생 및 전화통화 기능이 함께 수행될 시, 컨텐츠 재생에 따른 컨텐츠음성으로 인해 전화 음질이 떨어지는 현상과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되는 반향(Echo) 및 하울링(Howling)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컨텐츠 재생과 무관하도록 전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