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079B1 -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Google Patents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4079B1 KR101624079B1 KR1020150061192A KR20150061192A KR101624079B1 KR 101624079 B1 KR101624079 B1 KR 101624079B1 KR 1020150061192 A KR1020150061192 A KR 1020150061192A KR 20150061192 A KR20150061192 A KR 20150061192A KR 101624079 B1 KR101624079 B1 KR 101624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ontents
- closing member
- protrusion
- inner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 용기 상단부와 결합 되는 캡의 구조에 있어서, 하단 내벽면으로 언더컷(110)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토출공(120)이 형성되는 캡(100), 상기 캡(100)의 언더컷(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캡(100)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캡(200), 상기 내부캡(200)과 캡(100) 사이에 게재되어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개방되고, 내용물 토출 후 튜브 용기(10) 내부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의 사용이 이루어진 후, 용기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산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전량 사용까지 변질 또는 변색 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사용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갖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의 사용이 이루어진 후, 용기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산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전량 사용까지 변질 또는 변색 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사용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갖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이 용기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는 마개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후에는 캡의 토출구 내부에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공기차단 역할을 하는 토출개폐부재에 의해 캡 토출구 입구를 차단하도록 하여, 공기와 용기 내부 내용물과의 산화방지를 위한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상이나 고체상으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는 통상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캡에 의해 나사 결합 된 캡를 사용하고 있다.
캡은 단캡(단캡)과 이중캡(이중캡)으로 그 종류가 나누어지는데, 단캡의 경우 캡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나사와 용기의 토출구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고, 이중캡의 경우에는 외부캡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내부캡의 구조를 갖고 있으면서 내부캡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용기의 토출구와 나사 결합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단캡 또는 이중캡의 상단 일측으로 힌지 결합 되어 캡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캡을 이용하여 스킨로션, 겔상의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상단부와 결합 되어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되는데, 소비자는 이러한 화장품을 구매한 후 캡의 덮개를 개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소비자에 의해 용기 특히 튜브형 용기내 내용물의 사용을 끝낸 후 캡의 토출구 내부에 내용물의 잔량이 남아 있거나 또는 캡의 토출구를 통하여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은 빈번하게 발생 되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기 전에 내용물의 산화 과정에 따라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들로 인하여 기존의 용기내 수용된 화장품류 등의 내용물은 캡을 개봉한 후에는 빠른 시일내에 모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 산화 작용되어 변색, 변질된 상태에 이른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로 병 종류 등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 특허 10-2014-37589 호가 있는데 주로 병종류와 결합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 내부를 가압하는 구성 및 병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는 구성을 통하여 병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산화 등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주로 병으로 되는 용기에 부합되는 마개에 불과하며, 화장품류 등을 수용하는 튜브형 용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튜브형 용기에 적용되는 마개 즉 캡의 경우, 내부에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기술이 존재하지만 진공펌프를 구성하는 튜브형 용기 및 캡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생산 코스트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의 사용이 이루어진 후, 용기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산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의 전량 사용까지 변질 또는 변색 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사용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 용기 상단부와 결합 되는 캡의 구조에 있어서,
하단 내벽면으로 언더컷(110)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토출공(120)이 형성되는 캡(100),
상기 캡(100)의 언더컷(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캡(100)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캡(200),
상기 내부캡(200)과 캡(100) 사이에 게재되어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개방되고, 내용물 토출 후 튜브 용기(10) 내부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 용기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짜 내어 사용 한 후에 튜브 용기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내용물과 외기간 산화 작용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 변색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캡과 튜브 용기간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캡 내부의 내부캡과 토출개폐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내부캡 저면 사시도
도 4는 캡과 내부캡 및 토출개폐부재의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캡이 튜브 용기와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의하여, 튜브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토출개폐부재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는 상태에서 토출개폐부재의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의해 내용물을 튜브 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 후 토출차폐부재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기가 튜브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캡과 내부캡, 토출개폐부재, 상부차폐캡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내부캡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단면 처리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튜브 용기와 결합 된 상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의하여, 튜브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토출개폐부재의 연장차폐부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활개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의해 내용물을 튜브 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 후 토출차폐부재의 연장차폐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기가 튜브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은 캡과 튜브 용기간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캡 내부의 내부캡과 토출개폐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내부캡 저면 사시도
도 4는 캡과 내부캡 및 토출개폐부재의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캡이 튜브 용기와 결합 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의하여, 튜브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토출개폐부재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는 상태에서 토출개폐부재의 토출구를 통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의해 내용물을 튜브 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 후 토출차폐부재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기가 튜브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캡과 내부캡, 토출개폐부재, 상부차폐캡을 분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내부캡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단면 처리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튜브 용기와 결합 된 상태의 개괄적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의하여, 튜브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토출개폐부재의 연장차폐부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활개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의해 내용물을 튜브 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 후 토출차폐부재의 연장차폐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기가 튜브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주로 사용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어 내부 내용물을 취출 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튜브 용기(10)와 같은 용기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캡(100)을 제공하되, 내용물의 사용 후 외기가 튜브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산화 작용 방지와 이에 따른 변색, 변질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캡(100)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캡(100) 및 상기 캡(1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캡(200)과 상기 캡(100)과 내부캡(200) 사이에 게재되는 연질의 재질 즉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며,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2실시예에 의한 실시가 가능한바, 각각의 실시예들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으며, 캡(100) 및 내부캡(200)과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 구성은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캡(100)은, 도 4 및 도 5 에서 보듯이 하방이 개구되어 튜브용기(10)의 목부(11)와 나사 체결되어지되 상측방으로는 튜브용기(10)의 내용물이 토출 될 수 있는 토출공(120)이 천공되고 상기 캡(100) 내면 하단측에 언더컷(1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캡(100)의 상단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직상으로 누름구(130)를 형성한다.
상기 누름구(130)는 후술하게 되는 토출개폐부재(300)의 상단 주연부측을 누르며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부캡(200)은 도 3 내지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캡(10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언더컷(110)에 끼워져 캡(10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중앙으로 내부가 하방향으로 개구되고 상방이 막혀지는 돌출부(210)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210) 하단 주연부측에서 수평선상으로 이어지는 리브(220)가 상기 돌출부(210)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구성되고, 상기 리브(220)의 단부측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하여 원통형체로 이루어지는 외통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돌출부(210)의 외측과 외통체(230)의 내측으로는 공간(2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220)와 리브(220) 사이로 유로(Z)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Z)를 통하여 튜브 용기(10) 내부 내용물이 배출 될 수 있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로(Z)를 따라 배출되는 내용물은 유로(Z)와 이어지는 상기 공간(240)을 통하여 후술하게 되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되는 토출개폐부재(300)를 가압하며 들어올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돌출부(210)의 상단은 막혀지는 상태를 이루는데, 돌출부(210)의 상단 상면 주연부로부터 단턱을 이루며 중앙으로 더욱 돌출되는 돌출삽입구(211)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삽입구(211)는 후술하는 토출개폐부재(300)의 중앙측에 천공되는 토출구(310)에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평상시 즉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돌출삽입구(211)와 토출구(310)가 밀접하게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외기가 튜브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튜브 용기(10)를 짜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토출개폐부재(300)의 토출구(310)를 형성하는 중앙부위가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내부캡(200)의 리브(22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Z)와 공간(240)을 통하여 캡(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개폐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여, 캡(100)과 내부캡(200) 사이에 게재되는 것이다.
이러한 토출개폐부재(300)는, 튜브 용기(10) 내부 내용물을 짜내어 사용하고자 할 때 토출개폐부재(300)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며 이완되어 토출개폐부재(300)의 중앙측 토출구(310)측으로 유동되는 내용물이 캡(100) 토출공(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내용물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튜브 용기(10) 내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축되어 상기 토출개폐부재(300)의 중앙측 토출구(310)가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상면으로 더욱 돌출되어 있는 돌출삽입구(211)와 밀접하게 접하여 외부로부터의 외기가 튜브 용기(10) 내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갖는 토출개폐부재(300)는 도 2,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토출구(310)가 천공되는 돌출캡(320)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캡(320) 하단부로부터 연하여 완만하게 상방향으로 이어지는 만곡부(330)로 연하여 연결되고 상기 만곡부(330)의 단부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0)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테두리부(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캡(320)은 전술한 내부캡(200)의 돌출부(210)를 에워싸며 커버하게 되는데, 돌출캡(320) 중앙에 천공되는 토출구(310)는 상기 돌출부(210)의 상방으로 더욱 돌출되는 돌출삽입구(211)가 삽입되어, 토출구(310) 내주면과 돌출삽입구(211) 외주면간 긴밀한 접촉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밀성은 토출개폐부재(300)의 재질이 연질인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가능하다.
한편, 돌출캡(300) 하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는 만곡부(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만곡부(330)는 튜브 용기(10)로부터 내용물이 토출되어질 때 그 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게 되며, 내용물 사용이 완료되면 부풀어 오른 만곡부(330)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만곡부(330)가 내용물 토출시 부풀어 오르게 되면, 전술한 돌출캡(320)은 연동하여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긴밀하게 접촉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던 토출구(310)와 내부캡(200)의 돌출삽입구(211)가 이격되면서 돌출캡(320)은 도 6 내지 도 7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캡(100) 중앙의 토출공(120)측으로 돌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내부캡(200)의 유로(Z)와 공간(24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튜브 용기(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토출개폐부재(300)는 원상복귀되면서 만곡부(330)는 다시 접시 형태로 복구되고 이와 연동하여 돌출캡(320) 또한 하방향으로 위치이동하여 내부캡(200)의 상단 돌출삽입구(211)와 토출개폐부재(300)의 토출구(310)간 삽입에 의한 기밀성을 확보하여, 외부로부터의 외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부(340)는 내부캡(200)의 외통체(230) 상단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부캡(200)을 하단방향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340)로부터 수직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350)는 내부캡(200)의 외통체(230) 상면과 캡(100) 하단 내주연부측으로 수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구(130) 사이에 게재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연장부(340)의 테두리부(350)가 외통체(230) 상면과 누름구(130) 사이에 게재되면서 상하에서 테두리부(350)를 압박하게 되므로서, 연질의 실리콘 재질 특성상 실링 역할을 하여 내부캡(200)의 유로(Z)와 공간(240)을 향해 유동되는 내용물이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부(340) 및 테두리부(350)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달리 도 8 내지 도 13 에서 보는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예컨데 제 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을 갖되, 상부차폐캡(400)의 구성이 추가되며 각 구성의 형상 변화에 의한 실시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캡(100) 및 내부캡(200)과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 구성은 같다.
한편 상기 캡(100)은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누름구(130)는 필요하지 않으며, 내측면 하단의 언더컷(110)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캡(100) 상면 중앙에 토출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캡(10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캡(200)은 도 9 내지 도 11 에서 보는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중앙으로 내부가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방은 개구되고 상방으로는 통공(250)이 형성되는 돌출부(210)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210) 하단 주연부측에서 수평선상으로 이어지는 리브(220)가 상기 돌출부(210) 하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 구성되고, 상기 리브(220) 단부측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하여 형성되는 지지구(2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260)와 리브(220)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캡(100) 내부의 상단 내측과 하부의 언터컷(110)에 강제 끼워지며 캡(100) 내부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외통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개폐부재(300)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여 캡(100)과 내부캡(200) 사이에 게재되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제2실시예의 내부캡(200)의 형상이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토출개폐부재(300)를 갖게 되는바, 중앙에 관통공(361)을 갖는 원통부재(36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 경사지는 연장차폐부(370)가 연장되어, 상기 내부캡(200)의 지지구(260)와 접하며 기밀성을 갖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원통부재(360)는 상기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상면에 위치되며 내부캡(200) 내부를 커버하도록 하여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실시예에서의 토출개폐부재(300)는 내부캡(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캡(200)의 유로(Z)와 공간(240)을 통하여 유동되는 내용물을 상기 연장차폐부(370)에 의해 차폐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통부재(360)의 관통공(361)은 전술한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상면에 위치되어지며 돌출부(210) 상면에 천공되는 통공(25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관통공(361)이 위치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캡(100)에서 상부차폐캡(400)이 구성되는데, 상부차폐캡(400)은 도 8, 도 10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원판형체(410)의 중앙 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끼움봉(42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봉(420) 단부에는 이탈방지부(430)가 외주면으로 라운딩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원판형체(410)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도 11 내지 도 1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토출개폐부재(300)의 원통부재(360)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원판형체(410) 하단 중앙으로 돌출되는 상기 끼움봉(420)이 토출개폐부재(300)의 관통공(361)과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상면에 천공되는 통공(250)을 관통하며 체결되도록 하였으며, 끼움봉(420)의 하단 외주면으로 라운딩 돌출되는 이탈방지부(430)가 통공(250)의 하단 저면 주연부측에 걸려 이탈 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토출개폐부재(300)와 내부캡(200)의 돌출부(210)를 상호 고정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부차폐캡(400)에 의해 토출개폐부재(300)와 내부캡(200)의 돌출부(210)간을 고정 연결하고,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차폐부(370)가 안정적으로 내부캡(200)의 지지구(260)를 덮으며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가 튜브용기(10)에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면, 내용물은 압력에 의해 내부캡(200)의 리브(220)와 리브(22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Z)를 따라 유동되면서 리브(220) 상방측의 공간(240)으로 유동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내용물은 상부차폐캡(400)의 끼움봉(420)에 의해 끼워져 있는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중앙에 천공되는 통공(250)과 토출개폐부재(300)의 원통부재(360)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관통공(361)측으로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즉, 상부차페캡(400)과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사이에 게재되는 토출개폐부재(300)는 재질이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해당 부재인 돌출부(210)와 상부차폐캡(400)간의 기밀성이 유지되어지므로, 통공(250) 및 관통공(361)측으로는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유로(Z)와 리브(220) 상단측 공간(240; 즉 리브(220) 상단측과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차폐부(37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함)을 통하여 유동 되는 유체 흐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용물은 유로(Z) 및 공간(240)을 통하여 유동된 후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차폐부(370)를 상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하며 내부캡(200) 상방측으로 유도된 후 캡(100)의 토출공(12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토출개폐부재(300)의 역할의 경우 제1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의 만곡부(330)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부풀어 오르며 내용물의 유동을 개방하는 것이고, 제2실시예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연장차폐부(370)의 단부가 내부캡(200)의 지지구(260)와 밀접하게 접하여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젖혀지는 형태를 이루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내용물의 배출 후에는 튜브 용기(10)를 짤 때 발생되었던 압력이 제거되므로 연장차폐부(370)는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제공되어 상기 지지구(260)와 접하여지며 튜브 용기(1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원터치 캡의 토출구 구조에서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튜브 용기 11; 목부
100; 캡 110; 언더컷
120; 토출공 130; 누름구
200; 내부캡 210; 돌출부
211; 돌출삽입구 220; 리브
230; 외통체 240; 공간
250; 통공 260; 지지구
Z; 유로
300; 토출개폐부재 310; 토출구
320; 돌출캡 330; 만곡부
340; 연장부 350; 테두리부
360; 원통부재 361; 관통공
370; 연장차폐부 400; 상부차페캡
410; 원판형체 420; 끼움봉
430; 이탈방지부
100; 캡 110; 언더컷
120; 토출공 130; 누름구
200; 내부캡 210; 돌출부
211; 돌출삽입구 220; 리브
230; 외통체 240; 공간
250; 통공 260; 지지구
Z; 유로
300; 토출개폐부재 310; 토출구
320; 돌출캡 330; 만곡부
340; 연장부 350; 테두리부
360; 원통부재 361; 관통공
370; 연장차폐부 400; 상부차페캡
410; 원판형체 420; 끼움봉
430; 이탈방지부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하단 내벽면으로 언더컷(110)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토출공(120)이 형성되는 캡(100); 상기 캡(100)의 언더컷(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캡(100)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캡(200); 상기 내부캡(200)과 캡(100) 사이에 게재되어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개방되고, 내용물 토출 후 튜브 용기(10) 내부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토출개폐부재(300)는, 중앙에 토출구(310)가 천공되는 돌출캡(320)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캡(320) 하단부로부터 연하여 완만하게 상방향으로 이어지는 만곡부(330)로 연하여 연결되고 상기 만곡부(330)의 단부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0)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테두리부(350)로 이루어지는 액상 또는 겔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튜브 용기 상단부와 결합 되는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출개폐부재(300)의 연장부(340)는 내부캡(200)의 외통체(230) 상단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부캡(200)을 하단방향으로 지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340)로부터 수직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350)는 내부캡(200)의 외통체(230) 상면과 캡(100) 하단 내주연부측으로 수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누름구(130) 사이에 게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하단 내벽면으로 언더컷(110)을 형성하고 상방으로 내용물 토출을 위한 토출공(120)이 형성되는 캡(100); 상기 캡(100)의 언더컷(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캡(100) 내측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캡(200); 상기 내부캡(200)과 캡(100) 사이에 게재되어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해 개방되고, 내용물 토출 후 튜브 용기(10) 내부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개폐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캡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200)은 중앙으로 내부가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방은 개구되고 상방으로는 통공(250)이 형성되는 돌출부(210)를 이루고, 상기 돌출부(210) 하단 주연부측에서 수평선상으로 이어지는 리브(220)가 상기 돌출부(210) 하단 외주면을 따라 이격 구성되고, 상기 리브(220) 단부측으로부터 수직상으로 연하여 형성되는 지지구(2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260)와 리브(220)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캡(100) 내부의 상단 내측과 하부의 언터컷(110)에 강제 끼워지며 캡(100) 내부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외통체(230)로 이루어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제 7 항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361)을 갖는 원통부재(36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 경사지며 연장되는 연장차폐부(370)로 이루어지는 토출개폐부재(300)가, 상기 내부캡(200) 내부에 삽입되어지되, 상기 내부캡(200)의 지지구(260)에 상기 연장차폐부(370)의 단부가 접하며 기밀성을 유지하고, 상기 원통부재(360)는 상기 내부캡(200)의 돌출부(210) 상면에 위치되며 내부캡(200) 내부를 커버하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개폐부재(300)와 상기 내부캡(200)을 연결하는 상부차폐캡(400)이 게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차폐캡(400)은 원판형체(410)의 중앙 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끼움봉(42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봉(420) 단부에는 이탈방지부(430)가 외주면으로 라운딩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192A KR101624079B1 (ko) | 2015-04-30 | 2015-04-30 |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1192A KR101624079B1 (ko) | 2015-04-30 | 2015-04-30 |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4079B1 true KR101624079B1 (ko) | 2016-05-24 |
Family
ID=5611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1192A KR101624079B1 (ko) | 2015-04-30 | 2015-04-30 |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4079B1 (ko) |
-
2015
- 2015-04-30 KR KR1020150061192A patent/KR101624079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80130B1 (en) | Discharge container | |
KR101508499B1 (ko) |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 |
KR200408260Y1 (ko) |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 |
JP6203633B2 (ja) | 二重容器 | |
KR20170078392A (ko) | 화장품 용기 | |
PL200286B1 (pl) | Zamknięcie z wewnętrznym regulatorem przepływu do ciśnieniowo otwieranego zaworu w przedłużalnej /wciąganej dyszy | |
US9296526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 |
JPH0737261B2 (ja) | ペ−スト状ないしは液状物質取出し容器の底面自動閉鎖弁 | |
KR101651929B1 (ko) |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 |
KR200488073Y1 (ko) |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 |
KR101624079B1 (ko) | 산화방지 구조를 갖는 캡 | |
KR100830089B1 (ko) | 용기용 마개 | |
JP2020152427A (ja) | 二重構造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17163B1 (ko) |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 |
JP6215117B2 (ja) | 二重容器 | |
KR101923180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190092688A (ko) |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 |
JP2007176577A (ja) | 注出キャップ | |
RU274269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го продукта | |
KR101753843B1 (ko) |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 |
KR200467361Y1 (ko) |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 |
KR200431896Y1 (ko) |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 |
KR101975504B1 (ko) | 펌프 용기 | |
KR200485155Y1 (ko) | 용기 | |
JP2007302254A (ja) | 吐出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