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530B1 -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530B1 KR101612530B1 KR1020140086306A KR20140086306A KR101612530B1 KR 101612530 B1 KR101612530 B1 KR 101612530B1 KR 1020140086306 A KR1020140086306 A KR 1020140086306A KR 20140086306 A KR20140086306 A KR 20140086306A KR 101612530 B1 KR101612530 B1 KR 1016125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access
- function
- access control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6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문용 출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문용 출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 입문하는 경우에, 보안 관리 시스템이 보안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보안 영역에서 출문하는 경우에, 보안 관리 시스템이 보안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 제1 구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제어 장치로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출입 ID와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출입 유효 기간을 이용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구역에 출입할 수 있는 제1 권한을 가지는 지를 판단하는 출입 권한 판단부;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기능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구역에서 출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이용해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긴 시각을 나타내는 제2 정보와 기능 잠금 신호가 생성된 시각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 간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 해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기능 잠금 신호와 상기 기능 해제 신호는 상기 기능 제어 신호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출입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제1 구역의 출입문의 상태를 변경하는 출입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권한 판단부는,
상기 출입 ID와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출입 허용 ID를 비교하고,
상기 출입 허용 ID가 상기 출입 ID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출입 유효 기간이 만료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출입 유효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권한 판단부는,
상기 출입 허용 ID가 상기 출입 ID를 포함하지 않거나, 현재 일자가 상기 출입 유효 기간을 경과한 경우에, 출입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 및 출입 통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유효 기간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이거나 상기 출입 제어 장치가 가지고 있던 정보인
출입 제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구역에 입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될 수 없도록 잠그는 상기 기능 잠금 신호를 생성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에 입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권한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김 정보와 상기 출입 ID에 대한 입문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입 통제 서버로 전달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구역에서 출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지 않거나,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에, 오류 메시지를 상기 단말 및 출입 통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출입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해제 신호에 의해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제1 구역의 출입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김 해제 정보와 상기 출입 ID에 대한 출문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입 통제 서버로 전달하는 출입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출입 제어 장치. - 단말로서,
서버로부터 출입 ID를 발급받는 발급부;
상기 출입 ID를 제1 구역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출입 제어부; 및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해,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의 기능 잠금 상태를 요청받은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는 지를 나타내는 제1 정보와 상기 단말의 기능이 잠긴 시각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기능은, 데이터 저장 기능, 카메라 기능, 및 외부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 제어 신호 중 기능 잠금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될 수 없도록 잠그고,
기능 잠금 성공 정보를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 제어 신호 중 기능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고,
기능 잠금 해제 성공 정보를 상기 출입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신호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정보이거나 기 정의된 임의의 난수인
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부는,
출입 ID 발급 기능을 가지는 외부 장치를 통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출입 ID를 발급받는
단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출입 통제 및 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1 모듈을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설치하고,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발급부, 상기 출입 제어부, 및 상기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 출입 제어 장치가 제1 구역의 보안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단말로부터, 출입 ID와 제1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 ID와 상기 제1 구역에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출입 허용 ID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출입 허용 ID가 상기 출입 ID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출입 제어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출입 ID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이용해 상기 무선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의 기능이 잠겨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의 기능이 잠긴 시각을 나타내며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정보와 기능 잠금 신호가 생성된 시각을 나타내는 제3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와 상기 제3 정보 간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의 기능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 해제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306A KR101612530B1 (ko) | 2014-07-09 | 2014-07-09 |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306A KR101612530B1 (ko) | 2014-07-09 | 2014-07-09 |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554A KR20160006554A (ko) | 2016-01-19 |
KR101612530B1 true KR101612530B1 (ko) | 2016-04-14 |
Family
ID=5530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6306A Active KR101612530B1 (ko) | 2014-07-09 | 2014-07-09 |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5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57749B2 (en) | 2014-04-25 | 2020-05-19 | Vivint, Inc. | Automatic system access using facial recognition |
US10235822B2 (en) | 2014-04-25 | 2019-03-19 | Vivint, Inc. | Automatic system access using facial recognition |
US10274909B2 (en) | 2014-04-25 | 2019-04-30 | Vivint, Inc. | Managing barrier and occupancy based home automation system |
US10127754B2 (en) | 2014-04-25 | 2018-11-13 | Vivint, Inc. | Identification-based barrier techniques |
WO2017176876A1 (en) * | 2016-04-07 | 2017-10-12 | Vivint, Inc. | Identification-based barrier techniqu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931B1 (ko) | 2011-12-23 | 2013-10-23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
-
2014
- 2014-07-09 KR KR1020140086306A patent/KR10161253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931B1 (ko) | 2011-12-23 | 2013-10-23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554A (ko) | 2016-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68525B2 (en) |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 |
JP6604921B2 (ja) |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の信頼性を高め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101480880B1 (ko) |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977956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KR102219756B1 (ko) | 연결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 |
KR101211477B1 (ko) | 모바일키 서비스 제공 방법 | |
US10529160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KR101612530B1 (ko) |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 |
JP2011511350A (ja) | アクセス制御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 |
CN104157029A (zh) | 基于移动终端的门禁系统控制方法、控制系统及移动终端 | |
KR102146748B1 (ko) | 모바일 보안 환경에서의 디지털 키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05654580A (zh) | 访问控制方法及系统、电子锁、管理及访客终端 | |
CN104952128A (zh) | 一种基于智能手持终端的电子解锁系统及其解锁方法 | |
EP3129569B1 (en) |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 |
JP2023500019A (ja) | モバイルデジタルロック技術 | |
KR101617707B1 (ko) | 자물쇠 시스템의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시스템 | |
KR20180060901A (ko) | 잠금 장치 제어 방법 | |
US20220014388A1 (en) | Virtual security guard | |
KR102063569B1 (ko) |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 |
KR101191345B1 (ko) | Nfc 휴대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344137B1 (ko) | 시설물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0944246B1 (ko) |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42155B1 (ko) | 잠금 장치 제어 방법 | |
JP2009293317A (ja) | 認証装置、移動端末、電気鍵システムおよび認証制御方法 | |
KR101617430B1 (ko) |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