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22B1 -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5922B1 KR101615922B1 KR1020150161513A KR20150161513A KR101615922B1 KR 101615922 B1 KR101615922 B1 KR 101615922B1 KR 1020150161513 A KR1020150161513 A KR 1020150161513A KR 20150161513 A KR20150161513 A KR 20150161513A KR 101615922 B1 KR101615922 B1 KR 101615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hain
- sludge collecting
- auxiliary
- upp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전방 바닥면에는 호퍼 형상의 슬러지 수집부가 형성되는 침전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축 양측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엔드레스 체인과, 상기 엔드레스 체인을 일정 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지 저면에서 호퍼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스프라켓 중 하나와 연결되는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이 고정되는 축은 슬러지 수집부와 인접한 전방 하부 및 상부 그리고 후방 하부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위치한 축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하고, 전방 상부에서 후방으로 양측 벽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레일 고정브라켓에 의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의 위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의 후방 끝단과 후방 하부까지 엔드레스 체인이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체인 처짐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은 양측이 상부로 절곡되어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퀴는 상기 레일의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기 체인 처짐구간에는 침전지의 내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 변면의 제1 로울러까지 수평 연장된 후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와, 상기 침전지의 상면에 위치하여 하부로부터 공급된 인장감지 와이어가 감기도록 하는 제2 로울러 및 상기 제2 로울러를 감고 하부로 다시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의 끝단에 장착되는 무게추와, 엔드레스 체인이 일정 이상 처지면 수평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를 눌러 무게추가 상승함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인장감지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전지 및 슬러지 수집장치를 나타낸 상면에서 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인장 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일 적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적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11 : 슬러지 수집부
2 : 슬러지 수집장치
21 : 스프라켓 22 : 엔드레스 체인
23 : 링크부재 24 : 플레이트
25 : 모터 26 : 레일 고정브라켓
27 : 레일
271 : 관통홀 272 : 절개홀
273 : 안착홈 274 : 고정브라켓
275 : 마착패드 276 : 제1 실린더 모터
277 : 제1 힌지 278 : 제1 보조레일
279 : 제2 힌지 280 : 제2 보조레일
281 : 받침빔 282 : 제2 실린더 모터
283 : 제3 힌지 284 : 가이드핀
285 : 가이드홀 286 : 가이드브라켓
29 : 바퀴
3 : 인장감지장치
31 : 제1 로울러 32 : 인장감지 와이어
33 : 제2 로울러 34 : 무게추
L : 체인 처짐구간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전방 바닥면에는 호퍼 형상의 슬러지 수집부(11)가 형성되는 침전지(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축 양측에 고정되는 스프라켓(21)과, 상기 스프라켓(21)을 통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엔드레스 체인(22)과, 상기 엔드레스 체인(22)을 일정 간격으로 상호 연결하는 링크부재(23)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지(1) 저면에서 호퍼(1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플레이트(24)와, 상기 스프라켓(21) 중 하나와 연결되는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25)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장치(2)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21)이 고정되는 축은 슬러지 수집부(11)와 인접한 전방 하부 및 상부 그리고 후방 하부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위치한 축이 모터(25)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하고, 전방 상부에서 후방으로 양측 벽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레일 고정브라켓(26)에 의하여 장착되는 한 쌍의 레일(27)과 상기 플레이트(24)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27)의 위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바퀴(29)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27)의 후방 끝단과 후방 하부까지 엔드레스 체인(22)이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체인 처짐구간(L)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27)은 양측이 상부로 절곡되어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퀴(29)는 상기 레일(27)의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인 처짐구간(L)에는 침전지의 내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 변면의 제1 로울러(31)까지 수평 연장된 후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32)와, 상기 침전지(1)의 상면에 위치하여 하부로부터 공급된 인장감지 와이어(32)가 감기도록 하는 제2 로울러(33) 및 상기 제2 로울러(33)를 감고 하부로 다시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32)의 끝단에 장착되는 무게추(34)와, 엔드레스 체인(25)이 일정 이상 처지면 수평 연장되는 인장감지 와이어(32)를 눌러 무게추(34)가 상승함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인장감지장치(3)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레일(27)은 바닥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절개홀(272)과, 상면에 절개홀(272)과 동일한 크기로 함몰되는 안착홈(273)을 구비하고 상기 절개홀(272)이 형성된 저면과 밀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74)과, 상기 안착홈(273)에 삽입되는 마찰패드(275)와, 상기 고정브라켓(274)의 하부에 장착되어 로드가 상기 고정브라켓(274)을 관통한 후 마찰패드(275)의 저면 중앙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 실린더 모터(27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7)은 중간에 끊어진 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27)과 제1 힌지(277)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보조레일(278)과, 제1 보조레일(278)의 1/4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레일(27)과 제2 힌지(279)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보조레일(280)에 의하여 끊어진 구간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조레일(278, 280)의 저면에 밀착하여 하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받침빔(281)과, 상기 제1 보조레일(278)의 제2 보조레일(280)과 인접한 저면에 장착되어 제1 보조레일(278)을 상승시키는 제2 실린더 모터(282)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레일(278, 280)이 만나는 지점의 측면과 저면을 감싸며 제1 보조레일(27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힌지(283)와 제2 보조레일(280)의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핀(284) 삽입되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홀(285)을 구비하는 가이드브라켓(28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1513A KR101615922B1 (ko) | 2015-11-18 | 2015-11-18 |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1513A KR101615922B1 (ko) | 2015-11-18 | 2015-11-18 |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5922B1 true KR101615922B1 (ko) | 2016-05-11 |
Family
ID=5602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1513A Active KR101615922B1 (ko) | 2015-11-18 | 2015-11-18 |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592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8733B1 (ko) | 2017-04-10 | 2017-09-14 | 장은진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KR101871863B1 (ko) * | 2017-07-21 | 2018-06-28 | 박기운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KR102329941B1 (ko) | 2021-06-21 | 2021-11-22 | 윤팔석 | 체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슬러지 수집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281Y1 (ko) * | 2000-11-20 | 2001-05-15 | 최덕용 | 조립식 레일 |
KR101019404B1 (ko) * | 2010-06-23 | 2011-03-07 | 윤팔석 |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
-
2015
- 2015-11-18 KR KR1020150161513A patent/KR1016159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281Y1 (ko) * | 2000-11-20 | 2001-05-15 | 최덕용 | 조립식 레일 |
KR101019404B1 (ko) * | 2010-06-23 | 2011-03-07 | 윤팔석 |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8733B1 (ko) | 2017-04-10 | 2017-09-14 | 장은진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KR101871863B1 (ko) * | 2017-07-21 | 2018-06-28 | 박기운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KR102329941B1 (ko) | 2021-06-21 | 2021-11-22 | 윤팔석 | 체인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슬러지 수집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5922B1 (ko) |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 |
US5676829A (en) | Screen | |
KR101019404B1 (ko) |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 |
KR101778733B1 (ko) |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 |
KR101390257B1 (ko) | 로터리 제진기 | |
CA3096752A1 (en) | Screening belt unit for a harvesting machine, and associated flap unit | |
KR100808469B1 (ko) |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 |
KR102017160B1 (ko) |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장력 자동 조절 장치 | |
CN108699834A (zh) | 筛分装置 | |
KR101695428B1 (ko) | 로타리 제진기 | |
KR20080008711A (ko) |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 |
JP6970504B2 (ja) | チェーン及び汚泥掻寄機 | |
KR100540219B1 (ko) |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 |
JP6009261B2 (ja) | 汚泥掻き寄せ機のチェーン破断検出装置 | |
JP2018108580A (ja) | 汚泥掻寄機 | |
KR102003484B1 (ko) | 로터리식 제진기 | |
KR101642244B1 (ko) | 슬러지 수집장치 | |
JP2009172572A5 (ko) | ||
KR101594101B1 (ko) | 인/아웃 자동 제진기 | |
KR101025168B1 (ko) | 평면 스크린 장치 | |
WO1994020226A1 (en) | Screening apparatus | |
KR100337593B1 (ko) | 폐수처리에 있어 윈치와이어 구동에 의한 바 스크린장치 | |
AU2007100270A4 (en) | Screen Cleaner | |
KR101428801B1 (ko) | 슬러지 수집기 | |
KR200427920Y1 (ko) |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