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14939B1 -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939B1
KR101614939B1 KR1020150002818A KR20150002818A KR101614939B1 KR 101614939 B1 KR101614939 B1 KR 101614939B1 KR 1020150002818 A KR1020150002818 A KR 1020150002818A KR 20150002818 A KR20150002818 A KR 20150002818A KR 101614939 B1 KR101614939 B1 KR 10161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ire
coupling
slid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경애
염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5000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9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device for coupl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have wire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coupling blocks disposed 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face each other, provided with sliders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llowing detachable coupling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via the sliders; a wire block disposed to be slidable through a tunnel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coupling blocks and connecting each pair of wires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separation lev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to release a coupling state by pressing the coupling block of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facing the coupling through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separable members of an endoscope or a catheter, that is, an insertion portion as the first member and a main body as the second member, for example, can be connected in a separable manner for convenience of use. In addition, the connecting device can have a variety of applications.

Description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가 각각 구비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의 중심에 마련된 터널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 한 쌍의 와이어가 체결되도록 하는 와이어블록; 및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면에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의 결합블록을 결합에 대향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분리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wire faste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apparatus for fasten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each having a wire, the fastening apparatus comprising: Two engagement members provided on the two members so th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lide engagement; A wire block slidably installed through a tunnel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to couple a pair of wires to eac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separating lev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by pressing the engagement block of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agement through rotation, And a detachable wire fastening device.

내시경용은 의료용 도구로서, 환부를 진찰하거나 시술시 환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카테터는 체강이나 각종 기관내의 저류물의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등에 사용되는 관모양의 기구를 총칭한다.Endoscopic use is a medical instrument used to examine the affected part or to facilitate access to the affected part during the procedure. The catheter is used for the discharge of the body fluid in the body cavity or various organs, the aspiration of the perfusion fluid for cleaning, And the like.

내시경은 내강 조사와 질병 진단을 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극히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내시경을 수술용 도구로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식도 게실, 특정의 양성 종양, 식도, 위, 십이지장과 대장, 위장과 식도 정맥류에서의 초기 종양, 출혈성 궤양의 치료는 물론, 나아가, 각종 결석의 제거와 만성적인 췌장염의 치료가 가능하며, 기술 개발을 통해 치료가능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Endoscopy is not only extremely effective in making lumpectomy and diagnosis of diseases, but it is also used as an instrument for endoscopy, including esophageal diverticulum, certain benign tumors, esophagus, stomach, duodenum and large intestine, In addition to treatment of early tumors and hemorrhagic ulcers in varicose veins, removal of various stones and treatment of chronic pancreatitis are possible, and the range of treatments is gradually expanding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아울러 카테터 역시 내시경과 함께 그 용도면에서 다양성이 추구되고 있으며, 그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catheters are being sought for diversity in terms of endoscopy and its use, and its importance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내시경은 특정 환자에 사용된 후 재사용을 위하여 장시간 소독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데, 멸균 소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3자에게 재사용되는 경우 각종 질병 및 병균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카테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점으로 대두된다.However, endoscopes must be disinfec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being used in specific patients and reused in a certain patient. If the endoscope is reused in a third party without adequate sterilization, infection of various diseases and germs may be caused. This is also the case for catheter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 등록특허 제0673412호에서는 "착탈이 용이한 삽입부를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이 개시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ior art No. 0673412 discloses a medical endoscope having an insertion portion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은, 의료용 내시경에 있어서, 조작부 조명 가이드와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및 다수의 조작부 관로를 내장하는 조작부와; 삽입부 조명 가이드와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다수의 삽입부 관로를 내장하고, 일단에 상기 삽입부 조명 가이드,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삽입부 관로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가 구비되는 삽입부와; 일단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작부 조명 가이드,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및 조작부 관로를 대응하는 상기 커넥터와 각각 연결해주는 다수의 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구 내에서 연결되는 상기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 및 조작부 이미지 가이드 사이에 상기 삽입부 이미지 가이드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조명광을 생성하는 광원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체의 체강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오염되거나, 기능상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의료용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endosco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dical endoscope comprises: an operation unit incorporating an operation unit illumination guide, an operation unit image guide,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 channels;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each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llumination guide, an insertion portion image guid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ortion conduits, the insertion portion illumination guide, the insertion portion image guide, and the insertion portion conduit, respectively;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insertion por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for connecting the operation portion illumination guide, the operation portion image guide, and the operation portion conduit to the corresponding connectors, respectively; And a light source unit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image guide and the operation unit image guide connected in the connection port and includes an imaging unit for imag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nsertion unit image guide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to generate illumination ligh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al endoscope having improved safety because th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cavity of a human body is contaminated or a functional abnormality is generated and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easily.

그러나 종래의 내시경은 삽입부와 조작부의 연결이 조명과 이미지 전송관련에 대해서만 개시될 뿐, 삽입부에 대한 만곡제어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된 바가 없으므로, 삽입부는 환부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ndoscope,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only disclosed for the illumination and the image transmission, the insertion portion may not be easily accessible to the foreign part because there is no description about the curvature control for the insertion portion.

즉, 내시경은 환부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자유로운 만곡이 가능해야하고, 이때, 만곡제어는 조작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통상 한 쌍의 와이어의 견인과 복원을 통해 제어된다. 따라서 삽입부와 조작부는 와이어를 통해 또는 와이어에 대응하는 대체수단을 통해 상호 연결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나, 종래의 내시경은 이에 대한 기술이 배제된 상태이므로 삽입부에 대한 자유로운 만곡제어가 이루어질 수 없다.That is, the endoscope should be able to flex freely so as to facilitate access to the affected part, wherein the curvatur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ng part, and is usually controlled through traction and restoration of a pair of wires. Therefore,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manipulation portion must be interconnected via a wire or an alternative means corresponding to the wire, but the conventional endoscope can not be controlled in curvature freely with respect to the inserting portion since the technique is excluded.

이상에서와 같이 내시경 또는 카테터는 삽입부가 조작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는 점에서 위생과 간염에 등은 물론, 부분적 교체로 인한 검사(내지는 시술)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과 영상매체로서의 역할을 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환부로의 접근성 향상을 높여 정확한 진단 및 시술이 용이하도록 삽입부에 대한 굴곡제어의 기술개발이 미진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을 발굴이 절실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doscope or the cathet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operation portion, the endoscope or the cathe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examination (or treatment) due to partial replacement as well as hygiene and hepatitis,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perform the flexion control of the insertion part, it is urgent to develop a new technique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the affected part and to develop the technique of the flexion control for the insertion part so as to facilitate the accurate diagnosis and the procedure.

이를 위해서는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구조를 구현하여야 하며, 더욱이 착탈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 및 다양한 응용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manipulating portion, which are detachably configured, should be implemented, and further, it is required to be detachable so that convenience in use and applicability to various applications can be derived.

등록특허 제10-0673412호Patent No. 10-06734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연구개발을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또는 카테터 등의 분리가능한 2개의 부재, 즉 예를 들어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작용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doscopic or catheter-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utually separa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균에 노출빈도가 높은 내시경 또는 카테터 등의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가 제2부재로서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부분적 세척 및 소독과 부분적 폐기가 가능하여 감염에 의한 안전사고는 물론, 부분적 폐기가 가능하여 경제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rtion portion as a first member such as an endoscope or a catheter having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to bacteria and being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s the second member so that partial washing and disinfection and partial disposal ar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detachable wire fastening device that can be partially discarded as well as an accident so as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의 와이어가 와이어 블록을 통해 연결 및 탈락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 레버를 통해 튜브에 대한 굴곡제어가 용이하여 환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harness in which wire of a main body as a first member and a wire of a main body as a second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block so as to be able to be connected and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wire fastening apparatus which is operable to improve accessibility to a w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각각 구비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일면에 슬라이더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의 중심에 마련된 터널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 한 쌍의 와이어가 체결되도록 하는 와이어블록; 및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면에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의 결합블록을 결합에 대향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분리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wire, wherein the fastening device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A slider is provided on each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coupling block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hrough the slider; A wire block slidably installed through a tunnel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to couple a pair of wires to eac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separating lev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by pressing the engagement block of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agement through rotation, And a detachable wire fastening device.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설치되는 제1결합블록; 및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에 설치되는 제2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coupling block installed on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joint block installed on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상기 제1결합블록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1터널이 형성된 제1브래킷;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중심영역에 체결나사를 통해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터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bracket fixed to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having a first tunnel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first slider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first bracket through fastening screws, the pair of first sliders being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tunnel, respectively.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제1브래킷과 접하는 일면과 그 이면의 폭이 서로 다르며, 상기 이면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lider has a wid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racket and a width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first slider extends toward the back surface.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일면과 이면 사이가 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단의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면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lider has a slope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r a multi-stepp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first slider widens toward the back surface.

상기 제2결합블록은,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2터널이 형성된 제2브래킷; 및 상기 제2터널을 중심으로 상기 제2브래킷의 좌/우측에 각각 체결나사를 통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와 대응하는 구조로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oupling block includes a second bracket fixed to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and having a second tunnel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second slider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with fastening screws around the second tunnel, wherein the second slider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r , And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상기 와이어블록은, 제1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1와이어블록; 및 제2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블록과 제2와이어블록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블록과 함께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block includes a first wire block to which an end of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nd a second wire block 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wherein the first wire block and the second wire block have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slidably coupled in an up / down direction.

상기 제1와이어블록 또는 제2와이어블록 중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와이어블록과 제1브래킷 또는 제2브래킷에는 돌기에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체결장치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wire block or the second wire block facing each other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wire block and the first bracket or the second bracke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상기 제1와이어블록과 제2와이어블록은, 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부재블록과, 다른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부재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재블록과 제2부재블록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연결홈과 고리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rst wire block and the second wire block are constituted by a first member block connected to one of the wires and a second member block connected to another wire, A connection groove to which the ends of the wire are connected is formed, and an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in a ring shape.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자웅의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을 보강한다.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rther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at each end facing each other, and reinforce the engagement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는 끼움에 의한 결합이거나, 나사결합 또는 핀 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ans is any one of a coupling by a fitting in which the first member or a part of the second member are mutually overlapped, or a coupling or a pin coupl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또는 카테터 등의 분리가능한 2개의 부재, 즉 예를 들어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며, 체결장치의 응용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wo detachable members such as an endoscope or a catheter, that is, for example, an insertion portion as a first member and a main body as a second member are detachably fastened to each other to provide ease of use,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can be pursu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균에 노출빈도가 높은 내시경 또는 카테터 등의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가 제2부재로서의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부분적 세척 및 소독과 부분적 폐기가 가능하여 감염에 의한 안전사고는 물론, 부분적 폐기가 가능하여 경제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rtion portion as a first member such as an endoscope or a catheter having a high frequency of exposure to bacteria and being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s the second member so that partial washing and disinfection and partial disposal are possible,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artially discard not only accidents but also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의 와이어가 와이어 블록을 통해 연결 및 탈락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 레버를 통해 튜브에 대한 굴곡제어가 용이하여 환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harness in which wire of a main body as a first member and a wire of a main body as a second me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 block so as to be able to be connected and removed,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the user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은 체결장치를 격별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간 착탈가능성을 구현한 것이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the possibility of attaching / detaching between the wires by constructing the fastening device in a specia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해제하여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와이어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와이어블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블록의 견인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whol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on portion as a first member and a body as a second member are engaged using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unit as the first member and the body as the second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leasing the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top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upling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upling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first wire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second wire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i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traction state of a wire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카테터와 내시경 모두에 대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 고안되었으나, 그 밖에도 기술의 각부 구성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별한 분야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삽입장치가 카테터와 내시경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다만, 여기서는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적용되는 분야로서 카테터와 내시경을 일 실시예로 들었다. 특히, 이하에서는 카테터와 내시경의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체결장치를 내시경에 적용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lthoug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usable for both a catheter and an endoscop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making detachable fastening parts of the technique, and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field. That is, the inser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pplied only to a catheter and an endoscope. Herein, the catheter and the endoscope ar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articular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esent fastening device is applied to an endoscope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between the catheter and the endoscope.

본 발명은 와이어를 각각 구비하며, 필요에 의하여 상호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에 마련되는 착탈가능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fastening device provided on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each having a wire and provided so as to be mutually engaged and disengaged when necessary.

여기서, 제1부재와 제2부재는 분리형 내시경 장치 또는 분리형 카테터 장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삽입부와 본체로 지정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삽입부와 본체를 구비하는 장치는 내시경과 카테터가 주요 예가 될 수 있겠으나, 응용의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내시경과 카테터 이외에도 와이어간 결합 및 결합해제가 필요한 응용범위는 제한없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can be designated 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main body, respective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parable endoscope device or the detachable catheter device. In addition, although the endoscope and the catheter may be the main examples of the device having such an insertion portion and the main body,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pplication range in which the connection and disengagement of the wires other than the endoscope and the catheter are required Can be set.

이하에서는 내시경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삽입부(본체) 및 본체(삽입부)로 갈음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ndoscope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respectively replaced by an insertion portion (main body) and a main body (insertion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해제하여 제1부재로서의 삽입부와 제2부재로서의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FIG. 1 is an overal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serting portion as a first member and a main body as a second member are coupled using a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FIG.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삽입장치가 구비되는 내시경은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21)가 마련된 삽입부(20), 튜브(21)의 굴곡 조절을 위한 레버(31)가 마련된 본체(30) 및 삽입부(20)와 본체(3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ndoscope equipped with the inse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0 provided with a tube 21 inserted into a body, a body 30 provided with a lever 31 for controlling the bending of the tube 21 And a fastening device 100 for separating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from each other.

또한, 체결장치(100)와 함께 삽입부(20)와 본체(30)의 결합을 보강하는 결합수단(18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결합수단(1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0) 단부에 마련된 제1결합수단(181-1)과 본체(30)에 마련된 제2결합수단(180-2)이 자웅의 결합 방식을 이용한 것이며, 결합방식으로는 삽입부(20) 또는 본체(30)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는 끼움에 의한 결합이거나, 나사결합 또는 핀 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통상의 결합방식으로 이에 대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한다.
The fasten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ans 180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The coupling means 180 may be inserted The first engaging means 181-1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engaging means 180-2 provided at the main body 30 use the joining method of the male. Or a part of the main body 30 are mutually superimposed, or a screw coupling or a pin coupling is selected, which is a typical coupling method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삽입부(20)는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21)가 마련되며, 튜브(21)는 상세도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다.The insertion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tube 21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 tub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관통공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전달매체가 내삽되는 촬영부(23), 와이어(159,167)가 내삽되는 견인부(25) 및 약물 내지는 시술 도구 등이 투입되도록 하는 시술부(27)를 포함하며, 이는 통상의 구조로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hrough hole includes a photographing portion 23 into which an image transmitting medium is inserted, a pulling portion 25 into which the wires 159 and 167 are inserted, and a treatment portion 27 into which a drug or a surgical tool is inserted. This is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30)는 튜브(21)의 굴곡 제어를 위한 레버(31)가 구비되며, 기타 영상전달 및 조명 등 통상 내시경에 구비된 구성요소가 함께 구성된다.The main body 30 is provided with a lever 31 for controlling the bending of the tube 21, and constituent elements provided in the endoscope such as other image transferring and illumination are constituted together.

이러한 삽입부(20)와 본체(30)는 체결장치(1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염도에 따라 삽입부(20)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소독 내지는 폐기하거나, 교체하여 내시경 사용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device 100. The insertion portion 2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nd disinfected or discarded or replaced to maintain continuity of the use of the endoscope .

즉, 삽입부(20)는 신체 조작과의 잦은 접촉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특히 세균감염에 유의해야 한다. 만약 멸균 소독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제3자가 세균감염되는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삽입부(20)가 본체(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삽입부(20)는 체결장치(100)를 통해 본체(3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20 is a region in which frequent contact with body manipulation occurs, and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bacterial infection. If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s insufficient, the insertion part 20 must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30 because a medical accident that a third person is infected may occur, 10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30.

체결장치(100)는 삽입부(20)와 본체(30) 각각 설치되어,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삽입부(20)와 본체(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블록(110), 결합블록(110)의 중심에 마련된 터널(제1터널(123) 및 제2터널(135))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삽입부(20)와 본체(30)에 각각 한 쌍의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블록(140) 및 본체(30) 일면에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삽입부(20)와 결합블록(110)을 결합에 대향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삽입부(20)와 본체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분리레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astenin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lock 110 installed to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so as to detachably couple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up / A pair of wires are connected to the inserting portion 20 and the main body 30 so as to be slidable through the tunnels (the first tunnel 123 and the second tunnel 135)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110, And the insertion block 20 and the coupling block 110 are pres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so as to release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insertion block 20 and the main body 30, (Not shown).

결합블록(110)은 삽입부(20)에 설치되는 제1결합블록(120)과 본체(30)에 설치되는 제2결합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block 110 includes a first coupling block 120 installed at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a second coupling block 130 installed at the main body 30. [

제1결합블록(120)은 도 5에 도시된 분리도와 같이 삽입부(20)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1터널(123)이 형성된 제1브래킷(121), 제1브래킷(121)의 중심영역에 체결나사(190)를 통해 수직하게 설치되되, 제1터널(123)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5a는 제1결합블록(120)의 일면을 기준한 분리도이고, 도 5b는 그 이면을 나타낸 분리도이다.5, a first bracket 121 having a first tunnel 12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first bracket 121 having a first tunnel 123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first sliders 125 vertically installed o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tunnel 123 via fastening screws 190 and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tunnel 123, respectively. 5A is a sectional view of the first coupling block 120, and FIG. 5B is a bottom view thereof.

제1브래킷(121)은 삽입부(20) 설치면에 대응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재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bracket 121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is preferably a circular plate as shown in FIG.

제1슬라이더(125)는 일면과 이면 사이가 도 4a와 같이 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4b와 같이 다단의 계단형 내지는 음양의 골과 돌기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는 상/하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 이외의 방향으로 결합블록(110)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lider 125 may be sloped as shown in FIG. 4A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stepped step or a fine-grained bone and protrusion as shown in FIG. 4B.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form, and is intended only for preventing the engagement blocks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s other tha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제2결합블록(130)은 도 6에 도시된 분리도와 같이 삽입부(20)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2터널(135)이 형성된 제2브래킷(131), 제2터널(135)을 중심으로 제2브래킷(131)의 좌/우측에 각각 체결나사(180)를 통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137)를 포함하며, 제2슬라이더(137)는 제1슬라이더(125)와 대응하는 구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이면 사이가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다단의 계단형 및 음양의 골과 돌기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제1슬라이더(125)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6a는 제1결합블록의 일면을 기준한 분리도이고, 도 6b는 그 이면을 기준한 분리도이다.
6, a second bracket 131 having a second tunnel 13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econd bracket 131 having a second tunnel 135 And a pair of second sliders 137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bracket 131 via fastening screws 180 around the second slider 137. The second slider 137 includes a first slider 125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slider 125 and the second slider 125 have the shape of a slope, a multi-step step, / Downward slidable engagement structure. Here, FIG. 6A shows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oupling block with reference to one side, and FIG.

와이어블록(140)은 도 1의 레버(31) 작동에 튜브(21)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굴곡제어가 용이하도록 하여 환부로의 접근성 향상과 이를 토해 진단은 물론 시술 성공률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wire block 140 serves to enable the tube 21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lever 31 of FIG. 1, and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bending to improve accessibility to the affected part, So that the success rate can be improved.

이러한 와이어블록(140)은 제1와이어(159)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1와이어블록(150)과, 제2와이어(167)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블록(160)을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블록(150)과 제2와이어블록(160)은 제1슬라이더(125) 및 제2슬라이더(137)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결합블록(110)과 함께 상/하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다.
The wire block 140 includes a first wire block 150 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wire 159 is connected and a second wire block 160 to which the end of the second wire 167 is connected, The first wire block 150 and the second wire block 160 have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slider 125 and the second slider 137, Slide coupling is possible.

제1와이어블록(150)은 도 5의 제1결합블록(120)의 분리도 및 도 7의 상세도와 같이 제1브래킷(121)에 마련된 제1터널(123)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때, 제2와이어블록(160)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일면에 소정 돌출 형성된 삽입부 돌기(157)가 형성되고, 이는 제2와이어블록(160)과의 결합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a는 제1와이어블록의 일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7b는 그 이면을 기준한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The first wire block 150 is slidably coupled through a first tunnel 123 provided in the first bracket 121 as shown in the separating diagram of the first coupling block 120 of FIG. 5 and the detail of FIG. 7, At this time, an insertion protrusion 157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wire block 16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wire block 160 so as to restrict the connection with the second wire block 160,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first wire block,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back side of the first wire block.

이러한 제1와이어블록(150)은 제1와이어(159) 각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삽입부 제1블록(151)과 삽입부 제2블록(153) 한 쌍으로 존재하며, 삽입부 제1블록(151)과 삽입부 제2블록(153)은 상호 대칭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wire block 150 is present in a pair of the first insertion block 151 and the second insertion block 153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irst wires 159, And the insertion portion second block 153 are preferab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제2와이어블록(160)은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래킷(131)에 마련된 제2터널(135)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wire block 160 is slidably coupled through a second tunnel 135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131 as shown in FIGS.

여기서, 도 6은 제2결합블록(130)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8은 제2와이어블록(160)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a는 제2결합블록(130)의 일면을 기준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8b는 그 이면을 기준한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coupling block 130, and FIG. 8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wire block 16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8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second coupling block 130, and FIG. 8B is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second coupling block 130, respectively.

이러한 제2와이어블록(160)은 제1와이어블록(150)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일면에 삽입부 돌기(157)에 대응하는 제2요홈(165)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2요홈(16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래킷(131)으로부터 제2와이어블록(160)까지 연장 형성된다.The second wire block 160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165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ortion protrusion 157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wire block 160 which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wire block 150, 6, the second bracket 131 is extended from the second bracket 131 to the second wire block 160.

즉, 제2요홈(165)은 도 4와 같이 제1와이어블록(150)과의 슬라이드 결합 시, 삽입부 돌기(157)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제2브래킷(131)에 더 형성되며, 이때, 제2브래킷(131)에 형성된 요홈은 제1요홈(133)으로서 존재한다.4, the second groove 165 is further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131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157 can enter the second groove 165 when the first wire block 150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wire block 150. At this time, Th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131 exists as the first groove 133.

따라서, 체결장치(100)를 상/하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돌기가 요홈(제1요홈(133), 제2요홈(165))을 따라 결합되어 결국, 도 4a의 A-A 선을 기준하여 나타낸 도 4c와 같이 삽입부 돌기(157)가 요홈에 맞물려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us, when the fastening device 100 is slidably coupled up and down, the projections are coupled along the grooves (first grooves 133, second grooves 165), and finally, as shown in FIG. 4C The insertion portion protrusion 157 is engaged with and restricted by the groove.

한편, 제1와이어블록(150)과 제2와이어블록(160)은 각 제1와이어(159) 및 제2와이어(167)에 대한 연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연결홈(제1연결홈(155), 제2연결홈(169))이 존재하는 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부호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wire block 150 and the second wire block 160 a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59 and the second wire 167 so that the first wire block 150 and the second wire block 160 can be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59 and the second wire 167, Second connection groove 169),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로서, 정면을 기준한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i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based on a front view.

먼저, 와이어(159,169)의 고정은 도 7과 8에 도시된 제1와이어블록(150)과 제2와이어블록(160)이 동일한 과정 및 형태로 연결 고정되므로, 그 중 하나인 제1와이어블록(150)에 제1와이어(159)를 연결하는 것으로 대체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fixing of the wires 159 and 169 is performed by fixing the first wire block 150 and the second wire block 160 shown in FIGS. 7 and 8 in the same process and form, 150 by connecting the first wire 159 to the first wire 159.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59)를 제1와이어블록(150)에 형성된 제1연결홈(155)에 삽입하되, 단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형태로 절곡한 후, 제1연결홈(155)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1연결홈(15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의 형태를 갖으며, 제1와이어블록(150)을 관통한 형태로 존재한다.9A, the first wire 159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55 formed in the first wire block 150, and the end is bent in the shape of an angle as shown in the figure,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155.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55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exists through the first wire block 150.

그리고, 삽입된 제1와이어(159)를 도 9b와 같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리형태로 연결되도록 하여, 제1와이어(159)가 제1연결홈(155)을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후, 도 9c와 같이 제1와이어블록(150)에 밀착시킴으로써, 제1와이어(159)의 연결 고정이 마무리되는 것이다.9B, so that the first wire 159 is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groove 155, as shown in FIG. 9B, so that the first wire 159 is connected in a ring- 9 (c), the connection and fixing of the first wire 159 is completed.

이상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와이어(159)와 제2와이어(167)는 와이어블록(14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와이어블록(140)은 레버(31) 작동을 통해 결합블록(1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국 튜브(21) 선단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하는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first wire 159 and the second wire 167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are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the wire block 140 and the wire block 140 is connected to the joint block 110 so that the tip of the tube 21 is bent in the up / down or left / right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와이어블록(140)은 도 1의 레버(31)가 작동함에 따라서 튜브(21)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31)를 작동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블록(140)이 작동되는 것이며, 레버(31)를 어느 일 방향(전/후 또는 좌/우)으로 작동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제1블록(151)과 본체 제1블록(161) 그리고 헤드 제2블록(153)과 본체 제2블록(163)이 각각 일체의 동작으로 이동하여 튜브(31)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이다.The wire block 140 is for allowing the tube 21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31 of FIG. 1. When the lever 31 is operated, the wire block 140 10, when the lever 31 is operated in any one direction (front / back or left / right), the head first block 151, the main body first block 161, The second block 153 and the main body second block 163 move in an integrated manner to bend the tube 31 in the up / down direction.

즉, 도 10a와 같이 튜브(31)를 하방으로 굴곡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제1블록(151)과 본체 제1블록(161)을 본체(30) 방향으로 견인하여 튜브(31)가 하방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 10b와 같이 튜브(31)를 상방으로 굴곡시키고자 할 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제2블록(153)과 본체 제2블록(163)을 본체(30) 방향으로 견인하여 튜브(31)가 상방으로 굴곡되도록 하는 것이다.10A, when the tube 31 is bent downward, the head first block 151 and the body first block 161 are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 and the tube 31 The head second block 153 and the body second block 163 can be bent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tube 31 is bent upward.

한편, 본체(30)로부터 삽입부(20)를 분리시킬 경우, 도 11과 같이 분리레버(170)를 통하여 작동하여야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insertion portion 2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30, it must be operated through the separation lever 170 as shown in FIG. 11.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11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레버(170)는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단 사이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바(bar) 형태를 갖는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parating lever 170 has both ends rotatable and has a bar shape between both ends.

이러한 분리레버(170)는 체결장치(100)에 대응하는 본체(30)에 설치되며, 일부는 그 내부에 매립의 형태로 존재하며, 회전되는 일부 축이 소정 외부로 돌출형성된다.The separating lever 17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device 100, and a part of the separating lever 170 exists in the form of a buried inside thereof.

돌출 형성된 영역은 시술자가 파지하여 회전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마찰력 내지는 회전력 향상을 위해, 외곽에 다수의 골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돌출된 영역에 대해 직경을 더 확장시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protruded region has a length that the practitioner can grasp and rotat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or the rotational force, a plurality of bones may b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r at least the diameter of the protruded region may be further enlarged to facilitate rotation have.

따라서, 삽입부(20)를 본체(30)로부터 분리시켜야 할 경우, 도 11a와 같이 분리레버(17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1b와 같이 회전하면서, 곡면구간이 결합부의 일 영역 즉, 제1결합블록(12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삽입부(20)와 함께 본체(3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11A, when the separating lever 17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1B, the curved section is formed in one area of the coupling part, that is, The first coupling block 120 is pushed downward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rtion 2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는 삽입부에 대한 분리가 용이하여, 별도의 관리를 통해 삽입부만을 세척 및 소독을 하거나 폐기하여 감염에 의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부분적 폐기 즉, 삽입부에 대한 부분적 폐기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에 대한 경제성 향상은 물론, 나아가 본체 레버를 통해 튜브에 대한 굴곡제어가 용이하여 환부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며, 따라서 질병에 대한 진단은 물론, 시술 성공률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wire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inserting portion and the inserting portion by separate cleaning, disinfecting or disposing the inserting portion to prevent medical accidents due to inf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as well as to easily control the bending of the tube through the main lever so that the access to the affected part is easy,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uccess rate can be expected.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내시경 20 : 삽입부(제1부재)
21 : 튜브 23 : 촬영부
25 : 견인부 27 : 시술부
30 : 본체(제2부재) 31 : 레버
100 : 체결장치 110 : 결합블록
120 : 제1결합블록 121 : 제1브래킷
123 : 제1터널 125 : 제1슬라이더
130 : 제2결합블록 131 : 제2브래킷
133 : 제1요홈 135 : 제2터널
137 : 제2슬라이더 140 : 와이어블록
150 : 제1와이어블록 151 : 삽입부(제1부재) 제1블록
153 : 삽입부(제1부재) 제2블록 155 : 제1연결홈
157 : 삽입부(제1부재) 돌기 159 : 제1와이어
160 : 제2와이어블록 161 : 본체(제2부재) 제1블록
163 : 본체(제2부재) 제2블록 165 : 제2요홈
167 : 제2와이어 169 : 제2연결홈
170 : 분리레버 180 : 결합수단
190 : 체결나사
10: endoscope 20: insertion part (first member)
21: tube 23: photographing unit
25: pulling part 27:
30: main body (second member) 31: lever
100: fastening device 110: engaging block
120: first coupling block 121: first bracket
123: first tunnel 125: first slider
130: second coupling block 131: second bracket
133: first groove 135: second tunnel
137: second slider 140: wire block
150: first wire block 151: insertion portion (first member) first block
153: insertion portion (first member) second block 155: first connection groove
157: insertion portion (first member) projection 159: first wire
160: second wire block 161: main body (second member) first block
163: main body (second member) second block 165: second groove
167: second wire 169: second connection groove
170: separating lever 180: engaging means
190: Clamping screw

Claims (11)

와이어가 각각 구비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에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일면에 슬라이더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블록;
상기 결합블록의 중심에 마련된 터널을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각각 한 쌍의 와이어가 체결되도록 하는 와이어블록; 및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면에 마련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의 결합블록을 결합에 대향된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분리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1.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wire,
The fastening device includes:
A coupling block provid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slider on one surface thereof and to detachably couple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through the slider;
A wire block slidably installed through a tunnel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lock to couple a pair of wires to eac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nd a separating lev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by pressing the engagement block of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gagement through rotation Wherein the detachable wire fasten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wire fasten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설치되는 제1결합블록; 및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에 설치되는 제2결합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engaging block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And a second engaging block provided on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블록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1터널이 형성된 제1브래킷; 및
상기 제1브래킷의 중심영역에 체결나사를 통해 수직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터널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upling block includes:
A first bracket fixed to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and having a first tunnel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d a pair of first slider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bracket via fastening screws, the pair of first sliders being respectively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round the first tun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제1브래킷과 접하는 일면과 그 이면의 폭이 서로 다르며,
상기 이면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lider
Wherein a width of the one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bracke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back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는,
상기 일면과 이면 사이가 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단의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면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lider
Wherein a slope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is a slope or a multi-stepped shape, and a width of the slope increases toward the back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블록은,
상기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판재로서, 중심에 제2터널이 형성된 제2브래킷; 및
상기 제2터널을 중심으로 상기 제2브래킷의 좌우측에 각각 체결나사를 통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와 대응하는 구조로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coupling block comprises:
A second bracket fixed to the second member or the first member and having a second tunnel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d a pair of second slider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with fastening screws around the second tunnel,
Wherein the second slider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der and has a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블록은,
제1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1와이어블록; 및
제2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제2와이어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블록과 제2와이어블록은,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블록과 함께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ire block includes:
A first wire block to which an end of the first wire is connected; And
And a second wire block to which an end of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Wherein the first wire block and the second wire block have the same coupling structure as the first slider and the second slider and are vertically and slidably engaged together with the coupling blo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블록 또는 제2와이어블록 중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와이어블록과 제1브래킷 또는 제2브래킷에는 돌기에 대응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체결장치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wire block or the second wire block facing each other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wire block and the first bracket or the second bracket, And the engagement state is maintai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블록과 제2와이어블록은,
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부재블록과, 다른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부재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부재블록과 제2부재블록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연결홈과 고리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first wire block and the second wire bloc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irst member block connected to any one of the wires, and a second member block connected to another wire,
Wherein the first member block and the second member block are formed with connection grooves to which ends of the wires are connected,
And an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in a ring shap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자웅의 결합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rther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at each end facing each other to reinforce engagement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는 끼움에 의한 결합이거나, 나사결합 또는 핀 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Wherein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one of a coupling by a fitting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a screw coupling or a pin coupling.
KR1020150002818A 2015-01-08 2015-01-08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KR101614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18A KR101614939B1 (en) 2015-01-08 2015-01-08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818A KR101614939B1 (en) 2015-01-08 2015-01-08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939B1 true KR101614939B1 (en) 2016-04-22

Family

ID=5591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818A KR101614939B1 (en) 2015-01-08 2015-01-08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9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1645A1 (en) * 2018-06-08 2021-04-14 Pristine Surgical LLC Endoscope with disposable camera shaft and reuseable handle
WO2023177177A1 (en) * 2022-03-18 2023-09-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Support plate for surgical tool
US11903557B2 (en) 2019-04-30 2024-02-20 Psip2 Llc Endoscope for imaging in nonvisible lig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121A (en) 1999-02-04 2000-08-15 Asahi Optical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ng wire for endosco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121A (en) 1999-02-04 2000-08-15 Asahi Optical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ng wire for endosco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1645A1 (en) * 2018-06-08 2021-04-14 Pristine Surgical LLC Endoscope with disposable camera shaft and reuseable handle
US11903557B2 (en) 2019-04-30 2024-02-20 Psip2 Llc Endoscope for imaging in nonvisible light
WO2023177177A1 (en) * 2022-03-18 2023-09-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Support plate for surgical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3636A1 (en) Speculum
ES2628823T3 (en) Optically guided medical tube and control uni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JP2022543647A (en) endoscope assembly and system
KR102617407B1 (en) Endoscope with variable profile tip
CA2143639C (en) Sterilizable endoscope with separable disposable tube assembly
EP0813384B1 (en) Sterilizable endoscope with separable auxiliary assembly
JP5388371B2 (en) Endoscopic device having an external rail
JP2002537011A (en) Deformable fiberscope with movable aid
WO2013131578A1 (en) Endoscopic multifunction device for medical therapy
JPH0442930B2 (en)
EP3329830A1 (en) Endoscope
WO2015146652A1 (en) Laparoscopic device and endoscopic system
KR101614939B1 (en) Detachable wire connecting device
JP2022520422A (en) Rigid endoscope device
CN114343544A (en) Endoscope with movable front end
US11751961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pturing images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20210369083A1 (en) Instrument inser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JP2022540882A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1881226B1 (en) Catheter Assembly for Endoscope
KR100673413B1 (en) An endoscope for easy replacement of insertion part
EP3845272B1 (en) Surgical devices for treating body tissue and diagnosing patients
EP2640253A1 (en) Medical device for using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diagnostic or operating purposes, particularly in urology and gynecology
KR20210114928A (en) Orientation controller and disposable endoscope
US20230087044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leaning a camera during a medical procedure
US20240268633A1 (en) Medical systems and devices with disposable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