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0085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52B1
KR101600852B1 KR1020090071908A KR20090071908A KR101600852B1 KR 101600852 B1 KR101600852 B1 KR 101600852B1 KR 1020090071908 A KR1020090071908 A KR 1020090071908A KR 20090071908 A KR20090071908 A KR 20090071908A KR 101600852 B1 KR101600852 B1 KR 10160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evaporator
refrigerant
chamber
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321A (ko
Inventor
이윤석
이장석
박소희
채수남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52B1/ko
Priority to PCT/KR2010/004866 priority patent/WO2011016635A2/en
Priority to US13/386,320 priority patent/US9360245B2/en
Publication of KR2011001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59Cooling apparatus making, e.g.,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기발생실이 저장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저장실을 지나지 않고 상기 냉기발생실 내부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냉장고 내부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 상부에 마련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냉기발생실 내부에 마련되는 증발기와;상기 저장실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냉기발생실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기발생실, 증발기, 냉매배관, 설치부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기발생실이 저장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저장실을 지나지 않고 상기 냉기발생실 내부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냉장고 내부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증발의 4단계 사이클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장실 내부에 수납되는 저장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크게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에 마련되는 도어 그리고, 증발기가 수용되어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냉기발생실 및 압축기 및 응축기와 같은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저장실, 즉 냉장실이나 냉동실의 후방에 냉기 발생실이 마련되며, 저장실과 냉기 발생실은 소정의 구획벽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리고, 기계실의 경우에는 저장실의 하부 후방에 마련되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는 상기 저장실과 냉기발생실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본체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이 본체의 하부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그 기계실의 공간만큼 저장실의 하부 공간이 줄어들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어서, 기계실 및 냉기 발생실의 위치를 변경하여 저장실의 저장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되, 그 내부구성요소의 조립 및 장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저장실의 저장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저장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기발생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서, 냉기발생실에 마련되는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상기 저장실 상부에 마련되는 냉기발생실과;상기 냉기발생실 내부에 마련되는 증발기와;상기 저장실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냉기발생실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갑압팽창 시키는 모세관과;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냉기발생실 외부에 마련되는 압축기로 안내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발생실의 일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냉매배관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를 둘러싸며 상기 설치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 주위의 강도를 보강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1냉매배관과, 상기 설치부를 통과하여 마련되는 제2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냉매배관과 상기 제2냉매배관은 상호 용접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냉매배관은 상기 제1냉매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게 절곡가능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설치부보다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의 전면보다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보다 전방에 마련된 상기 설치부를 통과한 상기 제2냉매배관과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1,2냉매배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 대한 제상작용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1,2냉매배관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받는 제상수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저장실 상부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증발기가 장착되는 냉기발생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냉기발생실의 일측벽에 제1냉매배관을 관통시켜 상기 제1냉매배관을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냉매배관에 대응되는 제2냉매배관을 구비하는 증발기를 상기 냉기발생실에 장착하는 단계;
(C) 상기 제1냉매배관과 상기 제2냉매배관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가 상호 간에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각각 냉매배관의 단부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 냉매배관의 단부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한 후에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1) 단계는, 상기 제1냉매배관이 절곡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절곡되어 있는 제1냉매배관을 구부려 상기 제1냉매배관과 상기 제2냉매배관이 일직선 형태로 되도록 상기 제1냉매배관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기계실 및 냉기발생실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종래의 저장실 공간에 비해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저장물의 저장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발생실에 마련되는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보면, 본체(1)가 그 외관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실(5)이 마련되는데, 여기서 상기 저장실(5)은 냉동실(10)과 냉장실(20)로 구분된다.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은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0)과 냉장실(20)에는 각각의 냉기발생실이 마련되어 있어서 독립냉각방식으로 저장물을 냉동보관 또는 냉장보관하게 된다.
상기 본체(1)의 상부면 중 냉동실(10)의 상부에는 상기 냉동실(10)로 유입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실(100)이 구비되며, 상기 냉기발실(100)의 옆에는 압축기(310) 및 응축기(320) 등이 수용되는 기계실(300)이 설치된다.
상기 냉기발생실(100) 내부의 구성을 보면, 증발기(110)와, 상기 증발기(110) 방향으로 냉동실(10) 내부의 공기를 끌어온 후 상기 냉기팬(115)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냉기팬(115)는 상기 증발기(110)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증발기(110)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냉기팬(115)는 상기 증발기(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기발생실(100)은 외부와 단열이 되도록 소정의 단열재로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증발기(110)의 형상은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사각블록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하면에는 상기 냉기발생실(100)과 상기 냉동실(10)을 연통시키고 상기 냉동실(10)의 공기가 상기 냉기발생실(10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냉기유입구(120)와, 상기 냉기팬(115)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기발생실(1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냉동실(10)로 안내하는 냉기토출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기토출구(125)와 상기 냉기유입구(120) 사이에 상기 증발기(1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기토출구(125)에는 소정의 안내덕트(130)가 연결되어 상기 냉기토출구(125)에서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0) 내부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냉기는 상기 냉동실(10)->냉기유입구(120)->증발기(110)->냉기팬(115)->냉기토출구(125)->안내덕트(130)-> 냉동실(10)의 순환유동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팬(115)이 상기 냉기토출구(1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냉기팬(115)이 상기 냉기 유입구(120)에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냉동실(10)의 냉기를 흡입한 뒤 상기 증발기(110) 방향으로 보낼 수도 있다.
도1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냉동실(10)과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관계는 상기 냉장실(20)과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유입시키는 냉기발생실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발생실(100)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300)이 마련되는데,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20)와, 상기 응축기(320)의 일측에 마련되는 응축팬(330)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기발생실(200)과 상기 기계실(300)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310), 응축팬(330), 응축기(320)는 일렬로 배치되는 것 이 바람직하며, 그 배치길이로 인하여 상기 냉장고 상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300)의 전면에는 커버부재(340)가 마련되어 외부에서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 보이지 않도록 그 내부를 덮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커버부재(340)에는 상기 기계실(300)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소정의 연통공(350)이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응축기(320)를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실(300) 상면의 높이와 상기 냉동실용 냉기발생실(100) 상면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110)와 상기 응축기(320)의 사이에는 냉매를 갑압팽창하는 모세관(411)이 마련되고, 상기 증발기(110)와 상기 압축기(31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110)에서 기화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3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관(412)이 마련되며, 상기 모세관(411)과 상기 안내관(412)을 통칭하여 냉매배관(400)이라고 하겠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발생실(100)에는 상기 증발기(110)가 장착되며,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일측벽에는 상기 냉매배관(400)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설치부(500)의 위치는 상기 증발기(110)의 전면보다 앞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증발기(110)에 연결되는 냉매배관(400)의 위치가 상기 증발기(110)의 전면보다 앞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냉매배관(400)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치부(500)의 위치도 상기 냉매배관(400)의 위치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부(500)의 주위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테두리부(510)가 마련되어 상기 설치부(500)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배관(400)은 그 구조의 단순성을 위하여 상기 냉기발생실(100) 내부에서 일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매배관(400)은 상기 증발기(110)에 연결된 제1냉매배관(401)과, 상기 설치부(500)를 관통하는 제2냉매배관(402)으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제1냉매배관(401)과 상기 제2냉매배관(402)은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배관(400)은 상기 냉동실(10)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냉기발생실(100) 내부에 직접적으로 인입되어 상기 증발기(110)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냉매배관(400)만을 위한 별도의 제상수 트레이나 별도의 결빙방지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증발기(10)의 하부에는 제상작용시 제상수를 포집하기 위한 제상수트레이(600)가 장착되는데, 상기 냉매배관(400)은 상기 제상수트레이(600) 상부를 지나가게 되므로, 상기 제상작용시 상기 냉매배관(400)의 표면에 맺히게 되는 제상수는 상기 증발기(110)에 맺히는 제상수와 동시에 상기 제상수트레이(600)에 포집된다.
도3은 상기 증발기(110)가 상기 냉기발생실(100)내부에 장착되기 전의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기발생실(100)에 마련된 설치부(500)에는 상기 제2냉매배관(402)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냉매배관(402)은 작업자의 부상 방지 및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부로 절곡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냉매배관(402)이 절곡되어 상기 제2냉매배관(402)의 단부가 상기 설치부(500)가 마련된 상기 냉기발생실(100)의 일측벽에 인접해야 상기 증발기(110)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상기 증발기(110)를 장착하고 고정시키는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냉매배관(402)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110)를 상기 냉기발생실(100) 내부에 장착하고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증발기(110)에 연결된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가 상기 증발기(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설치부(500)및 상기 테두리부(510) 위치가 상기 증발기(110)의 전면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가 상기 증발기(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설치부(500) 및 상기 테두리부(510)의 위치가 상기 증발기(110)의 후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설치부(500)를 통과한 상기 제2냉매배관(402)의 단부와 상기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10)가 절곡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2 냉매배관(402)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냉매배관(402)을 펴서 상기 제2냉매배관(402)의 단부와 상기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402)의 단부를 접촉시킨 후, 이 접촉부(A)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냉매배관(401)과 상기 제2냉매배관(402)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매배관(401)과 상기 제2냉매배관(402)은 일직선 형태를 이루어 배치되는 것이 내부 구성의 단순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냉매배관(401)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402)의 단부 간의 배치 및 용접을 수행하는 경우, 이러한 일직선 배치를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매배관(401)과 상기 제2냉매배관(402)이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증발기(110)가 상기 냉기발생실(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상수트레이(600)를 상기 증발기(110) 및 상기 냉매배관(400)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110)에 형성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110) 및 상기 냉매배관(400)에 맺히는 제상수가 상기 제상수트레이(600)이 한꺼번에 포집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증발기(110)로 인입되는 냉매배관(400)이 상기 냉기발생실(100)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다른 공간을 통해서 연결된다면, 냉매배관(400) 중 모세관(411)을 지난 차가운 냉매와 주위 공기간의 현저한 온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모세관(411)의 토출부 부분이 심하게 결빙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단열부재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냉매배관(400)이 상기 냉기발생실(100)로 직접 인입이 되기 때문에 상술한 결빙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상술한 별도의 단열부재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증발기를 장착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서 증발기의 제1냉매배관과 제2냉매배관을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증발기의 제1냉매배관과 제2냉매배관을 연결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서 냉기발생실 내부의 구성요소가 완전하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냉기 발생실 110: 증발기
400: 냉매배관 401: 제1냉매배관
402: 제2냉매배관 411: 모세관
412: 안내관 500: 설치부
510: 테두리부 600: 제상수 트레이

Claims (13)

  1.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 상부에 마련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냉기발생실의 옆에 배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냉기발생실 내부에 마련되는 증발기와;
    상기 냉기발생실에서 상기 기계실과 대면하는 일측벽에 관통형성된 설치부와;
    상기 저장실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설치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는 제1냉매배관과,
    절곡된 상태로 상기 기계실 쪽에서 상기 설치부를 통과하도록 배치한 후 절곡 부위를 펴서 상기 제1냉매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냉매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갑압팽창 시키는 모세관과;
    상기 증발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기계실에 마련되는 압축기로 안내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냉기발생실의 일측벽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구멍이고,
    상기 제2냉매배관은 상기 설치부에 상방으로 절곡된 상태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를 둘러싸며 상기 설치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부 주위의 강도를 보강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배관과 상기 제2냉매배관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부끼리 상호 용접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배관은 상기 제1냉매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게 절곡가능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설치부보다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제1냉매배관은 상기 증발기의 전면보다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보다 전방에 마련된 상기 설치부를 통과한 상기 제2냉매배관과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1,2냉매배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 대한 제상작용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1,2냉매배관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받는 제상수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저장실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증발기가 장착되는 냉기발생실과, 상기 냉기발생실의 옆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냉기발생실에서 상기 기계실과 대면하는 일측벽에 상하로 길게 관통형성된 설치부에 단부가 절곡된 제1냉매배관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냉매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제1냉매배관에 대응되는 제2냉매배관을 구비하는 증발기를 상기 냉기발생실에 장착하는 단계;
    (C) 상기 제1냉매배관의 절곡 부위를 펴서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가 상호 간에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각각 냉매배관의 단부를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하는 단계와;
    (C-2)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동일한 위치에 배치한 후에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를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배관의 단부와 상기 제2냉매배관의 단부는 일직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발생실에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1,2냉매배관 아래에 증발기와 제1,2냉매배관에서 발생하는 제상수를 포집하는 제상수 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작방법.
KR1020090071908A 2009-08-05 2009-08-05 냉장고 Active KR10160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08A KR101600852B1 (ko) 2009-08-05 2009-08-05 냉장고
PCT/KR2010/004866 WO2011016635A2 (en) 2009-08-05 2010-07-23 Refrigerator
US13/386,320 US9360245B2 (en) 2009-08-05 2010-07-2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908A KR101600852B1 (ko) 2009-08-05 2009-08-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321A KR20110014321A (ko) 2011-02-11
KR101600852B1 true KR101600852B1 (ko) 2016-03-08

Family

ID=4354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908A Active KR101600852B1 (ko) 2009-08-05 2009-08-05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60245B2 (ko)
KR (1) KR101600852B1 (ko)
WO (1) WO2011016635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82A (en) * 1985-12-04 1988-10-11 Gidseg Edward D Circulating air refrigerator and power module for same
US6257846B1 (en) * 1997-06-30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aled compressor having pipe connectors and method of joining pipe connectors to sealed casing
US20070044491A1 (en) * 2005-08-25 2007-03-0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9252A (de) * 1971-06-11 1973-07-15 Vorwerk & Co Elektrowerke Kg Absorptionskühlaggregat
US5953929A (en) * 1998-05-11 1999-09-21 Bauman; Jeffrey E. Modular refrigeration unit
US6866090B2 (en) * 2000-02-24 2005-03-1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7064497A (ja) * 2005-08-29 2007-03-15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7921558B2 (en) * 2008-01-09 2011-04-12 Delphi Technologies, Inc. Non-cylindrical refrigerant conduit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182A (en) * 1985-12-04 1988-10-11 Gidseg Edward D Circulating air refrigerator and power module for same
US6257846B1 (en) * 1997-06-30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aled compressor having pipe connectors and method of joining pipe connectors to sealed casing
US20070044491A1 (en) * 2005-08-25 2007-03-0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0245B2 (en) 2016-06-07
US20120131942A1 (en) 2012-05-31
KR20110014321A (ko) 2011-02-11
WO2011016635A2 (en) 2011-02-10
WO2011016635A3 (en)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130B2 (en) Refrigerator
EP2389549B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20110006997A (ko) 냉장고
KR20110006998A (ko) 냉장고
US7950247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CN107477939B (zh) 门体制冰装置及具有其的冰箱
CN107289723B (zh) 冷藏室制冰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20180103533A (ko) 냉장고
CN108571853B (zh) 冰箱
KR20130070309A (ko)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2000018800A (ja) 冷蔵庫の蒸発皿の構造
KR20080109146A (ko) 냉장고
KR101600852B1 (ko) 냉장고
US8534091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RU169552U1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грегат
CN107606862A (zh) 具有门体制冰装置的冰箱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20070107355A (ko) 냉장고
KR101573535B1 (ko) 냉장고
JP7521982B2 (ja) 冷蔵庫
KR100520083B1 (ko) 증발기의 제조방법 및 그 증발기를 갖는 냉장고
JP2007255727A (ja) 冷凍装置
KR101657710B1 (ko) 냉장고
JP2024162035A (ja) 冷却貯蔵庫
KR101660717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