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07545B1 -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545B1
KR101607545B1 KR1020150094439A KR20150094439A KR101607545B1 KR 101607545 B1 KR101607545 B1 KR 101607545B1 KR 1020150094439 A KR1020150094439 A KR 1020150094439A KR 20150094439 A KR20150094439 A KR 20150094439A KR 101607545 B1 KR101607545 B1 KR 10160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extract
root
stem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결
류완희
Original Assignee
류한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한결 filed Critical 류한결
Priority to KR102015009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는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은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ERK, p38 MAPK 및 NF-kB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반응 억제와 관절의 파괴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며, 각 생약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에 의해 증진되는 MMPs, COX-2 및 PGE2의 발현량이 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관절염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직 및 마이크로-CT 소견에서도 관절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추출 혼합물은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arthritis comprising herbal extract mixtur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꾸지뽕, 당귀,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을 포함하는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주요하게 골관절염(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나눌 수 있다.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특정한 기질적 원인이 없이 주로 노년에 많이 발생되며 만성적으로 진행되면 관절구조의 변형으로 보행 장애 등의 운동 장애를 수반하게 된다. 골관절염은 주로 관절연골(cartilage)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발생된다. 그 기전을 살펴보면, 골관절염이 진행될 때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IL-1β(Interleukin-1β)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이 증가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 등과 같은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분비가 증가되어 관절연골의 파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MMPs는 IL-1β, TNF-α 등을 유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근육, 건, 인대 등과 같은 조직에도 영향을 끼쳐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여기에서, MMPs는 연골손상에 주요하게 관여하는 요소로서,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s), 젤라틴분해효소(gelatinases),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s), 멤브레인형(membrane-type) MMPs와 그 외 몇 개의 MMPs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으로서, 자가면역현상이 주요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을 살펴보면, 관절 활막(synovial membrane) 조직에 염증이 발생되면서, 대식세포, 수상세포 및 T 림프구, B 림프구 등이 활막 조직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관절액이 증가하여 관절이 부으면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염증이 지속되면서 염증성 활막조직이 증생(hyperplasia)하게 되면 뼈와 연골을 파괴하여 관절 구조가 변형되고 운동 장애가 발생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활막섬유모세포와 연골세포에서 콜라겐 분해효소 및 중성 프로테아제(protease)를 생산하고 생산된 이들 효소들은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라이칸(proteoglycan)을 파괴하여 관절연골을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절염이 발생되면 관절 염증, 염증으로 인한 열감 및 부종 및 관절 통증이 발생되며, 관절염 증상이 지속되면서 결국 연골과 골조직이 파괴되어 관절구조의 변형 및 운동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급성 및 만성 관절염의 공통 증상으로서의 염증 및 통증을 억제하면서, 만성 증상으로서의 운동 장애를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연골 조직 및 활막 조직에 독성이 없는 기능도 갖추어서 관절 구조의 보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약물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나 국내의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등에 분포하며 최근 꾸지뽕나무의 항산화(Choi SR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r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 Crop Sci 17: 115-120(2009)), 항당뇨, 고혈압 억제(Kang DG et al.,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dent hypertension. Life Sci 70: 2599-609(2002))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 작용은 꾸지뽕나무의 페놀성 화합물의 생리활성성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꾸지뽕나무의 기능성 입증에 관한 연구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당귀(Angelica sinensis)는 미나리과(Umbelliferae)의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 중국에서는 당귀(Angelica sinensis DIELS)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사용해 왔다. 당귀는 보혈, 활혈의 효능과 허를 보충하는 작용으로 혈병의 요약으로서 부인의 산후병, 빈혈, 두통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처방되어 왔다(상용약용식물도감, 박종희, 이정규 공저, 신일상사, pp409-411, 2000; 중약본초학, 보건신문사, pp684-686, 1998).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의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이다. 생약(生藥)에서 봄과 여름에 줄기겉껍질을 벗겨버리고 속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약재로 쓴다. 한방에서 수피, 근피를 거담, 진통 등에 약재로 쓰며 민간에서는 껍질과 잎을 피부병, 궤양, 전염성상처 때 쓴다. 사지마비와 환부 치료약으로 사용했다(한국산 두릅나무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19: 103-121, 1989).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Orch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기생 초목인 천마(Gastrodia elata BLUME)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편압된 원주형~방수형이고, 표면은 엷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세로 주름과 돌림 마디가 있다. 강원, 경기지역 및 중국, 일본 등에서 생산되며, 천연산과 인공 배양한 약재가 있다. 천마는 수세기 동안 동양권에서 전통적인 초본약재로써, 항간질제로 사용되었으며 진통제와 현기증에 대한 안정제, 고혈압, 일반적인 마비와 파상풍에 사용되어져 왔다. 유효성분으로 가스트로딘(gastrodin), 페놀성 화합물, 유기산, 당 및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있으며(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 138-139, 1998), 이들 중 바닐릴 알코올(vanillyl alcohol)과 가스트로딘은 항간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천마의 구성 성분이 신경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유도성 세포사멸(apotosis)을 저해한다고 보고되었다(Y. S. Lee, et al., Arch. Pharm. Res., 22 , p404, 1999). 또한 천마의 에스테르 분획이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lic acid; GABA)의 감소를 줄이고 글루타메이트(glutamate) 함량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펜틸렌 테트라졸(pentylene tetrazole) 유도성 간질에서 항간질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J. H. Ha, et al., J.Ethnopharmacol, 73 , p329, 2000).
접골목(Sambucus williamsii HANCE var. coreana NAKAI)은 딱총나무, 말오줌나무라고도 부르며, 낙엽목이다. 접골목의 전제를 실험쥐의 위내에 20g/㎏을 유입시켰을 때 진정작용을 보이며, 강도는 모르핀에는 미치지 못하나 설피린(sulpyrin)보다는 우수하며, 투여 후 실험쥐는 안정상태가 된다. 통풍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통증을 멎게하는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근골동통, 요통, 손발 삔 데, 골절, 관절염, 신경통, 부종, 통풍, 신장염, 신경쇠약, 산후 빈혈, 타박상에 의한 종통, 창상출혈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정 보섭, 신 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941-942, 1998).
위령선(Clematis chinensis Osbeck)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Clematis mandshurica var.koreana)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풍습을 제거하고 통증을 가라앉히므로 관절의 굴신불리, 사지마비, 요통과 다리의 동통, 근육마비 등을 풀어주며, 타박상으로 동통이 지속될 때에도 쓰인다.(지형준, 한약(생약)규격집 주해서, 한국메디칼인덱스사, 290p, 1998).
한국등록특허 제1373245호에 '천연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319866호에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거나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및 골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꾸지뽕, 당귀,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을 포함하는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꾸지뽕, 당귀,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을 포함하는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은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38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및 NF-kB(nuclear factor kappa B)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 억제와 관절의 파괴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며, 각 생약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에 의해 증진되는 MMPs, COX-2(Cyclooxygenase-2) 및 PGE2(Prostaglandin E2)의 발현량이 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돌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관절염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직 및 마이크로-CT 소견에서도 관절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추출물, 20~40중량%의 당귀 뿌리 추출물,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추출물,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추출물, 1~10중량%의 천마 뿌리 추출물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은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ERK, p38 MAPK 및 NF-kB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반응 억제와 관절의 파괴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며, 각 생약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염증에 의해 증진되는 MMPs, COX-2 및 PGE2의 발현량이 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관절염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직 및 마이크로-CT 소견에서도 관절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약추출 혼합물은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 억제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A)는 생약추출 혼합물의 농도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억제 결과; (B)는 IL-1β(1.0ng/㎖) 및 생약추출 혼합물(100㎍/㎖)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억제 결과; YNH431은 꾸지뽕, 당귀,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을 포함하는 생약추출 혼합물이다.
도 2는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생약추출 혼합물, 꾸지뽕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처리에 따른 신호전달물질의 발현억제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A)는 꾸지뽕 추출물(EACT); (B)는 당귀 추출물(EAAS); (C)는 생약추출 혼합물(YNH431)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신호전달물질의 발현억제 결과이며; β-actin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 및 각 생약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염증반응에서 COX-2, MMPs 및 TIMPs(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의 발현억제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a는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결과이고, 도 3b는 웨스턴 블롯팅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β-actin 및 GAPDH는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 및 각 생약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염증반응에서 PGE2(Prostaglandin E2)의 생성억제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Control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도 5는 생약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의 염증반응에서 COX-2, MMPs 및 TIMPs의 발현억제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NPs는 생약추출 혼합물; 꾸는 꾸지뽕 줄기; 당은 당귀 뿌리; 엄은 엄나무 줄기; 접은 접골목 줄기; 천은 천마 뿌리; 위는 위령선 뿌리; β-actin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A)는 생약추출 혼합물의 농도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결과; (B)는 IL-1β(1.0ng/㎖) 및 생약추출 혼합물(100㎍/㎖)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결과;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효과를 흡수 피츠 분석(Resorption pits assay)을 이용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에서 신호전달물질의 발현억제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β-actin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 GAPDH는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을 이용한 동물실험 방법에 대한 요약을 나타낸 것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염증성 관절염 발생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Normal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이 모델쥐의 발 두께(Paw thickness) 및 관절염 지수(arthritis index)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관절 활막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및 TNF-α)의 발현억제 정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β-actin은 로딩 컨트롤(loading control); Normal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관절의 염증 및 연골 파괴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Normal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관절에서 파골세포의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Normal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 처리에 따른 관절파괴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A)는 마이크로-CT 사진; (B)는 방사선학적 침식 스코어(radiologic erosion score) 그래프; YNH431은 생약추출 혼합물; Normal은 염증성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은 꾸지뽕, 당귀,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생약추출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생약추출 혼합물은 1) 꾸지뽕 줄기, 당귀 뿌리, 엄나무 줄기, 접골목 줄기, 천마 뿌리 및 위령선 뿌리를 세척하여 분쇄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된 각 재료 200g에 에탄올 및 물을 각각 0.8~1.2ℓ씩 첨가하고 70~80℃에서 1~2시간 동안 중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중탕하여 획득한 각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분말, 20~40중량%의 당귀 뿌리 분말,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분말,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분말, 1~10중량%의 천마 뿌리 분말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생약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활막섬유모세포에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또는 NF-kB(Nuclear factor kappa B)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생약추출 혼합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관절염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추출물, 20~40중량%의 당귀 뿌리 추출물,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추출물,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추출물, 1~10중량%의 천마 뿌리 추출물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절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추출 혼합물을 0.02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약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생약추출 혼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제와 동등하게 또는 다른 약제를 보조하기 위해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인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생약추출 혼합물( YNH431 )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꾸지뽕 줄기, 당귀 뿌리, 엄나무 줄기, 천마 뿌리, 접골목 줄기 및 위령선 뿌리는 경동시장(서울시 동대문구)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재료들은 세척하여 분쇄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여 추출기 내에 각 원재료 200g과 에탄올 및 물을 각각 1ℓ씩 첨가하여 70~80℃에서 1~2시간 동안 중탕하여 추출하였다. 추출한 상등액만을 분리 정제하여 여과하였으며, 회전진공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였다. 그 다음, 동결건조하여 꾸지뽕 줄기 7.2g(수율 3.6%), 당귀 뿌리 49.52g(수율 24.76%), 엄나무 줄기 12.22g(수율 6.11%), 접골목 줄기 27.84g(수율 13.92%), 천마 뿌리 9.34g(수율 4.67%) 및 위령선 뿌리 25.82g(수율 12.91%)으로 원재료의 추출물에서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분말을,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20~40중량%의 당귀 뿌리,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1~10중량%의 천마 뿌리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를 포함하는 생약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시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활막섬유모세포 증식에 대한 생약추출 혼합물( YNH431 )의 억제효과
염증성 관절염은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염증반응이 특징이며, 활막섬유모세포를 IL-1β로 자극할 경우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는 IL-1β(interleukin-1β, 1.0ng/mL) 자극에 의한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과 생약추출 혼합물(100㎍/mL)에 의한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수술시 획득한 활막조직에서 활막섬유모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활막섬유모세포는 DMEM/FCS(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ing 10% FCS)를 넣은 96-웰 U-바텀(bottom) 플레이트에 웰당 1×105개의 활막섬유모세포를 배양한 후에 24시간 동안 자극을 준 다음, 셀 카운팅 키트-8(CCK-8 kit, Dojindo Laboratories, Japan)을 이용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은 50, 100 및 200㎍/m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관절의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증성 관절염에서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염증반응은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물질의 활성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세포 내 신호전달 물질인 MAPKs(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및 NF-kB(nuclear factor kappa B)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의 염증반응 및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신호전달물질인 MAPKs 및 NF-kB에 대한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생약추출 혼합물이 단독으로 염증반응 및 활막섬유모세포 증식에 대해 억제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꾸지뽕 추출물(EACT) 및 당귀 추출물(EAAS)과 비교하여 염증반응 및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에 대한 억제활성이 증진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은 IL-1β에 의한 ERK, p38 MAPKs 및 NF-kB의 발현을 억제하여 활막섬유모세포의 과증식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꾸지뽕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과 같은 염증반응 및 활막섬유모세포 증식에 대해 억제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생약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생약추출 혼합물(YNH431) 처리시 염증반응 및 활막섬유모세포 증식을 더 억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이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등에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생약추출 혼합물( YNH431 ) 및 각 생약추출물의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염증반응 억제효과
관절염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염증 사이토카인 IL-1β(1.0ng/mL)을 24시간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시키고, 각 생약추출물 및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의 처리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염증반응과 관절의 파괴를 일으키는 MMPs와 TIMPs, COX-2 및 PGE2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를 토대로 생약추출 혼합물(YNH431) 및 각 생약추출물의 MMPs, TIMPs, COX-2 및 PGE2의 발현량 감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이 단독으로 활막섬유모세포에서 염증반응에 대해 억제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엄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 또는 상기 3가지(엄나무, 꾸지뽕 및 당귀) 생약추출 혼합물 및 4가지(엄나무, 꾸지뽕, 당귀 및 천마) 생약추출 혼합물과 비교하여 염증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 생약추출물 및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을 처리하였을 때, IL-1β에 의한 COX-2, MMP-1, 2, 3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TIMP-1 및 2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단독으로 엄나무 추출물, 꾸지뽕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 또는 상기 3가지(엄나무, 꾸지뽕 및 당귀 추출물) 생약추출 혼합물 및 4가지(엄나무, 꾸지뽕, 당귀 및 천마) 생약추출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의 6가지(꾸지뽕, 당귀, 엄나무, 천마, 접골목 및 위령선)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을 처리하였을 때, IL-1β에 의한 COX-2, MMP-1, 2, 3 및 PGE2의 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상기 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MAPKs 및 NF-kB 경로를 통해 IL-1β에 의한 활막섬유모세포의 증식, MMPs, COX-2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며, 단독 생약추출물 또는 3 내지 4가지 생약추출 혼합물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을 처리하였을 때, 더 우수한 염증반응 억제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생약 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활막섬유모세포에서의 염증반응 억제효과
활막섬유모세포는 DMEM/FCS(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ing 10% FCS)를 넣은 96-웰 플레이트에 1×105 세포/웰의 농도가 되도록 배양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관절염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염증 사이토카인인 IL-1β(1.0ng/mL)를 24시간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이 염증반응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생약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주요 유효성분인 꾸지뽕 및 당귀를 각각 3:2, 4:2 및 4:3으로 구성하였으며, 나머지 생약인 엄나무, 접골목, 천마 및 위령선은 꾸지뽕과 당귀의 비율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1:1:0.5:0.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상기 3가지 비율의 생약추출 혼합물에서 관절염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막섬유모세포의 염증반응과 관절의 파괴를 일으키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억제물질인 TIMPs(Tissue inhibitor of matelloprteinase) 및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이 갖는 비율 중에서 4:3:1:1:0.5:0.5(꾸:당:엄:접:천:위)의 비율일 때 COX-2, MMP-1, 2 및 3의 발현이 억제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도 5).
실시예 5. 생약추출 혼합물( YNH431 )의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효과
염증성 관절염에서 염증반응은 파골세포의 전구세포에서 파골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화를 통해 관절을 파괴시키므로 파골세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파골세포의 역할을 억제하는 방법이 관절염의 치료 방법이 되고 있다. 따라서 5주령의 ICR(imprinting control region) 마우스 대퇴골의 골수에서 골수세포를 분리하여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로 사용하였다. 10cm 배양 플레이트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 BRL) 및 항생제를 함유하는 α-MEM(Alpha-Minimum Essential Medium)으로 웰당 3×104개의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를 배양하였으며, M-CSF(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30ng/mL) 및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50ng/mL)로 처리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YNH431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YNH431(10, 50, 100 및 200ng/mL) 및 IL-1β(1ng/mL)으로 자극하면서 3일간 배양하였다. 파골세포로의 분화한 정도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알려주는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을 염색하여 5개 이상의 핵을 갖는 세포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인산칼슘 박막(calcium phosphate thin film)으로 덮인 4-웰 조직배양 플레이트(OAAS plates, Oscotec, Cheonan, Korea)에 웰당 3×104개의 파골세포의 전구세포를 배양하여 2주 후에 이미지 분석 시스템(image analysis system, Image Gauge, Tokyo, Japan)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 부위에서 흡수 피츠(resorption pits)을 보이는 면적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약추출 혼합물은 파골세포의 분화를 알려주는 TRAP의 염색에서 0, 10, 50, 100 및 200㎍/mL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또한 100㎍/mL의 농도로 처리한 생약추출 혼합물은 IL-1β에 의한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흡수 피츠(resorption pits)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또한, YNH431의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를 억제하는 기전을 알기 위하여 파골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다양한 신호전달 물질의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5주령의 ICR(imprinting control region) 마우스 대퇴골의 골수에서 골수세포(3×104세포/웰)를 분리하여 M-CSF(30ng/mL), RANKL(50ng/mL), IL-1β(1.0ng/mL) 및 생약추출 혼합물(100mg/mL) 존재하에 배양한 후, 총 RNA 및 단백질을 얻어 RT-PCR 및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YNH431은 IL-1β에 의해 NFATc1, c-Fos, TRAP, E-cadherin, cateptin K, c-Src, MAPKs 및 NF-kB의 발현을 억제하여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관절염 동물모델에서의 생약추출 혼합물( YNH431 )의 관절염 억제효과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CIA, collagen-induced arthritis)을 제작하기 위하여 7-10주령의 근교계 수컷(Inbred male) DBA/1 마우스(SLC Inc, JAPAN) 꼬리의 피하에 100㎍의 우형Ⅱ 콜라겐(bovine type Ⅱ collagen, Chondrex Inc, USA)과 FCA(Freund's complete adjuvant, Chondrex Inc, USA)를 주입하고, 21일째에 추가접종(booster-injection)으로 복강 내에 50㎍의 우형Ⅱ 콜라겐을 투여하였다.
YNH431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3군(각 10마리)으로 나누어 1군은 음성대조군으로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았으며, 2군은 100㎕의 비이클(vehicle) 구강으로 복용시켰고, 3군은 10mg/kg의 YNH431를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후에 복용시켰으며, 3, 18 및 28일에 관절염의 정도 및 관절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도 9).
(1) 관절염의 활성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 -1β 및 TNF -α의 생성 억제효과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인 콜라겐 유도 관절염(collagen-induced arthritis, CIA)에서 YNH431은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뒷발(hind-paw)의 염증을 억제하였으며, 타입 Ⅱ 콜라겐을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한 후 9일 동안 관찰하였을 때 염증성 관절염의 발생 빈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10).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인 CIA에서 관절염의 심한 정도를 타입 Ⅱ 콜라겐을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한 후 18일 동안 발(paw) 두께 및 관절염 지수(arthritis index)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YNH431은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발(paw) 두께 및 관절염 지수(arthitis index)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켜 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관절염의 활성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1).
또한, 이러한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에 의한 염증성 관절염의 억제 효과가 관절염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한 후 18일 관절의 활막조직을 얻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및 TNF-α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약추출 혼합물(YNH431)은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무릎(knee) 및 발목(ankle) 관절의 활막조직에서 관절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인 IL-1β 및 TNF-α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관절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2).
(2) 조직 소견에서의 관절염 억제효과 분석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인 콜라겐 유도 관절염(collagen-induced arthritis, CIA)에서 YNH431이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관절의 염증을 억제하는 육안적인 효과를 실제 관절조직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타입 Ⅱ 콜라겐을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한 후 28일에 희생시켜 무릎과 발목관절 조직을 얻었다. 염증반응을 알기 위해서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100X), 연골의 파괴 정도를 알기 위하여 사프라닌-0 염색(100X) 및 관절의 파괴 기전을 알기 위하여 TRAP 염색(200X)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YNH431은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hematoxylin and eosin) 염색(100X) 결과의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무릎(knee) 및 발목(ankle) 관절 조직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염증을 억제하였으며(도 13, 좌). 사프라닌-0 염색(100X) 결과의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무릎(knee) 및 발목(ankle) 관절 조직의 관절 연골 파괴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13, 우). 또한, TRAP 염색(200X) 결과의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무릎(knee) 및 발목(ankle) 관절 조직 관절의 파괴를 일으키는 파골세포의 침윤을 억제하여 관절의 파괴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4).
(3) 마이크로- CT 에서의 관절염 억제효과 분석
염증성 관절염 동물모델인 콜라겐 유도 관절염(collagen-induced arthritis, CIA)에서 YNH431이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관절의 파괴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입 Ⅱ 콜라겐을 추가접종(booster-injection)한 후 28일에 희생시켜 무릎과 발목관절을 촬영하였다(Skyscan 11.70, Kontich, Belgium; X-ray voltage: 60 kV; current: 100μA; 1,000×600 large camera resolution). 그 결과, 도 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YNH431은 CIA에서 대조군인 비이클(vehicle) 투여군에 비해 무릎, 발목 및 발(knee, ankle 및 paw)의 마이크로-CT 검사에서 유의하게 관절의 파괴를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방사선학 침식 스코어(radiologic erosion score) 분석에서도 YNH431은 침식(erosion)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의 파괴를 유의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추출물, 20~40중량%의 당귀 뿌리 추출물,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추출물,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추출물, 1~10중량%의 천마 뿌리 추출물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1) 꾸지뽕 줄기, 당귀 뿌리, 엄나무 줄기, 접골목 줄기, 천마 뿌리 및 위령선 뿌리를 세척하여 분쇄기로 절단한 후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건조된 각 재료 200g에 에탄올 및 물을 각각 0.8~1.2ℓ씩 첨가하고 70~80℃에서 1~2시간 동안 중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중탕하여 획득한 각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분말, 20~40중량%의 당귀 뿌리 분말,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분말,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분말, 1~10중량%의 천마 뿌리 분말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생약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막섬유모세포에서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또는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 chain 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30~50중량%의 꾸지뽕 줄기 추출물, 20~40중량%의 당귀 뿌리 추출물, 5~15중량%의 엄나무 줄기 추출물, 5~15중량%의 접골목 줄기 추출물, 1~10중량%의 천마 뿌리 추출물 및 1~10중량%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50094439A 2015-07-02 2015-07-02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39A KR101607545B1 (ko) 2015-07-02 2015-07-02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439A KR101607545B1 (ko) 2015-07-02 2015-07-02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545B1 true KR101607545B1 (ko) 2016-03-30

Family

ID=5566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439A KR101607545B1 (ko) 2015-07-02 2015-07-02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69A1 (ko) * 2019-04-29 2020-11-05 (주)펜즈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69A1 (ko) * 2019-04-29 2020-11-05 (주)펜즈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786572B2 (en) 2019-04-29 2023-10-17 Pens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692B1 (ko) 복합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669023B1 (ko) 연골 재생, 통증 억제 및 부종 억제용 생약조성물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69325B1 (ko) 창이자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61784B1 (ko) 한약재 추출물(cjs03)을 함유하는 불면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244B1 (ko) 편각영지버섯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6275A (ko) 당귀, 천궁, 및 작약의 열수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또는 가피타히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2018221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강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7545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9492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60000844A1 (en) A composition for improving joint health, or for preventing and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KR101151567B1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90447B1 (ko) 음양곽, 원지, 저령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806035B1 (ko) 신경안정 및 항불안 효능을 갖는 산국화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KR20140137185A (ko) 백지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20153B1 (ko) 갯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1347B1 (ko)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 분획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및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087338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