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90378B1 -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78B1
KR101590378B1 KR1020090084003A KR20090084003A KR101590378B1 KR 101590378 B1 KR101590378 B1 KR 101590378B1 KR 1020090084003 A KR1020090084003 A KR 1020090084003A KR 20090084003 A KR20090084003 A KR 20090084003A KR 101590378 B1 KR101590378 B1 KR 10159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broadcast
short
channe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205A (ko
Inventor
김문기
임철호
한경식
최근환
노재연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78B1/ko
Priority to PCT/KR2009/006292 priority patent/WO2011027935A1/ko
Priority to CN200980162351.XA priority patent/CN102640554B/zh
Publication of KR2011002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205A/ko
Priority to US13/414,181 priority patent/US879803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은,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 다수의 멀티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실장하여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에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의 상호 인접한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신호로 인한 인접한 채널에 대한 신호 간섭을 배제하여 통신신호에 미치는 상호 채널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통신 융합 규격 구조인 칩셋의 인접 채널에 대한 필터링 특성을 강화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관련한 네트워크 투자 비용을 축소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신호간섭

Description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SIGNAL INTERFERENCE ABOUT UNION SEC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 LOCAL AREA,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 다수의 멀티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실장하여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에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의 상호 인접한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WPAN/WL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ISM(Industrial/Scientific/Medical) 대역을 사용하는 WPAN/WLAN 기술, 즉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은 저가로 구현하여 누구나 사용하기 위한 대역이어 서 해당 기술의 RF 기술의 규격 기준상 인접한 채널로 전달될 수 있는 간섭신호에 대한 필터링 규격이 이동통신의 RF 채널 간의 간섭 규격과 비교하여 볼 때,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또한, WPAN/WLAN에 방송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규격화 경향이 대두하고 있으며, 더더욱 WPAN/WLA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상에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영역 상에서 방송신호를 송출할 때에 인접한 채널로 영향을 주는 간섭신호를 제거하지 않게 되면 관련한 인접 채널로 수신되는 신호가 간섭 에러로 인해, 양방향 통신 기반의 통신신호의 송수신 기능이 저하되어 통신서비스와 관련한 커버리지가 급격히 축소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 다수의 멀티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실장하여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에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의 상호 인접한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 공하면서도 인접한 채널 상호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필터링 특성을 강화하지 않고서도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은,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대응하도록 다중화한 후,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역을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으로 동기화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및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경우, 통신 접속한 멀티 RF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신호의 통신프레임 영역을 상기 방송프레임 영역 이후로 연속하도록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나머지 멀티 RF 채널에 대한 상기 전송 프레임에서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과 시간 축으로 동기화되는 구간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할당한 후, 상기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 RF 채널은 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방송신 호를 상기 근거리 영역에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상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는,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로 기 설정된 멀티 RF 채널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고,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상기 기 설정된 멀티 RF 채널을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근거리 무선송출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역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각 구간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중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송출부는 상기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칩셋, 상기 근거리 영역의 근거리 무선 환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방송신호 또는 상기 통신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RF 모듈, 및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동기화되는 상기 방송프레임 영역과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 간의 할당 비율을 기 설정된 바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은,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가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대응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역을 동기화하는 방송신호 동기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송출을 실행하는 방송신호 송출 단계,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것에 응답하는 통신 접속 단계, 통신 접속한 멀티 RF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신호의 통신프레임 영역을 상기 방송프레임 영역 이후로 연속하도록 할당하는 통신프레임 할당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각 구간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는 통신프레임 동기화 단계 및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실행하는 통신신호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 다수의 멀티 RF 채널을 실장하여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에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의 상호 인접한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방송신호로 인한 인접한 채널에 대한 신호 간섭을 배제하여 통신신호에 미치는 상호 채널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근거리 영역에서의 방송통신 융합 규격 구조인 칩셋의 인접 채널에 대한 필터링 특성을 강화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관련한 네트워크 투자 비용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 이,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 연결되어 콘텐츠를 제공받아 대응되는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 방식으로 송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 및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여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방송신호로 송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과 대응되도록 방송신호를 다중화한다.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이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여 이하 상술하고자 한다.
이에,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3개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근거리 영역으로 방송하기 위한 방송신호를 3개의 방송 프레임을 각각 형성한 후, 형성한 방송프레임에 대한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동기화를 이루도록 설정한다.
이후에, 상호 동기화된 각 방송신호를 3개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방송한다.
여기서, 방송신호는 멀티미디어 스트림과 같은 트래픽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방송신호를 이루는 콘텐츠와 관련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목적 등에 따라 3개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통신 접속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하게 된다.
할당한 통신프레임 영역은 전송 프레임 중 상기의 방송프레임 영역 이후에 연속되도록 할당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3개의 멀티 RF 채널 중에서 상기와 같이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한 멀티 RF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멀티 RF 채널과 관련하여, 상기의 통신프레임 영역과 시간 축으로 동기화되는 구간에도 양방향 통신을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으로 할당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3개의 멀티 RF 채널에 대한 각 전송 프레임은 상호 간에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구간으로 동기화되거나,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간으로 동기화되는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방송신호와 통신신호 간의 시간적 동기화를 통하여 방송신호에 의한 인접한 채널의 수신대역에 간섭을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3개의 멀티 RF 채널 중 대응되는 멀티 RF 채널을 통해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고,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3개의 근거리 무선송출부(120) 중 어느 하나인 근거리 무선송출부(120), 및 3개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3개로 다중화되는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역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장치(200)의 요청에 의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3개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할당한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각 구간도 양방향 통신을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으로 할당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개로 이루어지는 각 근거리 무선송출부(120)는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칩셋, 근거리 영역의 무선환경에 대응하도록 방송신호 또는 통신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RF 모듈, 및 방송신호를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각 전송 프레임의 방송프레임 영역과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하는 비율을 기 설정된 기준(예컨대, 7:3)에 따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멀티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멀티 RF 채널을 통해 RF 신호가 송출되게 되면, 해당 RF 대역에서 이상적으로 신호가 송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과 같은 인접 채널에 간섭신호를 발생하여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 2 멀티 RF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가 방송신호이고,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을 통해서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방송신호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신호로 인해 양방향 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도 4는 멀티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방송신호의 커버리지에 비해 통신신호의 커버리지가 축소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멀티 RF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가 방송신호이고,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을 통해서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방송신호의 커버리지에 비해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을 통한 통신신호의 커버리지는 축소된 모습이다.
이에 따라,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이 채널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더 높은 출력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신호를 위한 커버리지가 축소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를 통해 형성되는 멀티 RF 채널 간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가 3개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이루는 각 전송 프레임을 시간 축으로 기준으로 하여,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방송프레임 영역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에 인접 채널의 간섭을 이루는 경우가 존재한다(a).
하지만,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상기의 a와 같은 경우를 회피하고자 하는 전송 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추가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구간으로 동기화하거나,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간으로 동기화하는 프레임 구조를 이루기 위한 프로세싱이다.
아울러, 통신신호에 의한 인접채널 간섭도 존재하나 이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의 특성상 송수신 신호의 갭이 존재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간섭이 영향이 적은 면을 고려한 것이다(b).
도 6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은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3개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방송신호를 3개의 방송프레임 영역으로 다중화한다(S102).
3개의 방송 프레임 영역, 상호 간을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동기화 실행한 후(S104), 동기화한 방송신호를 각 멀티 RF 채널을 통해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한다(S106).
이후로,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200)로부터 어느 한 멀티 RF 채널(예컨대, 제 2 멀티 RF 채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S108),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통신 접속 중인 멀티 RF 채널(예컨대, 제 2 멀티 RF 채널)을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을 설정한다(S110).
S110 단계에서의 설정과정과 함께,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다른 멀티 RF 채널(예컨대, 제 1 멀티 RF 채널 및 제 3 멀티 RF 채널)의 전송 프레임에 대한 구간도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으로 설정한다(S112).
이후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통신 접속 중인 멀티 RF 채널(예컨대, 제 1 멀티 RF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통신신호를 송수신한다(S114).
또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 할당된 통신프레임 영역구간이 종료된 경우, 근거리 영역으로 추가적으로 방송하기 위한 방송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18).
S118 단계에서, 방송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들을 재차 반복하고, 방송신호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래픽 전달을 위한 프로세스를 중단하게 된다(S12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 다수의 멀티 RF(Radio Frequency) 채널을 실장하여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에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내의 상호 인접한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멀티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멀티 RF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방송신호의 커버리지에 비해 통신신호의 커버리지가 축소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를 통해 형성되는 멀티 RF 채널 간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6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110 : 제어부
120 : 근거리 무선송출부 130 : 네트워크 연결부
200 :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로 기 설정된 멀티 RF 채널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고,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상기 기 설정된 멀티 RF 채널을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근거리 무선송출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역을 동기화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통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프레임 영역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각 구간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송출부는
    상기 방송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칩셋;
    상기 근거리 영역의 근거리 무선환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방송신호 또는 상기 통신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RF 모듈; 및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송출하거나, 상기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동기화되는 상기 방송프레임 영역과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 간의 할당 비율을 기 설정된 바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
  7. 근거리 무선송출 장치가 근거리 영역에 방송하기 위한 콘텐츠의 방송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대응하도록 다중화하는 다중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방송신호의 방송프레임 영 역을 동기화하는 방송신호 동기화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을 통해 상기 근거리 영역으로 상기 방송신호에 대한 송출을 실행하는 방송신호 송출 단계;
    상기 근거리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것에 응답하는 통신 접속 단계;
    통신 접속한 멀티 RF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신호의 통신프레임 영역을 상기 방송프레임 영역 이후로 연속하도록 할당하는 통신프레임 할당 단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 RF 채널에 기반하는 각 전송 프레임의 시간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통신프레임 영역과 동기화되는 각 구간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영역으로 할당하는 통신프레임 동기화 단계; 및
    상기 통신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실행하는 통신신호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방법.
KR1020090084003A 2009-09-07 2009-09-07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ctive KR10159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03A KR101590378B1 (ko) 2009-09-07 2009-09-07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CT/KR2009/006292 WO2011027935A1 (ko) 2009-09-07 2009-10-29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200980162351.XA CN102640554B (zh) 2009-09-07 2009-10-29 近距离区域内的广播和通信融合部分的信号干扰最小化系统和方法及其应用装置
US13/414,181 US8798033B2 (en) 2009-09-07 2012-03-07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signal interference between broadcasting signals and communication signals within local area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003A KR101590378B1 (ko) 2009-09-07 2009-09-07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205A KR20110026205A (ko) 2011-03-15
KR101590378B1 true KR101590378B1 (ko) 2016-02-02

Family

ID=4364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003A Active KR101590378B1 (ko) 2009-09-07 2009-09-07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98033B2 (ko)
KR (1) KR101590378B1 (ko)
CN (1) CN102640554B (ko)
WO (1) WO2011027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6214B (en) * 2002-07-17 2010-06-21 Avanir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dextromethorphan and quinidine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KR20130026353A (ko)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N109716777B (zh) 2016-09-13 2022-01-25 三星电子株式会社 发送设备及其发送方法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US11838680B2 (en) *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6669A2 (en) * 2002-05-10 2003-11-20 Reisman Richard R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US7321383B2 (en) * 2002-07-19 2008-01-22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video teleconferencing on mobile platforms
KR100640475B1 (ko) * 2004-07-2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통신 융합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방송 다중화기 및역다중화기
US7894818B2 (en) * 2005-06-15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broadcast and unicast traffic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US20070002724A1 (en) * 2005-06-15 200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 superposition and cancellat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KR101191183B1 (ko) 2005-09-30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WO2007037657A2 (en) * 2005-09-30 2007-04-05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KR100801612B1 (ko) * 2006-03-09 2008-02-11 주식회사 다이알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동기화된 실시간 쌍방향 통신 방법
WO2007125175A2 (en) * 2006-05-02 2007-11-08 Ant - Advanced Network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real-time transmission of multichannel audio or video data
US8243693B2 (en) * 2006-08-01 2012-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 pilo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965758B2 (en) * 2006-09-15 2011-06-21 Itron, Inc. Cell isolation through quasi-orthogonal sequences in a frequency hopping network
KR100828297B1 (ko) * 2006-12-13 2008-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면인식을 이용한 방송 컨텐츠와 통신 컨텐츠간 동기화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503918A (ja) * 2007-09-13 2011-01-27 アント−アドバンスド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ズ オイ 多チャンネル・デジタル・オーディオのリアルタイム無線収集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36887B1 (ko) * 2008-02-26 2014-09-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의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US8737373B2 (en) * 2008-05-09 2014-05-2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separate unicast and broadcast information with a common pilot
CN102273245B (zh) * 2009-08-28 2014-07-16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为多播和/或广播业务数据分配资源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0554A (zh) 2012-08-15
CN102640554B (zh) 2015-04-22
WO2011027935A1 (ko) 2011-03-10
US20120163363A1 (en) 2012-06-28
US8798033B2 (en) 2014-08-05
KR20110026205A (ko)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94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hannel selection and bandwidth reservation
US81354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49425B1 (ko) 공존시스템에서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TWI444010B (zh) 分散式頻譜認知無線電網路中的頻道管理方法
EP20600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y spatial reuse
US200801751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KR101788063B1 (ko) 네트워크 또는 디바이스를 서비스하는 관리기기의 서비스 전환 방법
US200801778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on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603944B1 (ko) Tv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장치의 사용 채널 정보 획득 방법
US8437319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KR20130023210A (ko) 서로 다른 종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951651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36131A (ko) 네트워크 또는 디바이스 및 그 네이버 발견 방법
KR101590378B1 (ko)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통신 융합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최소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50146678A1 (en) Full bandwidth protection mechanism for co-existence of single/multi-channel wide-bandwidth wireless systems
WO2008133453A1 (en) Method for spectrum collaboration in dynamic frequency-hopping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KR20090030453A (ko) 무선인지 기술 기반의 wlan 시스템 통신 방법
KR101599700B1 (ko) 티브이 화이트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장치의 주파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590409B1 (ko) 비콘신호 중첩지역에서의 간섭 방지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982730B1 (ko)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3202A (ko) 근거리 영역 내의 방송 서비스 구간에 대한 신호 간섭 회피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