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768B1 - Container for diy kimchi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diy kimchi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768B1 KR101594768B1 KR1020150092524A KR20150092524A KR101594768B1 KR 101594768 B1 KR101594768 B1 KR 101594768B1 KR 1020150092524 A KR1020150092524 A KR 1020150092524A KR 20150092524 A KR20150092524 A KR 20150092524A KR 101594768 B1 KR101594768 B1 KR 101594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kimchi
- container
- separation membrane
- inst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 김치 재료들을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혼합용기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버무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김치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 사이를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용기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의하면, 김치 재료들을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각종 양념 및 야채가 포장된 개별 팩이나 포장지를 일일이 해체하거나 별도의 혼합용기에 김치 재료를 일일이 옮긴 후 버무리는 불편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분리막을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을 수행한 후 혼합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김치를 버무려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포장팩을 해체하는 과정이나 김치 재료를 옮기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보관용기 내부에서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우수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비산 되어 의복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which can safely and conveniently store instant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comprises a first container main body having a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main material therein; A second container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is received; A hermetic member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bind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ogether; And a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 bodies to hermetically partition betwee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instant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store the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safely and conveniently, but also to disassemble individual packs or wrappers packed with various seasonings and vegetable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quickly produce the kimchi in a complicated manner by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of removing the separation membrane without carrying out an inconvenient operation after the kimchi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kimchi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packaging pack and transferring the kimchi material are not necessary, the entire process can be perform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hygiene is excellent and the contents are leaked to the outside or scatte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 김치 재료들을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혼합용기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버무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김치용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which can safely and conveniently store instant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일반적으로 김치는 염장 채소에 각종 양념장을 버무려 일정 기간 숙성시켜 취식하는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 Generally, kimchi is a typical fermented food which is cooked with a variety of marinades in salted vegetables and aged for a certain period.
이러한 김치는 젖산이나 비타민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 재료나 제조방법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지만, 재료준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소량으로 제조하기가 불편하므로 비교적 한 번에 많은 량으로 제조하게 된다. Such kimchi is rich in lactic acid and vitamins, and there are many kinds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However, since it is inconvenient to produce a small amount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preparation of the material, the kimchi is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large amount at a time.
그리고, 김치는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일단 판매용으로 제조된 김치는 보존기간이 짧고, 일정 기간이 경과 하게 되면 신김치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신선한 맛을 상실하고 유통과정에서 반품량이 많아지게 된다.Since kimchi is a fermented food, kimchi once produced for sale has a short storage period and becomes a new kimchi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resulting in a loss of fresh taste and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turned good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이에 따라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099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항상 싱싱한 생김치를 즉석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즉석 김치 세트'가 제안되어 있다. Accordingly, recently,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00998, "instant kimchi set" which can always make fresh raw flesh instantly is proposed.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00998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석 김치세트는 소금에 절여진 절임 배추(12)를 적당량 내장시킨 절임 배추 진공포장 팩(10)과, 마늘 및 고춧가루, 젓국 등으로 된 양념(22)을 내장시킨 양념 진공포장 팩(20)과, 당근 및 무, 부추, 잔파 등으로 된 김치제조용 야채(32)를 내장시킨 야채 진공포장 팩(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00998 includes an instant kimchi set comprising a pickled cabbage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10753호에는 즉석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김치를 담아 먹을 수 있는 '김치 세트'가 제안되어 있다.In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10753, a 'kimchi set' which can be easily and easily put on a kimchi is proposed.
전술한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10753호에 따른 김치 세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4)과 후렌지(15)에 의하여 구획된 수납공간(11)(12)(13)을 갖는 용기(10) 내부에 소금에 절여져 씻은 상태의 염장 배추(20)와, 상기 염장 배추(20)와 함께 즉석에서 버무릴 수 있도록 씻어져 다듬어진 양념야채(30)와, 버무려진 겉절이용 양념장(40)이 각각 구획되게 담겨지고, 상기 용기(10)는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각각의 수납공간(11,12,13)의 개구면이 비닐지 시트(50)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격벽(14)의 상면과 후렌지(15)의 상면으로 시트(50)가 접착되어 밀봉된 상태로 제공토록 된 것이다.The set of kimchi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laid ope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10753 includes the
전술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00998호 및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10753호에 따른 김치 세트는 공통적으로 김치를 먹고자 할 경우 절임 배추와 양념을 버무리기만 하면 싱싱한 생김치가 즉석에서 간단히 제조, 취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00998 and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10753, when a kimchi set is commonly used for kimchi, only the pickled cabbage and the sauce are burnt,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as follows.
먼저, 전술한 종래 김치 세트는 절임 배추, 각종 양념 및 야채가 포장된 개별 팩이나 포장지를 일일이 해체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어려운 단점이 있다. First, the conventional kimchi set described above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is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use since it must disassemble individual packs or wrapping paper packed with pickled cabbage, various condiments and vegetables.
그리고, 전술한 종래 김치 세트는 김치를 제조시에 절임 배추, 양념 및 야채 등을 버무리기 위한 별도의 혼합용기가 반드시 필요하고, 별도의 혼합용기에 김치 재료를 일일이 옮긴 후 버무리는 작업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혼합용기 등을 설거지하여야 하는 등 뒷정리가 많아서 바쁜 현대인의 생활 패튼을 고려할 때 불편함이 많은 단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kimchi set described above, a separate mixing container for mixing pickled Chinese cabbage, sauce, and vegetables is requir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kimchi, and the kimchi material is transferred to a separate mixing container and then the kimchi is burnt It is very troublesome and takes a lot of time, and there is a lot of complaints such as washing the mixed containers, etc., and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when considering the living patton of busy modern people.
또한, 종래 김치 세트는 개별 팩이나 포장지를 해체하는 과정이나 김치를 버무리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비산 되어 의복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kimchi set has disadvantages such as disintegration of individual packs and wrapping paper, and problems such as contamination of clothes due to leakage or scattering of the contents to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chewing the kimchi.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김치 재료들을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혼합용기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버무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subject matt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imchi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safely and conveniently storing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 사이를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용기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comprising: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main material therein; A second container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is received; A hermetic member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bind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ogether; And a separation membran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 bodies to hermetically partition betwee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on space.
여기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기밀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inserted into the hermetic member so as to hermetically partitio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기밀부재에 설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본체에 외부와 연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마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comprising: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main material therein; A second container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is received; A hermetic member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bind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ogether; And a separation membrane provided on the hermetic member to hermetically partitio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wherein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main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n opening / closing cap is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2 용기본체의 개방구 둘레 외면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훅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훅이 걸림되도록 대향하는 상기 제1 용기본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hooks that are foldab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a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container body facing the hooking hook .
상기 제2 용기본체는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body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s partitioning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개방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에 연장,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membrane may include a sealing part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a handle extended from the sealing p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상기 제1 용기본체의 접면에 상기 기밀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기밀부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상기 기밀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기밀부재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irtight member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with a part of the airtightness member inserted therein, The second airtight member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개재되는 기밀부재몸체, 상기 분리막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에 형성되는 분리막삽입구, 및 상기 분리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의 내면에 요입, 형성되는 분리막끼움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ermetic member includes a hermetic member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separation membrane inlet formed in the hermetic member body to receive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separation membrane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rmetic member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의하면, 김치 재료들을 밀봉된 상태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각종 양념 및 야채가 포장된 개별 팩이나 포장지를 일일이 해체하거나 별도의 혼합용기에 김치 재료를 일일이 옮긴 후 버무리는 불편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분리막을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을 수행한 후 혼합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김치를 버무려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stant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store the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safely and conveniently, but also to disassemble individual packs or wrappers packed with various seasonings and vegetable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quickly produce the kimchi in a complicated manner by performing a simple operation of removing the separation membrane without carrying out an inconvenient operation after the kimchi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kimchi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포장팩을 해체하는 과정이나 김치 재료를 옮기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보관용기 내부에서 모든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이 우수하고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비산 되어 의복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instant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packing pack or to transfer the kimchi material as in the prior art, and the entire process can be perform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leakage or scattering of clothes or contamination of clothes.
도1 및 도2는 종래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and FIG. 2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car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w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김치 재료들을 밀봉상태로 보관하고, 필요시 별도의 혼합용기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버무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용기본체(1), 제2 용기본체(2), 기밀부재(3), 잠금부재(4), 및 분리막(5)으로 구성되어 있다.3 to 5,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kimchi materials in a sealed state and, if necessary, performs the simple and quick carrying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mixing container The
제1 용기본체(1)는 내부에 절임 배추와 같은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12)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외관 형상은 원통형 통, 다각형 통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제2 용기본체(2)는 제1 용기본체(1)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고추가루 등의 양념, 야채 등와 같은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22)이 형성된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제1 용기본체(1)와 대향되게 결합되도록 대략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제2 용기본체(2)는 양념, 야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보조재료가 혼합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수용되도록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23)은 보조재료 수용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3)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분리막과 접촉된 상태에서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The
기밀부재(3)는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의 개방구 둘레 단부의 서로 접촉되는 접촉면(15,25;이하 접면이라 함)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기밀특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고무계수지, 실리콘계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것이다. The
그리고, 기밀부재(3)는 개방구 둘레 형상과 유사하고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의 접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형상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막(5)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재료 수용공간(12)과 보조재료 수용공간(22)을 기밀적으로 구획할 뿐만 아니라 분리막(5)의 제거동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Although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밀부재(3)는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의 접면에 개재되는 기밀부재몸체(31), 이 기밀부재몸체(31)의 일측에 분리막(5)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분리막삽입구(32), 및 분리막(5)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기밀부재몸체(31)의 내면에 요입, 형성되는 분리막끼움홈(33)으로 구성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제1 용기본체(1)는 개방구 둘레의 접면(15)에 기밀부재몸체(31)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기밀부재삽입홈(16)이 요입되어 있고, 제2 용기본체(2)는 개방구 둘레의 접면(25)에 기밀부재몸체(31)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기밀부재삽입홈(26)이 요입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잠금부재(4)는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집게, 신축밴드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형성된 결속부재(미도시)를 결합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안정적인 결속상태와 기밀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용기본체(2)의 개방구 둘레 외면에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훅은 합성수지원료를 이용하여 제2 용기본체(2)의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The
그리고, 제1 용기본체(1)에는 상기한 걸림훅이 걸림되도록 대향하는 위치에 걸림턱(1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한편, 분리막(5)은 주재료 수용공간(12)과 보조재료 수용공간(22)을 기밀적으로 상하 구획하는 부재로서, 합성수지시트, 은박시트, 등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분리막(5)은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의 개방구를 밀폐하는 면상 구조의 밀폐부(51)와, 이 밀폐부(51)의 일측에 연장되어 제거시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52)로 구성되어 있다.The separa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는 절임 배추와 같은 주재료에 포함된 염수 등을 배출하기 위해 제1 용기본체(1)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공(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공(18)에는 개폐를 위해 개폐마개(6)가 설치되어 있다.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여기서, 개폐마개(6)는 배출공(18)에 끼워지고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접속부(61)와 이 접속부(61)에 일체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연결부(62), 및 이 연결부(62)에 일체로 형성되고 접속부(61)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마개부(63)로 구성되어 있다.The opening an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가 일체로 형성된 제2 용기본체(2)와, 제1 용기본체(1)를 준비하고, 제1 용기본체(1)의 주재료 수용공간(12)에 절임 배추와 같은 주재료를 투입하고, 제2 용기본체(2)의 격벽(23)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보조재료 수용공간(22)에 고추가루 등의 양념, 야채 등과 같은 보조재료를 개별적으로 투입한다.First, as shown in FIGS. 4 and 5, a
이후, 분리막(5)이 삽입된 기밀부재(3)를 제2 용기본체(2)의 제2 기밀부재삽입홈(26)에 삽입하여 내용물이 낙하하지 않도록 조립한 후 들어올려 제1 용기본체(1)에 접속하고 잠금부재(4)를 결속하여 도6의 (A)부분에 도시된 형태로 조립한다. Thereafter, the
도6의 (A)부분에 도시된 형태로 조립되면 제1 용기본체(1)에 투입된 주재료와 제2 용기본체(2)에 투입된 보조재료가 서로 혼합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유통 및 보관할 수 있다.6 (A), the main material charged into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에 주재료와 보조재료를 투입하여 포장, 판매되는 즉석 김치를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소비자가 도6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4)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제1 및 제2 용기본체(1,2)의 결속상태를 느슨하게 하고, 분리막(5)의 손잡이(52)를 당기게 되면 밀폐부(51)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외부로 이탈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using the instant kimchi packed and sold by putting the main material and the auxiliary material into the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is described briefly. First, The locking state of the
이후, 신속하게 잠금부재(4)를 결속시켜 제1 및 제2 용기본체(1,2)가 다시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도6의 (C)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되면 제1 용기본체(1)의 내부에 수용된 절임 배추와 제2 용기본체(2)의 내부에 수용된 고추가루 등의 양념, 야채 등이 서로 혼합되면서 김치가 버무려지게 된다. 이러한 버무림 과정이 완료되면 잠금부재(4)를 결속상태를 해제하고 제1 용기본체(1)와 제2 용기본체(2)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lied to a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1:제1 용기본체 12:주재료 수용공간
15,25:접면 16:제1 기밀부재삽입홈
17:걸림턱 18:배출공
2:제2 용기본체 22:보조재료 수용공간
26:제2 기밀부재삽입홈 3:기밀부재
31:기밀부재몸체 32:분리막삽입구
33:분리막끼움홈 4:잠금부재
5:분리막 51:밀폐부
52:손잡이 6:개폐마개1: first container body 12: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15, 25: contact surface 16: first airtight member insertion groove
17: catching jaw 18: exhausting hole
2: second container body 22: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26: second airtight member insertion groove 3: airtight member
31: airtight member body 32: separator inlet
33: separator fitting groove 4: locking member
5: separator 51: sealing
52: handle 6: opening / closing cap
Claims (8)
내부에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 사이를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기밀부재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개재되는기밀부재몸체, 상기 분리막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에 형성되는 분리막삽입구, 및 상기 분리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의 내면에 요입, 형성되는 분리막 끼움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In the instant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 main material is accommodated;
A second container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is received;
A hermetic member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bind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ogether; And
And a separation membrane inserted in the hermetic member to hermetically partitio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The hermetic member includes a hermetic member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separation membrane inlet formed in the hermetic member body to receive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separation membrane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body.
내부에 주재료가 수용되는 주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보조재료가 수용되는 보조재료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2 용기본체;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설치되는 기밀부재;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를 서로 결속하기 위해 설치되는 잠금부재; 및
상기 주재료 수용공간과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기밀적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기밀부재에 설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본체에 외부와 연통되게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개폐마개가 더 구비하되,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개재되는 기밀부재몸체, 상기 분리막이 삽입되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에 형성되는 분리막삽입구, 및 상기 분리막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도록 상기 기밀부재몸체의 내면에 요입, 형성되는 분리막 끼움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In the instant storage container for kimchi,
A first container body having a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 main material is accommodated;
A second container body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having an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in which an auxiliary material is received;
A hermetic member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locking member installed to bind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together; And
And a separation membrane provided in the hermetic member to hermetically partition the main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uxiliary material accommodating space,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n opening / closing cap provided to open / close the discharge hole,
The hermetic member includes a hermetic member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a separation membrane inlet formed in the hermetic member body to receive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 separation membrane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ember body.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2 용기본체의 개방구 둘레 외면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훅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훅이 걸림되도록 대향하는 상기 제1 용기본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so as to be foldable,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first container body so that the latching hook is hooked.
상기 제2 용기본체는 상기 보조재료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second container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s for partitioning the auxiliary material receiving space.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 용기본체와 상기 제2 용기본체의 개방구를 밀폐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에 연장,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separation membrane comprises a sealing part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and a handle extended from the sealing part.
상기 제1 용기본체의 접면에 상기 기밀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기밀부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본체의 접면에 상기 기밀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기밀부재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 first airtight memb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airtightness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body and a second airtightness memb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airtightness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Wherein the container is a container for instant kimchi.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524A KR101594768B1 (en) | 2015-06-29 | 2015-06-29 | Container for diy kimchi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2524A KR101594768B1 (en) | 2015-06-29 | 2015-06-29 | Container for diy kimchi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4768B1 true KR101594768B1 (en) | 2016-02-17 |
Family
ID=5545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2524A Active KR101594768B1 (en) | 2015-06-29 | 2015-06-29 | Container for diy kimchi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476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8190A (en) | 2018-12-05 | 2020-06-15 |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 Food storage contain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09621A (en) * | 2019-07-17 | 2021-01-27 | 송선영 | Immediate raw kimchi making kit |
KR102294300B1 (en) * | 2021-02-02 | 2021-08-25 | 남용숙 | Multipurpose mat |
KR20240037401A (en) | 2022-09-14 | 2024-03-22 |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 Food container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98Y1 (en) | 2000-04-06 | 2000-11-01 | 정덕교 | Kimchi set |
WO2008153965A1 (en) * | 2007-06-08 | 2008-12-18 | Gutierrez Avendano Henry Alfon | Multi-chambered container for storing and mixing a first and a second substance into a composition |
KR20090010753U (en) | 2008-04-18 | 2009-10-22 | 천종무 | Kimchi kit |
US20130149417A1 (en) * | 2009-10-16 | 2013-06-13 | Conagra Foods Rdm, Inc. | Container system |
KR20140059584A (en) | 2012-11-08 | 2014-05-16 | 송영근 | Diy kimchi chain store ad hoc kimchi sale way |
KR20140092614A (en) * | 2013-01-16 | 2014-07-24 | 이정민 | Instant noodle vessel |
-
2015
- 2015-06-29 KR KR1020150092524A patent/KR101594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98Y1 (en) | 2000-04-06 | 2000-11-01 | 정덕교 | Kimchi set |
WO2008153965A1 (en) * | 2007-06-08 | 2008-12-18 | Gutierrez Avendano Henry Alfon | Multi-chambered container for storing and mixing a first and a second substance into a composition |
KR20090010753U (en) | 2008-04-18 | 2009-10-22 | 천종무 | Kimchi kit |
US20130149417A1 (en) * | 2009-10-16 | 2013-06-13 | Conagra Foods Rdm, Inc. | Container system |
KR20140059584A (en) | 2012-11-08 | 2014-05-16 | 송영근 | Diy kimchi chain store ad hoc kimchi sale way |
KR20140092614A (en) * | 2013-01-16 | 2014-07-24 | 이정민 | Instant noodle vessel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8190A (en) | 2018-12-05 | 2020-06-15 |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 Food storage contain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09621A (en) * | 2019-07-17 | 2021-01-27 | 송선영 | Immediate raw kimchi making kit |
KR102280646B1 (en) * | 2019-07-17 | 2021-07-21 | 송선영 | Immediate raw kimchi making kit |
KR102294300B1 (en) * | 2021-02-02 | 2021-08-25 | 남용숙 | Multipurpose mat |
KR20240037401A (en) | 2022-09-14 | 2024-03-22 | 우먼스월드 주식회사 | Food container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4768B1 (en) | Container for diy kimchi | |
US8342349B2 (en) | Food container | |
US20110233100A1 (en) |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 |
JP4527975B2 (en) | Disposable package for cooked food | |
JP2018150054A (en) | Food in container, stack, and stack package | |
US20110198246A1 (en) | Stackable snack food items, system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same | |
KR101686027B1 (en) | Delivery method and packing bag for DIY KIMCHI | |
GB2560226A (en) | A cooking apparatus | |
KR200485807Y1 (en) | Dumpling packing vessel | |
CN205947350U (en) | A multifunctional lunch box | |
KR101803367B1 (en) | Packiing case | |
KR20160144648A (en) | Chest of drawers with a closed container | |
JP6688682B2 (en) | Food packaging container | |
US20090321450A1 (en) | Multi-compartments packaging for the preparation of mono or multi-taste products | |
AU2019202496A1 (en) | An Improved Food Storage System | |
KR20130115424A (en) | Plastic container that storage is easy | |
KR200492398Y1 (en) | Receptacle of individual packaging | |
KR20170002459U (en) | Easy opening disposable package | |
KR101146036B1 (en) | Preparation method of crab preserved in soy sauce | |
US20180070752A1 (en) | Food holder device | |
RU73317U1 (en) | CONTAINER FOR STORAGE AND PREPARATION OF FROZEN FOOD SEMI-FINISHED PRODUCTS | |
JP2010095266A (en) | Decorative round mirror-shaped rice cake | |
KR20090105896A (en) | Seafood container | |
KR20080003356U (en) | Box for skewers | |
US20190359384A1 (en) | Containers for Storage and Assembly of Sandwich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