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83799B1 -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99B1
KR101583799B1 KR1020150022097A KR20150022097A KR101583799B1 KR 101583799 B1 KR101583799 B1 KR 101583799B1 KR 1020150022097 A KR1020150022097 A KR 1020150022097A KR 20150022097 A KR20150022097 A KR 20150022097A KR 101583799 B1 KR101583799 B1 KR 10158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ontainer
st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5002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99B1/ko
Priority to CN201811294583.8A priority patent/CN109222688B/zh
Priority to CN201610084913.5A priority patent/CN105877535B/zh
Priority to CN201620119672.9U priority patent/CN205612341U/zh
Priority to MYPI2017700492A priority patent/MY166956A/en
Priority to EP16749508.4A priority patent/EP3257412B1/en
Priority to PCT/KR2016/001468 priority patent/WO2016129968A1/ko
Priority to US15/503,696 priority patent/US20170273508A1/en
Priority to JP2017513021A priority patent/JP2018504940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용기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상기 스테이지부 및 상기 동력부 내부 하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로 다른 구동축을 포함하며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상기 동력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스테이지부 또는 용기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와 동력부를 별도로 배치하고 용기부를 탈착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조리된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 및 음실물이 비워진 용기부가 동력부와 편리하게 분리되어 가볍고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가공기{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 발생 및 전달부와 음식물 수용부를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음식물 수용부를 착탈가능하게 설계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공급 및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한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와 같은 기기들은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를 하던 것을 가정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등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음식 재료를 넣고 용기 하부 또는 내부에서 열을 가하고 용기 내부의 재료를 회전날에 의하여 갈면서 분쇄 및 조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음식이 가공기 내에서 전장부 및 동력전달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조리된 음식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고 음식이 비워진 용기를 세척하는데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기부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를 독립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용기부를 동력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된 음식물을 관리하는데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용기부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상기 스테이지부 및 상기 동력부 내부 하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로 다른 구동축을 포함하며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상기 동력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스테이지부 또는 용기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조리시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 가능하고, 조리 전 후에 상기 스테이지부와 분리되어 외부 바닥면에 입설 가능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모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 및 상기 제 1구동축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구동축 및 제 2구동축은 동일 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동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모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 및 상기 제 1구동축과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부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외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가 상기 스테이지부과 결합시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부에 공급된 동력이 상기 용기부의 회전날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음식물의 분쇄를 촉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이 상기 스테이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가 구동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홈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스테이지부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풀리; 상기 제 2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도록 배치된 제 2풀리; 및 상기 제 1풀리 및 제 2풀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 1풀리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풀리로 전달하는 구동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기어부재; 상기 스테이지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구동축과 연결된 제 2기어부재 및 상기 제 1기어부재 및 제 2기어부재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기어부재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기어부재로 전달하는 제 3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는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풍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환풍부는 상기 구동모터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제 1배출부 및 상기 동력부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배출부를 통과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동력부 전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제어하는 전장부 또는 조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에 배치되고,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 감지부; 상기 용기부 내측에 배치되고, 조리시 상기 용기부 내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부 또는 히터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에 도달되었을 때, 상기 히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제 1온도퓨즈; 및 상기 용기부 내부 또는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 1온도퓨즈에서 설정된 소정의 온도 범위의 한계점 초과할 때,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영구적으로 차단시켜 과열을 방지하는 제 2온도퓨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외로 탈착가능하며, 음식물의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할수 있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와 동력부를 별도로 배치하고 용기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조리된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이 비워진 용기부가 동력부와 편리하게 분리되어 가볍고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용기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부의 환풍부를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투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된 용기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간략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용기부(100), 스테이지부(200), 동력부(300) 및 동력전달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음식물이 수용되며, 용기부(100) 내부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에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6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 히터(160)가 용기부(100) 내 하부(도 1)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측(도 2)에 용기부(100) 하부면과 유사하게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그 외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부(100)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용기부(100) 하부에 구성된 히터(160)는 물 또는 조리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용기부(100) 내부 바닥면에 또는 코팅 처리되어 배치하거나 용기부(100)의 외부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용기부(100) 상부에는 용기부(100)의 개방부분을 덮는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덮개부(120)는 용기부(100)와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용기부(100) 상부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고 위생상의 안전을 갖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부식내구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부(100)는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2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 내측 하부 또는 스테이지부(200)의 히터 측면에는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191)가 구비되어 조리시 발생하는 열에 따라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 상측 또는 덮개부(120) 하단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거품을 감지할 수 있는 거품 감지부(192)를 구비하여 거품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조리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91) 및 거품 감지부(192)의 경우 동력부(300)의 전장부(330)에 연결되어 센싱할 수도 있다.(도 3참조)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30)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쇄돌기(130)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130)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돌출된 분쇄돌기(130)는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거나 회전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다시 분쇄되도록 하여 전체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30)는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에 형성되어, 음식물과 회전날 사이의 거리를 좁힘에 따라 음식물과 회전날의 접촉 가능성을 높여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분쇄돌기(130)는 음식물을 회전날 쪽으로 유도하여, 회전날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의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130)는 다른 요리를 하기 위한 기구 설치시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부(100) 내에는 거름망이 삽입되어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망은 지지대와 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망의 경우 음식물의 조리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도록 직조한 철망 혹은 직조한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부가 일정부분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20)은 용기부(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용기부(10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는 상측에 조리재료를 용기부(100) 안으로 넣을 수 있은 상측 주입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주입구(170)의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마개(171)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171)는 용기부(100)에 담긴 음식물이 분쇄시 나오지 못하도록 하거나 계량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시되어있지 않지만, 용기부(100) 일측면에는 조리된 음식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외측 주입구(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외측 주입구는 깔대기의 일부 형태 및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조리된 음식물이 곡면을 따라 외부로 잘 배출되어 흐르도록 도움들 준다.
또한, 일 예로 도 2를 참고하면, 덮개부(12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상측 주입구(170) 및 마개(171)를 구비하며, 덮개부(120) 및 마개(171)는 회전에 의하여 용기부(100)의 개구면에 대한 잠금/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구성을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스테이지부(200)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조리시 스테이지부(200)에 안착되고 고정되면서 전류 및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용기부(1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필요한 힘을 전달받고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이지부(200)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외에 조리 전 후에 스테이지부(200)의 분리되어 외부 바닥면에 입설될 수 있다.
종래의 음식물 가공기의 경우 전자 구동부가 용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 및 세척에 불편함을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용기부(100) 본체와 따로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전자 구동부와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조리가 완성된 경우 용기부만 이동하여 무게의 부담없이 먼 거리를 가져갈 수 있으며, 세척시에도 용기부(100)만 간단히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어 무게의 부담없이 손쉽게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부(100)는 상기 용기부(100) 하측에 배치되고, 동력전달부(400)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1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110)은 동력전달부(400)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용기부(100)의 내주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날(110)은 용기부(100) 내측 하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로 구성하여 회전에 의한 분쇄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부(100) 외면 하부에는 동력부(30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부재(14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40)는 회전날(110)(도 5참조)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부(300)의 동력이 동력전달부(400) 및 스테이지부(200)를 거쳐 용기부(100) 내의 회전날에 전달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부재(140)는 스테이지부(2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스테이지부(200)의 연결부재(220)와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4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한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고 스테이지부(200)의 연결부재에 전달된 동력이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40)에 전달될 수 있다.
용기부(100) 외면 하부에는 회전부재(140)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공급받거나 동력부(300)에서 전달된 조리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는 홈 형상의 신호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달부(150)는 스테이지부(200)의 돌기 형상의 신호공급부(250)와 암수 결합이 가능하며, 용기부(100) 내부 조리를 위해 필요한 신호 및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에는 용기부(100)의 내부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스테이지부(200) 내에 있는 히터(160)가 일정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160)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는 온도퓨즈(180)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퓨즈(180)는 제 1온도퓨즈(180a)와 제 2온도퓨즈(180b)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온도퓨즈(180a)는 온도가 규정이상의 온도가 되는 경우에 히터(16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음식물의 가열의 중지 및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규정이상의 온도는 80℃~18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제 1온도퓨즈(180a)는 상기 일정 이상의 온도 미만으로 용기부(100) 내부 또는 히터(160)의 온도가 내려가게되면, 다시 히터(160)의 작동 차단을 회복하여 히터(160)를 재 구동시킬 수 있다. 제 2온도퓨즈(180b)는 온도가 제 1온도퓨즈(180a)에서 설정한 온도 이상 올라갈 경우에 히터(160)의 구동을 영구적으로 차단하여 음식물의 가열 및 전원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 2온도퓨즈(180b)의 규정이상의 온도 180℃~300℃에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퓨즈(180)는 상기와 같이 2중으로 온도 과열 현상을 억제하여 사용자가 위험없이 안전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 하부에 배치되며, 용기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10) 및 상기 용기부(100) 하단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는 용기부(100) 안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발생되는 용기부(100)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용기부(100) 하단부와 대응되는 홈(230)의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10)의 홈(230)의 크기는 용기부(100)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지지부(210) 홈(230) 내측으로 안착된 용기부(100)를 보다 흔들림없이 지지하기 위하여 홈(230) 상면에는 용기부(100)와 결합 가능한 홀 또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홈(230) 상면에 구비된 홀 또는 돌기와 대응되어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돌기 또는 홀이 용기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부(210)는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용기부(100) 외주면의 소정의 높이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단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재(240)는 홈(230) 내의 돌기 또는 홀과 더불어 조리기 구동하는 용기부(100)의 떨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단턱부재(240)는 원통형상의 용기부(100)를 커버하도록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용기부(100)의 형상에 맞춰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부(210)의 홈(230) 중앙 상면에는 회전날(110)과 연결되는 회전부재(14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220)는 하측으로 동력전달부(400)와 연결되고 상측으로 회전부재(140)와 연결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동력전달부(400)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결합시에 스테이지부(200) 하단에 배치된 회전부재(140)와 결합할 수 있고, 용기부(100)의 탈착시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40)와 스테이지부(200)의 연결부재(220)는 분리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대로 지지부(210)의 연결부재(220) 외측에는 용기부(100)의 신호전달부(150)에 신호 및 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신호공급부(250)가 설치될 수 있다. 신호공급부(250)는 스테이지부(200) 또는 동력부(300) 하부에 연결된 콘센트로부터 외부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테이지부(200) 내부 안쪽 면에는 용기부(100)에서 흘러넘친 액상의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물이나 누수된 물이 스테이지부(200) 안쪽의 히터(160) 및 내부 기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60)은 스테이지부(200) 바닥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로는 배수구(260)로 들어온 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테이지부(200)는 회전부재(140)가 배치된 중심부에서 배수구(260)이 배치된 가장자리쪽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를 통해, 회전부재(140)와 연결된 전자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액상의 음식물이나 물이 배수구(260)를 통해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부의 환풍부를 나타낸 음식물 가공기의 투영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식물 가공기(10)는 용기부(100)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30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50), 각 동력에 따른 조리 조절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30) 및 상기 구동모터(350)로 생성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동력부(300) 하측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상기 전장부(3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350)와 연결된 회전날(110)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함으로서, 용기부(100)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330)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히터(160)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와 제 1구동축(410) 사이에 배치된 모터속도 감지센서(미도시)는 구동모터(350)가 회전하는 속도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 여부를 전장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된 속도 등을 전달받은 전장부(330)는 과속 또는 감속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날(110)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 수준의 조리가 완성될 수 있다.
환풍부(310)는 구동모터(35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50)에서 동력이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풍부(310)는 1차적으로 구동모터(350)에서 발생한 열기를 상승시키는 제 1배출부(311)와 제 1배출부(311)로 상승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2배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배출부(311) 및 제 2배출부(312)는 각각 열기가 외부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 1배출부(311)는 구동모터(350) 상측에 배치되며, 구동모터(350)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한 열기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배출부(311)를 통과한 열기는 제 1배출부(311) 및 제 2배출부(312)와 연결된 통로를 지나가게 되며, 상기 통로를 통과하면서 열기가 식혀지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통로 외면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 형상의 쿨링부(미도시)를 배치하여 열기의 온도 저하를 도울 수 있다. 통로를 통과한 열기는 외부와 맞닿아 설계된 제 2배출부(3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제 2배출부(312)는 동력부(300) 후면에 배치하여 조리자가 조리시에 열기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동력부(300) 전면 또는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상태 및 조리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20)는 용기부(100) 내부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가열시간의 조절, 불림시간의 조절, 분쇄시간의 조절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와 연결되어 각 음식물을 동력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각각 시간의 조절은 실시간으로 버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약기능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튼부 상에 예약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음식물의 가열시간의 조절, 불림시간의 조절, 분쇄시간의 조절 등을 예약 방식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울 수 있다.
또한, 동력부(300)의 표시부(320)는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거나 간단한 이미지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각 음식물 조리를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도움을 주는 구성으로, 상기 도 2에 나타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스테이지부(200) 및 동력부(300)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동력부(300)에서 생성된 동력을 용기부(100) 또는 스테이지부(2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400)는 스테이지부(200) 내부 하측과 동력부(300) 내부 하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로 다른 평행하거나 수직한 구동축(410,420)을 포함하며 배치되고, 구동축(410,420)을 통하여 상기 동력부(300)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스테이지부(200) 또는 용기부(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구동축(410,420)은 동력부(300)의 구동모터(350)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50)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410) 및 제 1구동축(410)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410)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구동축(410) 및 제 2구동축(420)은 서로 동일 선상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동력을 주고 받는 힘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각 제 1구동축(410)은 동력부(300)에 배치하고 제 2구동축(420)은 스테이지부(200)에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축(410,420)은 동력부(300)의 구동모터(350)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50)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410) 및 제 1구동축(410)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410)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구동축(410) 및 제 2구동축(420)은 서로 동일 선상에서 연결되어 배치되어, 동력을 주고 받는 힘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각 제 1구동축(410)은 동력부(300)에 배치하고 제 2구동축(420)은 스테이지부(200)에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 따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4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50)의 구동축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 1풀리(430)와 스테이지부(200)의 연결부재(22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 2풀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풀리(430) 및 제 2풀리(440)와 연결되며, 상기 제 1풀리(430)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풀리(440)로 전달하는 구동밸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풀리(430) 및 제 2풀리(440)는 구동밸트(450)와 연결되어 구동밸트(450)가 회전하는 동시에 양 끝단을 지지하면서 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풀리(430) 및 제 2풀리(440)는 일정 형상의 홈이 패인 바퀴 형상으로 구성되어 흔들림없이 구동모터(350)에서 발생한 동력을 회전부재(1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400)는 동력부(300) 하부에 배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50)의 일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 1기어부재(470)와 스테이지부(200)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부재(220)와 연결된 제 2기어부재(4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기어부재(470) 및 제 2기어부재(48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기어부재(470)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기어부재(480)로 전달하는 제 3기어부재(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부재(470), 제 2기어부재(480) 및 제 3기어부재(490)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동력을 전달하며, 위치와 배치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기어부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기어부재로 인하여 더 정확한 동력을 용기부(100)의 회전날(1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도 4에 제시된 것처럼, 구동밸트(450)에 비하여 전체 음식물 가공기(1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주방 등에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구동축(410)과 제 2구동축(420)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동력전달부(400)는 동력부(300) 하부에 배치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50)의 일단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 1풀리(430)와 스테이지부(200) 하부 또는 동력부(300)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부재(220)와 연결된 제 2풀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풀리(430) 및 제 2풀리(440)는 서로 수직으로 맞닿아 배치되며, 제 1풀리(430)에서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1구동축(410)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제 2풀리(440)를 통해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된 제 2구동축(420)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풀리(430)와 제 2풀리(440)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기존 전달된 동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위치와 배치에 따라 더 많은 수의 풀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 1풀리(430)와 제 2풀리(440)의 배치로 인하여 구동모터(350)는 구동모터(350)의 길이방향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동력부(30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풀리(430)와 제 2풀리(440)가 직접 맞닿아 회전을 함으로써 동력 전달에 필요한 구성을 간소화 시켜 더 정확한 동력을 용기부(100)의 회전날(11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제시된 것처럼, 구동밸트(450)에 비하여 전체 음식물 가공기(1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주방 등에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식물 가공기 : 10 용기부 : 100
스테이지부 : 200 동력부 : 300
동력전달부 : 400 회전날 : 110
덮개부 : 120 분쇄돌기 : 130
회전부재 : 140 신호전달부 : 150
히터 : 160 상측 주입구 : 170
마개 : 171 온도퓨즈 : 180
제 1온도퓨즈 : 180a 제 2온도퓨즈 : 180b
온도 감지부 : 191 거품 감지부 : 192
지지부 : 210 연결부재 : 220
홈 : 230 단턱부재 : 240
신호공급부 : 250 배수구 : 260
환풍부 : 310
제 1배출부 : 311 제 2배출부 : 312
표시부 : 320 전장부 : 330
디스플레이 : 340 구동모터 : 350
제 1구동축 : 410 제 2구동축 : 420
제 1풀리 : 430 제 2풀리 : 440
구동밸트 : 450 제 1기어부재 : 470
제 2기어부재 : 480 제 3기어부재 : 490

Claims (20)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용기부 외측에 설치되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상기 스테이지부 및 상기 동력부 내부 하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로 다른 구동축을 포함하여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동력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스테이지부 또는 용기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가 안착되는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기 중심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가장자리면은 외부와 통하는 관로와 연결된 배수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조리시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 가능하고, 조리 전 후에 상기 스테이지부와 분리되어 외부 바닥면에 입설 가능하도록 상기 스테이지부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모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 및
    상기 제 1구동축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동축 및 제 2구동축은 동일 선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동력을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의 구동모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에서 생성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 및
    상기 제 1구동축과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구동축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제 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부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외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가 상기 스테이지부과 결합시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부에 공급된 동력이 상기 용기부의 회전날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음식물의 분쇄를 촉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의 하단이 상기 스테이지부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가 구동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홈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스테이지부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공급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풀리;
    상기 제 2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도록 배치된 제 2풀리; 및
    상기 제 1풀리 및 제 2풀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 1풀리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풀리로 전달하는 구동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기어부재;
    상기 스테이지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구동축과 연결된 제 2기어부재 및
    상기 제 1기어부재 및 제 2기어부재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기어부재로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제 2기어부재로 전달하는 제 3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제 1구동축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 1풀리;
    상기 스테이지부 하부에서 상기 제 2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 1풀리와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상기 제 2구동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구동모터에서 동력을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부는
    상기 구동모터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에서 발생된 열기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제 1배출부 및
    상기 동력부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배출부를 통과한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 2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동력부 전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제어하는 전장부 또는 조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배치되고,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 감지부 및
    상기 용기부 또는 스테이지부 내측에 배치되고, 조리시 상기 용기부 또는 스테이지부 내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또는 스테이지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 또는 히터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에 도달하였을때, 상기 히터의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시키는 제 1온도퓨즈 및
    상기 용기부 또는 스테이지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부 또는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 1온도퓨즈에서 설정된 소정의 온도 범위의 한계점을 초과할 때, 상기 히터의 전원을 영구적으로 차단시켜 과열을 방지하는 제 2온도퓨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 내외로 탈착가능하며, 음식물의 조리시 공간별로 상기 음식물을 분리할수 있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0.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스테이지부;
    상기 용기부 외측에 설치되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부; 및
    상기 스테이지부 및 상기 동력부 내부 하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로 다른 구동축을 포함하여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동력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상기 스테이지부 또는 용기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부는,
    상기 용기부가 안착되는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기 중심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가장자리면은 외부와 통하는 관로가 연결된 배수구가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이나 상기 동력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상기 용기부로 전달하는 신호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 하부에는 상기 신호공급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신호전달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KR1020150022097A 2015-02-13 2015-02-13 음식물 가공기 KR10158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97A KR101583799B1 (ko) 2015-02-13 2015-02-13 음식물 가공기
CN201811294583.8A CN109222688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610084913.5A CN105877535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620119672.9U CN205612341U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MYPI2017700492A MY166956A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EP16749508.4A EP3257412B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PCT/KR2016/001468 WO2016129968A1 (ko) 2015-02-13 2016-02-15 식품 가공 조리기기
US15/503,696 US20170273508A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apparatus
JP2017513021A JP2018504940A (ja) 2015-02-13 2016-02-15 食品加工調理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97A KR101583799B1 (ko) 2015-02-13 2015-02-13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799B1 true KR101583799B1 (ko) 2016-01-21

Family

ID=5530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97A KR101583799B1 (ko) 2015-02-13 2015-02-13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44B1 (ko) * 2016-02-01 2018-02-21 김홍배 식품 가공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56A (ko) * 2001-04-24 2002-11-01 정인근 믹서기
KR200338580Y1 (ko)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KR20040056102A (ko) * 2002-12-23 2004-06-30 신준범 가열믹싱장치
KR20110134241A (ko) * 2010-06-08 2011-12-14 김채림 조리기능을 갖는 무선전기주전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56A (ko) * 2001-04-24 2002-11-01 정인근 믹서기
KR20040056102A (ko) * 2002-12-23 2004-06-30 신준범 가열믹싱장치
KR200338580Y1 (ko)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KR20110134241A (ko) * 2010-06-08 2011-12-14 김채림 조리기능을 갖는 무선전기주전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44B1 (ko) * 2016-02-01 2018-02-21 김홍배 식품 가공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EP2777450B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KR890003123B1 (ko) 자동 제빵기
CN112890578A (zh) 烹饪系统
US10765249B2 (en) Baby food maker
WO2006070980A1 (en) Food cooker with crushing and heating functions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CN210185391U (zh) 一种烹调器具
CN109276159A (zh) 一种烹调器具
CN204839220U (zh) 无油空气炸锅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CN214284458U (zh)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N219397009U (zh) 烘烤装置和料理机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CN113040625B (zh) 料理机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CN214231006U (zh) 料理机
CN214231052U (zh) 料理机
CN214231013U (zh) 料理机的主机及料理机
CN102415817B (zh) 冷热两用果汁机
KR1022767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2351746B1 (ko) 일체형 휴대용 조리기기
CN214231048U (zh) 料理机
KR101523557B1 (ko) 볶음 겸용 요리기
CN219895492U (zh) 料理杯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