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81570B1 -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 Google Patents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570B1
KR101581570B1 KR1020140092691A KR20140092691A KR101581570B1 KR 101581570 B1 KR101581570 B1 KR 101581570B1 KR 1020140092691 A KR1020140092691 A KR 1020140092691A KR 20140092691 A KR20140092691 A KR 20140092691A KR 101581570 B1 KR101581570 B1 KR 10158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b memory
unit
storage unit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경용
이임건
이찬형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5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57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알림부; 이동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페어링 유지 여부를 통해 분실상태임을 판단하고, 분실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보안, 복원 또는 분실예방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USB 메모리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분실되더라도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여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고, 나아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or for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that the user is in a lost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judging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through whether or not the pairing is maintained, and performing security, restoration, or loss prevention function of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USB memory, to prevent data leakage even if it is lost, to prevent secondary damage, and further, data can be restored.

Description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을 통해 USB 메모리 및 스마트폰 간 일정한 위치정보 및 보안정보를 송수신 하여 USB 메모리의 분실을 방지하고, 상기 USB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memory having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loss and preventing loss of a USB memor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ertain location information and security information between a USB memory and a smart phone through a Bluetooth connection with a smart phone, And a USB memory having a data security function.

USB(Universal Serial Bus)는 복잡한 PC 및 주변기기 설치 작업을 플러그 하나 꽂는 수준으로 단순화시킨 PC주변기기 포트 규격을 말한다. USB 메모리는 상기 USB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저장장치를 말하는데, USB 메모리는 초기의 높은 가격과 용량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금은 누구나 손쉽게 사용하고 있다.USB (Universal Serial Bus) refers to a PC peripheral port specification that simplifies the task of installing complex PCs and peripherals into a single plug-in. USB memory refers to the storag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USB. The USB memory has solved the problem of the initial high price and capacity, and is now easily used by anyone.

상기 USB 메모리는 가격적인 측면에서 기타 다른 하드웨어 기기들에 비하여 저렴하며, 메모리 사용에 있어서 Password 기능을 추가해서 개인의 자료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대중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USB 메모리에 보호 받을 수 있는 개인 자료의 저장은 매우 일반화 되어 있고,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는 인터넷 금융 거래시 매우 높은 활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즉, USB 메모리는 인터넷 금융 거래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인인증서"의 보관 및 보관의 안정성과 이동의 편이성은 기타 다른 메모리가 가지지 못하는 강점으로서, 공인인증서뿐만 아니라, 보안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저장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USB 메모리의 장점은 CD를 이용한 자료 저장시 휴대가 불편한 디스크의 크기 및 기록시 별도의 Writer 기기와 별도의 프로그램의 요구에 비교하여 더욱 부각되고 있다.The USB memory is more inexpensive than other hardware devices in terms of cost, and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personal data by adding a password function in memory use. In particular, the storage of personal data that can be protected on a USB memory is very common, and it is very useful in internet financial transactions that are part of daily life. In other words, USB memory is a strength that storage and archiving of "authorized certificate" which is essential in internet financial transactions and stability of movement and ease of movement is a strength that other memories do not have, Can also be used effectively. The advantages of such a USB memory are more remarkable in comparison with the size of a disc that is inconvenient to carry when storing data using a CD and the requirement of a separate program and a separate program for recording.

특히 최근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웹하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보안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USB 메모리가 고유의 시장을 유지하면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Especially, despite the recent development of webhard, which has convenience and price competitiveness, USB memory is widely used while maintaining its own market to store data or programs requiring security.

그러나, USB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은 증가하고 상기 USB 메모리 자체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분실에 의한 데이터 손실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as the storage capac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USB memory increases and the size of the USB memory itself decreases, data loss due to loss may occur.

종래에는 USB 메모리가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았기 때문에 USB 메모리 장치 자체에 대한 분실이 손실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USB 메모리의 가격이 낮아지고 쉽게 구할 수 있게 된 분위기를 고려할 때 분실에 따른 USB 메모리 자체의 손실 보다는 상기 USB 메모리 안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이 더 큰 손실로 인식될 수 있다. 특히, 편리성이 강화되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웹하드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웹하드가 아닌 USB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USB에 저장한 데이터에 대한 보안성이 중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 자체의 분실 또는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 내지 유출은 개인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고, USB에 따로 저장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할 때 데이터 유출에 기한 2차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past, USB memory was relatively expensive, so the loss of the USB memory device itself was perceived as a los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price of USB memory has recently become low and it can be easily obtained, the loss of USB memory itself The loss of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can be perceived as a greater loss. Particularly, although various web hard services that can be used freely and have enhanced convenience have been widely used, the use of a USB memory other than the web hard means that security for data stored in the USB is important . Therefore, the loss of the USB memory itself or the loss or the leakage of th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may lead to a personal lo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damage may occur due to data leakage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ata stored separately in the USB have.

따라서, USB 메모리 자체에 대한 분실 방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분실을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가질 수 있는 USB 메모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최근 거래실정 및 USB 메모리의 활용태양을 고려할 때 USB 메모리가 분실된 경우 손실의 대상은 USB 메모리 자체라기 보다는 저장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USB 메모리 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USB memory device capable of having a security function for preventing the loss of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not preventing the USB memory itself from being los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cent transactions and utilization of USB memory, when the USB memory is lost, the loss target is stored data rather than the USB memory itself, so a USB memory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restoring the file stored in the USB memory is required Do.

선행기술 1(KR 20-2010-0012581A)은 USB 메모리 분실 방지를 위한 분실방치 장치로서 줄을 구성으로 포함한 USB가 소켓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USB 메모리 자체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그 방지를 위한 구성 역시 줄에 의존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분실 방지 효과가 높다고 볼 수 없으며, USB 메모리가 분실되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 및 상기 데이터의 복구를 위한 목적 또는 과제해결원리가 제시된 바 없어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Prior Art 1 (KR 20-2010-0012581A) i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USB memory, so as to prevent the loss of the USB by connecting the USB with the socket. However, this 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USB memory itself, and the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USB memory itself is a simple configuration that depends on the line, so that it is not considered that the loss prevention effect is high. When the USB memory is los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not be solved.

선행기술 2(KR 20-0426002A)는 휴대용 MP3 플레이어 등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소지품 즉, 보호대상 물품에 대한 도난이 발생한 경우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USB 메모리 도난의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으나, 도난이 아닌 소유자에 의한 분실의 경우 적용되기 어렵고, 도난의 경우에도 분실을 방지하는 과제해결 원리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가 따른다는 단점을 가진다.The prior art 2 (KR 20-0426002A)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when a portable MP3 player or the like has a relatively small size, that is, theft of the object to be protected, and can be utilized in case of USB memory theft, ,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case of loss by the owner, and in case of thef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inciple of solution of the problem to prevent loss.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a certain limit in terms of security of stored data.

KR 20-2010-0012581AKR 20-2010-0012581A KR 20-0426002AKR 20-0426002A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폰과 블루투스 연동을 통한 분실방지 및 분실된 USB 메모리를 회수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 및 데이터를 회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of data through interworking of smart phone and Bluetooth and recovering a lost USB memory and further recovering security and data of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알림부; 이동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페어링 유지 여부를 통해 분실상태임을 판단하고, 분실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보안, 복원 또는 분실예방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 USB memory having a data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for an interfac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connector;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that the user is in a lost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judging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through whether or not the pairing is maintained, and performing security, restoration, or loss prevention function of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 ≪ / RTI >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페어링을 위한 상기 이동단말기 정보를 리셋하기 위한 리셋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further comprise a reset button for resetting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for the pairing.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복원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웹서버로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transmit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to the predetermined web server for the data restoration function.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복원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기에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여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encrypt and store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in the external terminal for the data restoration function.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분실예방 기능을 위해, 상기 알림부는 LED 점등, 음향 출력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분실정보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the notification unit may turn on the LED, sound output, or transmit lo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for the loss prevention function.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block the access to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or the interface of the external terminal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상기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may delete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는 USB 메모리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분실되더라도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여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고, 나아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USB memory having the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oss of the USB memory, prevent data leakage even if it is lost, prevent secondary damage, and recover data.

좀더 상세히,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을 통하여 상기 USB 메모리와 상기 스마트폰이 미리정해 놓은 일정한 거리범위에서 이탈되는 경우 스마트폰 소지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전원이 인가된 상기 USB 메모리의 최종 위치를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줌으로서 분실한 USB 메모리를 다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In more detail, when the USB memory and the smartphone are disconnected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rough the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owner is warned to prevent the loss, and the final position of the USB memory To the smartphone so that the lost USB memory can be recovered again.

나아가 상기 USB 메모리의 보안시스템에 따라 타인이 상기 USB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도록 하며, 상기 USB 메모리에 포함된 중요 데이터를 미리 정해놓은 저장장치에 암호화된 형태로 복사함으로서 데이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urity system of the USB memory, it is not possible for others to extract data from the USB memory, and important data included in the USB memory is copied in an encrypted form to a predetermined storage device to prevent data loss .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보안, 복원 및 분실 방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초기 흐름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복원을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분실 상태를 알리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USB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initial flowchart showing a data security, restoration, and loss prevention process of a USB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lowchart for restoring data in the USB mem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shows a flowchart for data protection of the USB mem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flow chart for notifying the lost status of the USB mem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2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mobile terminal 2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USB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에는 상이 USB 메모리의 무선통신부와 서로 연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unless the configuration is applicable only to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mobi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USB memory.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외부단말기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external terminal described in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system,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USB 메모리와 연결을 위한 USB 포트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terminal includes a USB port for connection with a USB memory, an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d the like.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100)는 제어부(110), 커넥터(120), 저장부, 무선 통신부(140), 리셋 버튼(160),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USB memory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10, a connector 120, a storage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 reset button 160, and a display unit.

소형화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USB 메모리(100)는 인터넷 금융 거래, 개인 정보와 같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기 적합하다. The USB memory 100, which is miniaturized and can be easily carried by a user, is suitable for storing and using data requiring security such as internet financial transactions and personal information.

그런데, USB 메모리(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곳은 주로 외부 컴퓨터이며, 외부 컴퓨터와 USB 메모리(100) 접속시 사용자에 신체에서 떨어지는 점, USB 메모리(100)가 점차 소형화되는 점에서 USB 메모리(100) 분실 위험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The USB memory 100 is mainly used as an external computer. When the USB memory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mputer, the USB memory 100 is gradually reduced in size. (100) are becoming increasingly dangerous.

또한, USB 메모리(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담긴 정보이거나 금융에 관한 정보 등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자료이기 때문에, 데이터 유출이 2차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data stored in the USB memory 100 is data containing the privacy of the user, information about finance or the like requiring security, data leakage may cause secondary damage.

따라서, USB 메모리(100)는 분실 방지 기능이 요구되고, 부득이하게 분실되었을 때 데이터를 보호할 보안 기능이 요구되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복원 기능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 USB memory 100 requires a security function to protect data when it is inevitably lost, and a restoration function that can restore data is required.

실시예는 USB 분실 위험이 있을 때 USB 메모리(100) 자체 표시 또는 사용자 스마트 폰을 통한 알림을 통해 USB 메모리(10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고, USB 분실시 데이터 잠금, 커넥된 컴퓨터 제어 또는 데이터 삭제 등을 통해 데이터를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스마트 폰에 전송, 웹 서버에 전송 또는 커넥된 컴퓨터에 저장 등을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can prevent the loss of the USB memory 100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B memory 100 itself or the notification through the user smartphone when there is a risk of USB loss, And data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eatures that enable users to restore data, such as by transferring data to a smartphone, transferring it to a Web server, or storing it on a connected computer. The USB memory 100 is provided.

도 1을 보면, 커넥터(120)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단말기(1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포트에 해당한다. 1, the connector 120 corresponds to a port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10 such as a computer.

상기 커넥터(120)는 USB 메모리(100)의 바디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외장 하드의 경우,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메모리(100)의 바디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120)는 외부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저장부의 데이터를 외부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nector 1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USB memory 1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USB memory 100 via a cable in the case of an external hard disk. The connector 120 allow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to be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to the external terminal 10.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는 외부단말기(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USB 표시부, 제어부(110) 또는 무선 통신부(140)에 전원을 직접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각 구성에 전원을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USB 메모리(100)에는 별도의 전원부가 구성되어,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저장하고 각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connector 120 can directly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to the USB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11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 Meanwhile, the USB memory 100 may have a separate power source, and may store power through the power source and transmit the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는 상황에 따라서 외부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20)의 고정이란, 타 사용자가 강제로 외부단말기(10)에서 USB 메모리(100)를 분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120)의 내측으로 걸림부가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외부단말기(10) USB 포트 내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넥터(120)가 외부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20 may be fix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according to circumstances. 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connector 120 means that the USB memory 100 can not be forcibly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by another user. For example, the connector 120 may be fix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by inserting the latching portion inside the connector 120 and latching the latching portion inside the USB port of the external terminal 10.

다만, 상기 걸림부가 한도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 상기 커넥터(120)는 분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커넥터(120)의 강제 분리를 인식하여, 저장부의 데이터를 포멧할 수 있다. However, the connector 120 may be separated when the latching portion receives a force exceeding the limi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the forced separation of the connector 120 and can format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이러한 상기 커넥터(120) 고정은 외부단말기(10) 또는 사용자 등록된 이동 단말기(2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였을 때 해제될 수 있다. This fixing of the connector 120 can be released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10 or the user registered mobile terminal 20. [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30)는 외부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단말기(1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nnector 12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data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terminal 10 may rea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그리고, 상기 알림부(150)는 분실상황임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부(150)에는 LED가 포함되어, 상기 LED의 점등시켜 주변에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상기 LED는 점등 색깔을 통해, USB 메모리(100)가 외부단말기(10)와 커넥되었는지 여부를 알릴 수도 있다. Then, the notification unit 150 can inform the outside that it is a lost status.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n LED to indicate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by lighting the LED. Alternatively, the LED may indicate whether the USB memory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through the lighting color.

그리고, 상기 알림부(150)에는 음향 출력부가 포함되어, 사용자에 USB 메모리(100)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B memory 100 is lost.

또는, 상기 알림부(150)는 분실상황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외부단말기(10)의 모니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부(150)는 기 저장된 분실대비 정보를 외부단말기(10)의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분실대비 정보란 사용자가 저장부에 기 저장해 놓은 휴대폰 번호나 신상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notification unit 150 senses a loss situation, the notification unit 150 can notify the user of the lost status through the monitor or the speaker of the external terminal 10 through the connector 120.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unit 150 can display the previously stored loss contrast information on the monitor of the external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loss preparation information may be a cell phone numb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stor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이러한 다양한 알림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상황을 알려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Through these various notification methods, the risk of loss can be reduced by informing the user of the loss situation.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USB 메모리(100)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를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teroperate the USB memory 100 and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us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che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전원이 공급될 때,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이동단말기(20)와 페어링 되었을 때에만,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pair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 of a predetermined user when power is suppli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may allow data of the storage unit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ly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s pair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controller 110. [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통신부(140)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와의 페어링됨을 확인하였을 때,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ntroller 110 confirms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s paired with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the control unit 110 can release the data security of the storage unit.

이후,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상기 이동단말기(20)와 지속적으로 페어링 여부를 확인하여 분실 여부를 제어부(110)에 알릴 수 있다. T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mobile terminal 20 is continuously pair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 and notify the controller 110 of the loss.

만약, 상기 무선 통신부(140)가 이동단말기(20)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호 연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USB 메모리(100)가 분실되었다고 판단하여, 분실상태에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is not interwork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USB memory 100 is lost, and proceeds to the lost state .

리셋 버튼(160)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를 해제할 수 있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셋 버튼(160)은 이동단말기(20)와의 페어링을 해제할 수 있는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The reset button 160 may correspond to a button for releasing the mobile terminal 20 of a predetermined user. Alternatively, the reset button 160 may correspond to a button for canceling the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0. [

상기 제어부(110)는 전술한 USB 메모리(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each configuration of the USB memory 100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110)는 커넥터(120), 무선 통신부(140)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여,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동작하여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 보안, 복원 및 분실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can recognize the situation through the connector 1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nd operat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 to exert the data security, restoration and loss prevention function of the USB memory 100.

도 2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USB 메모리(100) 데이터 보안, 복원 및 분실 방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 to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data security, restoration, and loss prevention processes of the USB memory 100 of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의 USB 메모리(100) 데이터 보안, 복원 및 분실 방지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초기 흐름도이다.2 is an initial flowchart showing a data security, restoration, and loss prevention process of the USB memory 100 of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사용자가 USB 메모리(100)의 커넥터(120)를 외부단말기(10)에 연결하면,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10)가 동작할 수 있다. When the user connects the connector 120 of the USB memory 100 to the external terminal 10,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120 so that the controller 110 can operate.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와 페어링을 시도한다. (S101) 상기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의 잠금을 해제하여 저장부와 외부단말기(10)의 데이터 송수신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는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이동단말기(20)가 없을 때도 USB 메모리(100)를 이용하기 위하여, 외부단말기(10)에 패스워드 입력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여 저장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attempts to pair with the mobile terminal 20 of the predetermined us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 (S101). When the pairing is performed, the controller 110 can release the lock of the storage unit and allow the storage unit and the external terminal 1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f the pairing is not performed, the control unit 110 may maintain the lock in the storage unit. However, in order to use the USB memory 100 even when the user does not have the mobile terminal 20, the user can authenticate the external terminal 10 by inputting a password or the like and unlock the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와 접속을 시도하여, 페어링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S103)The control unit 110 may continuously attempt to access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to confirm whether the pairing is maintained. (S103)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이동단말기(20)와 페어링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00, S300, S400)That is, when the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20 is not main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S200, S300, S400)

상기 제어부(110)는 페어링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상기 저장부가 외부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105)When the pairing is maintained, the controller 110 maintains the unlock state of the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un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through the connector 120. [ (S105)

상기 제어부(110)는 페어링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분실을 알리고,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를 타 사용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f the pairing is not maintained, the controller 110 notifies the user of the loss, stores the data so that the data can be recovered, and protects the data from other users.

이하에서는 USB 메모리(100)가 분실되었을 때, 상기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복원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a user to restore data in the USB memory 100 when the USB memory 100 is lost will be described.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 복원을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FIG. 3 shows a flowchart for restoring data in the USB memor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분실상태로 판단하였을 때,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201)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는 상기 외부단말기(10)가 연결된 인터넷 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20)에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가 일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새롭게 추가된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의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이동단말기(20)에 동기화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may transmit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whe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data is lost. To the mobile terminal 20 of the user. If some data of the USB memory 100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 only newly added data can be stored. That is, the controller 110 may synchronize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with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f the external terminal 10.

상기 이동단말기(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웹서버로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나 메일 서버로 저장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203)When the data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to the predetermined web server. For example, data in the storage unit can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cloud server or a mail server. (S203)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하여 클라우드 서버나 메일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The user can authenticate the user and connect to the cloud server or the mail server to restore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고 상기 웹서버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암호를 걸어 외부단말기(1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S205)Meanwhile, when data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and data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the controller 110 can store data in the external terminal 10 by encrypting the data. (S205)

상기 이동단말기(20)로 데이터가 전송, 웹서버로 데이터 전송 및 컴퓨터에 암호화된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의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The order of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mobile terminal 20,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web server, and the method of storing the encrypted data in the computer may be changed.

상기 외부단말기(1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을 수 있다. (S207)When the data can not be stor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 the controller 110 may maintain the lock state of the storage unit and may not delete the data. (S207)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단말기(20)로 데이터가 전송, 웹서버로 데이터 전송 또는 컴퓨터에 암호화 되어 데이터가 저장됨을 확인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다. (S209)The controller 110 may delete the data when it is confirmed t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data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or data is encrypted by being encrypted in the computer. (S209)

이를 통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는 USB 메모리(100)를 분실하여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can recover data even if the USB memory 100 is lost.

이하에서는 USB 메모리(100)가 분실되었을 때, 상기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S300)Hereinafter, a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the USB memory 100 when the USB memory 100 is lost will be described. (S300)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100)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FIG. 4 shows a flowchart for data protection of the USB memor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인지하였을 때,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 송수신을 잠글 수 있다. (S301)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커넥터(120)와 단말기의 연결을 끊어, 상기 저장부 데이터에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저장부와 커넥터(120)의 연결을 끊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the control unit 110 may lock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storage unit. (S30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connect access to the storage unit data by disconnecting the connector 120 from the terminal.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 may disconnect data from the storage unit by disconnecting the storage unit from the connector 120. [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막을 수 있다. (S303)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분실상태임을 인지하였을 때, 상기 외부단말기(10)의 모니터에 기 설정된 분실대비 정보를 띄우고 인터페이스에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의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을 차단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external terminal 10 to prevent access to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S303)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that the terminal is in a lost state,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the preset loss contrast information on the monitor of the external terminal 10 and maintain a locked state that does not respond to the input to the interfac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0 may block access to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interrupting the input of a mouse, a keyboard, etc. of the external terminal 10.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커넥터(120)의 걸림부를 동작시켜 상기 USB 메모리(100)를 상기 외부단말기(10)의 USB 포트에 고정할 수 있다. (S305) 타 사용자가 상기 USB 메모리(100)를 강제로 제거하려할 때, 상기 걸림부는 USB 포트에 걸릴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10 may operate the latching portion of the connector 120 to fix the USB memory 100 to the USB port of the external terminal 10. (S305) When another user intends to forcibly remove the USB memory 100, the latching portion may be caught in the USB port.

상기 외부단말기(10)의 USB 포트 손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USB 메모리(100)에 일정 힘 이상 가해졌을 때, 상기 걸림부의 걸림은 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USB 메모리(100)가 타 사용자에게 도난되었다고 인지하여,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포맷할 수 있다. (S307)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USB port of the external terminal 10, when the USB memory 100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latch of the latch can be releas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that the USB memory 100 has been stolen by another user, and can format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S307)

이하에서는 USB 메모리(100)가 분실되었을 때, 분실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S400)Hereinafter, a method of informing the user of the lost status when the USB memory 100 is lost will be described. (S400)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USB 메모리(100)의 분실 상태를 알리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lost state of the USB memor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먼저,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인지하였을 때, 상기 USB 메모리(100) 자체적으로 외부에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알림부(150)에 포함되는 LED를 점등하여 외부에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S401)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알림부(150)에 포함되는 음향 출력부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여 외부에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S403)First, when the controller 110 recognizes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the controller 110 may notify the USB memory 100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turn on the LED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150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LED is in a lost state. (S401).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0 may output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unit 150 to inform the outside that the sound is lost. (S403)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를 통해 외부에 상기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S405)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의 모니터를 통해 저장부에 저장된 분실대비 정보를 출력하여 USB 메모리(100) 분실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이때, 분실정보에는 사용자가 저장부에 기 저장해 놓은 이동단말기(20) 번호, 주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can notify the USB memory 100 that the USB memory 100 is lost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10. (S405).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0 may output the loss contras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monitor of the external terminal 10 to notify the lost status of the USB memory 10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lost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and address of the mobile terminal 20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the user.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의 스피커를 통해서도 상기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외부단말기(10)의 인터넷 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단말기(20)에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USB 메모리(100)가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단말기(10)의 정보를 함께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단말기(10)의 명칭이나 상기 외부단말기(10)가 연결된 인터넷 포트정보를 알려, 사용자에게 분실위치를 알릴 수 있다. (S407)The controller 110 may notify the USB memory 100 that the USB memory 100 is lost through the speaker of the external terminal 1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of the external terminal 10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B memory 100 is in a lost 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may inform th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10 together. For example, the name of the external terminal 10 or the Internet port information to which the external terminal 10 is connected may be informed to inform the user of the lost location. (S407)

상기 이동단말기(20)는 상기 USB 메모리(100)의 무선 통신부(140)와 페어링이 해제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팝업창, 소리 또는 진동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When the pair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USB memory 100 is canceled, the mobile terminal 20 can notify the user of the lost state through a pop-up window, sound or vibr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USB 메모리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분실되더라도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여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고, 나아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loss of the USB memory, prevent data leakage even if it is lost, prevent secondary damage, and further restore data.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Alteration, substitution, addition, or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부단말기
20: 이동단말기
100: USB 메모리
110: 제어부
120: 컨넥터
130: 저장부
140: 무선 통신부
150: 알림부
160: 리셋 버튼
10: External terminal
20: mobile terminal
100: USB memory
110:
120: Connector
130:
140:
150:
160: Reset button

Claims (8)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하기 위한 커넥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분실상태임을 알리는 알림부;
사용자 이동단말기와 페어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의 페어링 유지 여부를 통해 분실상태임을 판단하고, 분실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 보안, 복원 또는 분실예방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복원 기능은,
분실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이동단말기로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로 데이터 전송 실패시, 기 설정된 웹서버로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로 데이터 전송 실패시, 상기 외부단말기에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A connector for interfac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that the user is in a lost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airing with a user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judging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pairing and executing the data security, restoration or loss prevention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in a lost state; Lt; / RTI >
The data restoration function includ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is in a lost state, transmits data of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mobile terminal,
When the data transmission fails to the mobile terminal,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web server,
And encrypting and storing data of the storage unit in the external terminal when data transmission to the web server fails,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단말기의 USB 포트에 걸려 소정의 힘 내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은,
상기 걸림부에 상기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져 상기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ncludes a latch portion which is caught by a USB port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remains fixed within a predetermined force,
The data security function comprises:
And deleting data of the storage unit when the predetermined force abnormality is applied to the latch unit to release the latch of the latch unit.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예방 기능은 상기 알림부를 통해 LED 점등, 음향 출력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에 분실정보 전송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ss prevention function may include LED lighting, sound output, or loss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the control unit blocks access to the data of the storage unit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or the interface of the external terminal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안 기능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인
분실 방지 및 데이터 보안 기능을 가진 USB 메모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 the data security function, the control unit deletes data of the storage unit
USB memory with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KR1020140092691A 2014-07-22 2014-07-22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91A KR101581570B1 (en) 2014-07-22 2014-07-22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91A KR101581570B1 (en) 2014-07-22 2014-07-22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570B1 true KR101581570B1 (en) 2015-12-31

Family

ID=5512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81570B1 (en) 2014-07-22 2014-07-22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5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76B1 (en) * 2016-11-02 2018-10-08 박광호 USB Storage Device Lock System Based BLE
KR20190134935A (en) * 2018-05-18 2019-12-05 변상구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stored file securely in cloud environment
KR20200022986A (en)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심플한 Security system of flash memory and security setting method of flash memory thereof
WO2023277970A1 (en) * 2021-06-30 2023-01-0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Lock or unlock indicator on a data storag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22A (en) * 2000-11-08 2001-08-29 정원교 A Interface system which produce user centification and security function in on-line cache check system using mobile phone
KR200382521Y1 (en) * 2005-02-02 2005-04-20 김종성 USB Drive Device With Locking System
KR200426002Y1 (en) 2006-06-28 2006-09-12 (주)커머스앤컨설팅인터내셔날 Burglar alarm
KR20100012581A (en)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anufatur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93019B1 (en) * 2010-06-24 2011-12-13 유빈스 주식회사 Fil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internal memory direct control
KR101237366B1 (en) * 2011-04-07 2013-02-28 이티에이치주식회사 Multifunctional Universal Serial B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22A (en) * 2000-11-08 2001-08-29 정원교 A Interface system which produce user centification and security function in on-line cache check system using mobile phone
KR200382521Y1 (en) * 2005-02-02 2005-04-20 김종성 USB Drive Device With Locking System
KR200426002Y1 (en) 2006-06-28 2006-09-12 (주)커머스앤컨설팅인터내셔날 Burglar alarm
KR20100012581A (en) 2008-07-29 2010-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anufatur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93019B1 (en) * 2010-06-24 2011-12-13 유빈스 주식회사 Fil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internal memory direct control
KR101237366B1 (en) * 2011-04-07 2013-02-28 이티에이치주식회사 Multifunctional Universal Serial B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176B1 (en) * 2016-11-02 2018-10-08 박광호 USB Storage Device Lock System Based BLE
KR20190134935A (en) * 2018-05-18 2019-12-05 변상구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stored file securely in cloud environment
KR102219305B1 (en) * 2018-05-18 2021-02-24 변상구 System for protecting personal stored file securely in cloud environment
KR20200022986A (en) 2018-08-24 2020-03-04 주식회사 심플한 Security system of flash memory and security setting method of flash memory thereof
WO2023277970A1 (en) * 2021-06-30 2023-01-0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Lock or unlock indicator on a data stora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4031B (en) Secure data storage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s implemented in a data security bridge
CN10873398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using device authentication
US9571280B2 (en) Application integrity protection via secure interaction and processing
CN104507080B (en) A kind of document handling method and terminal
KR101581570B1 (en) Loss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function for usb memory
CN111444528A (en) Data security protec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09136161A1 (en) Data encryption device
EP4004785B1 (en) Electronic device for updating firmware by using security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374859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protected content
CN105809037A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ly deploying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application
JP6476167B2 (en) Self-authentication device and self-authentication method
US20190311097A1 (en) Biometric security device
US10929520B2 (en) Secure read-only connection to peripheral device
KR102100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m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KR20200109111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cure integrated circuit
KR20190054763A (en) File leakage prevention based on security file system and commonly used file access interface
US9077756B1 (en) Limiting external device access to mobile computing devices according to device type and connection context
Kumar Juice jacking-the usb charger scam
WO2014098901A1 (en) Active component embedded in cable
CN111557003A (en) Data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torage device of security terminal
JP6076656B2 (en) Device pairing method and device
KR20180124535A (en) System for Authenticating Security Cable Using Serial Key
JP2012212294A (en) Storage medium management system, storage medium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N105224892A (en) A kind of hard disk data pro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40366148A1 (en) Storage Medium Securing Method and Media Access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