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80558B1 - 주서기의 착즙모듈 - Google Patents

주서기의 착즙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58B1
KR101580558B1 KR1020150059214A KR20150059214A KR101580558B1 KR 101580558 B1 KR101580558 B1 KR 101580558B1 KR 1020150059214 A KR1020150059214 A KR 1020150059214A KR 20150059214 A KR20150059214 A KR 20150059214A KR 101580558 B1 KR101580558 B1 KR 10158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drum
screw
grinding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식
Original Assignee
김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식 filed Critical 김화식
Priority to KR102015005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58B1/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를 압착하고, 분쇄하여 주스를 만들어내는 주서기의 착즙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복잡한 구조와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서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으며, 드럼 내벽면에 형성된 다등분된 분쇄칼날 및 스크루에 구비되는 절삭칼날을 통하여 재료를 절삭 및 분쇄하여 착즙성능을 보다 개선시킨 주서기의 착즙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서기의 착즙모듈{EXTRACTOR MODULE FOR JUICER}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를 압착하고, 분쇄하여 주스를 만들어내는 주서기의 착즙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복잡한 구조와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주서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으며, 드럼 내벽면에 형성된 다등분된 분쇄칼날 및 스크루에 구비되는 절삭칼날을 통하여 재료를 절삭 및 분쇄하여 착즙성능을 보다 개선시킨 주서기의 착즙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야채를 압착 및 분쇄하여 착즙함으로서 주스를 만들기 위해 주서기 또는 믹서기를 이용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착즙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02775호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주스기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가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분쇄용 드럼 배출공이 상기 즙배출구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 하면에 장착되는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주스기의 착즙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선된 종래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5-0019923호 『착즙율을 증가시키는 착즙 스크루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중공의 드럼 및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루 조립체를 포함하며, 드럼은 드럼의 내측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안내턱 및 스크루 조립체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며, 드럼 바닥을 기준으로 안내턱의 높이는 5.3mm를 초과하며, 안내홈의 깊이는 1.2mm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착즙 대상물이 착즙된 후에 착즙물이 착즙망 내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해 착즙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2-0016532호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루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착즙 스크루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단에서 제1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승하여 회전 형성되는 다수의 나선형상의 주절삭날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승하여 회전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보조절삭날을 포함하는 착즙스크루 및 주서기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55440호 『착즙주스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뚜껑과, 뚜껑 하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크루, 망드럼 및 회전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야채나 과일의 종류나 점도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착즙주스를 만들 수 있는 착즙주스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착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주스기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기존의 주스기 또는 착즙기는 일반적으로 스크루, 착즙망 드럼, 브러쉬뭉치, 배출구가 있는 외통 및 투입구가 달린 뚜껑의 5개 파트로 이루어져 서로 연동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는 세척을 위하여 사용자가 분해 및 조립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구성이 서로 연동되어 결합되기 위하여, 외통 내면 밑바닥의 기어와, 브러쉬 뭉치 하단의 기어를 연동 결합하고, 착즙망드럼 하단의 구멍과 외통 하단의 구멍을 일치시켜야 하며, 스크루 하단 외주면의 기어와 외통 밑바닥 기어를 일치되게 안착시켜야 함으로서 어느 한쪽이라도 제위치에 결합되지 않으면, 뚜껑이 채워지지 않거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또한 기존 주서기는 질긴 재료나, 단단한 재료가 투입되면, 절삭 분쇄되지 못하고 스크루와 착즙망 칼날 사이에 재료가 끼어 스크루가 멈춰버리며, 이 경우 스크루를 역회전 시켜 분해한 다음 재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서기의 착즙모듈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외통, 상기 외통에 구비되어 착즙망이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투입된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는 스크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기존 주서기의 복잡한 구조 자체를 대폭 개선하여, 일부 부품 파트를 없애어 수를 줄여 단순화시킴으로서 각각의 파트가 서로 연동되어 결합되지 않고 간섭되지 않는 단순구조로 설계한 주서기의 착즙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착즙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의 받이부를 착즙액배출구의 반대방향에서 착즙액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하여, 자연스럽게 착즙액이 낙하하여 착즙액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주서기의 착즙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스크루 상단 외면에는 절삭칼날이 더 구비되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분쇄칼날을 구비하여 질긴 재료가 칼날 전방에 쌓여 스크루가 멈춰버리는 불편함을 없애고,
이러한 분쇄칼날을 삼각형태의 상단분쇄칼날, 사선형의 중단분쇄칼날 및 직선형의 하단분쇄칼날로 구비하여 상기 스크루의 절삭칼날과 상단분쇄칼날이 연동하여 재료의 절단, 분쇄가 훨씬 잘되고 자연스럽게 옆으로 흘러서 다음 칼날 쪽으로 이송할 수 있어 칼날 전방에 재료가 쌓이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토출량이 많아지는 주서기의 착즙모듈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은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안착되며,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된 재료가 분쇄 및 착즙되어 착즙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 및 상기 투입된 재료가 분쇄 및 착즙되어 남은 피착즙물(찌꺼기)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는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구비되되, 외면에 복수개의 착즙망이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투입된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는 스크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착즙망 외부로 배출되는 착즙액이 떨어지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 일측에 구비되어 착즙액을 배출하는 착즙액배출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이부는 상기 착즙액배출구의 반대방향에서 착즙액배출구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외통, 착즙망이 형성된 드럼, 스크루로 구성하여 본체에 조립되는 파트별 부품수를 줄이고, 단순한 구조로 개편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즙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에서 착즙액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받이부를 구비하여 자연스럽게 착즙액이 드럼 내부에 있지 않고 착즙액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별도의 착즙액을 쓸어내리기 위한 브러쉬 등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루 외면의 절삭칼날과 드럼 내부에 복수개의 다단형상으로 이루어진 분쇄칼날을 구비하여, 투입되는 재료가 효과적으로 절단 및 분쇄될 수 있고, 질긴 재료가 칼날 전방에 쌓여서 스크루가 멈춰버리는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삭칼날과 상단분쇄칼날이 서로 연동되어 맞물리도록 구성하여 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재료의 절단 및 분쇄를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착즙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외통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스크루의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드럼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외통, 드럼, 뚜껑과 연장부재(본체)와의 결합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의 안전장치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외통(20), 상기 외통(20)에 내삽되는 드럼(30) 및 상기 드럼(30)내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는 스크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가 중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먼저 제1 본체(11)에는 구동모터(14)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11)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4)를 감싸는 제2 본체(12)가 결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에는 지지다리(121)(111)가 복수개로 각각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을 직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본체(11)와 제2 본체(12)가 중첩 결합되고, 내부에는 구동모터(14)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축(141)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구동축(141)이 스크루(4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4)의 회전과 함께 스크루(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본체(12)에는 상기 구동모터(14)의 작동을 위한 작동스위치(18)가 일측에 더 구비되어 있다.
구동모터(14)와 스크루(40)의 결합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본체(12)의 상부에는 연장부재(16)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장부재(16)에는 관통공(16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11) 및 제2 본체(12)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4)를 덮으며, 관통공(161)을 통하여 구동모터(14)의 구동축(141)이 돌출될 수 있어, 돌출된 구동축(141)이 스크루(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16)에는 후술하는 중심부(162)와, 제1 및 제2 배출부(21)(2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심부(162)와 안착홈, 제1 및 제2 배출부(21)(22)를 정위치 시킴으로서 상기 연장부재(16) 상부에 외통(20)을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연장부재(16)의 상부에는 외통(2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외통(20)의 일측에는 착즙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21)와 착즙되고 남은 피착즙물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20)은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통(20)의 상부에는 뚜껑(50)이 구비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 배출부(21)는 외통(20) 내부에서 착즙액을 받을 수 있는 받이부(211)와, 상기 받이부(211)에서 받은 착즙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착즙액배출구(213)로 이루어지고, 제2 배출부(22)는 착즙되고 남은 재료의 피착즙물이 배출되는 피착즙물배출구(221)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통(20)의 일측에는 안전장치부재(24)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안전장치부재(24)는 안전핀(247)과 상기 안전핀(247)에 결합되어 안전핀의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241) 및 상기 안전핀(247)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핀을 가압하는 가압부재(243) 및 안전핀의 하부 단부가 내삽되되 연장부재에 구비되는 안전핀삽입공(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통(20)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핀(247)은 스프링(241)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 받고 있으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게 되고, 상기 연장부재(16)에 구비되는 안전핀삽입공(245)의 내부에는 별도의 동작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센서의 작동유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동작에 대해서 요약하면, 외통(20)을 본체(연장부재(16))(10)위에 올려 놓으면 안전핀(247)이 본체(연장부재(16))(10)의 안전핀삽입공(245)에 놓여지고 외통(20)안에 드럼(30)이 결착되면, 안전핀(247)은 견실하게 안전핀삽입공(245)에 삽입되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드럼(30) 위에 뚜껑(50)이 채워지면 뚜껑(50) 테두리에 있는 누름턱(58)이 안전핀(247) 상부의 가압부재(243)를 눌러주게 되고, 또 이 안전핀(247)은 안전핀 삽입공(245)에 연결된 동작감지센서(마이크로 스위치)를 눌러서 작동 스위치(18)를 켰을때 구동모터(14)가 회전될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뚜껑(50)이 잘 안 닫히거나 외통(20)이 연장부재(16)에 정위치 결합되지 않을 경우 동작감시센서가 작동하지 않아 작동스위치(18)를 켜도 구동모터(14)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각각의 구성이 올바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외통(20) 내부에는 드럼(30)이 내삽되어 있는데, 상기 드럼(30)은 상기 외통(20)보다 직경이 작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착즙망(31)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배출부(21)는 착즙된 착즙액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착즙액을 받는 받이부(211)는 드럼(30)과 외통(20) 사이에 위치하여 착즙망(31)을 통하여 드럼(30) 외부로 배출된 착즙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배출부(22)는 드럼(30)내부와 연결되어, 착즙이 완료된 피착즙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망(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착즙액이 자연스럽게 제1 배출구의 착즙액배출구(213)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받이부(211)에 경사부(211A)를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받이부(211)에는 경사부(2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211A)는 상기 착즙액배출구(213)의 후단에서 착즙액배출구(213)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착즙액이 받이부(211)에 떨어지면,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하여 착즙액배출구(213)로 흘러 내려오게 되며 착즙액 배출 효과를 향상시키고, 착즙액이 내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드럼(30)에 구비되는 착즙망(3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경사부(211A)의 높낮이 단차는 20mm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30)이 외통(20) 내에서 본체(10) 상부에 정위치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드럼(30) 중심 하단부에는 4개의 결착고리가 구비되되, 3개는 크고 1개는 작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중심부(162)에는 결착고리가 내삽될 수 있도록 3개는 크고 1개는 작게 구성된 결착홈(163)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결착 고리가 제자리에 찾아 들어가지 않으면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서, 드럼(30)의 결착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기 위한 스크루(40)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스크루(40)는 외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그 내부 중심에는 고정홈(47)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축(141)이 결합되어 구동모터(14)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루(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모터(14)의 구동축(141) 단부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공회전방지부(14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40)의 고정홈(47)은 상기 공회전방지부(141A)와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구동축(141)과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47)과 스크루(40)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4)의 구동축(141) 사이에는 밀폐패킹(43)이 더 구비되어 있어 착즙액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러한 밀폐패킹(43)은 일반적으로 고무,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밀폐패킹(43)의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밀폐패킹(43)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스크루(40) 외주면에 구비되는 나사산(41)은 종래의 공지된 스크루(40)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성되게 되는데,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에서는 상기 나사산(41) 중 상부의 나사산(41)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절삭칼날(4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칼날(411)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스크루(40)의 상단에는 회전돌기(451)가 더 구비되어 뚜껑(50)에 구비되는 회전홈(55)과 결합하여 스크루(4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돌기(451)에는 외측으로 원형 돌출되는 손잡이부(4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손잡이부(45)가 구비되는 이유는 스크루(40)를 세척하기 위하여 드럼(30)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스크루(40)를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럼(30)의 상부에는 뚜껑(50)이 결합되어, 스크루(40), 드럼(30), 외통(20)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50)은 착즙을 위한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51)와, 상기 투입구(51)에 내삽되어 재료를 아래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푸쉬부재(53) 및 상기 뚜껑(50) 내측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결합돌기(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50)은 드럼(30), 외통(2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재료를 드럼(3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51)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50)의 중앙 내측에는 회전홈(55)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루(40)의 회전돌기(451)가 회전홈(55)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착즙모듈(M)에서 뚜껑(50)은 외통(20) 상부를 덮으나, 외통(2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드럼(30)에 결합되는 것이 특징인데, 상기 드럼(30)의 상단 테두리 외측에 상기 뚜껑(50)에 구비되는 결합돌기(57)가 밀착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간단히 본체(10)위에 외통(20)을 얹혀놓고, 본체(10) 중심부(162)에 착즙용 드럼(30)을 끼운 채 구 중심에 스크루(40)를 꽂은 다음 뚜껑(50)을 드럼(30)에 채우기만 함으로서, 각각의 파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히 외통(20), 드럼(30), 스크루(40), 뚜껑(50)의 결합방식을 요약하면
외통(20)을 본체(연장부재(16))(10)에 올려놓고 드럼(30)을 중심부(162)에 결착하면 드럼(30)의 바닥면(356)이 외통중심 바닥면(201)을 눌러주면서 채결되기 때문에 외통(20)이 드럼(30)과 함께 본체(연장부재(16))(10)에 견고하게 안착되고, 그 다음 스크루(40)를 꼽고 드럼(30) 위에 뚜껑(50)을 채운다.
다시 기존 주서기의 경우에는 재료의 질긴 정도에 따라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스크루(40) 내에 걸려서 스크루(40)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럴 때 마다 사용자는 스크루(40)를 역회전 하여 끼인 재료를 제거하거나, 주서기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등의 불편함이 야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40)의 외주면 상단에는 복수개의 절삭칼날(4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드럼(30)의 내측면에는 다단 형성되는 복수개의 분쇄칼날(33)을 더 구비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절삭칼날(411)과 분쇄칼날(3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분쇄칼날(33)은 드럼(30) 내부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구비되는 다수의 칼날들은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어, 스크루(40)가 재료를 이송하면서 칼날에 의해 절삭되며, 분쇄될 때 일부분은 칼날 전방(스크루(40)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넘어가지 못하고 쌓이게 됨으로서, 착즙망(31) 내부에 붙어서 절삭력이 떨어지고, 심하면 스크루(40)가 멈추게 되어 토출량이 감소하고 청소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30) 내벽면에는 다등분하여 다단 구비되는 분쇄칼날(33)이 구비되며, 상기 분쇄칼날(33)을 회전방향에 따라 사선형태로 경사지게 구비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쇄칼날(33)은 상단분쇄칼날(331), 중단분쇄칼날(333), 하단분쇄칼날(335)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단분쇄칼날(331)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루(40)에 구비되는 절삭칼날(411)과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투입된 재료를 절삭 및 분쇄하는 기능을 하며, 상단분쇄칼날(331) 하부에 구비되는 중단분쇄칼날(333)은 사선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중단분쇄칼날(333)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분쇄칼날(335)은 재료를 착즙 및 압착하는 기능을 함으로서, 착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분쇄칼날(33)들은 사선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러한 배열방식은 분쇄칼날(33)의 진입 각도를 예각으로 날카롭게 만들어서 재료의 절단, 분쇄가 훨씬 잘되고, 자연스럽게 옆으로 흘러서 다음 칼날 쪽으로 이송됨에 따라 칼날 전방에 쌓이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각 칼날의 하단으로 내려가 토출량을 향상시키고, 드럼(30) 내부에 쌓이는 것이 없으므로 청소가 용이하며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크루(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정역모터가 아닌 정방향 구동모터(14)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주서기의 착즙모듈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주서기의 착즙모듈 10 : 본체
11 : 제1 본체 111 : 지지다리
113 : 안착부 12 : 제2 본체
121 : 지지다리 14 : 구동모터
141 : 구동축 141A : 공회전방지부
16 : 연장부재 161 : 관통공
162 : 중심부 163 : 결착홈
164 : 결착고리 18 : 작동스위치
20 : 외통 201 : 외통중심 바닥면
21 : 제1 배출부 211 : 받이부
211A : 경사부 213 : 착즙액배출구
22 : 제2 배출부 221 : 피착즙물(찌꺼기)배출구
24 : 안전장치부재 241 : 스프링
243 : 가압부재 245 : 안전핀삽입공
247 : 안전핀 30 : 드럼
31 : 착즙망 33 : 분쇄칼날
331 : 상단분쇄칼날 333 : 중단분쇄칼날
335 : 하단분쇄칼날 356 : 드럼바닥면
40 : 스크루 41 : 나사산
411 : 절삭칼날 43 : 밀폐패킹
45 : 손잡이부 451 : 회전돌기
47 : 고정홈 50 : 뚜껑
51 : 투입구 53 : 푸쉬부재
55 : 회전홈 57 : 결합돌기
58 : 누름턱(안전핀)

Claims (4)

  1. 본체(10);
    상기 본체(10) 상부에 안착되며, 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51)와, 상기 투입된 재료가 분쇄 및 착즙되어 착즙액이 배출되는 제1 배출부(21) 및 상기 투입된 재료가 분쇄 및 착즙되어 남은 피착즙물이 배출되는 제2 배출부(22)를 포함하는 외통(20);
    상기 외통(20) 내부에 구비되되, 외면에 복수개의 착즙망(31)이 구비되는 드럼(30);
    상기 드럼(3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투입된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는 스크루(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배출부(21)는 상기 착즙망(31) 외부로 배출되는 착즙액이 떨어지는 받이부(211)와, 상기 받이부(211) 일측에 구비되어 착즙액을 배출하는 착즙액배출구(213)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이부(211)에는 상기 착즙액배출구(213)의 반대방향에서 착즙액배출구(213)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경사부(211A)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분쇄칼날(33)이 다단으로 구비되되,
    상기 분쇄칼날(33)은
    삼각형 형상의 복수개의 상단분쇄칼날(331)과, 상기 상단분쇄칼날(331) 하부에 다단 구비되는 복수개의 사선형의 중단분쇄칼날(333) 및 상기 중단분쇄칼날(333) 하부에 구비되는 직선형의 하단분쇄칼날(3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의 착즙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40)는 외면에 재료를 분쇄 및 착즙하기 위한 나사산(4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41)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단분쇄칼날(331)과 연동되는 복수개의 절삭칼날(4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서기의 착즙모듈.
  3. 삭제
  4. 삭제
KR1020150059214A 2015-04-27 2015-04-27 주서기의 착즙모듈 Ceased KR10158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14A KR101580558B1 (ko) 2015-04-27 2015-04-27 주서기의 착즙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14A KR101580558B1 (ko) 2015-04-27 2015-04-27 주서기의 착즙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558B1 true KR101580558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14A Ceased KR101580558B1 (ko) 2015-04-27 2015-04-27 주서기의 착즙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4385A (zh) * 2019-07-09 2019-10-29 鹤山市恒凯电器有限公司 多功能榨汁机
WO2024232710A1 (ko) * 2023-05-11 2024-11-14 주식회사 휴롬 하이브리드형 착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90B1 (ko) * 1998-07-14 2000-12-01 권효근 쥬스기
KR100966607B1 (ko) * 2009-08-28 2010-06-2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20120016532A (ko) * 2010-08-16 2012-0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02492A (ko) * 2012-06-29 2014-01-08 김영기 원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90B1 (ko) * 1998-07-14 2000-12-01 권효근 쥬스기
KR100966607B1 (ko) * 2009-08-28 2010-06-2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20120016532A (ko) * 2010-08-16 2012-0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02492A (ko) * 2012-06-29 2014-01-08 김영기 원액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4385A (zh) * 2019-07-09 2019-10-29 鹤山市恒凯电器有限公司 多功能榨汁机
WO2024232710A1 (ko) * 2023-05-11 2024-11-14 주식회사 휴롬 하이브리드형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101202775B1 (ko) 분쇄기 겸용 주스기 및 이에 사용되는 분쇄용 드럼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US8091473B2 (en) Juice extractor
KR101178850B1 (ko) 주서 모듈
KR200454079Y1 (ko)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682742B1 (ko) 식품 조리기
KR102115996B1 (ko)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240000121U (ko) 착즙기용 스크류
KR102536304B1 (ko)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38A (ko)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7345Y1 (ko) 착즙기
KR20120032955A (ko) 일체화 가능한 즙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33543A (ko) 이중 스크류를 가지는 착즙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KR101033550B1 (ko) 원액 추출기
KR20130059615A (ko) 착즙기
KR20210000384U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200469922Y1 (ko) 착즙기
KR101593615B1 (ko) 푸드 균질기
KR200499201Y1 (ko) 착즙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9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