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84984B1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 Google Paten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984B1
KR101584984B1 KR1020090063815A KR20090063815A KR101584984B1 KR 101584984 B1 KR101584984 B1 KR 101584984B1 KR 1020090063815 A KR1020090063815 A KR 1020090063815A KR 20090063815 A KR20090063815 A KR 20090063815A KR 101584984 B1 KR101584984 B1 KR 101584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location category
catego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6259A (en
Inventor
한승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6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984B1/en
Publication of KR2011000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2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98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7Hybrid positioning
    • G01S5/0258Hybrid positioning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measurements derived from differ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부와,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위치 범주 테이블을 통해 판단하는 위치 범주 판단부와,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 검색부 및 애플리케이션 검색부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63815

위치정보, 애플리케이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 application in which a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location categories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location category table; an applic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in an application table, whether there is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from the application retrieval unit.

Figure R1020090063815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OTHOD THEREOF,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하여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categor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matching one or more applications to a user,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나, 하나 이상의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이하, 'GPS'라 함)로부터 얻은 위치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location based service means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a user based on location data obtained from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one or more global positioning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PS'). do.

예를 들어, 위치추적 서비스와 공공안전 서비스는 사람 또는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추척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에 처했을 때 구조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location tracking services and public safety services are used by many users because the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rescued when they are in danger because they can locate and track people or vehicles.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날씨를 제공하는 날씨 서비스와 정체되는 도로구간을 피하고 지름길을 찾을 수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In addition, various services such as a weather service providing weather of a place where a user is located, a traffic information service capable of avoiding a static road section, and a shortcut route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users.

그러나,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현재 위치정보 또는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주변 위치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However, such a location-based service is limited to provi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neighbo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a variety of services to users using location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 범주에 따라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a current location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ing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to a us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nd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부;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상기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을 통해 판단하는 위치 범주 판단부; 상기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 검색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부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ccording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category table; An applic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in the application table, whether there is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by the application retrieval unit.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는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데이터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RFID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여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is characterized by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location data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or a GPS satellite 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data received from an RFID tag or a barcode including an RFID reader or a barcode reader .

또한,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는 테이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abl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위치 범주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판단 또는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위치 범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ownloa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location category or the application is not determined or retrieved And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상기 다운로드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wnload control unit downloads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nd updates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토지 또는 건물의 행정 정보에 의해 생성된 위치 범주 테이블이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category table may be a location category table generated by user's personal information, land or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r a location category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은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이거나, 또는 각 위치 범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lication table is an application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or an application table gener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f applications frequently used in each location category.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음성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put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screen or outputted as a voice.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는,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상기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하여 각 위치에 따른 위치 범주와 상기 위치 범주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한다.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nd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또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 검색되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a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location category; ; And a second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as a result of the search.

그리고,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위치 범주가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rst step, if the location category is not determine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 범주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location category to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if the application is not searched.

그리고,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ransmitting a location category table download request signal matching each location and a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table download request signal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tep may include outputt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nformation to the screen or outputt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nformation by voi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by providing the user with one or more applications set in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위치 범주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 또는 타인이 미리 설정해 놓은 위치 범주 정보, 및 건물 또는 토지의 행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개개인을 위한 현재 위치에서의 위치 범주를 판단하고, 그 위치 범주에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category, one or more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location category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or the other person,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or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of the land are used, so that the location category at the current location for the individual is determined , It is possible to directly select necessary applications in the location categor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와, 음성처리부(120)와, 키패드부(130)와, 위치정보 취득부(140)와, 저장부(150)와, 테이블 설정부(155)와, 위치 범주 판단부(160)와, 애플리케이션 검색부(170)와, 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voice processing unit 120, a keypad unit 130,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160, an application search unit 170, an output unit 180,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되는 통화를 위해, 발신호 또는 착신호에 따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n outgoing call or an incoming call for a call corresponding to a basic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 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와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 receives signals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음성처리부(12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K)(123)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12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 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voice processing unit 120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mplifies the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analog voice signal to a speaker (SPK) 123 or a microphone (MIC) Conversion.

또한, 음성처리부(120)는 출력부(180)가 전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음성으로 처리하여 스피커(123)로 출력한다. The voice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transmitted by the output unit 180 by voice and outpu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speaker 123.

키패드부(130)는 하나 이상의 메뉴키와, 숫자를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을 포함한다. The keypad unit 130 includes one or more menu keys and keys for inputting characters including numbers.

위치정보 취득부(140)는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receives location data from a base station or one or mor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s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위치정보 취득부(14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RFID 리더는 건물 또는 상가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위치정보를 취득하며, 바코드 리더는 건물 또는 상점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들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may include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or a barcode reader. The RFID reader reads data from an RFID tag attached to a building or a shopping mall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Reads the barcode attached to the building or shop, and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저장부(150)는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위치 범주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과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은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필요시 이동통신망 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ccording to the location category. The location category table and the application table may be stored in advan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and may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necessary.

테이블 설정부(155)는 위치 범주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위치 범주를 설정할 수 있는 위치범주설정화면을 제공하고, 제공된 위치범주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150)의 위치 범주 테이블에 저장한다. The table setting unit 155 provides a location category setting screen in which a location category can be set when the location category setting command is inputted and matches the location and the location category inputted through the provided location category setting screen to the storage unit 150 ) ≪ / RTI >

또한, 테이블 설정부(155)는 애플리케이션 테이블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위 치 범주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테이블설정화면을 제공하고, 제공된 애플리케이션테이블설정화면을 통해 입력된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150)의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에 저장한다. When the application table setting command is input, the table setting unit 155 provides an application table setting screen capable of matching one or mor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location category,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nd stored in the application table of the storage unit 150.

위치 범주 판단부(160)는 위치정보 취득부(140)에서 취득한 위치정보가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정보가 상암동 1600번지이고, 상암동 1600번지를 사용자가 사무실의 위치 범주로 설정해 놓은 경우를 가정하면, 상암동 1600번지가 해당되는 위치 범주는 사무실이 된다. The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a location category to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correspond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1600 in Sangam-dong and 1600 in Sangam-dong is set as the location category of the office,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1600 sangam-dong will be the office.

애플리케이션 검색부(170)는 위치 범주 판단부(160)에서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The application searching unit 170 searches the location category determining unit 160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출력부(180)는 애플리케이션 검색부(170)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음성처리부(120)로 전달한다. The output unit 180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searching unit 170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one or more applications can be output by voice. (120).

제어부(19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며, 출력부(18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respective units and, when one of the appl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through the output unit 180, the selected application is executed.

제어부는 다운로드 제어부(191)를 더 포함하는데, 다운로드 제어부(191)는 위치 범주 판단부(160)를 통해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가 판단되지 않으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부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수신하거나, 또는 위치 범주와 함께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download control unit 191. If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determined through the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160, the download control unit 19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or to receive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that match the location category together with the location category.

또한, 다운로드 제어부(191)는 애플리케이션 검색부(170)를 통해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 범주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부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f an application matched with the location category is not found through the application search unit 170, the download control unit 191 transmits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of FIG. 3).

한편, 다운로드 제어부(191)는 애플리케이션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이 입력되면, 위치 범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When an application table download request is inputted, the download control unit 191 transmits an application table download request signal match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You can update the application table.

마찬가지로, 다운로드 제어부(191)는 위치 범주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이 입력되면,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을 요청하는 위치 범주 테이블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하여 위치 범주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Likewise, when the request for downloading the location category table is input, the download control unit 191 transmits a location category table download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category table matching each location and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To 321 in FIG. 3) to update the location category table.

도 2는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FIG.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외부에서 수신된 데이터(위치데이터 포함)를 통해 위치정보를 취득하며(S201), 취득된 위치정보가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한다(S2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data (including position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S201), and determines a posi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position information (S203).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위치 범주가 판단되면(S205),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207).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if the location category is determined (S20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S207).

한편,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위치 범주가 판단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한다(S209).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3 that the location category is not determin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209).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부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수신한다(S210). 이때, 위치 범주와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S210). At this time, the location category and the location category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matching application.

상기 S209단계의 검색결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면(S211),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S213). If at least one application is searched (S21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one or more applications, outputs one or more pieces of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screen, or displays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And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S213).

한편, 상기 S209단계의 검색결과,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 범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 전송한다(S215). If at least one application is not found as a result of the search in step S209,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of FIG. 3)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215).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도 3의 321)로부터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한다(S217).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s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n FIG. 3) (S21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가 포함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300)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를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는 기지국(3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는 이동통신망(320)에 포함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저장부(150)와, 위치 범주 판단부(160) 및 애플리케이션 추천부(17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하겠다. 3,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nd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base station 310 And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is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20.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does not include the storage unit 150, the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160, and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170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FIG. I will.

이동통신단말기(300)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부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와 그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기지국(310)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로부터 취득하거나,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취득하거나, 또는 바코드를 읽어 취득한 정보이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it transfer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and acquires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and the location category of the application Receive one or mor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lo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310 or GPS satellite, acquired fro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ID tag, or obtained by reading a barcode.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는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한다.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은 사용자의 개인정보(예를 들어, 자택 주소 또는 직장 주소)를 토대로 생성하거나,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하여 생성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이거나, 또는 건물 또는 토지의 행정 정보에 의해 생성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도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해 놓은 애플리 케이션 테이블이거나, 또는 해당 위치 범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stores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 application category table an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The location category table may be created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a home address or a work address), a location category table created by matching a location and a location category with a user or another user in advance, As shown in Fig. Also, the application table may be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a user or another user creates a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in advance, or may collect and generate information of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in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tegory.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는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위치 범주 테이블을 통해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Accordingly, when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determines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category table, Search in the application table for existence.

그 후,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검색되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는 위치 범주와 그 위치 범주와 관련하여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전송한다.Then, when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retrieved,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in relation to the location category and its location catego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한편, 도 3의 이동통신단말기(300)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적용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00 of FIG. 3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FIG.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에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적용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정보 취득부(140)를 통해 위치정보를 취득하면,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하고, 판단되는 위치 범주가 없으면,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부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수신한다. According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FIG. 1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yste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0,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If there is no location category to be judged, the lo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and receives the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검색될 경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검 색되지 않을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위치 범주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부터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location catego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information of the searched one or more applications on a screen or a voice. However, when the application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is not search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and transmits the location category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o one or more application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로 전송하면,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321)에서 위치 범주와 그 위치 범주와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32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can be chang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및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3은 본 발명을 따른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가 포함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0, 300 : 이동통신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100, 3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120 : 음성처리부 140 : 위치정보 취득부120: Voice processing unit 140: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50 : 저장부 155 : 테이블 설정부150: storage unit 155: table setting unit

160 : 위치 범주 판단부 170 : 애플리케이션 검색부160: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170:

180 : 출력부 190 : 제어부180: output unit 190: control unit

191 : 다운로드 제어부 321 :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191: Download control section 321: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Claims (19)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부; A positional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상기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을 통해 판단하는 위치 범주 판단부; A location categor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category table; 상기 판단된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애플리케이션 검색부; 및 An applic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in the application table, whether there is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category; And 상기 애플리케이션 검색부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retrieved by the application retrieval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위치정보 취득부는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데이터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Acquires positional information from position data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or a GPS satellite, or RFID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여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data received from an RFID tag or a barcode including an RFID reader or a barcode rea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설정할 수 있는 테이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Further comprising a table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상기 위치 범주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판단 또는 검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정보 또는 상기 위치 범주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And a downloa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category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location category or the application is not determined or retrie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다운로드 제어부는 The download control unit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 또 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is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and the location category table or the application 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upda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은 The location category table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토지 또는 건물의 행정 정보에 의해 생성된 위치 범주 테이블이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location category table is a location category table generated by user's personal information, land or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r a location category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은 The application table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이거나, 또는 각 위치 범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application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or an application table gener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f applications frequently used in each location categor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출력부는 The output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음성처리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s output to a screen or transmitted to a voice processing unit so as to be outputted as a voice.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에 있어서,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각 위치와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과 상기 위치 범주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을 저장하여 각 위치에 따른 위치 범주와 상기 위치 범주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A location category table in which each location and location category is matched, an application table in which the location category and one or more applications are matched, and a location category according to each location and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제 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은 The location category table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토지 또는 건물의 행정 정보에 의해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Wherein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is a location category table generated by user's personal information, land or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r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제 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은 The application table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이거나, 또는 각 위치 범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An application table 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or an application table gener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frequently used in each location category. 위치정보에 해당되는 위치 범주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범주와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제1단계; 및 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loc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matched with the location category; And 상기 검색결과, 검색되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출력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And outputt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applications searched when the search is performed. 제 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위치정보는 The location information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한 위치정보이거나, 또는 RFID 리더 또는 바코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취득한 위치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eiving location data from a base station or a GPS satellite, o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eiving data from an RFID reader or a barcode. 제 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단계에서, In the first step, 상기 위치 범주가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And if the location category is not determine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제 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 범주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And if the application is not found, transmitting the location category to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제 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각 위치와 상기 위치 범주를 매칭해 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Transmitting a download request signal of a location category table matching each location and the location category to an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상기 위치 범주와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해 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의 다운로드 요청신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추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And transmitting a download request signal of an application table matching the location category and the one or more applications to the application recommendation server. 제 16항에 있어서, 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위치 범주 테이블은 The location category table 사용자의 개인 정보, 토지 또는 건물의 행정 정보에 의해 생성된 위치 범주 테이블이거나,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위치 범주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A location category table generated by user's personal information, land or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or a location category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제 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은 The application table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이거나, 또는 각 위치 범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Wherein the location table is an application table preset by a user or another user, or an application table gener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f applications frequently used in each location category. 제 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단계는, The second step comprises: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또는 Outputting the one or more pieces of application information to a screen or 상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방법.And outputting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nformation by voice.
KR1020090063815A 2009-07-14 2009-07-1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ctive KR101584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15A KR101584984B1 (en) 2009-07-14 2009-07-1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15A KR101584984B1 (en) 2009-07-14 2009-07-1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59A KR20110006259A (en) 2011-01-20
KR101584984B1 true KR101584984B1 (en) 2016-01-13

Family

ID=4361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815A Active KR101584984B1 (en) 2009-07-14 2009-07-14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9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78A1 (en) * 2018-12-28 2020-07-02 Mimos Berhad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mode based on service availability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2360B2 (en) 2011-05-06 2014-06-24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ing applications within search results
US8688726B2 (en) 2011-05-06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aware application searching
KR101273768B1 (en) * 2011-08-16 2013-06-12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discovery
EP2815337A4 (en) * 2012-02-16 2015-10-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aware application searching
US9125000B2 (en) * 2012-12-14 2015-09-01 Intel Corporation Location-aware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CN104063423B (en) * 2014-05-30 2017-11-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CN110871980B (en) * 2018-08-29 2023-05-02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Storag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14A (en) 2006-10-31 2008-05-22 Sbi Holding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14A (en) 2006-10-31 2008-05-22 Sbi Holdings In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78A1 (en) * 2018-12-28 2020-07-02 Mimos Berhad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mode based on service availability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59A (en)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984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a method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KR1014516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9351109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nhancing location information
KR100311080B1 (e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pable of obtaining user information relating to the area and a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information
JPWO2009008035A1 (en)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formation registration server,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20062263A1 (en) Method of providing store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server
CN106796606B (en) Retrieval system
US8588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KR20060132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recting, storing and automatically delivering a message to the intended recipient upon arrival of a specific mobile object at a specified location
KR20020087935A (en) Method of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s
JP2002149528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used for the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achine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alizing the method
JP2002291020A (en) Positio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mobile phone system
KR10076897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31257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 peripheral information
KR101216424B1 (en) Method For Scheduler Manage Using GPS in Mobile Phone
KR100920442B1 (en) How to Retrieve Information from Your Mobile Device
KR10069200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location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5562814B2 (en) Map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ap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2002158776A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its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7212185A (en) Map information cooperation system
KR1005305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Area Regist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4171B1 (e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phone
JP4877739B2 (en) Information search system, information search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P2437556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hancing location information
JP2011153873A (en) Navig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7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